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 관내를 운행하며, 1928년 서울, 대구보다 늦게 시작되었다. 1981년 인천직할시 승격과 함께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창립되었고, 1990년대에는 공동배차제가 운영되다 2000년대 초 단독배차제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 이후 교통카드 사용, 환승 할인, 노선 개편, 준공영제 시행 등 변화를 겪었으며, 2009년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여했다. 현재 인천에는 다양한 면허의 버스 업체가 있으며, 급행간선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신강교통
신강교통은 2012년 7월 설립된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로,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 M6457번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에는 79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미래교통 (인천)
미래교통 (인천)은 인천광역시에서 111번, 117번, 304번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십정동, 청라국제도시, 인천국제공항 등 인천과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운송 기업으로, 일부 노선은 강인교통과 공동 운행하고 현대자동차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위치하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터미널역과 연결되어 있고, 롯데백화점 등과 연계되어 쇼핑과 문화생활을 제공하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통해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을 지원하는 과거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다 롯데그룹에 매각된 버스터미널이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송도환승센터
송도환승센터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버스 환승 시설로, 과거 U-복합환승센터로 운영될 당시에는 송도환승센터 또는 송도터미널로 불리며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일부 시내/시외버스 노선만 인천스타트업파크 정류장에서 운행 중이다. - 버스 기업에 관한 - 신림운수
신림운수는 자일대우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으로 여러 노선을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마을버스 회사이다. - 버스 기업에 관한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 |
---|---|
개요 | |
![]() | |
구분 | 시내버스 |
서비스 지역 | 인천광역시 |
기타 지역 | 인천광역시 (강화군, 옹진군)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김포시, 과천시, 광명시) |
관리 기관 | 인천광역시 도시교통본부 |
노선 수 | 239개 |
인가 대수 | 2,432대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사이트 | 인천버스정보관리시스템 인천교통공사 |
2. 연혁
현재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영체계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시행된 준공영제를 기반으로 하며, 같은 해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다.
1981년 10월 28일 사단법인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92년 9월 15일 마을버스 한정면허 시행, 1993년 3월 2일 시내버스 토큰제 시행, 1993년 7월 16일 시내버스 자동안내방송 실시, 1994년 6월 1일 인천시내 버스전용차로제 운행 시작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98년 하반기, 인천 면허 버스에 교통카드가 도입되었다. 2002년 9월 1일부터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해졌으며, 2002년 2월 1일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은 10월 1일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2003년 2월 1일에는 학생 회수권과 토큰이 폐지되었다.
2004년 11월 30일 인천지하철에서 하차 후 버스로 환승할 때 할인이 적용되었고, 2005년 4월경부터는 인천버스에서 하차 후 인천지하철로 환승할 때도 할인이 적용되었다. 2007년 10월 1일부터는 강화, 영종, 용유 지역에서도 환승제가 시행되었다.
2009년 1월 30일에는 준공영제 시행에 앞서 대규모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고, 2월 18일에는 인천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 설립이 인가되었다. 2월 25일에는 일부 노선에 대한 준공영제가 시행되고 급행간선노선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인천버스까지 확대 시행되었다. 2010년 5월 1일에는 도서지역 마을 및 공영버스에 대해 환승할인이 시행되었는데, 중구 무의도 마을버스와 강화도 대산 및 연지마을버스, 영흥면 공영버스가 대상이었다.
2011년 4월 14일, 인천시는 7월부터 인천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고 지선/간선버스 요금을 단일화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2015년 6월 27일에는 버스 요금 인상과 함께 단일 요금이었던 좌석버스의 운임 체계가 거리비례로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30일에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등에 따른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2. 1. 1981년 이전
1928년 경성부 부영버스가 대한민국 시내버스의 시초이며, 대한민국 내에서 시내버스가 가장 먼저 운행된 지역은 서울이 아닌 대구이다.[1][2] 인천은 이 두 도시보다 늦게 시내버스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1974년 11월 25일: 인천시는 민간 자본 4.3억원을 들여 용현동에 종합터미널을 착공, 1976년 9월에 개장하였다.[3]
- 1977년 2월 7일: 서울시는 종로2가에 위치한 삼화고속 주차장을 폐쇄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부터 서울역에 위치한 한진고속터미널 공동 사용)[4]
- 1979년 12월 1일: 서울-인천 간 직행버스 운행이 재개되었다.[5]
- 1980년 3월 15일: 경기도는 시외버스터미널의 이용을 중지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6]
2. 2. 1981년 ~ 2000년
- 1981년 7월 1일: 인천시, 인천직할시로 승격[7]
- 1981년 10월 28일: [http://www.incheonbus.or.kr/main/main.php 사단법인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창립총회 개최[8]
- 1992년 9월 15일: 마을버스 한정면허 시행[9]
- 1993년 3월 2일: 시내버스 토큰제 시행[10]
- 1993년 7월 16일: 시내버스 자동안내방송 실시[11]
- 1994년 6월 1일: 인천시내 버스전용차로제 운행 시작[12]
- 1995년 3월 1일: 강화군이 인천시로 편입, 인천~강화 간 노선 시내좌석으로 전환[13]
- 1997년 11월 20일: 인천터미널이 관교동으로 이전[14][15]
- 1998년 1월: 삼환교통에서 인천시내버스 최초로 단독배차제 시행(조합 반납 노선들인 14번, 23번, 62번을 맡으면서 시작)
- 1998년 하반기: 인천 면허 버스에 교통카드 도입.
- 2002년 9월 1일: 인천시내버스에 교통카드 결제 가능.[43]
2. 3. 2000년 이후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공동배차제에서 단독배차제로 전환되었다. 강인여객이 22번과 46번을 맡으면서 시작되었다.[18]2002년 2월 1일, 인천 마을버스는 지선버스로 전환되고 요금이 인상되었다.[16] 같은 해 9월 1일부터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42] 2002년 10월 1일에는 시내버스로 전환된 기존의 마을버스에서도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7] 2003년 4월경에는 서울행 광역버스 6개 노선이 신설되었다.[18]
2004년 11월 30일부터 인천지하철에서 하차 후 버스로 환승할 때 할인이 적용되었고,[19][20] 2005년 4월경부터는 인천버스에서 하차 후 인천지하철로 환승할 때도 할인이 적용되었다.[21] 2005년 8월경에는 인천시내버스 도색이 변경되었으나, 100번대 시내좌석버스와 300번대 공항버스는 기존 도색을 유지했다.[22]
2006년 10월 17일, 인천시는 4개의 공영차고지 건설을 결정했다. ('공영차고지' 단락 참조)[23] 2007년 1월 29일에는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착수 보고회가 개최되었고,[23] 4월 1일에는 인천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24] 2007년 10월 1일부터는 강화, 영종, 용유 지역에서도 환승제가 시행되었다.[25]
2008년 4월 1일에는 모바일 서비스, 문자 메시지, 음성 안내를 통한 버스 도착 정보 서비스가 시작되었다.[26] 2009년 1월 30일에는 준공영제 시행에 앞서 대규모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고,[27] 2월 18일에는 인천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 설립이 인가되었다.[28] 2월 25일에는 일부 노선에 대한 준공영제가 시행되고 급행간선노선 운행이 시작되었다.[29][30]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인천버스까지 확대 시행되었고, 111-2번, 112번 시내좌석버스가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2010년 5월 1일에는 도서지역 마을 및 공영버스에 대해 환승할인이 시행되었는데, 중구 무의도 마을버스와 강화도 대산 및 연지마을버스, 영흥면 공영버스가 대상이었다.[31][32] 2010년 7월 1일에는 서울, 경기도와 버스 도착정보 통합 안내가 시작되었다.[33]
2011년 4월 14일, 인천시는 7월부터 인천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고 지선/간선버스 요금을 단일화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103번, 103-1번, 780번, 780-1번 시내좌석버스가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34] 2015년 6월 27일에는 버스 요금 인상과 함께 단일 요금이었던 좌석버스의 운임 체계가 거리비례로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30일에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등에 따른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2. 4. 인천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인천버스협회
1981년 10월 28일 사단법인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8] 이후 2010년 7월 29일 인천시의 명령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33]2. 5. 공동배차제의 폐지
1991년 1월 업무보고에서 교통부는 신공항 건설과 인천을 포함한 6대 도시의 지하철 조기 착공과 더불어 도시 외곽 녹지에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공동배차제를 촉진할 것을 계획하였다.[41] 1990년대 중반 인천시내버스에서 운영되었던 공동배차제는 한 회사에서 일주일씩 돌아가면서 특정 노선을 운행하는 형태였다. 1998년 1월, 삼환교통이 14번, 23번, 62번 노선을 맡으면서 공동배차제는 단독배차제로 전환되기 시작하였으며, 2001년경 사실상 폐지되었다.2. 6. 요금징수 시스템의 변화 : 2000년대 초반
1998년 하반기에 부산과 비슷한 시기에 교통카드[42]가 도입되었으며, 2002년 9월 1일부터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해졌다. 이는 버스카드와 지하철카드가 별개로 쓰이다가 통합된[43] 서울시의 경우와는 다른 방식이다. 단, 2002년 2월 1일자로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의 차량에서는 요금 인상 문제로 인해 10월 1일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17] 2003년 2월 1일에는 교통카드 사용 활성화를 위해 학생 회수권과 토큰이 폐지되었다.[44]2004년 11월 30일에는 인천지하철에서 인천시내버스로 환승할 때 할인이 적용되었고, 2005년 4월 말에는 인천시내버스에서 인천지하철로 환승할 때도 할인이 적용되었다. 이는 인천 고유의 환승 제도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도권 통합요금제와는 다르고, 할인 범위도 더 제한적이었다. 2007년 10월 1일부터는 강화, 영종, 용유 지역에서도 환승할인이 시행되었다.
2. 7. 시내버스 도색 변경
도색은 2005년 8월경에 변경되었다.[22] 단, 100번대 시내좌석버스와 300번대 공항버스는 기존의 도색을 유지했다.[22]2. 8. 인천시내버스와 지선버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81년 인천직할시 승격 이후 본격적으로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1992년 마을버스 한정면허 시행, 1993년 토큰제 및 자동안내방송 실시, 1994년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2002년에는 마을버스가 지선버스로 전환되고 요금이 인상되었다.[16] 같은 해 9월 1일부터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으며,[17] 10월 1일부터는 시내버스로 전환된 기존의 마을버스에서도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2004년 11월 30일부터는 인천지하철 하차 후 버스로 환승 시 할인이 적용되었고,[19][20] 2005년 4월경부터는 인천버스 하차 후 인천지하철로 환승 시에도 할인이 적용되었다.[21]
2009년 1월 30일에는 준공영제 시행에 앞서 대규모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고,[27] 2월 25일에는 일부 노선에 대한 준공영제 시행 및 급행간선노선 운행이 개시되었다.[29][30] 2009년 10월 10일부터는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인천버스까지 확대 시행되었다.
2. 9. 준공영제 시행과 요금제도의 변화 : 개요
2009년 2월 25일부터 준공영제가 시행되었고, 환승 체계는 같은 해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다.[1]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요금 지불 수단인 교통카드[42]는 1998년에 도입되었으며, 인천버스와 인천지하철 간의 환승할인 또한 2000년대 초반에 이루어졌다.
- '''인천시내버스와 교통카드''': 인천 면허 버스에는 1998년 하반기에 교통카드가 도입되었다. 2002년 9월 1일부터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해졌으나, 2002년 2월 1일 자로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에서는 요금 인상 문제로 10월 1일부터 사용이 가능해졌다.[17] 학생 회수권과 토큰은 2003년 2월 1일 자로 폐지되었다.[44]
- '''환승할인의 확대''': 타 교통수단 및 도서 지역 교통수단으로 환승할인이 확대되었다. 인천지하철에서 인천시내버스로, 인천시내버스에서 인천지하철로의 환승할인은 각각 2004년 11월 30일과 2005년 4월 말에 이루어졌다. 이는 인천 고유의 환승제도로, 현재 시행 중인 수도권 통합요금제와는 다르며, 그 범위도 더 제한적이었다. 강화, 영종, 용유 지역에서의 환승할인은 2007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 준공영제와 수입금 공동관리
2009년 2월 25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앞두고 인천시내 버스운송업계는 찬반 양측으로 나뉘었다.[70] 2009년 2월 18일, 준공영제에 찬성하는 일부 버스운송업체들이 인천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를 설립하였다.[28] 시에서는 2009년 1월 30일부터 총 161개였던 시내버스 노선을 186개로 늘리는 등 대규모 노선 개편을 단행했다. 1월 30일에는 2개 노선 신설, 6개 노선 분할(12개 노선), 간선 15개 및 좌석 3개 노선 변경, 5번 노선 폐지가 이루어졌다. 2월 25일에는 11개 급행간선 노선, 722번, 3개 순환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조정 시기 | 조정 내용 | 노선 번호 | 비고 |
---|---|---|---|
1월 30일 | 신설 | 720번, 721번 | |
분할 | 3번, 3-1번 12번, 12-1번 16번, 16-1번 17번, 17-1번 28번, 28-1번 770번, 770-1번 | 6개 노선을 12개 노선으로 분할 | |
변경 | 7번, 8번, 10번, 15번, 20번, 21번, 22번, 25번, 27번, 35번, 38번, 41번, 42번, 79번 (일반) | 간선 15개, 좌석 3개 노선 8번은 후일 환원 | |
112번, 300번, 306번 (좌석) | |||
폐지 | 5번 | ||
2월 25일 | 신설 | 급행간선버스(901~911번) | rowspan="2" | |
순환51번, 순환81번, 순환91번 | |||
참고 문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
당시 서해운수(현 신흥교통)의 13번과 46번도 개편 대상이었으나, 회사 측의 반대로[71] 노선 분할 계획은 무산되었다. 분할된 노선 중에는 운행 거리가 짧아 간선요금 징수에 대한 논란이 있는 노선도 있었다. 잦은 노선 변경은 이용객들의 불만을 야기했다.[72] 한편, 신설된 급행간선버스는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여 빠른 운행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인천시는 2009년 8월 1일부터 한정면허 버스와 광역버스를 제외한 시내버스에 대해 수입금 공동관리 방식을 도입했다.[73] 이를 통해 시는 노선 개편권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노선 조정 및 운행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2008년까지 열악했던 운전직 근로자들의 임금 및 비정규직 문제 개선의 여지도 마련되었다. 비정규직 운전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최소 22.6%의 임금 인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74] 한정면허 버스 208대는 기존의 인천형 준공영제를 적용받고, 광역버스는 대상에서 제외되었다.[75]
;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변화
2009년 1월 30일 예비 조치에 이어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가 도입되었고, 8월 1일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전환되었다. '노선 개편'과 '운전기사 임금 보전'은 2009년 1월 30일에 이루어졌으나, 서비스 향상이나 노선 개편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77]
1월 30일과 2월 25일 조정된 노선 중 상당수는 이해 관계로 인해 원상 복귀되었다. 2009년 1~7월 '인천형 준공영제' 시행에 86억원,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 도입(8~12월)에 134억원이 지출되어 시 재정 부담이 급증했다. 반면, 준공영제 시행 후 시내버스 사고율은 27%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 통합요금제 시행의 연기
통합요금제 시행은 시 내부 사정으로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 주된 이유는 예산 부족이었고, 2009년 9월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환승 문제가 공식적인 이유였다. 그러나 송도국제도시 및 청라지구 개발, 도심재생사업, 인천세계도시축전[80] 개최 등 당시 상황을 고려하면 '집행할 예산 자체가 없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81] 2008년 특·광역시 행사비 예산 중 인천시 예산이 가장 많았다는 사실은[82] 재정 과다 지출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지선버스업계의 반발도 통합환승제 시행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54]
;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변화
통합요금제 시행 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고, 인천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 간 환승 빈도는 10배가량 증가했다.[84] 이는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노선은 기본요금이 조정되어 요금이 인상되기도 했다. 요금 정산 방식 변경으로 인한 혼선과 단말기 오류도 발생했다.[85]
; 도서지역 마을버스, 공영버스 통합요금제 참가
2010년 5월, 도서지역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요금제가 적용, 환승 할인이 가능해졌다.[86][87]
; 통합요금제와 경기시외직행버스
인천을 경유하는 삼화고속의 단거리 시외직행 6개 노선은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함에도 환승할인이 되지 않아 불만이 제기되었다. 2011년 4월 8일, 인천시는 서울~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을 형간전환할 계획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6개 노선 중 4개 노선이 2011년 4월에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 2011년 6월 1일, 나머지 두 노선도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2. 10. 인천시내버스와 준공영제
인천광역시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 10월 10일부터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다.[29][30]; 준공영제와 수입금 공동관리
인천시는 2009년 2월 25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앞두고 버스 노선을 대폭 개편했다.[27] 2009년 1월 30일에는 2개 노선 신설, 6개 노선 분할(12개 노선), 15개 간선 노선 및 3개 좌석 노선 변경, 5번 노선 폐지가 이루어졌다. 2009년 2월 25일에는 11개 급행간선 노선과 722번, 3개의 순환버스 운행이 개시되었다.
조정 시기 | 조정 내용 | 노선 번호 | 비고 |
---|---|---|---|
2009년 1월 30일 | 신설 | 720번, 721번 | |
분할 | 3번, 3-1번 12번, 12-1번 16번, 16-1번 17번, 17-1번 28번, 28-1번 770번, 770-1번 | 6개 노선을 12개 노선으로 분할 | |
변경 | 7번, 8번, 10번, 15번, 20번, 21번, 22번, 25번, 27번, 35번, 38번, 41번, 42번, 79번 (일반) | 간선 15개, 좌석 3개 노선 8번은 후일 환원 | |
112번, 300번, 306번 (좌석) | |||
폐지 | 5번 | ||
2009년 2월 25일 | 신설 | 급행간선버스(901~911번) | rowspan="2" | |
순환51번, 순환81번, 순환91번 | |||
참고 문서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
당시 잦은 노선 변경으로 이용객들의 불만이 많았고, 짧은 노선에 간선 요금을 징수하는 문제도 있었다.[72] 새롭게 신설된 급행간선버스는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여 빠르게 운행하는 특징을 지녔다.
이후 인천시는 2009년 8월 1일부터 한정면허 버스와 광역버스를 제외한 시내버스에 대해 수입금을 공동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73] 이를 통해 노선 조정 및 운행 관리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운전직 근로자들의 임금 및 비정규직 문제도 개선될 여지가 생겼다.[74]
;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변화
2009년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가 도입되었고, 2009년 8월 1일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전환되었다. 노선 개편과 운전기사 임금 보전은 이루어졌지만, 서비스 향상이나 노선 개편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77]
준공영제 시행 이후 시내버스 사고율은 27% 감소했지만, 시의 재정 부담은 급증했다. 2009년 1~7월 '인천형 준공영제' 시행 당시 86억 원,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 도입 기간인 8~12월에는 134억 원을 지출했다.
; 통합요금제 시행의 연기
통합요금제 시행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는데, 주로 예산 부족이 이유였다.[81] 2009년 9월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환승 문제가 공식적인 이유였지만, 당시 인천시의 여러 개발 사업과 인천세계도시축전[80] 같은 행사 개최로 인해 예산 집행 자체가 어려웠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
;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변화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고, 인천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과의 환승 빈도도 10배가량 늘었다.[84] 이는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도서지역 마을버스, 공영버스 통합요금제 참가
2010년 5월, 도서지역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요금제가 적용,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86][87]
; 통합요금제와 경기시외직행버스
인천을 경유하는 일부 삼화고속 시외직행버스(9800번, 9801번, 9802번, 9902번)는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했지만 환승할인이 되지 않아 불만이 많았다. 인천시는 2011년 4월 이들 노선을 광역버스로 형간전환했고, 2011년 6월 1일에는 9900번과 9901번이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2. 11. 인천시내버스와 수도권 통합요금제
인천시내버스한국어는 2009년 10월 10일부터 시행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다.[1]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요금 지불 수단인 교통카드[42]는 1998년 도입되었으며, 지금과는 다른 형태이지만 인천버스와 인천지하철 간의 환승할인 또한 2000년대 초반에 이루어졌다.
- '''인천시내버스와 교통카드''' : 인천 면허의 버스에서는 부산과 비슷한 시기에 교통카드가 1998년 하반기에 도입되었다. 인천시내버스에는 2002년 9월 1일부터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해졌으며, 그 과정은 버스카드와 지하철카드가 별개로 쓰이다가 후일 통합[43]된 서울시의 경우와는 다르다. 단, 2002년 2월 1일자로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의 차량에서는 요금 인상 문제로 인해 이보다 늦은 10월 1일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17] 학생 회수권과 토큰은 교통카드 사용 활성화를 이유로 2003년 2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44]
- '''환승할인의 확대''' :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가 통용되기 시작한 데 이어 타 교통수단, 도서 지역의 교통수단으로 환승할인이 확대되었다. 인천지하철에서 인천시내버스로, 인천시내버스에서 인천지하철로의 환승할인은 각각 2004년 11월 30일과 2005년 4월 말에 이루어졌다. 이때 시행된 환승제도는 인천 고유의 것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도권 통합요금제와 다르며, 그 범위는 현재의 환승제도보다 제한적이다. 강화, 영종, 용유 지역에서의 환승할인은 이보다 나중인 2007년 10월 1일부터 이루어졌다.
; 통합요금제 시행의 연기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까지 수 년간, 수 차례에 걸쳐 이 제도의 시행이 미루어진 전례가 있으며, 이는 대부분 시 내부 사정에 의한 것이다. 대개 예산 부족이 주된 이유였으며 2009년 9월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 문제가 공식적인 이유였다. 하지만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주관하는 송도국제도시와 청라지구의 개발, 낙후된 도심을 재개발하는 도심재생사업과 더불어, 별다른 이익을 거두지는 못하였지만[78][79] 시비 2500억원이 투입된 인천세계도시축전[80]과 같은 각종 행사 등을 개최해오던 당시 인천시의 대내외적인 상황으로 미루어볼 때 인천시의 '집행할 예산 자체가 없었다'는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과도하게 집행되는 예산으로 재정 상태가 매우 부실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재정 상태가 지속된 지 수 년이 지난 시점까지 시행을 미루어왔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81] 교통 관련 예산 집행이 미루어지는 가운데 2008년 한 해 특별시·광역시 행사비 예산 중 인천시의 것이 가장 많았다.[82] 이는 재정 과다 지출 상태가 해를 넘겨 지속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기존의 요금체계 하에서 충분히 많은 수입이 발생하는 지선버스업계 측에서는 제도 시행에 극심한 반발 양상을 보이는 등 갖은 압력을 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통합환승제 시행 지연에 일조하였다.[54]
;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변화
인천광역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가 주축이 되어 시행하고 있는 인천 내에서의 통합요금제 시행에 대해 기존의 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어느 정도의 선을 긋고 있지만[83] 제도 시행 후의 각종 지표들은 긍정적이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인천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과의 환승 빈도도 10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84] 이는 인천버스와 경인선을 비롯한 다른 교통수단 간 요금 부담이 줄어듬으로써 과거 한정적이던 대중교통수단의 이용 패턴이 보다 다양하게 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에 통합요금제를 도입, 시행해오던 경기도에서는 2년 동안 교통카드 이용자 비율이 14% 늘어난 바 있다.[42] 인천의 통합요금제 참여는 인천이 교통 분야에서도 수도권으로 편입되었다는 상징적인 의미 또한 지니고 있다. 요금 정산 방식과 더불어 일부 노선의 기본요금이 조정되었는데, 경우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인천 면허의 버스만 이용하여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주로 여기에 해당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기존의 배에 가까운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요금 정산 방식이 기존의 인천 방식과 달라 한동안 혼선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부수적으로 단말기 오류 증상도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85]
; 도서지역 마을버스, 공영버스 통합요금제 참가
도서지역의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없어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0년 5월, 이들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됨으로써, 그 동안 현금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던 이들 노선에서도 수도권 내 다른 시내버스 노선과 마찬가지로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어 환승할인이 가능해지게 되었다.[86][87]
; 통합요금제와 경기시외직행버스
인천을 경유하는 단거리 시외직행버스들 중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는 일부 노선은 실질적인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환승할인이 되지 않았으며, 이와 관련된 불만이 빈번하게 제기되었다. 인천시 측에서는 2011년 4월 8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시외버스로 운행 중인 서울~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들을 모두 형간전환시킬 뜻을 내비쳤으며 이와 같은 계획과 맞물려 앞서 언급된 여섯 개의 노선 중 일부 노선이 2011년 4월 중에 광역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시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는 가장 마지막까지 시외직행으로 남아있던 두 노선을 통합한 후 형간전환시킬 계획 또한 언급되어 있었으며, 결국 해당되는 두 노선은 2011년 6월 1일자로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88] 상당히 오랫동안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었던 것을 놓고, 이들 노선이 시외 면허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가능하지만, 삼화고속이 면허 전환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이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인천시에서는 보도자료 발표 이전에도 형간전환에 호의적이었으며, 서울시에서도 형평성 문제가 있음을 인정한 바 있기 때문이다.[89]
3. 요금 및 환승 체계
2009년 10월 10일부터 인천버스도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게 되었다.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교통수단 간 이용 방법 및 요금 정산 방식이 크게 바뀌었지만, 좌석형 노선을 제외한 각 교통수단의 요금은 2007년 4월 1일 이후로 유지되고 있다.[90] 인천시내버스는 대한민국 여객자동차 운송사업법에 규정된 무임 운송 대상 외에도, 보호자와 동행하는 만 6세 미만의 어린이 세 명까지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 청소년 및 초등학생 할인은 학년이 아닌 나이로 적용된다. 만 6세~만 12세는 소인 요금, 만 13세~만 18세는 청소년 요금, 만 19세부터는 대인 요금이 적용된다.[90]
예를 들어 1992년 2월 28일생은 2010년 2월에 고등학교를 졸업하더라도 만 19세가 되는 2011년 2월 28일까지 청소년 요금이 적용된다. 1998년 2월 28일생은 2010년 3월에 중학교에 입학하지만, 만 13세가 되는 2011년 2월 28일까지 소인 요금을 적용받는다. 이는 인천광역시뿐만 아니라 서울특별시, 경기도가 운영하는 모든 환승 가능한 대중교통수단에서 적용되는 기준이며, 버스 운행사원이나 도시철도 역무원은 이에 반하여 요금을 부과할 수 없다.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승차 후 60분 이내였던 환승 인정 시간이, 현재는 수도권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하차 후 3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21시~익일 07시는 60분 이내).[91] 인천시내버스의 거리비례제 적용 방식은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와 동일하다. 단독 통행 시에는 기본요금만 부과되지만, 환승 시에는 내릴 때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반드시 찍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교통수단 이용 시 직전 교통수단의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페널티로 부과된다.[91] 같은 번호의 버스를 다시 이용하는 경우 할인 혜택이 없으며, 다인승 환승 시 승차인원만큼 페널티가 부과되는 것은 인천시내버스에만 적용된다.[91] 다른 운임을 징수하는 노선을 환승하여 이용할 때는 더 비싼 운임의 노선 요금제를 적용한다.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는 9800번대와 9900번대 버스처럼, 시외버스는 외형상 광역버스와 비슷하더라도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한편, 공항좌석의 경우 시내 이동 시 현금과 카드 모두 1,000원으로 이용 가능했으나 2010년 2월 25일부로 폐지되었다.
3. 1. 요금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까지 인천광역시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수 차례 통합요금제 시행을 연기했다.[81] 그러나 당시 인천시가 여러 개발 사업과 행사를 개최했던 점을 고려하면, 예산 부족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78][79][80] 지선버스 업계의 반발도 시행 지연의 한 원인이었다.[54]통합요금제 시행 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고, 인천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 간 환승 빈도가 10배 증가했다.[84] 이는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합요금제 참여는 인천이 교통 분야에서도 수도권에 편입되었다는 상징적 의미도 지닌다.
2010년 5월부터 도서지역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었다.[86][87]
인천을 경유하는 일부 삼화고속 시외직행버스(9800번, 9801번, 9802번, 9900번, 9901번, 9902번)는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했지만 환승할인이 되지 않아 불만이 제기되었다. 2011년 인천시는 이들 노선을 광역버스로 형간전환할 계획을 밝혔고, 9900번과 9901번을 제외한 노선들이 2011년 4월에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9900번과 9901번은 2011년 6월 1일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2009년 10월 10일부터 인천버스도 통합요금제를 적용받게 되었다. 좌석형 노선을 제외한 각 교통수단의 요금은 2007년 4월 1일 이후로 유지되고 있다. 인천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 운송사업법에 따라 만 6세 미만 어린이 3명까지 무료 탑승이 가능하다. 청소년 및 초등학생 할인은 나이로 적용된다.
2023년 기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요금표는 다음과 같다.
일부 노선은 거리비례 요금을 적용한다.
유형 | 기본운임 | 기본거리 | 추가운임 | 비고 |
---|---|---|---|---|
좌석버스(60-5, 800) | 1,350원 | 10 km | 100원 / 5 km | 4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2,050원. |
좌석버스(영종·인천공항) | 1,650원 | 10 km | 100원 / 5 km | 4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2,350원. |
M버스 | 2,600원 | 30 km | 100원 / 5 km | 6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3,300원. |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하차 후 30분 이내(21시~익일 07시는 60분 이내) 환승이 인정된다. 단독통행 시에는 기본요금만 부과되지만, 환승 시에는 내릴 때 교통카드를 반드시 찍어야 한다.[91] 다인승 환승 시 승차인원만큼 페널티가 부과되는 것은 인천시내버스에만 적용된다.[91]
3. 2. 현재의 환승 체계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인천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과의 환승 빈도는 10배가량 증가했다.[84] 이는 인천버스와 경인선 등 다른 교통수단 간 요금 부담이 줄어들어,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기도에서는 통합요금제 도입 후 2년 동안 교통카드 이용자 비율이 14% 증가했다.[42] 인천의 통합요금제 참여는 교통 분야에서도 수도권으로 편입되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요금 정산 방식과 일부 노선의 기본요금이 조정되었는데, 인천 면허 버스로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 요금이 증가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700번 버스를 이용하여 강화도 내에서 이동할 때 기존보다 높은 요금이 부과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요금 정산 방식이 변경되어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고, 단말기 오류도 종종 발생했다.[85]
2010년 5월, 도서지역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요금제가 적용되기 시작했다.[86][87] 이전에는 현금으로만 이용 가능했으나, 이제 수도권 다른 시내버스 노선과 마찬가지로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
인천을 경유하는 단거리 시외직행버스 중 삼화고속의 9800번, 9801번, 9802번, 9900번, 9901번, 9902번 노선은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함에도 환승할인이 되지 않아 불만이 제기되었다. 인천시는 2011년 4월 8일, 서울~인천 간 시외버스 노선을 형간전환할 계획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9900번과 9901번을 제외한 노선들이 2011년 4월에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 9900번과 9901번은 2011년 6월 1일에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삼화고속이 면허 전환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89]
2009년 10월 10일 통합요금제 편입 이전에는 인천 고유의 환승체계가 적용되었는데, 광역버스를 제외한 일반시내버스와 상호 간 요금 일부가 할인되었고, 인천지하철을 제외한 수도권 다른 교통수단과는 환승이 되지 않아 불편이 컸다.
아래는 인천광역시 일부 노선의 거리비례 요금표이다. 다른 노선은 단독 통행 시 기본 요금만 징수한다.
유형 | 기본운임 | 기본거리 | 추가운임 | 비고 |
---|---|---|---|---|
좌석버스(60-5, 800) | 1350KRW | 10 km | 100KRW / 5 km | 4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2050KRW. |
좌석버스(영종·인천공항) | 1650KRW | 10 km | 100KRW / 5 km | 4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2350KRW. |
M버스 | 2600KRW | 30 km | 100KRW / 5 km | 60 km까지만 거리비례 추가 요금이 징수되어 최대 운임은 3300KRW. |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승차 후 60분 이내였던 환승 인정 시간이, 현재는 하차 후 3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21시~익일 07시는 60분 이내).[91] 인천시내버스의 거리비례제 적용 방식은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와 동일하다. 단독 통행 시에는 기본요금만 부과되지만, 환승 시에는 내릴 때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반드시 찍어야 한다.[91] 같은 번호의 버스를 다시 이용하는 경우 할인 혜택이 없으며, 다인승 환승 시 승차인원만큼 페널티가 부과되는 것은 인천시내버스에만 적용된다.[91]
인천국제공항철도는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개통과 함께 내륙 구간(서울역~검암역)이 통합요금제에 편입되어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93] 2014년 6월 21일 청라국제도시역 개업으로 내륙 구간이 연장되었다. 영종역, 운서역,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국제공항역 구간은 할인 없이 종전 운임체계가 적용된다.
3. 3. 과거의 환승 체계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인천 고유의 환승 체계가 적용되었다. 광역버스를 제외한 일반 시내버스와 인천지하철 간에는 요금 일부가 할인되었지만, 수도권의 다른 교통수단과는 환승이 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편이 컸다.[91]2009년 10월 10일 인천이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편입되기 전까지, 이 제도의 시행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 주된 이유는 예산 부족이었으며, 2009년 9월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 문제가 공식적인 이유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인천세계도시축전[80]과 같은 대규모 행사에 예산이 투입된 정황을 고려하면, '예산 부족'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었다.[81][82] 또한, 기존 요금 체계에서 이익을 얻던 지선버스 업계의 반발도 제도 시행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54]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 1인당 평균 710원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나타났고, 인천 버스와 타 지역 교통수단 간 환승 빈도는 10배가량 증가했다.[84] 이는 경인선을 비롯한 다른 교통수단과의 요금 부담이 줄어들어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경기도에서는 통합요금제 도입 후 2년 동안 교통카드 이용자 비율이 14% 증가했다.[42]
2010년 5월, 도서 지역 마을버스와 공영버스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었다.[86][87] 이를 통해 도서 지역 주민들도 환승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인천을 경유하는 일부 삼화고속 시외직행버스 노선(9800번, 9801번, 9802번, 9900번, 9901번, 9902번)은 광역버스 기능을 수행함에도 환승 할인이 되지 않아 불만이 제기되었다. 2011년 4월, 인천시는 이들 노선을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고, 9900번과 9901번을 제외한 노선들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 2011년 6월 1일, 9900번과 9901번도 통합되어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88]
과거 인천의 환승 체계는 서울이나 경기도보다 복잡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승차 기준 1시간 이내 환승 인정 (광역버스는 하차 태그 필수)
- 직전 교통수단 요금과의 차액만 고려
- 제한적인 환승 할인 범위 (서울·경기 버스, 경인선과 환승 할인 불가)
- 다인승 환승 할인 불가[91]
공항철도는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개통 전까지 환승 할인이 불가능했다. 개통 이후 서울역~검암역 구간은 통합요금제에 편입되었고, 2014년 6월 21일 청라국제도시역 개업으로 편입 구간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영종역 등 일부 구간은 여전히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94]
3. 4. 환승할인 미적용 교통수단
- 타 지역 공항버스와 경기시외직행버스는 인천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 (예: 인천~의정부, 인천~파주, 인천~성남, 인천~수원, 인천~안산 등)[93]
- 인천국제공항철도 : 종전에는 별도의 운임체계를 적용하였고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없었으나,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개통과 동시에 내륙 구간인 서울역~검암역 구간은 통합요금제에 편입되어 환승 할인이 가능해졌다.[93] 2014년 6월 21일 청라국제도시역이 개업하면서 내륙 구간이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되었다. 한편, 영종역, 운서역,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국제공항역 구간은 할인 혜택 없이 종전의 운임 체계가 적용된다. 인천 중구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연대'는 '한 회사가 운영하는 한 철도 구간에서 이중 잣대의 요금제를 시행해 국민의 기본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하였으나 코레일 측은 이에 대해 '운임 수입이 줄어들어 운영 적자에 대한 국가 부담금이 늘어날 것'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94]
4. 위치정보확인 및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경기도는 버스 도착 안내기와 관련하여 타 시도 면허 차량의 운행 정보에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도권 교통본부 주도로 수도권 3개 시/도의 버스정보시스템 연계가 진행 중이다.[97] 인천시는 2009년 12월 26일과 12월 27일 양일간 서버 변경 및 하드웨어 증설 작업을 진행했고, 2009년 말 새로운 형태의 정보안내단말기를 설치하였다. 인천 구간의 수도권 BIS 구축 사업은 2010년 4월 마무리되었다.[98]
4. 1. 버스도착 정보 서비스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 경기도는 수도권 교통본부의 주도로 버스정보시스템 연계를 진행하고 있다.[97] 인천시는 2009년 12월 서버 변경 및 하드웨어 증설 작업을 진행했고, 2010년 4월에는 수도권 BIS 구축사업을 마무리했다.[98] 2010년 5월 23일부터 새로운 형태의 정보안내단말기가 정식 가동되었으며, 타 시도 면허 버스 노선의 운행 정보도 함께 제공되기 시작했다.[98]2010년 6월 1일부터 국토해양부와 인천시는 수도권 광역버스정보시스템 연계 및 구축 사업을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했다.[96] 인천시는 30억 7,800만 원(30.78억원)을 투입하여 196개의 안내기를 설치, 가동하였다.[99] 이를 통해 서울, 인천, 경기도 면허 시내버스의 운행 정보를 전광판과 휴대전화 등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00][101] 2010년 7월 1일부터는 인천 면허 시내버스 노선의 운행 정보를 서울이나 경기도 정류소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00][102][103]
4. 2. 수도권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버스도착안내기와 관련하여 타 시도 면허 차량의 운행 정보에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도권 교통본부 주도로 수도권 3개 시/도의 버스정보시스템 연계가 진행 중이다.[97] 인천시는 2009년 12월 26일과 12월 27일 양일간 서버 변경 및 하드웨어 증설 작업을 진행했고, 2009년 말 새로운 형태의 정보안내단말기를 설치하였다. 인천 구간의 수도권 BIS 구축사업은 2010년 4월에 마무리되었다.[98]2010년 6월 1일부터 국토해양부와 인천시는 수도권 광역버스정보시스템의 연계 및 구축 사업을 완료하고 운영에 들어갔다.[96] 인천시는 30.78억원을 들여 196개 안내기를 구축하여 가동하였다.[99] 이에 따라 서울, 인천, 경기도 면허의 시내버스 운행정보를 전광판과 휴대전화 등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00][101] 2010년 7월 1일부터는 인천 면허 시내버스 노선의 운행 정보를 서울 또는 경기도 관할 정류소 전광판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00][102][103]
5. 노선 목록 및 운행업체
옹진군에서는 8개의 위원회가 7개 면에서 공영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들 버스는 대부분 육지로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여객선 도착 시각에 맞춰 운행된다. 중구 영종도처럼 한정면허 형태로 운행되거나, 강화군처럼 군내버스 운영 전담 업체가 있는 것과는 달리, 옹진군은 공영버스 운영을 전담하거나 위탁하는 업체가 없다. 따라서 차량 이용과 관련해서는 옹진군청에 문의해야 한다.
6. 강화군 내의 버스
장경리 방향, 선재리 방향, 관내순환의 3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영흥면 농어촌 공영버스 운영에 관한 공고(안)에 따르면, 장경리 방향으로는 하루 14회, 선재리 방향으로는 하루 4회 운행되며, 관내를 순환하는 노선은 3회 이상 운행한다. 정류소에 시각표가 게시되어 있으나 운행 여건이 나쁜 경우에는 정류소 도착 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영흥도 공영버스가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포함되지 않아 이 지역을 오가는 790번 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였으나, 단말기가 설치됨에 따라 2010년 5월 1일부터 환승 할인이 가능해졌다.[32] 2009년 12월 31일까지 신백승여행사가 영흥면 농어촌 공영버스의 운행을 맡았으나, 2009년 12월 21일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2010년 1월 1일부터 그 주체가 영흥면 농어촌 공영버스 운영위원회로 변경되었다. 한편, 면사무소에서는 2009년 1월부터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무임승차권을 발부하였으나, 공직선거법에 저촉된다는 선거관리위원회의 통보에 의해 2010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무임승차권 사용을 한시적으로 중단하였다. 이에 관한 문의는 옹진군청 지역경제과 또는 영흥면사무소로 할 수 있다.
7. 차량 및 요금 관련 정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대한민국 시내버스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 시내버스의 시초는 1928년 경성부 부영버스이지만,[1] 실제로는 대구에서 먼저 운행되었다.[2] 인천은 이보다 늦게 시내버스가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1974년 11월 25일, 인천시는 민간 자본 4.3억원을 들여 용현동에 종합터미널을 착공하여 1976년 9월에 개장했다.[3] 1979년 12월 1일에는 서울-인천 간 직행버스 운행이 재개되었다.[5]
1981년 7월 1일, 인천시는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고,[7] 같은 해 10월 28일에는 [http://www.incheonbus.or.kr/main/main.php 사단법인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창립총회를 개최했다.[8] 1993년 3월 2일에는 시내버스 토큰제가 시행되었고,[10] 7월 16일에는 자동안내방송이 실시되었다.[11] 1994년 6월 1일부터는 버스전용차로제가 운행되기 시작했다.[12]
1997년 11월 20일, 인천터미널이 관교동으로 이전했다.[14][15]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공동배차제에서 단독배차제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2002년 9월 1일부터 인천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7] 2004년 11월 30일부터는 인천지하철 하차 후 버스로 환승 시 할인이 적용되었고,[19][20] 2005년 4월경부터는 반대로 버스 하차 후 인천지하철 환승 시에도 할인이 적용되었다.[21]
2009년 2월 25일, 일부 노선에 대한 준공영제가 시행되고 급행간선노선 운행이 시작되었다.[29][30] 2009년 10월 10일에는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인천버스까지 확대 시행되었다.
2010년 5월 1일에는 도서지역 마을 및 공영버스에도 환승할인이 시행되었다.[31][32] 2015년 6월 27일에는 버스 요금이 인상되면서 좌석버스의 운임 체계가 거리비례로 변경되었다.
2010년 기준으로 인천 시내버스 중 89%인 2,184대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114]
7. 1. 요금 징수 단말기
국토교통부 면허인 M6405번을 제외하고, 인천 번호판을 부착하고 운행하는 차량들의 앞문 쪽에는 통합형 요금징수기가, 뒷문 쪽에는 티머니 단말기와 동종인 eB 단말기(KSCC-B100F)가 설치되어 있다.[106][107] 교통카드 단말기와 현금인식요금함이 통합된 형태의 요금징수기는 2009년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가 시행될 즈음 설치되었으며, 교통카드와 현금 인식 모두 하나의 기계에서 이루어져 운행 수입 측정이 투명해졌다. 규정 요금보다 적은 금액이 투입되었을 경우 '요금이 부족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므로 현금 승차 시 부정 승차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폐 투입 시 승차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승차 기준으로 환승 시간을 계산하였기 때문에 뒷문 쪽에 단말기가 없었다. 이후 뒷문 쪽 단말기도 교체되어 현재는 앞문, 뒷문 모두 통일된 규격의 요금 징수 단말기를 사용 중이다.
; 카드 인식 시 효과음
서울과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앞문에서 하차 태그 시 '감사합니다'라는 멘트가 출력된다. 과거 청소년 카드를 차량 내 단말기에 접촉할 경우 '청소년입니다'라는 멘트가 나왔는데, 이는 청소년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108] 이에 서울과 경기 면허 차량에서는 '삐삐' 소리가 크게 울리는 형식으로, 인천 면허 차량에서는 '딩동' 소리가 크게 울리는 형식으로 변화되었다. (다인승 요금 설정 시에는 '카드를 대주세요' 출력 - 인천 통합, 서울 신형) 다만, 인천의 경우 서울과 경기도 차량에 비해 비교적 최근인 통합형 요금징수기 설치 이후에 이와 같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기존 승차 단말기인 KSCC-B100F(티머니형 이비 단말기)에서의 멘트는 기존과 동일하다. (여기서 KSCC는 '[http://www.koreasmartcard.co.kr/ci/main.do 한국스마트카드사]'를 의미한다.)
; 하차 시 추가요금 문제
인천시 소속의 일부 차량에서는 환승 통행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어야 하는 상황임에도 하차 시 추가 요금이 0으로 표기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승차 단말기와 하차 단말기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정상적으로 추가 요금이 부과되었으나 표시만 0으로 되었거나, 실제로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은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주로 고속도로 진출 후 첫 번째 정류장 하차 시 흔히 일어나는 일로, 하차 단말기에 태그하였을 때 고속도로 진입 이전 정류장에서 하차한 것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남역과 계산을 잇는 노선인 9300번을 이용하여 인천 방향으로 내려올 때, 실제로는 '송내역'에서 하차하였지만 전산상으로는 '선바위역'에서 하차한 것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그 예이며, 2010년 1월 경기도 면허로 전환된 9000번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로부터 이와 같은 현상이 인천 내 시스템상의 문제가 아닌 이비 단말기 자체의 문제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해당 교통카드 회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승차 위치와 하차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9000번은 9000-1번으로 변경했으나 2011년 3월 적자로 폐선되었다.
7. 2. 차량 안내방송
인천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울 또는 경기 면허의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서울 면허 차량은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대부분 양진텔레콤으로 통일되어 있는 반면, 인천 면허 차량은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쓰고 있어 각 방식의 안내방송이 지니는 특징 또는 문제점도 다양하다.- '''기계음 문제''': 일부 업체의 경우 '''SK네트웍스'''의 안내방송을 사용하고 있다. 과거 700번 등 선진 계열의 업체에서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점차 이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업체가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형식의 안내방송은 상대적으로 심한 기계음을 내며[109], 앞 좌석에서는 '앞차가 몇 분 전에 통과하였습니다' 등의 멘트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강인여객 또는 그 계열 회사에서 활용했으나, 2011년 1월경 안내방송 업체가 민기획으로 변경되었다.
- '''다음 정류소 안내 부재''': 인천 지역 노선 중에는 '''민기획'''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GPS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방송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특징이며[110], 이들 노선 안내방송에서 흔히 발견되는 문제점으로는 다음 정류소 안내가 없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서울시내버스와 달리[111] 한국인이 안내방송을 맡고 있어 발음상의 문제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천에서의 영어 안내방송은 2008년에 시작되었다.[112]
- '''다른 종류의 안내방송''':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는 인천 면허 노선의 경우, '''이비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노선의 안내방송은 형식상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안내방송과 같거나 유사하다. 최근에는 강화교통에서 운행하는 강화군내버스에도 이와 같은 종류의 안내방송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삼환교통과 공영급행이 운영하는 노선, 영종운수에서 운영하는 903번과 일부 지선버스 업체의 노선들은 '''버스티브이'''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업체가 제공하는 안내방송은 다음 정류소 안내는 모두 이루어지지만, 일부 정류소에만 영어 안내방송이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 '''기타 문제''': 일부 노선 안내방송의 경우, 연수구 연수동 솔안공원 앞에 위치한 같은 정류장을 46번에서는 '대동월드'로, 112번에서는 '솔안공원'으로 안내하는 경우처럼,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 간 정류소 명칭이 다른 경우도 존재한다. 과거에는 안내 방송 자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었으며[113], 500번대 지선버스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3. 천연가스버스
2010년 기준으로 인천 시내를 운행하는 버스 중 89%에 해당하는 2,184대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2010년 8월 9일 서울 행당역 인근에서 발생한 버스 폭발 사고와 관련하여, 인천광역시는 이들 차량에 대한 점검을 8월 중에 실시하기로 하였다.[114] 천연가스버스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00년에 도입되었으며, 환경부에 따르면 2009년 6월 말에 운행 대수가 20,000대를 돌파하였다.[115]8. 시설물 관련 정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시설물에는 버스 승강대, 공영 차고지, 버스 전용 차로, 청라~화곡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이 있다.
2009년 송도국제도시를 제외한 인천시 대부분 지역에는 동일 규격의 정류소 표지판이 설치되었으며, 일부 지역에는 구형 표지판이 남아있다. 신형 표지판은 정차 노선들의 노선도를 제공하지만, 구형 표지판은 주요 지점만 확인 가능하다.[116] 연수구, 남동구 일부 지역, 송도국제도시에는 고유 승강대가 설치되어 있다. 2007년 5월 10일, 시는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이전에 모든 정류소에 승강대를 설치할 계획을 세웠다.[117] 2024년 이후 인천광역시 버스 정류장은 박스형으로 개편되고 있다.
2006년 10월 17일 인천시는 장수동에 있는 100대 규모의 공영차고지 외에 서북, 연수, 남동, 계양 4개 권역에 공영차고지를 추가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118] 연수권역 공영차고지는 2009년 8월 완공되어 운영 중이며, 인천교통공사가 운영을 맡고 있다.[119] 남동권역 공영차고지는 서창2택지 인근에, 계양권역 공영차고지는 2011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하기로 결정되었다.[120][121] 서북권역 공영차고지는 한진과의 갈등으로 건립이 지연되고 있다.[122]
인천광역시 내 버스전용차로는 2006년 7월 1일부터 주 5일로 축소 운영되고 있다.[124] 현재 중앙버스전용차로는 운영되지 않으나, 경명대로 등 6개 노선 51.5km에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125]
2005년 5월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청라~화곡 간선급행버스체계(BRT)는[126] 2013년 7월 11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130]
8. 1. 버스승강대

2009년 중 송도국제도시를 제외한 인천시 대부분 지역에 동일 규격의 정류소 표지판이 설치되었으나, 일부 지역에는 구형 표지판이 남아있다. 신형 표지판에서는 정차 노선들의 노선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구형 표지판에서는 주요 지점만 확인 가능하다.[116] 버스 승강대는 인천교통공사에서 설치한 것이 주를 이루나, 연수구, 남동구 일부 지역, 송도국제도시에는 고유 승강대가 설치되어 있다. 2007년 5월 10일, 시에서는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이전에 모든 정류소에 승강대를 설치할 계획을 세웠다.[117]
송도국제도시 표지판은 노선 변경 시 시설물 정비가 되지 않아 스티커들이 무질서하게 나열되어 있었으나, 2010년 상반기 경 [https://web.archive.org/web/20100921042533/http://insiseol.net/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정비하였다. 새로 부착된 노선 안내도 관리 주체는 [https://web.archive.org/web/20100921042533/http://insiseol.net/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이다.
강화군 지역은 700번 정차 정류소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정류소에 인천시와 다른 형식의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인천시와 동일 형식 정류소는 대부분 강화읍에 집중되어 있다.
2024년 이후 인천광역시 버스 정류장은 박스형으로 개편되고 있다.
8. 2. 공영차고지
2006년 10월 17일 인천시는 남동구 장수동에 있는 100대 규모의 공영차고지 외에 서북권역, 연수권역, 남동권역, 계양권역 4곳에 공영차고지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118] 이 가운데 연수권역의 공영차고지가 2009년 8월 우선 완공되어 운영 중이며, 이곳 운영은 인천교통공사가 맡고 있다.[119] 남동권역 공영차고지는 진통 끝에 서창2택지 인근에 조성하기로 결정되었으며[120], 계양권역 공영차고지는 2011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121] 한편 북항배후지 인근에 들어설 예정이던 서북권역 공영차고지는 이 지역 소유주인 한진과의 갈등으로 건립이 지연되고 있다.[122] 북항배후지의 용도변경안은 2009년 10월 19일 인천시의회를 통과하였다.[123]8. 3. 버스전용차로
인천광역시 내의 버스전용차로는 주 5일 근무제가 확대됨에 따라 2006년 7월 1일부터 주 5일로 축소 운영되고 있다.[124] 현재 인천광역시 내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지 않고 있으나 최근 시에서는 경명대로 등 6개 노선 51.5km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할 것을 검토 중에 있다.[125]8. 4. 청라~화곡 간선급행버스체계(BRT)
2005년 5월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이후[126], 2005년 8월 21일 [https://web.archive.org/web/20131203010923/http://www.mta.go.kr/main.jsp 수도권교통본부](당시 수도권교통조합)는 천호대로 구간과 함께 인천~서울 화곡 간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시범사업 계획을 발표하였다. 당시 설계비 52억원과 공사비 209.66억원이 책정되었다.[127] 2006년 1월부터 9월까지 BRT 건설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2007년 말 인천광역시는 BRT 노선 중간에 가정뉴타운과 가정지구를 연계해 줄 것을 요청하여 개통 시기가 크게 지연되었다.[128] 이후 수도권교통본부는 노선 변경 절차를 거쳐 2009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청에서 '청라~강서 간 BRT 시범사업' 기본·실시설계 중간보고회를 열고 BRT 노선의 2010년 착공 계획을 발표하였다.[129]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13년 7월 11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130] 한편 인천시는 BRT와 인천 1호선이 교차하는 작전역 일대에 대규모 복합환승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131]9. 각종 문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 준공영제 예산 문제: 인천광역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인해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겪고 있다. 2011년 7월 기준으로, 예산 부족으로 수익이 적은 노선의 감차까지 고려해야 했다.[132]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간 요금 차이도 적자 보전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여, 시는 노선 재조정과 요금 인상을 검토하기도 했다.[55]
- 삼화고속 복수노조 문제: 2011년 삼화고속에는 복수노조가 설립되면서 노사 간, 노조 간 갈등이 발생했다. 기존 노조는 사측이 복수노조를 이용해 교섭을 방해한다고 주장했다.[135]
- 급행간선버스 문제: 인천광역시에는 수도권 다른 지역에는 없는 급행간선버스 노선들이 운행되고 있다. 이 노선들은 한정면허로 운영되며, 적자로 인해 일부 노선이 폐선되거나 폐선이 검토되기도 했다.[139]
- 광역급행버스 문제: 송도국제도시와 강남역 간을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M6405번은 승객 수가 적어 적자가 발생함에도 운행을 중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140]
- 신촌·양화로 중앙차로 이용 문제: 2009년 서울시의 중앙차로 개통과 함께 일부 광역버스 노선의 통행이 제한되면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143]
- 공항버스 환승 문제: 과거 인천공항을 오가는 공항좌석버스는 시내 구간만 이용할 경우 환승 할인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145]
- 공항버스 보조금 문제: 인천시는 천연가스버스 차량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147] 다음은 보조금 액수와 시내버스 및 공항버스 차종별 가격을 나타낸 표이다.
노선 유형 | 대당 보조금 | 참조 페이지 | |
---|---|---|---|
시내버스 | 1600만원~1850만원 | https://web.archive.org/web/20140201153550/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001/e2010012818331493840.htm 근거 자료 | |
생산업체 | 차종 | 대당 가격 | 참조 페이지 |
현대자동차 | NSAC (좌석형 CNG) | 1.02755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1018080805/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NewSuperAeroCity.aspx 참조 페이지 |
LS (전중문형 CNG) | 1.218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1017044845/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AeroSpace.aspx 참조 페이지 | |
LS (전문형 CNG) | 1.3713억원 (VAT 포함) | ||
유니버스 (엘레강스 CNG) | 1.4263599999999999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0822211020/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Universe.aspx 참조 페이지 | |
유니버스 (럭셔리 CNG) | 1.4694999999999998억원 (VAT 포함) | ||
자일대우버스 | BS106 (좌석형 CNG) | 1.00892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30936/http://www.gmdw.co.kr/dwms/vehi/price/BUS_201003/BS106.pdf 참조 페이지 |
FX II 116 (직행좌석 CNG 전문형) | 1.2819999999999998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30535/http://www.gmdw.co.kr/dwms/vehi/price/BUS_201003/FX-LINEUP.pdf 참조 페이지 | |
FX II 116 (직행좌석 CNG 전중문형) | 1.28억원 (VAT 별도) | ||
2010년 3월 말 기준 |
9. 1. 준공영제 예산 문제
시에서 준공영제와 관련하여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겪고 있는 상황은 여러 부분에서 감지할 수 있다. 2011년 7월 기준으로, 시에서는 10월에서 연말까지 준공영제 관련 예산 175억 원을 확보하지 못해 수익이 적은 노선의 감차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이는 예산 집행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직접적인 근거이다. 2010년과 2011년 준공영제 시행을 위해 시에서 책정한 예산은 각각 513억 원과 520억 원이었다.[132]간선버스와 지선버스 간 요금 차이도 시에서 매년 상당한 돈을 적자 보전에 사용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성인 교통카드 기준으로 지선버스 요금은 간선버스의 2/3에 불과하여, 간선버스 적자가 상당한 수준이다. 실제로 인천시내버스 1대당 운송 수입은 하루 33.8만원으로 전국 최하위였으며, 시에서는 당시 노선 재조정과 요금 인상을 검토했다.[55]
2011년 7월 1일부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5개 버스회사 노조원들이 6월 25일부터 3일간 한시적으로 파업을 실시한 것도 시의 열악한 재정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133] 삼화고속 노동자들은 7월 8일부터 3일간 파업을 다시 실시하였는데, 10년간 임금 인상이 없었던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었지만, 이들의 요구 사항에는 간선·지선 간 임금 격차 해소도 포함되어 있었다.[134]
9. 2. 삼화고속 복수노조 문제
2011년 삼화고속 노조의 상급단체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한국노총 소속 250여 명 규모의 기존 노조는[135] 2011년 3월 새로운 집행부가 구성되면서 민주노총으로 상급단체가 변경되었다.[136] 그러나 복수노조 설립이 전면 허용됨에 따라[137] 7월 1일부터 한국노총을 상급단체로 하는 28명 규모의 복수노조가 새로이 등장하면서[135] 문제가 복잡해졌다. 사측과 기존 노조 측은 7월 14일 1차 재교섭을 인천영업소에서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복수노조 조합원들이 '단일교섭창구가 정해지지 않았다'며 사측 대표들의 회의장 진입을 저지하여 교섭이 무산되었다.[138] 기존 노조 측은 '재교섭에 나서기로 합의서까지 작성한 만큼 정당하게 획득한 교섭권'이라며 반발하였고, 사측이 복수노조를 앞세워 교섭을 방해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였다. 2011년 7월 4일에는 7명의 조합원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과는 다른 노선의 '제3노조'를 설립하여 삼화고속 내 노동자 간 역학 관계가 복잡해졌다. 기존 노조는 7월 19일 예정된 2차 교섭에 사측이 성실히 임하지 않으면 재파업에 돌입할 것임을 예고하였다.[135]9. 3. 급행간선버스 문제
인천광역시는 준공영제로 인해 재정적 부담을 겪고 있으며, 수도권 다른 지역에는 없는 급행간선버스 노선들이 운행되고 있다. 이 노선들은 한정면허로 운영되며, 2009년 2월 25일 준공영제 전면 실시와 함께 신설되었다. 급행간선버스는 기존 지/간선버스 정류소를 3~4개 가량 무정차하지만, 일부 예외도 있다. '급행간선'이라는 명칭은 '간선급행버스체계'와는 관련이 없다.[139]공영급행, 영종운수, 대한여객, 천지교통이 급행간선버스를 운행한다. 그러나 적자로 인해 11개 노선 중 906번은 2009년 8월 16일 폐선되었고, 904번과 908번도 2010년 3월 10일 폐선이 검토되었다. 이 노선들은 준공영제 대상에서 제외된다.[139]
9. 4. 광역급행버스 문제
국토해양부의 광역급행버스 M6405번이 송도국제도시~강남역 간을 운행하고 있다. 수도권의 다른 지역 M버스 노선들과 달리, M6405번은 승객 수가 적어 적자가 발생함에도 운행을 중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140] 노선 신설 당시 국토해양부의 자체 지침[141]으로 정류소 설치에 제한을 둔 것에 대한 불만도 제기되었다. 2010년 8월 1일부터 이 노선의 운행업체가 인천선진교통에서 인강여객으로 변경되었다.9. 5. 신촌.양화로 중앙차로 이용 문제
서울시에서는 간선도로에서 버스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중앙차로 구간을 지속적으로 늘려 왔으며,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로 2009년 12월 26일 양화대교 북단~이대역 구간의 중앙차로가 개통되었다. 이와 동시에 서울시는 이 구간을 지나는 삼화고속 소속의 광역버스 노선들 중 승객 수가 많아 정체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1300번, 1400번, 1500번, 1600번, 1601번의 중앙차로 통행을 제한하였다.[142] 하지만 이 구간을 지나는 다른 시내버스 노선들뿐만 아니라 같은 회사 소속의 1000번, 1100번, 1101번, 1200번, 1301번 버스에 비해 승객 수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통행 제한의 근거가 된 데 대해 지속적으로 형평성 문제를 비롯한 각종 불만이 제기되었으며,[143] 이에 따라 2010년 5월 1일부터 기존에 통행이 제한되었던 5개 노선들도 중앙차로의 일부 구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44]9. 6. 공항버스 환승 문제
인천광역시에서 준공영제와 관련하여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시내와 인천공항 간을 운행하는 공항좌석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아 다른 교통수단과의 환승 할인이 가능했다. 그러나 한동안 시내 구간만 이용하는 경우, 운전기사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어린이 요금(1,000원)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있었다.[145] 이 경우, 성인은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환승을 원하는 승객은 운전기사에게 환승 처리를 요구할 수 있었지만, 일부 운전기사들은 공항버스가 다른 버스와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정상 요금(2,200원) 처리를 회피하기도 했다.[145] 이러한 문제는 2010년 2월 25일 시내 구간 요금이 폐지되면서 해결되었다.[146]
그러나 타 지역(서울, 경기 포함) 공항버스와는 환승 할인이 되지 않는데, 이는 이들 노선이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9. 7. 공항버스 보조금 문제
2010년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에서는 천연가스버스 차량 한 대당 1600만원~18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147] 한편, 2010년 기준으로 정부에서 인천시에 보조하는 국고의 액수는 2014 인천아시안게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의 사업에서 증액되어 전년인 2009년보다 1,394억 원 증액된 상태이다.[148]다음은 인천광역시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의 액수와 시내버스 또는 공항버스에서 흔히 쓰이는 시내좌석형과 고급좌석형 모델의 2010년 3월 말 가격을 나타낸 것이다.
노선 유형 | 대당 보조금 | 참조 페이지 | |
---|---|---|---|
시내버스 | 1600만원~1850만원 | [https://web.archive.org/web/20140201153550/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001/e2010012818331493840.htm 근거 자료] | |
생산업체 | 차종 | 대당 가격 | 참조 페이지 |
현대 | NSAC (좌석형 CNG) | 1.02755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1018080805/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NewSuperAeroCity.aspx 참조 페이지] |
LS (전중문형 CNG) | 1.218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1017044845/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AeroSpace.aspx 참조 페이지] | |
LS (전문형 CNG) | 1.3713억원 (VAT 포함) | ||
유니버스 (엘레강스 CNG) | 1.4263599999999999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00822211020/http://www.hyundai.com/kr/ShowRoomCommercial/Universe.aspx 참조 페이지] | |
유니버스 (럭셔리 CNG) | 1.4694999999999998억원 (VAT 포함) | ||
대우 | BS106 (좌석형 CNG) | 1.00892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30936/http://www.gmdw.co.kr/dwms/vehi/price/BUS_201003/BS106.pdf 참조 페이지] |
FX II 116 (직행좌석 CNG 전문형) | 1.2819999999999998억원 (VAT 별도)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230535/http://www.gmdw.co.kr/dwms/vehi/price/BUS_201003/FX-LINEUP.pdf 참조 페이지] | |
FX II 116 (직행좌석 CNG 전중문형) | 1.28억원 (VAT 별도) | ||
2010년 3월 말 기준 |
9. 8. 시외직행버스와 환승할인 문제
과거 삼화고속에서 운행하는 노선 중 상당수는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 않는 시외직행 형태로 운행되어 이와 관련된 불만이 자주 제기되었다. 그러나 2011년 4월 8일 인천시 측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라 이들 노선도 점차 광역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2011년 6월 1일 마지막까지 시외직행 노선으로 남아 있던 9900번과 9901번이 통합 및 형간전환됨으로써 마무리되었다.[88]10. 기타
인천시내버스는 첫차와 막차 운행 방식이 독특하다. 서울처럼 기점에서 첫차가 일괄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지점에서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예를 들어 36번 시내버스는 여러 지점에서 첫차가 출발한다.[1] 막차 시간에도 많은 노선이 중간 지점에서 회차한다.[1]
수도권 내에서는 교통카드 전국호환이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타 지역과의 호환성 문제는 꾸준히 제기되었다. 국토해양부는 2010년 업무 보고회를 통해 전국 교통카드 호환 계획을 발표하고,[149] 관련 장비 인증 요령을 고시하였다.[150] 경기도는 2009년 '경기도 교통카드 전국호환 공동지역계획'을 발표하며 전국 교통카드 호환사업의 혜택을 가장 먼저 받게 되었다.[151]
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는 분실물 게시판(분실물 게시판)을 운영하여 분실물 신고를 받고 있다. 이 게시판에는 운송사업조합 소속 노선뿐만 아니라 인천버스협회 소속 노선에서 발생한 분실물도 함께 접수된다. 습득된 유실물은 정해진 경로에 따라 처리된다.
10. 1. 첫차 및 막차 운행 방식
인천시내버스는 비교적 장거리 노선에서 서울처럼 기점에서 첫차가 일괄 출발하는 방식이 아니라, 중간 지점에서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36번 시내버스의 첫차 및 막차 운행시간표를 보면 여러 지점에서 첫차가 출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1]연안부두 → 숭덕여고 | 숭덕여고 → 연안부두 | ||||
---|---|---|---|---|---|
출발 정류장 | 첫차 | 막차 | 출발 정류장 | 첫차 | 막차 |
연안부두 | 05:30 | 23:00 | 숭덕여고 | 05:28 | 23:00 |
항운아파트 | 05:30 | 23:07 | 모래내시장 | 05:30 | 23:08 |
인하대병원 | 05:30 | 23:11 | 신세계백화점 | 05:28 | 23:18 |
구.터미널 | 05:33 | 23:20 | 신기촌시장 | 05:32 | 23:27 |
독쟁이고개 | 05:32 | 23:24 | 독쟁이고개 | 05:28 | 23:36 |
신기촌시장 | 05:32 | 23:31 | | | ||
신세계백화점 | 05:28 | 23:37 | | | ||
모래내시장 | 05:33 | 23:46 | | |
막차 시간대에도 비슷한 상황이다. 36번 버스뿐만 아니라 6-1번(6번 버스=동인천) 시내버스도 막차 시간에 인천터미널까지만 운행하는 차량이 있는 등, 많은 노선이 막차 시간에 중간 지점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1]
10. 2. 교통카드 전국호환 지역공동계획
현재 수도권 내에서 통용되는 교통카드는 인천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내에서는 거의 완벽한 교통카드 호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타 지역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거나 수도권 내에서 통용되는 카드를 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는 등 현재 통용되는 교통카드 간의 호환성 문제가 꾸준히 존재하였다. 국토해양부에서는 2009년 12월 30일 열린 '2010 업무 보고회'를 통해 전국 7개 도시, 107개 시·군에서 사용 중인 교통카드를 전국에서 모두 호환이 가능하도록 바꾸는 등의 내용을 발표하였다.[149] 그 후속조치로 국토해양부는 2010년 4월 5일 '교통카드 관련 장비의 전국호환성 인증 요령'을 고시하고, 인증업무 대행기관으로 건설교통기술평가원을 지정하였다.[150] 한편 경기도에서는 이에 앞서 2009년 12월 7일 '경기도 교통카드 전국호환 공동지역계획'을 발표하였으며, 21일 이와 관련한 시행 로드맵을 확정함으로써 전국에서 교통카드 호환사업의 혜택을 가장 먼저 받게 되었다.[151]10. 3. 분실물 관련
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는 별도의 게시판(분실물 게시판)을 두어 분실물 관련 신고를 받고 있으며, 이 페이지에는 운송사업조합 소속 노선 뿐만 아니라 인천버스협회 소속 노선에서 발생한 분실물들도 함께 접수되고 있다. 습득된 유실물의 처리 방법은 다음의 경로를 따른다.참조
[1]
뉴스
오르다 숨 막히던 그 버스여…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10-06-17
[2]
뉴스
한국 첫 시내버스는 대구서 운행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2-28
[3]
뉴스
버스종합(綜合)터미널 인천남구용현동(仁川南區龍峴洞)에 건설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0-06-12
[4]
뉴스
三和高速駐車場移轉令(삼화고속주차장이전령)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0-02-07
[5]
뉴스
서울~仁川간 直行버스운행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0-02-07
[6]
뉴스
인가(認可)받은 버스터미널 이용(利用)못하게돼 말썽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0-06-12
[7]
뉴스
大邱.仁川 直轄市승격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0-02-07
[8]
웹인용
버스조합소개 : 연혁
http://www.incheonbu[...]
2010-06-12
[9]
뉴스
마을버스 한정 면허 인천(仁川) 내달15일 시행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0-06-12
[10]
뉴스
인천(仁川) 시내버스 토큰제 첫시행 2일부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0-06-12
[11]
뉴스
버스 택시 자동안내 실시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0-06-12
[12]
뉴스
인천(仁川)도 버스전용차선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0-06-12
[13]
뉴스
인천(仁川)~강화(江華) 시내좌석 전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0-06-12
[14]
뉴스
인천(仁川) 고속시외버스터미널 관교동으로 96년까지 옮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0-06-12
[15]
웹인용
인천교통공사 연혁
http://www.ictr.or.k[...]
2010-06-27
[16]
뉴스
인천 마을버스 시내버스 전환, 요금인상
http://www.ispp.or.k[...]
연합뉴스
2010-02-07
[17]
뉴스
인천시내버스 전 노선 '교통카드제 시행'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2-07
[18]
뉴스
인천-서울 광역버스 노선 신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2-07
[19]
뉴스
인천 대중교통 환승할인제 확대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2-07
[20]
뉴스
인천 교통 환승시 50% 할인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10-02-07
[21]
뉴스
인천 버스→지하철 환승때도 내년 4월부터 50% 할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2-07
[22]
뉴스
인천시내버스도 색깔 바꾼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8-14
[23]
뉴스
인천시, 버스정보관리시스템(BIS/BMS) 착수 보고회 개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04
[24]
뉴스
인천 내달부터 시내버스 요금 100원 인상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2-07
[25]
뉴스
인천 섬지역 좌석→시내버스 환승 오늘부터 할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2-07
[26]
뉴스
버스도착 정보 서비스 내달 1일부터 실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6-26
[27]
뉴스
인천시 "버스준공영제, 2월25일로 연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2-07
[28]
웹인용
버스준공영제 ‘반쪽 시동’
http://incheon.kdlp.[...]
2010-07-04
[29]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15개 노선 개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2-07
[30]
뉴스
반쪽짜리 버스 준공영제
http://www.ytn.co.kr[...]
YTN
2010-02-07
[31]
뉴스
인천 도서지역 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8-14
[32]
뉴스
인천 무의도·강화군·영흥면… 7개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8-14
[33]
뉴스
서울·경기·인천, 버스 도착정보 ´통합´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0-07-01
[34]
뉴스
인천 녹색버스 요금 500원 올린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4-23
[35]
웹인용
버스조합소개 : 연혁
http://www.incheonbu[...]
2010-06-12
[36]
웹인용
905번 버스 정류장
http://www.incheonbu[...]
2010-07-27
[37]
웹인용
버스정류장은 왜 있나요??
http://www.incheonbu[...]
2010-07-27
[38]
웹인용
"<공고> 인천버스협회 : 032-574-1015"
http://www.incheonbu[...]
2010-07-27
[39]
웹인용
12번버스........ 선진교통
http://www.incheonbu[...]
2010-07-27
[40]
뉴스
인천시버스조합 해산 명령
https://web.archive.[...]
교통신문
2010-08-14
[41]
뉴스
신공항을 첨단 서비스 도시로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10-02-07
[42]
뉴스
메가시티 향한 첫 걸음, '수도권 통합요금제'
http://www.cbs.co.kr[...]
인사이드경기
2010-07-04
[43]
뉴스
버스 탈때도 지하철패스카드 사용 가능...서울시, 5일부터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2-07
[44]
뉴스
새해부터 달라지는 인천시 정책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2-07
[45]
웹인용
인천 버스 요금표(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http://www.bus.or.kr[...]
2010-03-01
[46]
웹인용
최기선 인천시장은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버스정책을 펴라
https://web.archive.[...]
인천연대
2010-02-07
[47]
뉴스
인천지역 마을버스, 2월부터 시내버스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2-07
[48]
뉴스
마을버스 업체 “2월부터 인상요금 받겠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2-07
[49]
뉴스
시내버스 만족도 부평버스 1위, 용현운수 최하위
http://www.i-today.c[...]
인천신문
2010-04-08
[50]
뉴스
용현운수의 진로방해·밀착운행 현장포착
http://www.incheonne[...]
인천뉴스
2010-04-08
[51]
뉴스
용현운수-인하대 갈등, 장기화 조짐
http://www.incheonne[...]
인천뉴스
2010-04-08
[52]
뉴스
경찰지구대 앞에서 폭행, 학생들 부상 경찰 '팔짱'
http://www.incheonne[...]
인천뉴스
2010-04-08
[53]
뉴스
인하대 '무료셔틀버스' 대폭 증차 운행
http://www.incheonne[...]
인천뉴스
2010-04-08
[54]
뉴스
인천 대중교통개편, 서울 따라잡기 힘드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55]
뉴스
운송수입 전국 꼴찌…시내버스 체계 개선
http://news.sbs.co.k[...]
SBS
2011-07-15
[56]
뉴스
서울~경기 대중교통비 30~40% 이상 싸진다.
http://www.cbs.co.kr[...]
노컷뉴스
[57]
뉴스
인천시 버스 준공영제 도입 공청회
https://web.archive.[...]
교통신문
2010-02-07
[58]
뉴스
부천 버스는 공짜인데, 인천만 '짠물 버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59]
뉴스
인천 내년 4월 통합환승할인제
http://news.khan.co.[...]
뉴시스
2010-02-07
[60]
뉴스
인천 내년 7월 '통합환승할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2-07
[61]
뉴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대폭 변경
http://enewstoday.co[...]
오늘경제
2010-02-07
[62]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수입금공동관리 8월 시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2-07
[63]
뉴스
수도권 대중교통 환승하면 인천시민도 7월부터 할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2-07
[64]
뉴스
인천시 8월부터 수도권 통합환승제 전격 실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2-07
[65]
뉴스
수도권 통합환승제 9월로 연기
https://web.archive.[...]
국민일보
2010-02-07
[66]
뉴스
인천시 수도권통합환승할인제 10월초로 연기될 듯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02-07
[67]
뉴스
인천 시내버스 수입금 공동관리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0-02-07
[68]
뉴스
내달 10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2-07
[69]
뉴스
오늘부터 인천도 대중교통 통합 환승 할인
https://news.naver.c[...]
MBC
2010-02-07
[70]
뉴스
준공영제 놓고 인천시-버스회사 정면 충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71]
뉴스
준공영제 놓고 인천시-버스회사 정면 충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72]
뉴스
인천시민 '발'도 이젠 서울 안 부럽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73]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수입금공동관리 준공영제 시행
http://anews.icross.[...]
뉴스와이어
2010-02-07
[74]
뉴스
인천, 준공영제 본격 시동
http://www.ktpress.c[...]
운송신문
2010-02-07
[75]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수입금공동관리 준공영제 시행
http://www.siminilbo[...]
뉴스와이어
2010-07-03
[76]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서울형 준공영' 추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04
[77]
뉴스
버스준공영제 1년… 갈길 멀다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3-16
[78]
뉴스
인천도시축전, 28억 날리고 입장료환불소송 패소 위기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5-27
[79]
뉴스
인천시 "위약금 아니고 철수비, 소송은 아직 진행중"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5-27
[80]
뉴스
‘인천세계도시축전’으로 불러주세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02-07
[81]
뉴스
인천시 재정 상태 '빨간불'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2-07
[82]
뉴스
지자체 행사비 年6912억 사용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02-07
[83]
웹인용
인천버스협회
http://incheonbus.or[...]
2010-07-04
[84]
뉴스
인천시,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 인천시민 이용률 10배↑
http://www.busnews.c[...]
버스뉴스
2010-02-07
[85]
뉴스
먹통 통합환승 시스템 '요금도둑'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2-07
[86]
뉴스
인천 도서지역 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s://news.naver.c[...]
YTN
2010-10-24
[87]
뉴스
인천 무의도·강화군·영흥면… 7개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10-24
[88]
웹인용
9900번, 9901번 노선 통합 안내
http://www.samhwaexp[...]
2011-06-02
[89]
뉴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이 안 되는 '불행한' 버스 노선들
http://news.nate.com[...]
오마이뉴스
2010-02-07
[90]
웹사이트
요금정보안내
http://bus.incheon.g[...]
2023-10-07
[91]
웹인용
수도권통합요금제안내
http://bus.incheon.g[...]
2011-07-20
[92]
뉴스
'공항신도시 ~ 송도' 내달부터 버스 운행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2-07
[93]
간행물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http://www.mltm.go.k[...]
[94]
뉴스
공항철도 인천구간 ‘바가지 요금’ 주민 분통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8-18
[95]
뉴스
버스도착 정보 서비스 내달 1일부터 실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4-23
[96]
웹인용
서울.경기.인천 버스 도착시간 실시간 통합 안내
http://academic.nave[...]
2010-07-14
[97]
뉴스
광역버스 운행 정보 수도권 어디서나 볼 수 있다
http://news.cnbnews.[...]
CNBNEWS
2010-02-28
[98]
뉴스
수도권 BIS구축사업 4월 마무리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2-28
[99]
뉴스
인천시, 수도권 광역버스정보시스템 다음달 1일 본격 운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6-12
[100]
웹인용
지능형교통체계 - 교통관리서비스
http://www.mta.go.kr[...]
2011-08-05
[101]
뉴스
서울-경기-인천 버스 실시간 통합 안내
http://businessnews.[...]
비즈니스앤TV
2010-06-04
[102]
뉴스
서울서 경기·인천 버스 정보 실시간 제공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7-01
[103]
뉴스
道, 내달 수도권 광역버스 정보 제공 확대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7-01
[104]
문서
간선버스 및 광역버스 정보
[105]
뉴스
강화-서울간 시내버스 운행 개통식 가져
http://media.daum.ne[...]
노컷뉴스
2010-02-07
[106]
뉴스
인천형 버스준공영제
http://kihoilbo.co.k[...]
기호일보
2010-02-07
[107]
뉴스
10년 넘게 준비한 인천 교통체계 개편, 아쉬움 많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2-07
[108]
뉴스
청소년인권과 버스카드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0-02-07
[109]
웹인용
시내버스 안내방송에 대한 잡담 2
http://blog.naver.co[...]
2010-06-20
[110]
웹인용
민기획
http://map.naver.com[...]
2010-06-20
[111]
뉴스
서울 어디에서든 들을 수 있는 `This stop is…` 주인공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2-07
[112]
뉴스
인천시, 이달부터 시내버스 영어 안내방송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0-02-07
[113]
웹인용
시내버스 안내방송 않고 표지판도 없어 시민 多重苦
https://web.archive.[...]
인천연대
2010-02-07
[113]
웹인용
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 민원게시판
http://www.incheonbu[...]
2010-02-07
[114]
뉴스
인천시, CNG버스 2천여대 일제점검
http://www.cbs.co.kr[...]
CBS
2010-08-13
[115]
뉴스
천연가스 시내버스 2만 대 돌파
https://web.archive.[...]
YTN
2010-08-13
[116]
웹인용
인천교통공사 사업현황
http://www.ictr.or.k[...]
2010-02-07
[117]
뉴스
인천 버스정류소 대대적 정비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6-19
[118]
뉴스
인천, 버스 공영차고지 4곳 조성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0-02-07
[119]
뉴스
인천교통공사, 송도 공영차고지 CNG 충전소 운영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2-07
[120]
뉴스
인천시 "진통끝에 남동권역 버스공영차고지 본격 추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2-07
[121]
뉴스
인천 서구 공영차고지 조성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2-07
[122]
뉴스
버스공영차고지 조성사업 "사업비 두배 증가-산넘어 산"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2-07
[123]
뉴스
한진重, 북항배후지 용도변경안 인천시의회 통과…하이투자證"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0-02-07
[124]
뉴스
버스전용차로제 주5일만 운영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0-02-09
[125]
뉴스
인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도입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2-09
[126]
웹인용
청라~강서 BRT 사업계획
https://web.archive.[...]
2010-06-12
[127]
뉴스
내년 2개노선 BRT 시범 사업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0-06-10
[128]
뉴스
인천시 "청라지구~화곡동 BRT 개통 지연
http://www.ytn.co.kr[...]
YTN
2010-06-10
[129]
뉴스
청라~강서 BRT 내년 상반기 첫삽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6-10
[130]
뉴스
인천 청라~서울 화곡동 BRT 2012년 1월 개통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0-06-10
[131]
뉴스
인천시 "인천 북부지역에 대규모 복합환승센터 건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6-10
[132]
뉴스
인천 ‘버스준공영제 지원’ 축소 방침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1-07-15
[133]
뉴스
버스준공영제 불안하다
http://www.i-today.c[...]
인천신문
2011-07-15
[134]
뉴스
삼화고속 전면파업 돌입… 10년 째 임금동결에 뿔난 노조
https://web.archive.[...]
이중앙뉴스
2011-07-15
[135]
뉴스
삼화고속 '1社 3勞'..노노 갈등ㆍ파업재연 조짐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7-16
[136]
뉴스
삼화고속 노조 3일 만에 업무복귀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7-16
[137]
뉴스
오늘부터 복수노조 가능…교섭권은 한 곳만
https://web.archive.[...]
MBN
2011-07-16
[138]
뉴스
삼화고속 노사 첫교섭 '파행'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7-16
[139]
뉴스
인천시 지도가 바뀐다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3-16
[140]
뉴스
M버스 '휙' … 출근길 중간 정류장 주민들 '욱'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0-03-16
[141]
웹인용
M6405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추가 건의
http://www.mltm.go.k[...]
2010-06-29
[142]
뉴스
신촌 버스전용차로 '왕따 사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4-23
[143]
뉴스
버스승객 너무 많은 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4-23
[144]
웹인용
신촌.양화로 정류소 일부 조정 안내
http://www.samhwaexp[...]
2010-04-20
[145]
뉴스
인천공항 좌석버스 1000원에서 2200원,영종도 주민 획일 적용에 반발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0-07-04
[146]
웹인용
인천광역시청 전자민원
http://www.incheon.g[...]
2010-03-27
[147]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155대 천연가스차로 교체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0-03-27
[148]
뉴스
내년 인천 국고보조금 1,394억 늘어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3-27
[149]
뉴스
교통카드 전국서 호환된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2-28
[150]
뉴스
전국서 호환되는 교통카드 나온다
http://www.fnn.co.kr[...]
포커스신문사
2010-04-08
[151]
뉴스
경기도, 전국 최초 교통카드 전국호환사업 시행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0-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