맨위로가기

스텝들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텝들소는 남아시아의 *Bison paleosinensis*에서 진화한 멸종된 들소의 일종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했다. 초기 중기 홍적세에 처음 나타나 베링 육교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이동하여 자이언트들소와 아메리카들소의 조상이 되었다. 스텝들소는 어깨 높이가 2m가 넘고 몸무게는 900kg에 달했으며, 뿔의 길이는 1m에 이르렀다. 멸종된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최후 빙하기 이후 분포가 축소되었고 홀로세 중반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미라 형태로도 발견되었다. 현재 러시아 사하 공화국에서 스텝들소의 대용으로 아메리카 들소를 재도입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DNA를 활용한 복원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4기 아시아의 포유류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고대 소과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고대 소과 - 자이언트들소
    자이언트들소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들소로, 스텝들소에서 진화하여 비손 안티쿠스를 낳았으며, 멕시코 남부에서 캐나다 남부에 걸쳐 분포했고, 인류의 사냥 압력, 기후 변화, 환경 변화 등이 멸종 원인으로 추정된다.
  • 고대 소목 - 안트라코테리움과
    안트라코테리움과는 에오세부터 신생대까지 번성한 멸종된 우제목 포유류로, 하마의 조상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엔텔로돈트과와의 관련성 또는 고래류와의 낮은 연관성을 주장하는 연구도 있다.
  • 고대 소목 - 안트라코테리움
    안트라코테리움은 에오세 후기부터 플라이스토세까지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했으며 하마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멸종된 소목의 한 아과로,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텝들소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텝 바이슨 미라
"블루 베이브", 알래스카에서 발견된 미라 표본
분류
학명Bison priscus
명명자Bojanus, 1825
멸종 여부멸종
화석 발견 시기중기 플라이스토세 ~ 홀로세 (0.65 ~ 0.003백만 년 전)
학문적 정보
영명스텝 바이슨 (Steppe Bison)
영명 (다른 표기)스텝 위젠트 (Steppe Wisent)
기타 정보
분포후기 플라이스토세 유라시아, 북미
특징큰 뿔과 털북숭이 털을 가짐
멸종 원인기후 변화, 인간의 사냥
관련 연구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12134450/http://beringia.com/research/bison.html

2. 진화

스텝들소 화석


스텝들소는 남아시아의 비손 페일리어시넨시스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오록스와 거의 같은 시기에 나타났다. 스텝들소는 유럽의 플라이스토세 삼림 들소와 유럽들소, 일본의 렙토비손, 북아메리카자이언트들소와 같은 시기에 발생하였다.

생물 복원


스텝들소는 초기 중기 홍적세 동부 유라시아에서 처음 나타났으며,[7] 이후 서유럽까지 퍼져나갔다.[8] 후기 중기 홍적세(약 195,000~135,000년 전)에 베링 육교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이동하여,[9] ''Bison latifrons''와 ''Bison antiquus''를 포함한 북아메리카 고유 들소 종의 조상이 되었다. ''Bison antiquus''는 현대 아메리카들소의 조상으로 여겨진다.[5]

스텝들소는 현생종 (아메리카 들소와 유럽 들소)과 멸종된 대다수 들소속의 조상이 되었다.

2. 1. 아종

다음은 스텝들소의 아종이다.[33]

  • ''Bison priscus priscus''
  • ''Bison priscus mediator''
  • ''Bison priscus gigas''


일본 이와테현의 하나이즈미 유적에서 발굴된 "하나요이즈미 들소"는 스텝들소의 일종으로 여겨지며, 일본 열도에서는 스텝들소 자체가 발견되었다.[32] 오록스 또한 같은 유적에서 발굴되었다.[34]

3. 형태



스텝들소는 현대의 들소 종들, 특히 아메리카들소와 비슷하게[52] 어깨 높이가 2m가 넘었고, 몸무게는 900kg에 달했다.[11] 뿔의 끝은 1m 떨어져 있었고, 뿔 자체의 길이는 0.5m가 넘었다.[53]

3. 1. ''Bison priscus gigas''

''Bison priscus gigas''는 유라시아에서 알려진 가장 큰 들소였다. 이 아종은 자이언트들소와 유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비슷한 크기의 몸집과 최대 210cm 떨어진 뿔을 가졌고, 아마도 비슷한 서식 조건에서 선호했을 것으로 보인다.[12][36][54]

체고는 2m를 넘었고, 형태는 현대의 들소 특히 숲들소와 매우 유사하다.[35] 현재의 시베리아, 몽골, 중국, 카자흐스탄, 동유럽 등에 분포했다.[36]

3. 2. 유럽들소와의 관계

스텝들소는 남아시아의 비손 페일리어시넨시스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이 종들이 때때로 그 후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오록스와 거의 동시에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들소는 결국 유럽의 플라이스토세 삼림 들소, 유럽들소, 일본의 렙토비손, 북아메리카자이언트들소와 같은 시기에 발생하였다.

스텝들소는 해부학적으로 유럽들소와 비슷하여 완전한 골격을 구할 수 없을 때 구별하기 어려웠다.[55] 이 두 종은 이종교배를 할 정도로 가까웠지만, 유전적으로도 구별되어 실제로 이종교배가 드물었다는 것을 보여준다.[43]

4. 생태

치아 미세 마모 분석에 따르면 스텝들소는 초식동물이 아닌 혼합 식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14]

4. 1. 천적

치아 미세 마모 분석에 따르면 스텝들소는 초식동물이 아닌 혼합 식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14] 스텝들소의 유력한 포식자로는 동굴하이에나(동굴하이에나의 굴에서 스텝들소 유해가 발견된 적이 있다)[15], 호모테리움과 같은 검치호랑이, 그리고 어쩌면 늑대가 있었을 것이다.[16]

5. 멸종

알타미라 동굴의 묘사


스텝들소는 최후 빙하기가 끝난 후 분포가 북쪽으로 축소되었으며, 홀로세 중반까지 생존하다가 제4기 대량 절멸의 일부로 멸종되었다.[10][17] 알래스카에서 발견된 스텝들소 뼈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5,400년 전(기원전 3450년경)으로 밝혀졌다.[18] 아시아 앙가라강 북부에서 발견된 ''B. priscus'' 유해는 기원전 2550-2450년,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오야트강에서 발견된 유해는 기원전 1130-1060년으로 측정되었다.[19] 스텝들소를 비롯한 많은 거대동물 종의 멸종 원인은 여전히 논쟁 중이지만, 대형 동물에 대한 선택성은 현대 인류의 확산이 상당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0][21]

6. 발견

스텝들소는 알타미라 동굴라스코 동굴 등의 동굴 벽화와 '바이슨 핥는 곤충 비이트' 조각에서 발견되었으며, 얼음 속에서 자연적으로 보존된 미라 형태로 발견되기도 한다.[22][23][24]

1979년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 북쪽에서 발견된 "블루 베이브"는 약 36,000년 전의 수컷 스텝들소 미라로, 푸르스름한 빛깔을 띠고 있어 유명하다.[3]

6. 1. 주요 발견 사례

알타미라 동굴라스코 동굴의 동굴 벽화와 바이슨 핥는 곤충 비이트에서 스텝들소가 묘사되었으며, 빙하에 의해 자연적으로 보존된 형태로도 발견되었다.[56][57][58]

알타미라 동굴의 스텝들소를 그린 벽화 중 하나


1979년 7월, 미국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 북쪽에서 발견된 수컷 스텝들소 미라는 약 36,000년 전의 것으로, "블루 베이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미라는 푸른색 인산철인 비비아나이트 코팅 때문에 푸르스름한 색을 띠고 있다.[3] 블루 베이브는 알래스카 대학교 박물관에 영구 전시되어 있으며, 연구팀이 미라의 목 부분을 스튜로 만들어 먹은 일화로도 유명하다.[26]

2007년 9월, 캐나다 북부 치게트치크 인근에서 발견된 스텝들소 시체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약 13,650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27]

2011년에는 시베리아 유카기르에서 9,300년 된 미라가 발견되었다.[28]

2016년, 러시아 사하 공화국 북부에서 발견된 냉동 꼬리는 8,000년 이상 된 것으로, 러시아와 대한민국 과학자팀이 DNA 추출 및 복제를 제안했다.[29][30]

최초의 데니소바인 유물이 발견된 데니소바 동굴에서도 스텝들소가 발견되었다.[31]

7. 현대적 의의

스텝들소는 알타미라 동굴라스코 동굴을 포함한 동굴 벽화에 나타나며, '곤충 물린 자국을 핥는 들소' 조각에서도 발견되었고, 자연적으로 얼음에 보존된 형태로도 발견되었다.[22][23][24]

사하 공화국에서의 싱린들소의 대용 도입 프로젝트(러시아어판)


블루 베이브는 1979년 7월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 북쪽에서 발견된 수컷 스텝들소의 36,000년 된 미라이다.[25] 금광 광부가 발견했으며, 미라에게 블루 베이브라는 이름을 붙였다. '베이브'는 폴 버니언의 신화 속 거대 황소에서 따온 이름인데, 폭풍에 파묻혀 영구적으로 파란색이 되었다. (블루 베이브 자체의 푸르스름한 색깔은 표본 대부분을 덮고 있는 파란색 인산철인 비비아나이트의 코팅에 의해 발생했다).[3] 알래스카 대학교 박물관에 영구 전시하기 위해 미라를 준비하던 연구팀은 미라의 목 부분을 잘라 스튜로 만들어 이를 기념하며 식사했기 때문에, 블루 베이브는 과학자들이 자체 표본을 먹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자주 언급된다.[26]

2011년에는 시베리아 유카기르에서 9,300년 된 미라가 발견되었다.[28] 2016년에는 러시아 사하 공화국 북부에서 냉동된 꼬리가 발견되었는데,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했지만 검사 결과 8,000년 이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29][30] 러시아 및 대한민국 과학자팀은 이 표본에서 DNA를 추출하여 미래에 복제할 것을 제안했다.[29][30] 스텝들소는 최초의 데니소바인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유명한 데니소바 동굴에서도 발견되었다.[31]

2006년부터 싱린들소가 러시아 연방·사하 공화국에 스텝들소 및 다른 고대종의 대용으로 재도입되고 있다(러시아어판).[37][38][39][40] 또한 사하 공화국에서 발견된 꼬리 등을 이용하여 러시아대한민국의 과학자가 클론 기술을 이용한 부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41][42]

참조

[1] 논문 Corrected date of the first description of aurochs Bos primigenius (Bojanus, 1827) and steppe bison Bison priscus (Bojanus, 1827)
[2] 문서 Several literatures address the species as ''primeval bison''.
[3] 웹사이트 Steppe Bison http://www.beringia.[...] 2010-12-12
[4] 웹사이트 Hunting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Mitochondrial Genome in the Trois-Frères Paleolithic Painted Cave https://journals.plo[...]
[5] 논문 Phylogeny of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Bison spec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ttps://linkinghub.e[...] 2021-09
[6] 논문 First Complete Skull of a Late Pleistocene Steppe Bison ( Bison priscus ) in the Iberian Peninsula
[7] 논문 A review on Bison schoetensacki and its closest relatives through the early-Middle Pleistocene transition: Insights from the Vallparadís Section (NE Iberian Peninsula) and other European localities https://www.scienced[...] 2021-06-01
[8] 논문 Western Palaearctic palaeo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Early and early Middle Pleistocene inferred from large mammal communities, and implications for hominin dispersal in Europe https://www.scienced[...] 2011-06-01
[9] 논문 Fossil and genomic evidence constrains the timing of bison arrival in North America 2017-03-28
[10] 논문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https://research.rug[...]
[11] 서적 Extinctions in Near Time: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2] 간행물 Gigantic Bisons of Asia Journal of the Palaeontological Society of India 1977
[13] 논문 Changes in the Eurasian distribution of the musk ox (Ovibos moschatus) and the extinct bison (Bison priscus) during the last 50 ka BP.
[14] 논문 Was the steppe bison a grazing beast in Pleistocene landscapes? https://royalsociety[...] 2024-10-03
[15] 논문 Diet and ecological niches of the Late Pleistocene hyenas Crocuta spelaea and C. ultima ussurica based on a study of tooth microwear https://linkinghub.e[...] 2022-09
[16] 논문 Isotopic tracking of large carnivore palaeoecology in the mammoth steppe https://linkinghub.e[...] 2015-06
[17] 논문 A middle Holocene steppe bison and paleoenvironments from the Versleuce Meadows, Whitehorse, Yukon, Canada http://www.nrcresear[...] 2017-11
[18] 논문 A middle Holocene steppe bison and paleoenvironments from the Versleuce Meadows, Whitehorse, Yukon, Canada https://pgl.soe.ucsc[...]
[19] 논문 Holocene Distribution and Extinction of Ungulates in Northern Eurasia
[20] 논문 Megafauna extinctions in the late-Quaternary are linked to human range expansion, not climate change 2023-12-01
[21] 논문 The accelerating influence of humans on mammalian macroecological patterns over the late Quaternary 2019-05-01
[22] 논문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Cross-Breeding Bovine Species. Has Wisent a Hybrid Origin?
[23] 서적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The Story of Blue Bab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4] 논문 The Magic of Images: Word and Picture in a Media Age
[25] 웹사이트 Blue Babe - the 36,000 year-old male bison http://www.mummytomb[...] James M. Deem's Mummy Tombs
[26] 서적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The Story of Blue Bab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7] 논문 A late Pleistocene steppe bison (Bison priscus) partial carcass from Tsiigehtchic,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https://doi.org/10.1[...] 2009
[28] 웹사이트 9,000-Year-Old Bison Mummy Found Frozen in Time http://www.livescien[...] www.livescience.com 2014-12-04
[29] 웹사이트 The remains of an 8,000 year old lunch: an extinct steppe bison's tail http://siberiantimes[...] 2021-03-09
[30] 웹사이트 Cloning ancient extinct bison sounds like sci-fi, but scientists hope to succeed within years https://www.ibtimes.[...] 2021-03-09
[31] 논문 Evolution of the European regional large mammals assemblages in the end of the Middle Pleistocene – The first half of the Late Pleistocene (MIS 6–MIS 4) https://linkinghub.e[...] 2024-01-13
[32] 논문 更新世末の大形獣の絶滅と人類 https://rekihaku.rep[...]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1-03
[33] 논문 First Complete Skull of a Late Pleistocene Steppe Bison ( Bison priscus ) in the Iberian Peninsula
[34] 기타 モノが語る牛と人間の文化 ②岩手の牛たち 奥州市牛の博物館
[35] 논문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https://doi.org/10.1[...] Elsevier
[36] 간행물 Gigantic Bisons of Asia http://palaeontologi[...] 1977
[37] 뉴스 Alberta bison bound for Russia http://www.cbc.ca/ne[...] CBC News 2011-02-14
[38] 뉴스 Elk Island wood bison big hit in Russia http://www2.canada.c[...] Edmonton Journal 2010-08-05
[39] 뉴스 Bison troubles http://www.canada.co[...] Edmonton Journal 2006-10-05
[40] 뉴스 More Alberta bison to roam Russia http://www.cbc.ca/ne[...] CBC News 2013-09-23
[41] 웹사이트 The remains of an 8,000 year old lunch: an extinct steppe bison's tail http://siberiantimes[...]
[42] 웹사이트 Cloning ancient extinct bison sounds like sci-fi, but scientists hope to succeed within years https://www.ibtimes.[...]
[43] 저널 Corrected date of the first description of aurochs Bos primigenius (Bojanus, 1827) and steppe bison Bison priscus (Bojanus, 1827) 2019
[44] 웹사이트 Steppe Bison http://www.beringia.[...] 2013-05-31
[45] 웹사이트 Вестник Кирилло-Белозерского музея 9 (Май 2006) О. Яшина, Т.В. Цветкова – Кирилловский бизон http://www.kirmuseum[...] 2013-05-31
[46] 저널 Late pleistocene bison (''Bison p. priscus'' Bojanis, 1827)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Western Siberia 2008
[47] 저널 モノが語る牛と人間の文化 - ② 岩手の牛たち http://liaj.lin.gr.j[...] Oshu city Cattle Museum 2016-04-06
[48] 저널 First record of Late Pleistocene Bison from the fissure deposits of the Kuzuu Limestone, Yamasuge,Sano-shi,Tochigi Prefecture,Japan http://www.gmnh.pref[...] Gunma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Kuzuu Fossil Museum 2009
[49] 저널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2016
[50] 저널 A late Pleistocene steppe bison (''Bison priscus'') partial carcass from Tsiigehtchic,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2009
[51] 저널 Hunting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Mitochondrial Genome in the Trois-Frères Paleolithic Painted Cave http://journals.plos[...] 2015-06-17
[52] 저널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https://research.rug[...] 2016
[53] 서적 Extinctions in Near Time: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
[54] 간행물 Gigantic Bisons of Asia 1977
[55] 논문 Changes in the Eurasian distribution of the musk ox (Ovibos moschatus) and the extinct bison (Bison priscus) during the last 50 ka BP 2015
[56] 저널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Cross-Breeding Bovine Species. Has Wisent a Hybrid Origin? 2004
[57] 저널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The Story of Blue Babe https://books.google[...] 1989
[58] 저널 The Magic of Images: Word and Picture in a Media Age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