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팀팔로스의 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팀팔로스의 새는 청동 부리와 금속 깃털을 가진 식인 조류로, 깃털을 발사하거나 독이 든 배설물을 사용한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며, 아르카디아 지방의 스팀팔로스 호수에 서식하며, 전쟁의 신 아레스에게 길러졌거나,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애완동물이었다고 전해진다.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 중 여섯 번째 과업에서 헤라클레스는 아테나의 도움을 받아 이 새들을 물리쳤다. 아르고 원정대 또한 이 새들과 마주쳤으며, 고대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라클레스의 12과업 - 히폴리테
    그리스 신화 속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는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테세우스와의 관계로 알려져 있으며, 황금 허리띠, 납치 또는 아테네 공격 등의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채롭게 묘사된다.
  • 헤라클레스의 12과업 - 케르베로스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개로 저승의 입구를 지키며, 머리 개수와 모습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헤라클레스의 과업 중 하나로 유명하다.
  • 그리스 신화의 괴물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그리스 신화의 괴물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 전설의 새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전설의 새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스팀팔로스의 새
개요
종류
지역그리스
서식지스팀팔리아 호수
헤라클레스와 스팀팔로스 새들. 스페인 리리아의 로마 모자이크의 세부 묘사.
헤라클레스와 스팀팔로스 새들. 스페인, 리리아의 로마 모자이크 세부 묘사.
명칭
그리스어Στυμφαλίδες ὄρνιθες (스팀팔리데스 오르니테스)
그리스어 (짧게)Ὄρνιθες Στυμφαλίδες (오르니테스 스팀팔리데스)
라틴어Ornithes Stymphālides (오르니테스 스팀팔리데스)
영어 (짧게)Stymphalian Birds (스팀팔리안 버즈)
그리스어Στυμφαλιδες (스팀팔리데스)
라틴어Stymphālides (스팀팔리데스)
발음 (IPA)/stɪmˈfeɪliən/ (스팀ˈ페일리ən)

2. 특징

스팀팔로스의 새는 청동 부리와 날카로운 금속 깃털을 가진 식인 조류이다. 이 새의 깃털은 희생자에게 발사할 수 있으며, 배설물에는 독이 들어 있었다.[3]

파우사니아스는 스팀팔로스의 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이들은 자신들을 사냥하러 오는 사람들에게 대항하여 날아와 부리로 상처를 입히고 죽인다. 사람들이 입는 청동이나 철로 된 모든 갑옷은 이 새들에 의해 뚫린다; 그러나 두꺼운 코르크로 옷을 짜면, 스팀팔로스의 새의 부리는 마치 작은 새의 날개가 새 잡는 풀에 붙는 것처럼 코르크 옷에 걸린다. 이 새들은 두루미 크기만 하며, 따오기와 비슷하지만, 부리가 더 강력하고 따오기의 부리처럼 굽어 있지 않다.[3]

스팀팔로스의 새는 매우 많아 늑대의 해를 피하기 위해 아르카디아 지방의 스팀팔로스 호반의 깊은 에 집단으로 서식했다.[19] 이 새들은 한때 군신 아레스에게 길러졌으며, 발톱, 날개, 부리가 청동으로 만들어졌다고도 한다.[20] 날개의 깃털은 날카로워 날개를 휘저어 깃털을 날려 공격할 수 있었다.[21][22] 인간을 습격하여 잡아먹거나,[23] 주변 지역의 곡물을 훼손했다.[24]

파우사니아스는 아라비아의 사막에도 스팀팔로스 새라고 불리는 새가 서식한다고 증언했다.[23] 이 새는 두루미 정도 크기이며, 형태는 따오기를 닮았지만, 부리는 따오기보다 훨씬 강하고 따오기만큼 굽어 있지 않았다. 또한 사람에게 친숙해지지 않고, 사람을 보면 달려들어 부리로 공격하여 갑옷에 구멍을 낼 수 있었다고 한다.[33]

3. 신화

스팀팔로스의 새는 전쟁의 신 아레스에게 길러졌거나,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애완동물이었다.[4] 이 새들은 회색늑대 떼를 피해 아르카디아의 늪으로 이주하여 빠르게 번식했으며, 시골을 휩쓸며 농작물, 과일 나무, 마을 사람들을 파괴했다.

스팀팔로스의 새는 아르카디아 지방 스팀팔로스 호반의 깊은 에 집단으로 서식했는데,[19] 발톱, 날개, 부리가 청동으로 만들어졌다고도 한다.[20] 날개의 깃털은 날카로워 깃털을 날려 공격할 수 있었으며,[21][22] 인간을 습격하여 잡아먹거나,[23] 주변 지역의 곡물을 훼손했다.[24]

3. 1. 헤라클레스의 12업

헤라클레스에우리스테우스에게서 여섯 번째 과업으로 스팀팔로스의 새를 퇴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5][6] 늪은 헤라클레스의 무게를 견딜 수 없어 늪에 들어갈 수 없었다. 이때 아테나가 나타나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청동 징(크로탈라, 캐스터네츠의 일종)을 헤라클레스에게 주었다.[7] 헤라클레스는 늪이 내려다보이는 산에서 징을 울려 새들을 놀라게 했다.[7]

놀라 하늘로 날아오른 새들에게 헤라클레스는 히드라의 독화살을 쏘아 많은 새를 죽였다.[7] 헤라클레스는 성공을 증명하기 위해 죽은 새 몇 마리를 에우리스테우스에게 가져갔다.[8][9][10] 일부 전승에서는 아테나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이 과업이 인정되지 않았다고도 한다.

살아남은 새들은 흑해의 아레티아 섬으로 도망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들었다. 아르고 원정대는 나중에 이 섬에서 새들과 마주치게 된다.

스팀팔로스의 새 퇴치는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 중 하나였다. 아폴로도로스는 이를 여섯 번째 과업으로 기록했지만,[19]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와 히기누스는 다섯 번째 과업으로 보았다.[22][24]

3. 2. 아르고호 원정

아르고나우타이들이 흑해아레스 섬에 상륙하기 위해 접근하자, 스팀팔로스의 새들이 상공에서 날개를 펄럭이며 배를 향해 날카로운 깃털을 쏘았다.[2] 이 공격으로 오일레우스(작은 아이아스의 아버지)가 부상을 입었다.[2] 헤라클레스와 스팀팔로스의 새와 싸웠던 경험이 있는 암피다마스(테게아 왕 알레오스의 아들)는 아르고나우타이 전사들에게 높은 깃털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절반은 노를 젓고, 나머지 절반은 창과 방패로 배를 지키며, 큰 소리를 질러 새들을 겁먹게 하여 섬에 상륙할 것을 제안했다.[2] 상륙 후에는 방패를 격렬하게 두드리며, 큰 소리를 내어 새를 쫓아냈다.[2]

3. 3. 다른 판본

역사가 므나세아스에 따르면, 스팀팔로스의 새는 새가 아니라 스팀팔로스 왕과 오르니스의 딸들이었으며, 모리오네에게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당했다고 한다.[30][31]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스팀팔로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에는 괴조의 상이 있었다. 또한 같은 신전에는 백색 대리석으로 제작된 처녀들의 조각군이 있었는데, 그 다리는 새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32]

4. 고전 문학 자료

스팀팔로스의 새에 대한 주요 고전 문학 자료는 다음과 같다.

작가작품명시기비고
소포클레스필록테테스 1092행 이하와 해설기원전 5세기잽은 브룬크가 "πτωκάδες"를 "πλωάδες"로 읽으며, 이는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가 아르고나우티카 2. 1054에서 스팀팔로스의 새에게 부여한 수식어라고 설명한다.[13][14]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아르고나우티카 2. 1054행 이하기원전 3세기그리스 서사시
므나세아스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에 대한 해설 2.1054기원전 3세기그리스 역사
디오도루스 시쿨루스역사 도서관 3. 30. 4, 4. 13. 2기원전 1세기그리스 역사
루크레티우스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5. 서시 1기원전 1세기로마 철학
오비디우스변신 이야기 9. 187행 이하기원전 1세기~서기 1세기로마 서사시
스트라보지리학 8. 6. 8기원전 1세기~서기 1세기그리스 지리학
테살로니카의 필리푸스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그리스 고전 ed. 밀러 Vol 3 1909 p. 397)서기 1세기그리스 경구시
세네카광란의 헤라클레스 243행 이하, 메데이아 771행 이하, 페니키아 여인들 420행 이하, 헤라클레스 오이타이오스 17–30, 1237행 이하, 1813행 이하서기 1세기로마 비극
스타티우스테바이스 4. 100행 이하, 4. 292행 이하서기 1세기로마 서사시
플루타르코스도덕론, 알렉산드로스의 운, 341. 11행 이하서기 1세기~2세기그리스 철학
가짜 아폴로도로스비블리오테케 2. 5. 6서기 2세기그리스 신화
파우사니아스그리스의 묘사 5. 10. 9, 8. 22. 4–5서기 2세기그리스 기행문
가짜 히기누스우화집 20, 30서기 2세기로마 신화
퀸투스 스미르나이오스트로이의 몰락 6. 227행 이하서기 4세기그리스 서사시
세르비우스베르길리우스 카르미나에 대한 해설 8. 299서기 4세기~5세기그리스 주석
논노스디오니시아카 25. 242행 이하, 29. 237행 이하서기 5세기그리스 서사시
보에티우스철학의 위안 4. 7. 13행 이하서기 6세기로마 철학
체체스킬리아데스 또는 역사서 2. 291행 이하, 2. 496행 이하서기 12세기그리스-비잔틴 역사


5. 대중문화 속 스팀팔로스의 새


  • ''던전'' 잡지의 모험 "알로에이드의 상자"에 새로운 몬스터로 스팀팔로스의 새가 등장한다.[15]
  • 2003년 실시간 전략 게임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더 타이탄즈''에서 스팀팔로스의 새는 아틀란티스 문화의 비행 유닛으로 등장한다.[16]
  • 릭 라이어던의 ''캠프 하프블러드 연대기'' 시리즈에서 스팀팔로스의 새는 여러 번 등장하는데, 특히 ''괴물의 바다''에서는 붐박스딘 마틴의 "볼라레"를 연주하는 소리에 정신이 팔린 틈을 타 궁수들에게 격퇴된다.
  • 컴퓨터 게임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의 Steyr AUG 스킨 중 하나에 스팀팔로스의 새가 묘사되어 있다.
  • 포켓몬 스카이는 스팀팔로스의 새를 부분적으로 모티브로 하고 있다.
  • 매튜 라일리의 2016년 소설 "네 개의 전설 왕국"에서 스팀팔로스의 새가 언급되었으며, 이 시리즈의 후속 소설에 묘사된 청동 및 은색 휴머노이드 형상의 영감으로 여겨진다.
  • 애거사 크리스티의 단편집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에서 에르퀼 푸아로는 자신의 이름과 같은 이야기를 따라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스팀팔로스의 새에 비유되는 몇몇 협박범을 상대한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8.6.8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8.22.4 https://www.perseus.[...]
[3] 웹사이트 8.22.5 https://www.perseus.[...]
[4] 서적 ad Aeneid
[5] 서적 Chiliades https://topostext.or[...]
[6]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7] Scholia Argonautica
[8] 서적 Bibliotheca
[9] 웹사이트 http://www.theoi.com[...]
[10] 서적 Argonautica
[11] Scholia Argonautica
[12]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3] 서적 Sophocles the Plays and Fragments The University Press
[14] 서적 Sophoclis Dramata
[15] 간행물 The Chest of the Aloeids TSR 1990-01/02
[16] 웹사이트 Age of Mythology Heaven: Atlantean Myth Units http://aom.heavengam[...] aom.heavengames.com
[17] 웹사이트 Theoi Project https://www.theoi.co[...]
[18] 웹사이트 セネカ『オエタ山上のヘルクレス』1650行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22-09-04
[19] 문서
[20]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