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영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영운수는 2003년 12월 14일 설립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세원교통의 일부 노선을 인수하여 설립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본사 이전을 거쳐 현재는 가좌동에 위치해 있다. 2009년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함께 노선 변경 및 신설이 이루어졌고, 2016년 인천시내버스 개편, 2022년 사모펀드에 피인수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현재 15번, 28-1번, 29번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506번, 740번, 29번, 721번, 722번, 28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다. 차량으로는 스마트 110, 화이버드, E-화이버드, 일렉시티 등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1923년 개인 택시에서 시작하여 1949년 최초 노선이 개통되었고,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 수도권 통합요금제 편입, 준공영제 시행 등 변화를 거쳐 현재 간선, 지선, 광역, 좌석, 급행 버스로 운행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신강교통
신강교통은 2012년 7월 설립된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로,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 M6457번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에는 79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 200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일원교통
일원교통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을 기점으로 강남01번과 강남03번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회사이다. - 200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JR 시코쿠 버스
JR 시코쿠 버스는 1987년 JR 시코쿠의 버스 사업부로 시작하여 2004년 분사한 고속버스 회사로, 시코쿠와 주요 도시를 잇는 고속버스와 일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 중이나, 2010년대 이후 노선 축소 및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시영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시영운수 주식회사 |
원어 | Siyeong Transport Corp.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인천광역시 서구 보도진로18번길 24-1 (가좌동) |
시장 정보 | 비상장 |
창립 | 2003년 12월 4일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경영진 | |
대표이사 | 안생준, 안광헌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250,000,000원 |
매출액 | 17,756,485,770원 |
영업이익 | -563,591,055원 |
순이익 | -121,639,123원 |
자산총액 | 15,796,141,626원 |
주주 구성 | |
주주 | 안생준: 41.00% |
직원 | |
종업원 수 | 202명 |
기타 |
2. 주요 연혁
- 2010년 2월 12일: 삼환교통의 62-1번 시내버스 노선을 인수하여 노선번호를 29번으로 변경하였다.[1]
- 2011년 12월 10일: 722번 시내버스를 721번 시내버스와 통합하여 통합 721번(가좌차고지-부평역-남동중학교) 노선을 재개통하였다.[1]
- 2012년 3월 31일: 서구 가좌동 173-184에 가좌지점을 설치하였다가,[1] 2012년 6월 11일 폐지하였다.[1]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파행 운행으로 면허 취소)[1]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전면 개편으로 28번과 28-1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29번 시내버스 노선은 폐선되었다.[1]
- 2016년 9월 21일: 오케이버스로부터 부일운수(현 세운교통)을 인수받아 계열사로 편입하였다.[1]
- 2017년 7월 22일: 시내버스 노선 재개편으로 15번 노선은 수현마을에서 서창버스차고지로, 721번 노선은 남동중학교에서 서창3차 현대아파트로 각각 연장되었다.[1]
- 2018년 6월 17일: 전국 최초로 에디슨모터스의 고상형 버스 모델인 스마트 11을 출고하여 운행하였다.[1]
- 2018년 10월 27일: 721번 시내버스 노선이 서창 현대3차아파트에서 남동중학교로 변경되었고, 반환점인 경신마을 - 남동초등학교 정류장이 추가되었다.[1]
- 2019년 4월 12일: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최초로 친환경 전기버스 1호로 선정되어, 721번 버스 노선에 10대의 전기저상버스가 운행되었다.[1]
- 2020년 10월 27일: 28번, 28-1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다.[1]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28번, 28-1번 시내버스 노선이 부분 변경 운행되었고, 인천e음 45번이 신설 개통되었으며, 한정 면허 노선인 721번 노선은 폐선되었다.[1]
- 2022년 3월 26일: 28-1번 시내버스의 굴곡 구간을 개선하여 직선화하였고, 대신 29번[1]이 신설 개통되었다.[1]
- 2022년: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피인수됐다.[1]
2. 1. 설립 초기 (2003년 ~ 2009년)
- 2003년 12월 14일: 세원교통의 간선버스 28번과 지선버스 506번, 옛 경향여객의 15번을 인수하여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557-1에서 설립되었다.
- 2004년 1월 26일: 본사를 남동구 장수동 388-1로 이전하였다.
- 2004년 10월 5일: 본사를 서구 가좌동 158-17로 이전하였다.
- 2004년 10월 26일: 연수구 순환버스 740번 "노인복지회관 - 차량등록사업소 - 소암마을 - 송도고 - 송도역 - 가천대학교" 노선을 신설 개통하여 운행하였다.
- 2005년 2월 11일: 본사를 동구 송현동 142-23, 24로 이전하였다.
- 2005년 8월 23일: 본사를 현 위치인 서구 가좌동 173-256으로 이전하였다.
- 2006년: 시영운수가 보유했던 506번 버스를 삼성여객에 매각하였다.
- 2007년: 연수구 순환버스 740번 버스노선이 이용률 급감으로 폐선되었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더불어 28번 시내버스 노선을 변경하고, 15번 시내버스 노선을 월미도에서 가좌차고지(북항)으로 변경하였다.
- 2009년 2월 25일: 721번 시내버스(동수역-남동중학교) 노선과 722번 시내버스(가좌차고지-갈산역)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2. 2. 노선 확장 및 통합 (2009년 ~ 2015년)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함께 28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고, 15번 시내버스 노선은 월미도에서 가좌차고지(북항)로 변경되었다.[1] 2009년 2월 25일에는 721번 시내버스(동수역-남동중학교)와 722번 시내버스(가좌차고지-갈산역) 노선이 신설되었다.[1]2010년 2월 12일, 삼환교통의 62-1번 시내버스 노선을 인수하여 노선번호를 29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였다.[1] 2011년 12월 10일, 722번 시내버스가 721번 시내버스와 통합되어 통합 721번(가좌차고지-부평역-남동중학교) 노선으로 재개통되었다.[1]
2012년 가좌동에 지점을 설치했다가[1] 얼마 지나지 않아 폐지했다.[1]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1일까지는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하여 운행하였다.[1]
2. 3. 인천시 버스 노선 개편 이후 (2016년 ~ 현재)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1일까지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파행 운행으로 면허 취소)[1]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전면 개편으로 28번과 28-1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29번 시내버스 노선은 폐선되었다.[1]
2016년 9월 21일 서울특별시 양천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오케이버스로부터 부일운수(현 세운교통)을 인수, 계열사로 편입하였다.[1]
2017년 7월 22일 시내버스 노선 재개편으로 15번 노선이 수현마을에서 서창버스차고지로 연장되었고, 721번 노선은 남동중학교에서 서창3차 현대아파트로 연장되었다.[1]
2018년 6월 17일 전국 최초로 에디슨모터스의 고상형버스 모델인 스마트 11을 출고, 운행하였다.[1]
2018년 10월 27일 721번 시내버스 노선이 서창 현대3차아파트에서 남동중학교로 변경되었고, 반환점인 경신마을 - 남동초등학교 정류장이 추가되었다.[1]
2019년 4월 12일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최초로 친환경 전기버스 1호로 선정되어, 721번 버스 노선에 10대의 전기저상버스가 운행된다.[1]
2020년 10월 27일 28번, 28-1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다.[1]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28번, 28-1번 시내버스 노선이 부분 변경 운행되었고, 인천e음 45번이 신설 개통되었으며, 한정 면허 노선인 721번 노선은 폐선되었다.[1]
2022년 3월 26일 28-1번 시내버스의 굴곡 구간을 개선, 직선화하였고, 대신 29번[1]이 신설 개통되었다.[1]
2022년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피인수됐다.[1]
3. 운행 노선
시영운수는 간선버스 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간선버스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15번 | 가좌동 시영운수 ↔ 서창차고지 | 8 - 10 | 25 | 경향여객으로부터 양도받음 |
28-1번 | 가좌동 시영운수 ↔ 미추홀구청 | 14 - 16 | 15 | |
29번 | 가좌동 시영운수 ↔ 석남역 5번 출구 | 17 - 23 | 6 | 2016년 7월 30일 폐선된 29번과는 관련 없음 |
4. 과거 운행 노선
5. 보유 차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