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닌그라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닌그라드주는 핀란드만, 라도가호, 오네가호 주변에 위치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포함한다. 지형은 평평하며 숲과 습지로 덮여 있고, 네바 강 유역에 속한다. 1927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산업은 기계 제조, 목재 가공, 화학 공업 등이다.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2021년 기준 인구는 약 200만 명이다. 주지사가 행정 수반이며, 입법 회의가 입법권을 행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노스칸디아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페노스칸디아 - 콜라반도
    콜라 반도는 러시아 북서쪽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반도로, 북극권에 속하며 다양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12세기부터 러시아인들이 진출하여 현재 무르만스크 주에 속하며 광업, 수산업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레닌그라드주 - 카렐리야 지협
    카렐리야 지협은 핀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위치하며 렘볼로보 고지를 최고점으로 하고, 부오크시 강이 라도가 호로 흘러 지협을 양분하며, 11세기부터 지배권 경쟁이 있었고, 펄프 및 제지, 목재 산업이 발달하고, E18 고속도로, 사이마 운하, 여러 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 레닌그라드주 - 크라스노예셀로
레닌그라드주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레닌그라드 주
러시아어 명칭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
로마자 표기Leningradskaya oblast'
베프스어 명칭Leningradan agj
핀란드어 명칭Leningradin alue
레닌그라드 주 문장
문장
레닌그라드 주 깃발
깃발
정치 체제
연방 관구북서
경제 지구북서
행정 중심지가치나
면적83,908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38번째
설립일1927년 8월 1일
차량 번호판47, 147
ISO 코드RU-LEN
시간대모스크바 시간 (+3)
인구
2021년 인구2,000,997명
2021년 인구 순위23번째
도시 인구 비율67.3%
농촌 인구 비율32.7%
2014년 인구 (추정치)1,763,900명
정치
주지사알렉산드르 드로즈덴코
입법부입법의회
기타
공식 웹사이트레닌그라드 주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레닌그라드주는 핀란드만 주변, 라도가호오네가호 남쪽에 위치한다. 카렐리야 지협과 핀란드만의 고글란트섬, 라도가호의 코네베츠섬 등을 포함한다.[37] 면적은 83908km2이며,[38] 인구 밀도는 23.85명/km2이다. 2021년 인구조사 기준 인구는 2,000,997명이다.

주도는 가치나이다.[36] 2023년 주 헌장 개정 이전까지는 영구적인 주도가 정해져 있지 않았고, 행정 기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었다.[42]

서쪽은 핀란드 만을 통해 발트해에 면하며, 핀란드, 에스토니아와 국경을 접한다. 러시아 내에서는 남쪽으로 노브고로드주, 프스코프주, 동쪽으로 볼로그다주, 북쪽으로 카렐리야 공화국과 인접한다.

2. 1. 지형

비보르크의 몽레포 공원


프리오제르스크의 부오크시 강


시베르스키 근처 오레데시 강


레닌그라드주는 핀란드만 주변에 위치하며, 라도가호오네가호의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레닌그라드주는 카렐리야 지협과 핀란드만의 고글란트섬, 라도가호의 코네베츠섬 등을 포함한다.

레닌그라드주 대부분 지역의 유역은 네바 강에 속하는데, 이 강은 라도가호의 유일한 배출구이다. 네바 강은 핀란드만으로 흘러들어가며, 그 유역은 매우 넓어 오네가호와 일멘호를 포함한다. 스비르과 볼호프은 각각 오네가호와 일멘호에서 라도가호로 흘러든다. 라도가호의 다른 주요 지류로는 부오크시와 시야스가 있다. 레닌그라드주 서부 지역의 강들은 핀란드만으로 흘러드는데, 그중 가장 큰 두 강은 루가와 나르바이며, 나르바 강은 러시아와 에스토니아의 국경을 이룬다. 레닌그라드주 동부의 작은 지역들은 차고도시차 강과 수다 강(둘 다 볼가 유역에 속함)의 유역에 속한다. 동부 레닌그라드주의 티흐빈스키군에 있는 산맥은 발트해와 카스피해 유역 사이의 분수령의 일부를 형성한다.

레닌그라드주의 지형은 비교적 평평하고 대부분 숲과 습지로 덮여 있다. 예외적으로 암석이 많은 카렐리야 지협은 호수 지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쪽에는 베프스 고원이 있다. 지협에서 가장 큰 호수는 부오크시 호, 수호돌스코예 호, 오트라드노예 호이다.

레닌그라드주에는 니즈네스비르스키 자연보호구역과 므신스코예 볼로토 자카즈니크의 두 개의 연방 보호 자연 지역이 있는데, 이들은 러시아 북서부의 숲과 습지 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광범위한 고원이 존재하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Ижорская возвышенность|이조라 고원ru, Пулковские высоты|풀코보 고원ru가 있다.

1,800개가 넘는 호수가 있다. 카렐리야 공화국과의 경계에는 유럽 최대의 호수인 라도가 호가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네바 강, 볼호프 강 등이 있다. 면적의 55.5%를 삼림이 차지한다.

2. 2. 기후

핀란드 만을 통해 발트해에 면한 레닌그라드주는 서쪽으로 핀란드, 에스토니아와 국경을 접하며, 러시아 내에서는 남쪽으로 노브고로드주, 프스코프주, 동쪽으로 볼로그다주, 북쪽으로 카렐리야 공화국과 인접한다. 1,800개가 넘는 호수가 있으며, 카렐리야 공화국과의 경계에는 유럽 최대의 호수인 라도가 호가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네바 강, 볼호프 강 등이 있다.

레닌그라드주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 1월 평균 기온: -9°C ~ -11°C
  • 7월 평균 기온: 16°C ~ 17°C

2. 3. 생태



레닌그라드주는 핀란드만 주변에 위치하며, 라도가호오네가호와 같은 큰 담수호의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카렐리야 지협과 핀란드만의 고글란트섬, 라도가호의 코네베츠섬 등 여러 섬들을 포함한다.

레닌그라드주 대부분 지역은 네바 강 유역에 속하며, 네바 강은 라도가호에서 유일하게 흘러나오는 강이다. 네바 강은 핀란드만으로 흘러들어가며, 그 강 삼각주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위치해 있다. 네바 강의 유역은 매우 넓어 오네가호와 일멘호를 포함한다. 스비르 강과 볼호프 강은 각각 오네가호와 일멘호에서 라도가호로 흘러든다. 라도가호의 다른 주요 지류로는 부오크시 강과 시야스 강이 있다. 레닌그라드주 서부의 강들은 핀란드만으로 흘러드는데, 가장 큰 강은 루가 강과 나르바 강이며, 나르바 강은 러시아와 에스토니아의 국경을 이룬다. 레닌그라드주 동부의 작은 지역들은 차고도시차 강(몰로가 강의 지류)과 수다 강(둘 다 볼가 강 유역에 속함)의 유역에 속한다. 레닌그라드주 동부 티흐빈스키군의 산맥발트해카스피해 유역 사이의 분수령 일부를 형성한다.

레닌그라드주의 지형은 비교적 평평하고 대부분 숲과 습지로 덮여 있다. 카렐리야 지협은 호수 지대를 포함하며 암석이 많고, 동쪽에는 베프스 고원이 있다. 지협에서 가장 큰 호수는 부오크시 호, 수호돌스코예 호, 오트라드노예 호이다.

레닌그라드주에는 니즈네스비르스키 자연보호구역과 므신스코예 볼로토 자카즈니크의 두 개의 연방 보호 자연 지역이 있는데, 이들은 러시아 북서부의 숲과 습지 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가장 분류학적으로 다양한 관속식물과는 국화과(Asteraceae), 사초과(Cyperaceae), 벼과(Poaceae), 장미과(Rosaceae)이다. 압도적으로 가장 다양한 속은 ''방울골''(Carex)(68종)이다. ''수리취''(Hieracium)(Pilosella 포함), ''미나리아재비''(Ranunculus)(Batrachium 포함), ''짚신나물''(Alchemilla), ''갈퀴덩굴''(Galium), ''검정말''(Potamogeton), ''버드나무''(Salix), ''속속이풀''(Veronica), ''제비꽃''(Viola), ''''(Juncus), ''''(Artemisia), ''양지꽃''(Potentilla), ''소리쟁이''(Rumex), ''참억새''(Festuca), ''달맞이꽃''(Epilobium), ''개보리''(Poa), ''토끼풀''(Trifolium), ''초롱꽃''(Campanula), ''벳지''(Vicia), ''여러해살이완두''(Lathyrus), ''쥐손이''(Geranium) 등의 속 다양성 또한 상당하다. 이 지역에는 고유 식물 분류군이 없다. 러시아 적색자료 목록에 등재된 레닌그라드주 관속식물 종은 ''단순 뱀고사리''(Botrychium simplex), ''붉은 닭의난초''(Cephalanthera rubra),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calceolus), ''무엽란''(Epipogium aphyllum), ''물매화''(Lobelia dortmanna), ''머귀나무''(Myrica gale), ''벌레잡이란''(Ophrys insectifera), ''군사난초''(Orchis militaris), ''큰꽃으아리''(Pulsatilla pratensis), ''봄맞이꽃''(Pulsatilla vernalis)이다.

2. 4. 시간대

모스크바 시간(MSK)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이다.
레닌그라드주는 모스크바 시간대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표준시는 UTC+3이며, 일광 절약 시간제는 없다. (2011년 3월까지는 표준시가 UTC+3, 일광 절약 시간이 UTC+4였으며, 2011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4였다)[1]

3. 역사

시골 지역의 삶은 제국의 수도와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수도는 농업 생산의 증가하는 시장이자 광물과 산림 자원의 주요 소비자였다. 1719년~1810년에는 볼가-발트 수로의 일부로 스비르 강과 네바 강 사이에 라도가 운하가 건설되어 라도가 호의 험난한 물길을 우회했다. 19세기 후반 철도 교통이 시작된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 지역은 주민들에게 인기 있는 여름 휴양지(다차)가 되었다. 그러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자체는 처음부터 러시아인이 대부분 거주했지만, 그 주변 지역의 러시아화는 20세기가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는 페트로그라드로 개명되었고, 주도 페트로그라드 주로 개명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인 1918년 수도는 페트로그라드에서 국경에서 더 먼 모스크바로 이전되었다. 1919년 러시아 내전 동안 에스토니아에서 진격해 온 니콜라이 유데니치가 이끄는 북서부 백군은 페트로그라드를 점령하려고 시도했으며, 남쪽 외곽에 도달하기도 했지만,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적군에 대한 공격은 결국 실패했고 유데니치는 후퇴했다. 에스토니아와의 국경은 1920년 러시아-에스토니아 타르투 조약에 의해 확립되었다. 핀란드의 지원을 받은 북부 잉그리아의 잉그리아 핀란드인들은 1918년~1920년에 분리 독립을 시도했지만, 핀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 사이의 국경을 확정한 러시아-핀란드 타르투 조약에 따라 다시 편입되었다. 1924년 페트로그라드는 레닌그라드로 개명되었고, 페트로그라드 주도 다시 레닌그라드 주로 개명되었다.

1991년 이후 레닌그라드주 주지사는 때때로 임명되고 때때로 선출되었다.[31]

기간이름비고
1991년-1996년알렉산드르 세묘노비치 벨랴코프행정 책임자, 임명
1996년-1998년바딤 아나톨리예비치 구스토프주지사, 선출
1998년-2012년발레리 파블로비치 세르듸코프주지사, 선출 후 임명
2012년~알렉산드르 유리예비치 드로즈덴코임명[32]


3. 1. 고대와 중세

오늘날 레닌그라드주 지역은 바이흐셀 빙하기가 끝난 직후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수많은 고고학적 유적이 남아 있다.[10][11][12] 볼가 무역로와 바랑인에서 그리스로 가는 무역로가 이 지역을 통과했다. 전설적인 류리크의 첫 번째 수도인 스타라야 라도가는 8세기~9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주의 동쪽 볼호프 강에 위치해 있다.

스타라야 라도가의 요새


12세기~15세기에는 이 지역이 스웨덴 왕국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분할되었고(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참조), 주로 발트 핀란드계 민족인 카렐인(북서부), 이조르인과 보트인(서부), 베프스인(동부)과 노브고로드의 일멘 슬라브인(남부)이 거주했다. 15세기~17세기의 러시아-스웨덴 전쟁 동안 국경은 이 지역을 오가며 움직였다.

이반고로드 요새


1617년 스톨보보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의 중앙부는 역사적인 잉그리아(또는 이조라 땅) 지역으로 스웨덴에 점령되었고, 이후 핀란드 카렐리야(현재 레닌그라드주의 북서부인 카렐리야 지협 포함)와 사보니아에서 상당한 핀란드 루터교 인구 유입이 발생했다. 루터교 목사와 스웨덴 당국의 종교적 압력을 받은 러시아계와 핀란드계 정교회 인구는 대거 잉그리아에서 인접한 러시아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잉그리아 핀란드인이 곧 주요 민족 집단이 되었다.[13]

대북방 전쟁(1700~1721) 동안 현재 레닌그라드주 지역은 표트르 대제의 지휘 아래 러시아에 의해 스웨덴으로부터 정복되었고, 표트르 대제는 1703년 이 지역 한가운데에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는데, 이 도시는 곧 러시아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1708년 이 지역 대부분은 총독 알렉산드르 멘시코프 아래 잉게르만란드 주로 편성되었다. 이 지역은 17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로 개명되었지만(그러나 그 주의 경계는 현재 주의 경계와는 매우 달랐고, 현재 노브고로드, 프스코프, 블라디미르 주 지역의 많은 부분을 포함했다), 1721년 스웨덴의 영토 양보는 니스타트 조약에 의해 확인되었다.

3. 2. 근세

1927년 현(県)이 폐지되고 주(州)가 설치되어 레닌그라드주(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가 되었다.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서부주, 칼리닌주(칼리닌그라드주와는 다름), 볼로그다주, 무르만스크주가 신설되어 레닌그라드주에서 분리되거나 레닌그라드주를 포함한 여러 주에서 분리되었다. 1931년에는 레닌그라드 시(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소련 시대 명칭)가 분리되었다.

1940년, 겨울 전쟁의 모스크바 강화 조약에 의해 핀란드로부터 할양된 영토 중 카렐리야 지협이 레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핀우고르계 주민들은 핀란드로 난민이 되었고, 러시아인들이 이주했다.

1941년에 시작된 독소전쟁에서는 일부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여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벌어졌다. 같은 해에 핀란드와의 계속 전쟁도 시작되어, 구 핀란드령 지역이 점령되었으나 모두 회복되었다.

전후에도 작은 확장과 축소가 있었고, 현재의 영역이 된 것은 1978년이다.

1991년에 레닌그라드는 이름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되찾았지만, 레닌그라드주라는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전자 비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레닌그라드주 방문이 가능해졌다.[43][44]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의 비자 정책 참조)

2021년 4월, 가치나가 주 정부의 소재지로 주 헌장에 명기되었다. 2022년 4월 3일, 주 헌장이 개정되어 가치나가 공식적으로 주도로 정해졌다.[36]

1991년 이후 레닌그라드주 주지사는 때때로 임명되고 때때로 선출되었다.[31]

기간이름비고
1991년-1996년알렉산드르 세묘노비치 벨랴코프행정 책임자, 임명
1996년-1998년바딤 아나톨리예비치 구스토프주지사, 선출
1998년-2012년발레리 파블로비치 세르듸코프주지사, 선출 후 임명
2012년~알렉산드르 유리예비치 드로즈덴코임명[32]


3. 3. 근대

1927년에 현(県)이 폐지되고 주(州)가 설치되어 레닌그라드주(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가 되었다.

1929년부터 1939년에 걸쳐 서부주(Западная область), 칼리닌주(Калининская область)(칼리닌그라드주와는 다름), 볼로그다주, 무르만스크주가 신설되었고, 레닌그라드주에서, 또는 레닌그라드주를 포함한 여러 주에서 분리되었다. 1931년에는 레닌그라드 시(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소련 시대 명칭)가 분리되었다.

1940년, 겨울 전쟁의 모스크바 강화 조약에 의해 핀란드로부터 할양된 영토 중 카렐리야 지협이 레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종래의 핀우고르계 주민들은 핀란드로 난민이 되었고, 러시아인들이 이주했다.

1941년에 시작된 독소전쟁에서는 일부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여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벌어졌다. 같은 해에 핀란드와의 계속 전쟁도 시작되어, 구 핀란드령 지역이 점령되었으나 모두 회복되었다.

전후에도 작은 확장과 축소가 있었고, 현재의 영역이 된 것은 1978년이다.

1991년에 레닌그라드는 이름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되찾았지만, 레닌그라드주라는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전자 비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레닌그라드주 방문이 가능해졌다.[43][44]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의 비자 정책 참조)

2021년 4월, 가치나가 주 정부의 소재지로 주 헌장에 명기되었다. 2022년 4월 3일, 주 헌장이 개정되어 가치나가 공식적으로 주도로 정해졌다.[36]

3. 4. 현대

1927년 현(県)이 폐지되고 주(州)가 설치되어 레닌그라드주(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가 되었다.

1929년부터 1939년에 걸쳐 서부주(Западная область), 칼리닌주(Калининская область)(칼리닌그라드주와는 다름), 볼로그다주, 무르만스크주가 신설되었고, 레닌그라드주에서, 또는 레닌그라드주를 포함한 여러 주에서 분리되었다. 또한 1931년에는 레닌그라드 시(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소련 시대 명칭)가 분리되었다.

1940년, 겨울 전쟁의 모스크바 강화 조약에 의해 핀란드로부터 할양된 영토 중 카렐리야 지협이 레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종래의 핀우고르계 주민들은 핀란드로 난민이 되었고, 러시아인들이 이주했다.

1941년에 시작된 독소전쟁에서는 일부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여 레닌그라드 포위전이 벌어졌다. 같은 해에 핀란드와의 계속 전쟁도 시작되어, 구 핀란드령 지역이 점령되었다. 그러나 모두 회복되었다.

전후에도 작은 확장과 축소가 있었고, 현재의 영역이 된 것은 1978년이다.

1991년에 레닌그라드는 이름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되찾았지만, 레닌그라드주라는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전자 비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레닌그라드주 방문이 가능해졌다.[43][44]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의 비자 정책 참조)

2021년 4월, 가치나가 주 정부의 소재지로 주 헌장에 명기되었다. 2022년 4월 3일, 주 헌장이 개정되어 가치나가 공식적으로 주도로 정해졌다.[36]

4. 행정 구역

행정 구역상 레닌그라드주는 17개의 과 1개의 주 직할 도시(소스노비보르)로 나뉜다. 면적 측면에서 가장 큰 행정 구역은 포드포로시스키군(7706km2)이고, 가장 작은 행정 구역은 로모노소프스키군(1919km2)이다.[15]

로모노소프스키군은 행정 중심지(로모노소프)가 다른 러시아 연방의 주체에 위치한 러시아 유일의 군이다. 이 군은 레닌그라드주에 속하지만, 로모노소프는 러시아 연방의 직할 도시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다.

5. 인구

레닌그라드주의 인구는 2021년 인구조사[38] 기준 2,000,997명이며, 인구 밀도는 23.85km2이다. 1927년 레닌그라드주 설립 당시에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지역을 포함하여 인구가 더 많았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경을 거치면서 현재의 인구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레닌그라드주에는 러시아인이 91%로 가장 많고, 우크라이나인(2.6%), 벨라루스인(1.8%), 핀란드인, 베프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26] 역사적으로 1920년대 말부터 소련 당국은 핀족 및 기타 민족들을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겨 강제 이주시켰고,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로 대체했다.[16][17]

1959년부터 2021년까지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9591,244,991
19701,435,729
19791,519,165
19891,661,173
20021,669,205
20101,716,868
20212,000,997


5. 1. 민족 구성

레닌그라드주 출생 시 기대 수명


2021년 조사[26]에 따르면 레닌그라드 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1,642,897명93.7%
우크라이나인12,905명0.5%
우즈베크인7,797명0.4%
벨라루스인7,527명0.4%
타타르인6,805명0.4%
아르메니아인6,182명0.4%
타지크인4,896명0.3%
아제르바이잔인3,814명0.2%
키르기스인2,004명0.1%
기타58,019명3.6%
민족 미표기248,151명



2022년 주요 통계[22][23]는 다음과 같다.


  • 출생아 수: 12,082명 (인구 1,000명당 6.3명)
  • 사망자 수: 25,976명 (인구 1,000명당 13.6명)


2022년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0.87명이다.[24]

2021년 기대수명은 총 70.17세 (남성 65.43세, 여성 74.94세)이다.[25]

5. 2. 종교

2012년 조사[27]에 따르면, 레닌그라드주 인구의 55.1%는 러시아 정교회를 신봉하고, 4%는 특정 교파에 속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독교인이며, 1%는 무슬림이고, 1%는 슬라브 토착 신앙(로도베리)을 따르며, 1%는 구교도이다. 또한 인구의 20%는 "종교적이지만 종교에 속하지 않음"이라고 밝혔고, 8%는 무신론자이며, 9.9%는 다른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27]

2012년 레닌그라드주 종교 분포 (Sreda Arena Atlas)[27][28]
종교비율
러시아 정교회55.1%
기타 동방 정교회0.6%
구교도0.6%
기타 러시아의 기독교4.1%
러시아의 이슬람0.7%
로도베리 및 기타 토착 신앙0.6%
종교적이지만 종교에 속하지 않음20.2%
무신론 및 비종교8.5%
기타 및 미표기9.6%


6. 정치

레닌그라드주의 정치는 1994년 10월 27일에 채택된 헌장을 기반으로 한다.[29] 주 최고 책임자는 5년 임기의 주지사이며, 2012년 5월 28일부터 알렉산드르 드로즈덴코가 주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레닌그라드 주 정부는 주지사(정부 의장), 부주지사 및 위원회 의장을 포함하는 최고 행정 기관이며, 부문별, 지역별 및 기타 행정 기관과 함께 행정부를 구성한다. 입법권은 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레닌그라드주 입법회의에서 행사하며, 의원들은 혼합 비례 대표제로 선출된다. 임기는 5년이다. 2016년 구성된 제6대 입법회의는 통합 러시아당 40명, 정의로운 러시아당 3명, 러시아 공산당 3명, 러시아 자유민주당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장은 세르게이 베베닌이다.

6. 1. 행정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프롤레타리아 독재 광장에 있는 레닌그라드주 정부 및 입법회의 건물


레닌그라드주의 국가 권력은 1994년 10월 27일에 채택된 헌장을 기반으로 행사된다.[29]

레닌그라드주 최고 책임자는 5년 임기로 선출되는 주지사이다. 2012년 5월 28일부터 알렉산드르 드로즈덴코가 주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레닌그라드주의 행정부는 다음 기관을 포함한다.

  • 레닌그라드주 정부: 주지사(정부 의장), 부주지사 및 위원회 의장을 포함하는 최고 행정 국가 권력 기관이다.
  • 부문별, 지역별 및 기타 행정 기관


레닌그라드주의 입법권은 혼합 비례 대표제에 따라 지역 주민에 의해 선출된 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레닌그라드주 입법회의가 행사한다. 임기는 5년이다. 2016년에는 여섯 번째 소집 입법회의가 구성되었으며, 통합 러시아당 40명, 정의로운 러시아당 3명, 러시아 공산당 3명, 러시아 자유민주당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법회의 의장은 세르게이 베베닌이다.

6. 2. 입법부

레닌그라드주의 입법권은 혼합 비례 대표제에 따라 지역 주민에 의해 선출된 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레닌그라드주 입법회의가 행사한다.[29] 임기는 5년이다. 2016년에는 여섯 번째 소집 입법회의가 구성되었으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당의석 수
통합 러시아당40
정의로운 러시아당3
러시아 공산당3
러시아 자유민주당4



입법회의 의장은 세르게이 베베닌이다.

7. 경제

레닌그라드주의 주요 산업은 기계 제조, 목재 가공, 화학 공업 등이다.[19]

7. 1. 산업

레닌그라드주, 특히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 지역은 공업이 발달해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키리시의 키네프(Kinef) 정유공장, 브세볼로츠크의 포드 자동차 조립 공장, 현대자동차 러시아 조립 공장, 렉샘 PLC 음료 캔 유럽 및 아시아 포장 공장, 씨스트로이의 제지 공장, 비보르크의 제지 공장과 해양 플랫폼 생산 공장, 티흐빈의 티흐빈 산업 단지 등이 있다.[19]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변에는 많은 과학 및 첨단 기술 기관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레닌그라드주에 위치해 있다. 예를 들어, 가치나에는 Петербургский институт ядерной физики имени Б. П. Константинова|페테르부르크 B. P. 콘스탄티노프 기념 핵물리학 연구소ru가 있고,[35] 소스노비보르에는 광전자 장치 연구소가 있다.

주의 주요 산업은 기계 제조, 목재 가공, 화학 공업 등이다.

7. 2. 농업

레닌그라드주의 주요 농업 생산물은 육류 및 유제품 생산을 위한 소 사육과 가금류 사육이다. 주요 농지는 레닌그라드주의 동부와 남서부에 위치한다.

7. 3. 교통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주요 철도 중심지이며,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향하는 모든 철도는 레닌그라드주를 통과한다. 이 철도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 철도), 헬싱키(비보르크 경유), 무르만스크(페트로자보츠크 경유), 소르타발라(프리오제르스크 경유), 탈린(킹기세프 경유), 리가(프스코프 경유), 비텝스크(드노 경유) 및 벨리키노브고로드와 연결한다. 특히 비보르크프리오제르스크를 연결하는 카렐리야 지협에 철도망이 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에도 철도망이 있다. 또한 베이마른을 슬란츠와 연결하는 철도 노선, 베이마른을 페테르고프(소스노비보르 경유)와 연결하는 노선, 엠가를 손코보(키리시 경유)와 연결하는 노선, 볼호프블라디미르(티흐빈체레포베츠 경유)와 연결하는 노선, 볼호프를 추도보와 연결하는 노선, 로데이노예폴레올로네츠 경유 소르타발라와 연결하는 노선이 있다. 이들 대부분은 많은 여객 및 화물 운송량을 처리한다.

DT1 전동차 디젤 열차 (Veymarn)


포장도로는 레닌그라드주의 서부와 중부를 잘 연결한다. M10 고속도로는 남쪽의 벨리키 노브고로드를 경유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를 연결하고, 북쪽으로는 핀란드 국경을 넘어 헬싱키까지 이어진다. 이 도로는 유럽 고속도로 E18(상트페테르부르크-핀란드)과 E105(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로 나뉘며, 주 내 대부분 구간이 2차선 도로로 건설되어 있다. R21 고속도로(E105의 일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페트로자보츠크를 경유하여 무르만스크까지 이어지며, A180(E20의 일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이반고로드를 연결하여 에스토니아 국경을 넘어 탈린까지 이어진다. R23은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프스코프를 연결하며, E95의 일부이다. A114는 체레포베츠를 경유하여 블라디미르까지 이어진다.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 사이의 유료 고속도로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소르타발라까지 이어지는 새로운 A121(라도가 호 서해안 주변)[33]이 건설 중이다. 도로는 버스 교통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루가 강, 스비르 강, 볼호프 강 및 네바 강은 모두 항해 가능하며 화물 운송에 많이 이용되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계절적인 레저 강 유람선을 제외하고는 주 내에 정기적인 여객 항해는 없다. 블라디미르주와 공유하는 오네가 운하는 남쪽에서 오네가 호를 우회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라도가 운하는 스비르에서 네바까지 동쪽에서 라도가 호를 우회한다. 이는 볼가-발틱 수로의 일부이다. 반면, 라도가 호에서 볼가 강 유역으로의 접근을 제공했던 시야스 강과 몰로가 강을 연결하는 티흐빈스카야 수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국경을 넘는 사이마 운하는 핀란드의 사이마 호를 핀란드 만과 연결하며,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때때로 여객 항해에 사용된다.

우스트루가, 비보르크, 비소츠크프리모르스크는 핀란드 만의 주요 해상 터미널이다.

레닌그라드주에는 현재 일반항공만 이용하는 여러 비행장이 있다. 정기편 및 국제선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풀코보 공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34]

7. 4. 에너지

상스비르 수력발전소의 수문


레닌그라드 원자력 발전소는 소스노비 보르시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에는 4개의 주요 수력 발전소가 있다. 볼호프 강에 있는 볼호프 수력발전소는 1921년에 건설되어 소비에트 연방 최초의 주요 수력 발전소가 되었다. 다른 발전소로는 스비르 강에 있는 상스비르 수력발전소와 하스비르 수력발전소, 그리고 나르바 강에 있는 나르바 수력발전소가 있다.

8. 문화

레닌그라드 주는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선사 시대부터 볼호프 강과 네바 강은 주요 무역로였으며, 강가에는 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스타라야 라도가에는 1700년 이전 유적지가 많으며, 러시아에 몇 안 되는 몽골 이전 시대 교회 두 곳도 포함되어 있다. 14세기에 건립된 오레셰크 요새(Oreshek Fortress)와 코포리예 요새(Koporye Fortress), 1492년에 건립된 이반고로드 요새(Ivangorod Fortress)는 러시아 요새 건축의 훌륭한 예시이다.

포드포로즈스키 구(Podporozhsky District)에는 뛰어난 목조 교회 건축물이 있으며, 일부는 '포드포로즈예 링(Podporozhye Ring)'으로 불린다. 비보르그(Vyborg) 중심부에는 중세 스웨덴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후 주변에 건설된 영지와 저택 일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 지구 및 관련 기념물군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카렐리야 지협 지역에는 알바르 알토(Alvar Aalto)가 설계한 비푸리 시립 도서관 등 훌륭한 전간기 핀란드 건축물이 남아 있다.

8. 1. 세계유산

비보르그의 역사 지구


기므레카 건축물


선사 시대부터 볼호프 강과 네바 강은 주요 무역로의 일부였으며, 강둑에는 고고학 유적지가 산재해 있다. 스타라야 라도가에는 1700년 이전의 유적지가 많이 있으며, 러시아에 몇십 개 남짓 남아 있는 몽골 이전 시대 교회 중 두 곳도 포함되어 있다. 두 교회는 모두 1160년대에 건립되었다. 14세기에 건립된 슐리셀부르크의 오레셰크 요새(Oreshek Fortress)과 코포리예 요새(Koporye Fortress), 그리고 원래 1492년에 건립된 이반고로드 요새(Ivangorod Fortress)는 러시아 요새 건축 예술의 훌륭한 사례이다. 포드포로즈스키 구(Podporozhsky District)에는 레닌그라드주에서 가장 뛰어난 목조 교회 건축물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포드포로즈예 링(Podporozhye Ring)'으로 통칭된다. 여기에는 바지니(Vazhiny) 정착지의 부활 교회, 소기니츠이(Soginitsy) 마을의 성 니콜라스 교회, 자오제리예 마을의 성 베드로와 바울 예배당, 포사드 마을의 성 아타나시우스 예배당이 있다. 또 다른 두 개의 주목할 만한 목조 교회는 오네가 호숫가 근처 기므레카(Gimreka)와 셰체레이키(Shcheleyki) 마을에 있다. 비보르그(Vyborg) 중심부는 러시아에서는 독특한 중세 스웨덴 건축의 많은 사례를 보존하고 있다.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건설된 후, 도시 주변에는 많은 영지와 저택이 건설되었다. 그 중 일부는 아직 남아 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 지구 및 관련 기념물군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고스틸리츠이(Gostilitsy), 롭샤(Ropsha), 타이츠이(Taytsy)의 영지 등이 포함된다.

카렐리야 지협 지역에는 훌륭한 전간기 핀란드 건축물이 남아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예는 알바르 알토(Alvar Aalto)가 설계한 비푸리 시립 도서관이다.

8. 2. 자매결연 지역

참조

[1] 법률 Law #90
[2]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3]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http://petrostat.gks[...] 2020-03-00
[4] 법률 Charter of Leningrad Oblast, Article 18
[5] 웹사이트 Alexander Yuryevich Drozdenko http://www.lenobl.ru[...] 2017-09-10
[6] 법률 Charter of Leningrad Oblast, Article 25
[7] 인구조사 2010 Census
[8] 인구조사 2002 Census
[9] 뉴스 Gatchina officially became the capital of the Leningrad region https://ria.ru/20210[...] 2021-03-27
[10] 서적 Археологическая карта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Часть 1: Западные районы
[11] 서적 Археологическая карта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Часть 2: Восточные и северные районы Изд. СПбГУ
[12] 서적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Лениздат
[1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Volume 2, Imperial Russia, 1689-191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문서 Administrative-Territorial Division of Murmansk Oblast
[15] 문서 Administrative-Territorial Division of Leningrad Oblast
[16] 논문 The Dispersal of the Ingrian Finns
[17] 논문 The Origins of Soviet Ethnic Cleansing https://dash.harvar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웹사이트 Ле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 в целом: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lenobltrans.n[...] 2009-06-08
[19] 뉴스 Что и почему переименовывали в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og47.ru/2018[...] 2018-03-20
[20] 뉴스 Newsline - June 14, 1996 Yeltsin Signs More Power-Sharing Agreements https://www.rferl.or[...] 2019-05-02
[21] 논문 The Rise and Fall of Power-Sharing Treaties Between Center and Regions in Post-Soviet Russia http://demokratizats[...]
[22]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3]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4]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25]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Rosstat) 2022-06-01
[26]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27]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8] 이미지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29] 웹사이트 Устав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lenobl.ru/gov[...] 2011-03-11
[30]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898 - 1991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4-08-15
[31] 웹사이트 Губернаторы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www.protown.r[...] ProTown.ru 2014-08-18
[32] 뉴스 Medvedev Appoints Buryatia, Leningrad Region Governors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14-08-18
[33] 웹사이트 Трасса А121 "Сортавала" (бывш. А129) на карте https://www.rudorogi[...] 2018-03-20
[34] 뉴스 Соколов: аэропорт Сиверский в Ленобласти может работать как порт малой авиации http://tass.ru/ekono[...] 2018-03-20
[35] 웹사이트 Petersburg Nuclear Physics Institute. National Research Centre "Kurchatov Institute" http://www.pnpi.nw.r[...] 2015-11-06
[36] 웹사이트 Гатчина теперь официально ― столица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lenobl.ru/ru[...] 레닌그라드주 정부 2023-05-09
[37] 웹사이트 Распределение земель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категориям в разрезе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1 января 2017 года, тыс. га) https://rosreestr.go[...] 러시아 연방 국가 통계청 2023-05-09
[38] 웹사이트 LENINGRAD OBLAST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3-05-09
[39] 웹사이트 Гатчина официально стала столицей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ria.ru/20210[...] RIA노보스티 2023-05-09
[40] 웹사이트 Гатчина обрела статус https://www.kommersa[...] 코메르산트 2023-05-09
[41] 웹사이트 Гатчина стала столицей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www.vedomost[...] 베도모스티 2023-05-09
[42] 웹사이트 Гатчина официально стала столицей Ленобласти https://vesty.spb.ru[...] 베스티 2023-05-09
[43]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8 июля 2019 г. N 347 "О порядке въезда в Российскую Федерацию и выезда из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ностранных граждан через пункты пропуска через государственную границу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расположенные на территориях г.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и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rg.ru/2019/0[...]
[44] 뉴스 From October 1, enter Russia on free e-visa for up to 8 days from St Petersburg https://timesofindia[...] Times of India
[45] 법률 Law #90
[46]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47]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http://petrostat.gks[...] Saint Petersburg and Leningrad Oblast Territorial Branch of the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48] 문서 Administrative-Territorial Division of Murmansk Oblast
[49] 법률 Charter of Leningrad Oblast, Article 18
[50] 웹사이트 Alexander Yuryevich Drozdenko http://www.lenobl.ru[...] Official website of Leningrad Oblast
[51] 법률 Charter of Leningrad Oblast, Article 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