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인천역은 경인선 상에 있는 역으로, 1899년 9월 18일 축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55년 현재의 동인천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급행 및 특급 열차도 정차하며, 주변에는 성공회 내동성당, 자유공원, 신포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철도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역 - 부평역
부평역은 인천 부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해 전철역 기능 추가 및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부평역사쇼핑몰,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다양한 상업 및 편의시설이 인접한 지역 중심지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인천 중구의 전철역 - 영종역
영종역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일반열차와 직통열차가 운행되며, 2016년 3월 26일에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 - 인천 중구의 전철역 - 용유역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위치했던 용유역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종착역이었으나, 시설 재정비와 함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영업 휴지로 인해 현재는 영업이 중단된 상태이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동인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동인천역 |
다른 이름 | 동인천 |
로마자 표기 | Dongincheon-yeok |
한자 표기 | 東仁川驛 |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참외전로 121 (인현동 1-1) |
역 번호 | 160 |
개업일 | 1899년 9월 18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
이전 역 이름 | 축현, 상인천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승강장 | 2 |
선로 | 4 |
구조 | 지상역 |
이용객 정보 | |
일일 승객 수 | (2012년 기준) 수도권 1호선: 40,752명 |
2022년 승차 인원 | 12,836명 |
2022년 승하차 인원 | 25,198명 |
서비스 정보 | |
인접 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도원역 159 - 동인천 160 - 인천 161 |
인접 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도원역 - 동인천 - 인천 |
인접 역 (수도권 전철 1호선 특급) | 제물포역 - 동인천 |
기타 정보 | |
역 등급 | 3급 |
운전 간이역 여부 | 운전 간이역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동인천역은 1899년 9월 18일 축현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 1926년 4월 25일 상인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3] 1955년 7월 1일 다시 동인천역으로 변경되었다.[3] 1974년 8월 15일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3]
이 일대는 통상 '동인천'이라 불리며, 인근에는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좌 답동성당, 대한성공회 내동성당, 신포시장, 대한서림, 애관극장, 초기 감리교회인 내리교회 등 오래된 구시가지가 있다. 특히 자유공원과 신포동 일원에는 구한말 일제강점기 개화기 유적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2005년 12월 21일에는 동인천역까지 4선화가 개통되었고, 2017년 7월 7일부터 경인선 급행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2. 1. 역명 변경
본래 역명은 '''축현역'''(杻峴驛)이었는데, 이는 역 주변의 싸리재라는 고갯길 이름에서 유래했다. 1926년에는 역명을 공모하여 "인천역과 인천부의 위쪽에 있다"는 의미로 '''상인천역'''(上仁川驛)으로 변경되었다. 광복 후에는 일본식 이름이라는 여론 때문에 축현역으로 잠시 환원되었다가, 다시 "인천역과 인천부의 동(東)쪽에 있다"는 의미로 '''동인천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8]동인천역은 행정 구역상 동구와 중구의 경계에 위치하며, 동구청은 도원역에서 더 가깝다. 구한말 인천부 지역의 동쪽에 있어 이 일대를 동인천이라고 불렀으나, 현재 인천광역시 행정 구역상으로는 서부 지역에 해당한다.
1999년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이후 남부역 일대 상권이 위축되었고, 북부역 상권도 재개발로 인해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인천역 상권은 주안역, 부평역, 인천터미널역 주변보다 작은 규모로 축소되었다.
1989년 문을 연 인천백화점과 연결된 민자역사였던 동인천역 건물은, 인천백화점이 부도 이후 '엔조이쇼핑몰'로 변경되었으나 결국 문을 닫았다. 현재 이 건물은 복합쇼핑몰 개발이 진행 중이다.
경인선 2복선의 마지막 역으로, 용산-동인천 간 급행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인천역을 통해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다.

역명 변경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2. 2. 연혁
-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인천~노량진 간 개통과 함께 축현역(杻峴驛)으로 영업 개시.[9][10]
- 1908년 : 현 위치로 역사 이전.[8]
- 1926년 4월 25일 : 상인천역(上仁川驛)으로 역명 변경.
- 1948년 6월 1일 : 축현역으로 역명 환원.[11]
- 1955년 7월 1일 : 동인천역(東仁川驛)으로 역명 변경.[12]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 1989년 4월 10일 : 민자역사 준공.
- 2005년 12월 21일 : 1호선 경인선 구간 급행 연장 운행.
-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5년 5월 :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17년 7월 7일 : 1호선 경인선 구간 특급 운행 개시.
3. 역 구조
동인천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1989년에 문을 연 인천백화점과 연결된 민자역사였으나, IMF 구제금융사건 당시 부도로 사라졌다. 이후 '엔조이쇼핑몰'로 재개장했으나 결국 문을 닫았고, 현재는 복합쇼핑몰 개발이 진행 중이다.
경인선의 2복선 구간은 동인천역이 마지막이며, 용산-동인천 간 급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3. 1. 승강장
쌍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이며, 안쪽 승강장은 1호선 용산-동인천 간 급행 열차가 시·종착하는 용도로 쓰이고, 바깥쪽 승강장은 1호선 완행 열차가 운행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배선도
동인천역과 경인선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경인선 복복선 구간은 동인천역에서 종료되며, 용산-동인천역 간 급행, 특급열차도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4. 이용객 변동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20,942 | 21,695 | 21,851 | 21,983 | 15,571 | 14,884 | 17,263 | 18,795 | 19,479 | 19,603 | [7] |
하차 인원 | 16,755 | 19,103 | 21,972 | 22,307 | 16,011 | 15,212 | 17,676 | 17,946 | 18,249 | 18,23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출처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20,783 | 21,235 | 21,072 | 20,859 | 20,976 | 20,520 | 19,356 | 18,444 | 17,577 | 17,254 | [7] |
하차 인원 | 19,454 | 19,814 | 19,680 | 19,515 | 19,624 | 18,986 | 18,181 | 17,605 | 16,823 | 16,522 |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11,836 | 11,847 | 12,836 | 13,923 | |||||||
하차 인원 | 11,353 | 11,361 | 12,362 | 13,314 |
5. 역 주변
동인천역 주변은 통상적으로 '동인천'이라 불리는 구시가지 지역이다. 인근에는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좌 답동성당, 대한성공회 내동성당, 신포시장, 대한서림, 애관극장, 초기 감리교회인 내리교회 등 오래된 건물과 시설들이 있다. 특히 자유공원과 신포동 일원에는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의 개화기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다.[8]
남부역 앞(신포동 방향)은 역 남광장을 중심으로 답동사거리까지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북부역 앞(송현동 방향)은 창영동 배다리 인근까지 중앙시장(일명 양키시장)과 송현시장 등 재래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1999년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로 남부역 상권이 위축되었고, 북부역 상권도 재개발로 인해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1989년 문을 연 민자역사인 인천백화점은 한때 인천시내에서 가장 번화한 백화점이었으나, IMF 구제금융사건 당시 부도를 맞고 사라졌다. 이후 '엔조이쇼핑몰'로 재개장했으나 결국 문을 닫았고, 현재는 복합쇼핑몰 개발이 진행 중이다.
동인천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대한성공회 내동성당
- 송현근린공원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
- 자유공원
- 애관극장
- 답동성당
- 인일여자고등학교
- 인성초등학교
- 인성여자중학교
- 인성여자고등학교
-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 중구문화원 (옛 인천여자고등학교 교사)
- 인천광역시학생교육문화회관(옛 축현초등학교 자리)
- 화평동 냉면골목
- 인현동 삼치골목
- 송현동 순대골목
- 인천 중앙시장 (양키시장)
- 창영동 배다리 헌책방거리
- 송현시장
- 축현치안센터
- 내리교회
- 화도진도서관
- 신포시장
- 대한서림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신포역
- 인천지하상가
6. 인접한 역
Express|특급영어
Express|급행영어
Local|완행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