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료품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료품점은 식품과 가정용품을 판매하는 소매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식료품점은 슈퍼마켓, 편의점, 델리카트슨, 건강 식품점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규모와 판매 품목을 특징으로 한다. 식료품점은 셀프 서비스 방식의 슈퍼마켓 등장과 함께 현대화되었으며, 온라인 식료품점의 등장으로 전자 상거래 분야로도 확장되었다. 식품 마케팅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식료품 가격은 세계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식료품점에서는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며, 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품 소매업체 - 에데카
    에데카는 1898년 베를린에서 설립된 독일의 식료품 유통 회사이며, 다양한 매장과 온라인 식료품점을 운영하고 SPAR, Netto Marken-Discount 등의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다.
  • 식품 소매업체 - 핑구 도스
  • 가게 - 이발소
    이발소는 머리카락 손질, 면도, 염색 등으로 용모를 단정하게 하는 곳으로, 주로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 사회의 만남의 장소이자 민족의식 고취의 공간으로 기능해 왔고, 최근 바버샵의 유행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가게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식료품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맨해튼 어퍼 웨스트 사이드의 식료품점
맨해튼 어퍼 웨스트 사이드의 식료품점
메테리, 루이지애나의 델리 & 식료품점
메테리, 루이지애나의 델리 & 식료품점
웨스트 블룸필드 타운십, 미시간의 민족 식료품점
웨스트 블룸필드 타운십, 미시간의 민족 식료품점
브로큰허스트, 영국의 편의점
브로큰허스트, 영국의 편의점
토론토, 캐나다의 유기농 식료품점
토론토, 캐나다의 유기농 식료품점
정의
식료품점주로 식료품 및 기타 가정용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어원
영어grocery
러시아어бакалея (bakaleya)
아랍어بقال (baqqal)

2. 정의

"식료품점"의 정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미국캐나다의 공식적인 정의에서는 편의점과 같이 식료품을 판매하는 일부 사업체를 제외하기도 한다.

2. 1. 대한민국

(내용 없음)

2. 2. 미국

미국에서 "식료품점"이라는 용어는 여러 의미로 사용된다.

  • 메리엄-웹스터 사전은 식료품점을 "식품과 가정용품을 판매하는 상점: 슈퍼마켓"으로 정의한다. 즉,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식료품점"이 슈퍼마켓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2] 옥스퍼드 영어 사전 역시 미국 영어에서 "식료품점"이 종종 "슈퍼마켓"을 뜻한다고 설명한다.[3]
  • 반면, 미국과 캐나다 정부는 식료품점을 슈퍼마켓에 국한하지 않고 더 넓게 정의한다.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 코드 4551에서 "식료품점"은 "일반적인 종류의 식료품을 소매하는 데 주로 종사하는 곳"으로 정의된다.[4] 그 하위 분류인 NAICS 코드 455110 "슈퍼마켓 및 기타 식료품점(편의점 제외)"은 "일반적으로 슈퍼마켓 및 식료품점으로 알려진 곳으로, 통조림 및 냉동 식품, 신선 과일 및 채소, 신선하고 조리된 육류, 생선 및 가금류와 같은 일반적인 종류의 식료품을 주로 소매하는 곳"을 의미한다. 이 산업 분류에는 일반적인 식료품을 주로 판매하는 델리카트슨 형태의 가게도 포함된다.

2. 3. 영국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슈퍼마켓"(대형 식료품점), "코너 샵"[5], "편의점" 또는 "그로서리"(식료품점을 의미)와 같은 용어가 작은 상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북미에서 사용하는 "그로서리 스토어"라는 용어는 잘 쓰이지 않는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그로서리"를 (특히 영국 영어에서) 식품 및 가정용품을 판매하는 상점으로 정의한다.[3]

영국 정부는 "그로서리 (상점)"나 "슈퍼마켓"을 명확히 정의하거나 둘 사이를 구분하지는 않지만, 상점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유형을 분류한다 (이는 식료품 판매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된다):[6]

상점 유형면적 기준
원스톱 샵 (One-stop shop)1400m2 (약 1393.55m2) 이상
중간 규모 상점 (Mid-range store)280m2 ~ 1400m2 (약 278.71m2 ~ 약 1393.55m2)
편의점 (Convenience store)280m2 (약 278.71m2) 미만


2. 4. 인도

인도의 식료품 시장은 8100억달러 규모에 달하며, 이 판매액의 90%는 1,200만 개에 달하는 소규모 식료품점, 즉 ''키라나''(किराना|hin)라고 불리는 가게들에서 발생한다.[7]

3. 역사

식료품점의 역사는 중세 시대 향신료설탕 등 건조 식품을 대량으로 취급하던 상인에서 시작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조림과 같은 보존 기술의 발달로 취급 품목이 점차 확대되었고, 오늘날과 같이 유제품, 육류, 농산물 등 신선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주식을 판매하는 형태로 발전해왔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셀프 서비스 방식이 도입된 것은 식료품점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는 점원 중심의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선택하는 현대적인 슈퍼마켓의 등장을 촉진했다. 이후 대형 체인점, 하이퍼마켓, 할인점 등이 등장하며 유통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소규모 식료품점들은 틈새 시장을 공략하거나 식품 협동조합과 같은 형태로 변화하며 경쟁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3. 1. 초기 역사

그림: '식료품점', 1647


14세기 초부터 식료품상(grocer) 또는 공급업자(purveyor)는 향신료, 피망, 설탕과 같은 식용 건조 식품을 주로 취급하는 상인이었다. 나중에는 코코아 고형분, , 커피 등도 다루었다. 이러한 상품들은 대량으로 구매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도매상'을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 'grossier'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이 단어는 다시 중세 라틴어 용어 'grossarius'[8]에서 파생되었으며, 12다스(144개)를 의미하는 수량 단위 'gross'라는 용어도 여기서 나왔다.

1904년 프랑스, 파리의 식료품점


1600년대 후반부터 1850년대까지 약 2세기 동안 영어권에서 'grocery'라는 단어는 사람들이 술을 마시기 위해 모이는 술집을 의미하기도 했다.[9]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많은 주식통조림이나 덜 부패하는 다른 포장 형태로 나오게 되면서 식료품상이 취급하는 품목의 범위도 넓어졌다. 오늘날 식료품점에서는 유제품, 육류, 농산물과 같이 상하기 쉬운 품목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종류의 주식을 판매한다. 이러한 상품들을 통틀어 '식료품(groceries)'이라고 부른다.[10]

많은 시골 지역에서는 여전히 담배 제품부터 수입 냅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일반 상점(general store)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일반 상점은 고객에게 신용 거래를 제공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신용 카드 시스템과는 달리 상점 주인과 고객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외상 거래 방식이었다. 이를 통해 농가의 경우, 수확물을 판매하여 돈을 마련할 때까지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었다.

3. 2. 현대화

1916년에 문을 연 최초의 셀프 서비스 식료품점, Piggly Wiggly.


최초의 셀프 서비스 식료품점인 Piggly Wiggly는 발명가이자 기업가인 클래런스 손더스에 의해 1916년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문을 열었다.[11][12] 이 혁신 이전의 식료품점은 고객이 원하는 물건을 점원에게 요청하면 점원이 재고에서 찾아 건네주는 "카운터 서비스"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손더스의 셀프 서비스 방식은 훨씬 적은 수의 점원으로도 매장 운영이 가능하게 했으며, 1929년 ''타임'' 잡지에 따르면 "부분적으로는 참신함 때문이고, 부분적으로는 깔끔한 포장과 대규모 광고 배정으로 소매 식료품 판매가 거의 자동화된 절차를 만들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었다.[13]

초기 슈퍼마켓은 식료품점의 체인점 형태로 시작했다. 슈퍼마켓 및 기타 대형 식료품점의 발전은 소규모 식료품점이 슈퍼마켓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독특하고 고급 품질 또는 민족 음식을 판매하여 틈새 시장을 창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했다. 소규모 식료품점은 또한 고객에게 가깝고 편리한 혼합 상업-주거 지역에 위치하여 경쟁할 수 있다. 유기농 식품 또한 소규모 매장의 더 인기 있는 틈새 시장이 되고 있다.

식료품점은 IGA와 같은 시골 가족 운영에서 홀 푸드 마켓 및 트레이더 조스와 같은 부티크 체인, 월마트 및 크로거 마켓플레이스와 같은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체 쇼핑객이 소유한 식품 협동조합 또는 "co-op" 시장이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더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매장으로의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월마트, 타겟, 마이어와 같은 매우 큰 "올인원" 하이퍼마켓은 최근 일부 지역에서 식료품 사업의 통합을 강요했고, 달러 제너럴과 같은 할인점의 농촌 지역 진출은 많은 전통적인 식료품점을 약화시켰다. 이러한 매우 효율적인 회사의 글로벌 구매력은 전통적인 지역 식료품점과 전국 슈퍼마켓 체인점에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많은 곳이 2010년대의 소매 위기에 휩쓸렸다.

포르투갈 포르투의 식료품점. 유럽의 많은 도시에서는 여전히 소규모 식료품점을 찾아볼 수 있다.


많은 유럽 도시는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 있어 미국의 대형 슈퍼마켓이 동네 식료품점을 대체할 수 없다. 그러나 많은 국가의 도시와 시내 중심가에 "Metro" 매장이 등장하여 독립적인 소규모 매장이 쇠퇴하고 있다. 영국의 테스코 및 세인즈버리스와 같은 대형 도시 외곽 슈퍼마켓하이퍼마켓은 소규모 매장의 거래를 꾸준히 약화시키고 있다. 스파 또는 메이스와 같은 많은 식료품 체인이 일반적인 가족 사업 모델을 인수하고 있다.

4. 유형

식료품점은 작거나 큰 실물 매장 또는 전자 (온라인) 매장일 수 있다.

미국 식품 산업 협회(FMI)는 윌라드 비숍(Willard Bishop)의 연구를 바탕으로 식료품을 판매하는 다음과 같은 형식(매장 유형)을 정의한다.[15]

매장 유형미국 FMI 식품 산업 협회/비숍 기준 정의
전통적인 식료품점
전통적인 슈퍼마켓최소 연간 200만달러의 판매액을 기록하고 일반 상품(GM) 및 건강 및 미용 용품(HBC) 판매가 최대 15%를 차지하는, 식료품, 육류 및 농산물을 모두 취급하는 매장. 이 매장은 일반적으로 15,000개에서 60,000개 사이의 SKU(매장 크기에 따라 다름)를 취급하며 서비스 델리, 서비스 베이커리 및/또는 약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앨버슨스(Albertsons), 세이프웨이(Safeway), 크로거(Kroger), 프라임 슈퍼마켓(Prime Supermarket) 등이 있다.
신선 식품 매장전통적인 슈퍼마켓 및 전통적인 천연 식품 매장과 달리 신선 식품 매장은 부패하기 쉬운 식품을 강조하고, 특히 민족 식품, 천연 식품 및 유기농 식품 분야에서 전통적인 소매업체와 다른 중앙 매장 구색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홀푸드 마켓(Whole Foods), 더 프레시 마켓(The Fresh Market) 및 일부 독립 매장이 있다.
제한적 구색 매장중앙 매장 및 부패하기 쉬운 품목(2,000개 미만)의 제한된 구색을 제공하는 저가 식료품점이다. 예를 들어, 알디(Aldi), 리들(Lidl), 트레이더 조(Trader Joe's), 세이브-어-랏(Save-A-Lot) 등이 있다.
슈퍼 창고대형 전통 슈퍼마켓과 창고형 매장의 고용량 하이브리드이다. 슈퍼 창고 매장은 일반적으로 풀 서비스 부서, 고품질 부패성 식품 및 할인된 가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큐브 푸드(Cub Foods), 푸드 4 레스(Food 4 Less), 스마트 & 파이널(Smart & Final) 등이 있다.
기타 (소형 식료품점)주요 식료품과 기타 편의 상품의 제한된 구색을 취급하는 소형 동네 식료품점이다. 이 매장은 연간 약 100만달러의 사업을 창출한다.
비전통적인 식료품점
도매 클럽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며, 창고형 환경에서 제한된 종류의 제품을 제공하는 회원제 소매/도매 하이브리드이다. 이 약 약 11148.36m2 규모의 매장은 60%에서 70%의 GM/HBC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량 크기 및 대량 판매 전용 식료품 라인을 갖추고 있다. 회원 자격에는 사업 계정과 소비자 그룹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샘스 클럽(Sams Club), 코스트코(Costco), BJs 도매 클럽(BJ's Wholesale Club) 등이 있다.
슈퍼센터대형 전통 슈퍼마켓과 대형 할인점의 하이브리드이다. 슈퍼센터는 다양한 식품과 비식품 상품을 제공한다. 이 매장은 평균 약 15793.52m2가 넘으며 일반적으로 공간의 40%를 식료품에 할애한다. 예를 들어, 월마트 슈퍼센터, 슈퍼 타겟, 마이어(Meijer), 크로거(Kroger) 마켓플레이스 등이 있다.
달러 매장전통적으로 필수품과 잡화를 판매했지만 현재는 공격적인 가격으로 판매되는 식품 및 소비재 품목의 판매가 전체 매출의 최소 20%에서 최대 66%를 차지하는 소규모 매장 형식이다. 예를 들어, 달러 제너럴(Dollar General), 달러 트리(Dollar Tree), 액션, 펩앤코(Pep&Co), 파운드랜드(Poundland), 패밀리 달러(Family Dollar) 등이 있다.
드럭스토어소비재, 일반 상품 및 계절 상품에서 총 판매의 20% 이상을 창출하는 처방약 기반의 드럭스토어이다. 이 채널에는 월그린스(Walgreens), DM, A.S. 왓슨 그룹(AS Watson), CVS 약국(CVS Pharmacy)과 같은 주요 체인 드럭스토어가 포함된다.
대형 할인점주로 하드라인, 의류, 전자 제품 및 스포츠 용품을 판매하지만 식료품 및 비식용 식료품도 취급하는 대형 매장이다. 이 채널에는 전통적인 월마트, K마트, 타겟 등이 포함된다.
군대 (군 매점)식료품 및 소비재를 취급하는 일반 식료품점과 유사한 형식이지만 현역 또는 퇴역 군인만 사용할 수 있다. 민간인은 이러한 매장(군 매점이라고 함)에서 쇼핑할 수 없다.
전자 상거래 (식품 및 소비재)결제 또는 이행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장치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여 주문한 식품 및 소비재 제품이다. 이 채널에는 아마존 및 피포드(Peapod)는 물론 Coborns (Coborns Delivers) 및 ShopRite (ShopRite Order, Pickup, Deliver 및 ShopRite Delivers)과 같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소매업체가 생성한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가 포함된다. 위의 다른 비전통적인 소매 부문에는 해당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가 포함된다.


4. 1. 소형

미국 식품 산업 협회(FMI)는 윌라드 비숍(Willard Bishop)의 연구를 바탕으로 식료품점을 분류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소형 식료품점'은 주요 식료품과 기타 편의 상품의 제한된 구색을 취급하는 작은 규모의 동네 식료품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매장은 일반적으로 연간 약 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다.[15] 더 자세한 유형으로는 동네 식료품점, 편의점 등이 있다.

4. 1. 1. 동네 식료품점

암만의 코너 스토어


개발도상국에서는 식료품 구매의 상당 부분이 소규모 가족 운영 식료품점, 소위 "엄마 가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8100억달러 규모의 인도 식품 및 식료품 시장 매출의 90%는 "키라나"라고 불리는 1,200만 개의 소규모 식료품점에서 발생한다.[16] 마찬가지로 멕시코에서도 "티엔다 데 라 에스키나"(직역하면 "코너 스토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이 식료품과 잡화를 구매하는 일반적인 장소이다.[17]

델리카트센은 고급 식품을 판매하는 식료품점의 일종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이름은 종종 "델리"로 줄여서 사용된다.[19] "델리카트센"이라는 용어는 "진미" 또는 "고급 식품"을 의미한다. 영어에서 "델리카트센"은 원래 특별히 조리된 이 음식을 의미했다.

4. 1. 2. 편의점

핀란드 윔펠리에 있는 편의점


'''편의점'''은 식료품, 간식, 과자, 세면도구, 청량음료, 담배, 신문 등 일상 용품을 갖춘 소규모 상점이다. 편의점은 잡화점이나 마을 상점과 달리 주로 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대형 상점을 보완하는 편리한 역할을 한다.

최신의 대형 편의점은 매우 다양한 품목을 갖추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품 선택의 폭은 슈퍼마켓에 비해 제한적이며, 많은 경우 품목당 한두 가지 선택지만 제공한다. 편의점은 일반 식료품점이나 슈퍼마켓보다 가격이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있고 계산 대기 시간이 짧다는 편리함으로 이를 상쇄한다.[18] 많은 편의점에서는 아침 샌드위치와 같은 즉석식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4. 1. 3. 델리카트슨

일부 식료품점은 히스패닉/라틴 아메리카,[21] 중국, 이탈리아, 중동, 인도, 러시아, 또는 폴란드와 같은 특정 국가 또는 지역의 식품을 전문으로 취급한다. 이러한 상점은 미국에서 '민족 시장'(ethnic markets),[22] '민족 식품 시장'(ethnic food markets), '민족 식료품상'(ethnic grocers) 또는 '민족 식료품점'(ethnic grocery stores)으로 불린다.

이러한 유형으로는 아시아 외 지역의 아시아 슈퍼마켓이나 미국 내 보데가 또는 히스패닉 슈퍼마켓, 네덜란드의 토코 등이 있다.

코셔 슈퍼마켓이나 다른 종교적 음식 전통을 따르는 시설 역시 특정 민족 요리와 관련될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시장 조사 기관 IBISWorld는 2023년 미국 내 민족 식료품점의 매출이 약 510억달러[23]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미국 전체 슈퍼마켓 매출 8190억달러의 약 6%에 해당한다.[24] 2016년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의 체인점은 히스패닉 슈퍼마켓인 수페리어 그로서(Superior Grocers)로 약 1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멕시코 체드라우이 그룹(Chedraui Group)의 자회사인 엘 수페르-보데가 라티나(El Súper-Bodega Latina)는 약 12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4. 1. 4. 청과상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청과상'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다. 원본 소스는 '건강 식품점'에 대한 설명이다.

4. 1. 5. 민족 시장

뉴질랜드 모스기엘에 있는 밀크 바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 밀크 바(Milk Bar)는 교외 지역의 지역 잡화점 또는 카페를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용어로는 턱 숍(Tuck shop), 델리카트슨(Delicatessen) 또는 "델리"(Deli), 코너 숍(Corner shop) 등이 있다. "밀크 바"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한 사업은 1930년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1940년대 후반에 이르러 밀크 바는 단순한 식료품점을 넘어, 젊은이들이 즉석 식품과 무알코올 음료를 구매하고 사교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발전했다.

4. 1. 6. 밀크 바

4. 2. 대형

대형 식료품점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소매점을 의미한다. 미국의 식품 산업 협회(FMI)는 식료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규모와 취급 품목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 상당수가 대형 매장에 해당한다.[15]

대표적인 대형 식료품점 형태로는 전통적인 슈퍼마켓이 있다. 이들은 보통 연간 매출 200만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식료품, 육류, 농산물과 함께 일정 비율의 일반 상품 및 건강/미용 용품을 판매한다.[15] 신선 식품을 특히 강조하는 매장이나, 제한된 종류의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매장, 대형 슈퍼마켓과 창고형 매장의 특징을 결합한 '슈퍼 창고' 형태도 존재한다.[15]

식료품 외에 더 넓은 범위의 상품을 함께 취급하는 초대형 매장들도 있다. 회원제로 운영되며 대용량 상품을 주로 판매하는 도매 클럽이나, 슈퍼마켓 기능에 대형 할인점 기능을 결합하여 의류, 전자제품 등 다양한 비식품 상품까지 함께 판매하는 슈퍼센터가 대표적이다.[15] 도매 클럽은 평균 약 11148.36m2 정도의 넓은 면적을 가지며, 슈퍼센터는 평균 약 15793.52m2를 넘는 경우도 흔하다.[15]

이 외에도 최근에는 달러 매장, 약국, 대형 할인점 등에서도 식료품 판매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전자 상거래를 통한 온라인 식료품 구매 역시 중요한 유통 채널로 자리 잡았다.[15]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대형 매장들은 소비자의 필요와 구매 패턴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4. 2. 1. 슈퍼마켓

슈퍼마켓은 전통적인 식료품점의 대규모 형태로, 다양한 식품과 가정용품을 통로별로 정리하여 판매하는 셀프 서비스 소매점이다. 슈퍼마켓은 일반적으로 육류, 신선 농산물, 유제품, 구운 식품 매대와 더불어 통조림 및 포장 식품, 주방 용품, 가정용 세제, 약국 제품, 애완동물 용품 등 다양한 비식품 품목을 위한 선반 공간으로 구성된다.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은행, 카페, 보육 시설, 사진 현상, 비디오 대여, 약국 및/또는 주유소 등의 다른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슈퍼마켓농산물 코너

4. 2. 2. 대형마트 (Hypermarket)

대형 할인점슈퍼마켓백화점을 결합한 대형 매장이다. 그 결과, 식료품 전체 라인과 일반 상품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제품을 한 지붕 아래에서 취급하는 광대한 소매 시설이 생겨났다. 대형 할인점 범주에 포함되는 또 다른 유형의 매장은 북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멤버십 기반의 도매 창고형 할인점이다.

포장 식품 통로, 태평양 북서부 지역의 대형 할인점 체인인 프레드 메이어

4. 3. 전자 (온라인)

식료품점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전자 상거래 방식을 이용한 온라인 매장 형태로도 운영될 수 있다. 미국의 식품 산업 협회(FMI)는 윌라드 비숍(Willard Bishop)의 연구를 바탕으로 식료품점 유형을 분류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식품 및 소비재를 주문하는 전자 상거래 방식을 비전통적인 식료품점의 한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15]

4. 3. 1. 온라인 식료품점

온라인 식료품점 배송 트럭


온라인 식료품점은 전자 상거래의 발전과 함께 나타난 비교적 최근의 유통 형태이다.[26] 미국에서는 가장 오래된 온라인 식료품점 중 하나인 Peapod를 비롯하여 여러 업체가 운영되고 있다.[27] 오늘날에는 Netgrocer, MyBrands, Efooddepot 등 온라인 주문의 편리함과 신속한 배송을 통해 양질의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많은 온라인 식료품점이 있다.[28] Amazon.com에서 운영하는 AmazonFresh 및 Prime Pantry, Walmart의 To-Go 서비스, 그리고 Yummy.com이나 RelayFoods와 같은 소규모 회사들까지 미국의 여러 소매업체들이 유사한 사업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29] 2013년 미국의 온라인 식료품점 판매액은 150억달러에 달했다.[30] 온라인 식료품점은 유럽에서 더욱 활성화되어 있으며, 영국에서만 2012년에 71억유로의 판매액을 기록했고, 일부 시장에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시장 규모가 두 배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기도 했다.[31]

5. 식품 마케팅

1967년 식료품점 진열대


식품 마케팅은 식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활동이다.[33] 이는 음식을 이른바 '농장에서 식탁까지' 옮기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이며, 때로는 단 하나의 식품을 만드는 데에도 수많은 생산자와 기업이 관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치킨 누들 수프 한 캔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닭고기와 채소 가공업체는 물론, 재료 운송업체, 라벨 인쇄업체, 캔 제조업체 등 56개에 달하는 회사가 참여한다.[34][35] 이러한 식품 마케팅 시스템은 미국에서 정부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직간접적 고용을 창출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과거 전근대 사회에서는 농부들이 정기적으로 열리는 지역 장날에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가져와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농산물은 지역 식료품상에게 판매되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었다.[36][37] 이후 산업화가 진행되고 식품 가공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생산하고 먼 거리까지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초기의 식료품점은 대부분 고객이 원하는 물건을 말하면 점원이 직접 찾아주는 카운터 서비스 형태였다.[36][38]

20세기에 들어서는 슈퍼마켓이 등장하며 큰 변화를 가져왔다. 슈퍼마켓은 고객이 직접 쇼핑 카트를 이용해 물건을 고르는 셀프 서비스 방식을 도입했으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고 인건비를 절감하여 좋은 품질의 식품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었다. 20세기 후반에는 교외 지역에 대형 창고형 슈퍼마켓이 들어서면서 전 세계의 다양한 식료품을 한 곳에서 판매하는 등 유통 방식은 더욱 발전했다.[39]

현대의 식품 소매업은 소수의 거대 기업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구조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대형 슈퍼마켓 체인들은 농부나 식품 가공업체에 대해 강력한 구매력을 행사하며,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소비자가 식품을 구매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 중 농부에게 돌아가는 몫은 10% 미만에 불과하며, 나머지 상당 부분은 광고, 운송, 그리고 여러 중간 유통 기업들에게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5. 1. 가격

2008년 3월 24일, 전 세계 소비자들이 식품 가격 상승에 직면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41]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기상 변화와 더불어 세계 경제의 급격한 변화가 지목되는데, 여기에는 높은 유가, 낮은 식량 비축량, 그리고 중국인도 등 신흥 경제국의 소비자 수요 증가 등이 포함된다.[41]

미국 노동부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 가계는 전체 지출의 13%를 가정과 식당에서의 식품 구매에 사용하며, 이는 주거 비용(32%)과 교통비(1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2004년 기준으로 미국 평균 가구는 식료품점에서 매달 280USD, 연간으로는 3305USD를 지출했다. 뉴스레터 '달러 스트레처'(Dollar Stretcher)의 설문 조사에서는 가구 규모별 월평균 식료품 지출액을 다음과 같이 추정했다.[42]

가구 규모월평균 식료품 지출액 (추정치)
1인 가구149USD
2인 가구257USD
4인 가족396USD



식료품 가격 및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추세도 존재한다. 1960년대 이후 미국인들의 외식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가정에서의 식료품 구매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32] 또한, 편의점, 드럭스토어, 할인점 등 다양한 형태의 소매점에서 식료품을 판매하게 되면서, 소비자들이 식료품을 구매할 때 전통적인 식료품점을 이용하는 비중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32] 식품의 온라인 판매 역시 소규모지만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인터넷 소매업체나 밀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식료품점 방문 필요성은 더욱 줄어들고 있다.[32]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지역 특산품이나 개성 있는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나비스코(Nabisco)와 같은 대형 전국 브랜드의 매출이 감소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식료품점의 전체적인 판매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32]

6. 음식물 쓰레기

전 세계적으로 식량 생산량의 상당 부분이 손실되거나 버려지고 있으며, 이는 식료품점을 포함한 식품 산업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생산, 유통, 소비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며, 특히 소매 단계에서는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이 임박하거나 지난 상품, 외관상 상품 가치가 떨어진 제품 등이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44][48]

식품 포장은 유통 과정에서 식품을 보호하고 신선도를 유지하여 쓰레기를 줄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45][46] 때로는 재활용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낳기도 한다.[47] 소매점들은 남는 음식을 폐기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49] 음식물 쓰레기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매립 시 메탄 가스 발생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유발하여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52][53][54]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국제 사회와 각국 정부, 기업, 시민 사회 차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55][56][57]

6. 1. 음식물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용기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


2011년 기준으로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3억 톤의 음식이 매년 손실되거나 버려진다. 미국 농무부(USDA)는 매년 식량의 27%가 손실된다고 추정한다.[43] 개발도상국선진국 모두 상업적 농업 또는 산업 농업을 운영하며, 음식물 쓰레기는 식품 산업의 대부분의 단계에서 상당한 양으로 발생할 수 있다.[44]

식품 포장은 농장과 공장에서 창고를 거쳐 소매점으로 운송하는 동안 식품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도착 시 신선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45] 이를 통해 상당한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방지하기도 하지만,[45][46] 포장재가 동물 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오염시키는 등 다른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 감소 노력을 저해할 수도 있다.[47]

소매점 단계에서도 많은 양의 음식이 버려진다. 주로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이 지난 품목들이 해당된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이나 소비기한이 지난 일부 음식도 폐기 시점에는 여전히 먹을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매장마다 잉여 식품을 처리하는 정책은 매우 다양하다. 일부 매장은 빈곤층이나 노숙자의 접근을 막기도 하는 반면, 다른 매장들은 자선 단체와 협력하여 음식을 필요한 곳에 배포하기도 한다.

소매업체는 공급업체와의 계약 관계 때문에 쓰레기를 배출하기도 한다. 농부나 가공업체는 계약된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면 계약이 취소될 위험이 있어, 계약 물량을 맞추기 위해 실제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초과 생산된 물량은 종종 그대로 폐기된다.[48] 일부 식료품점은 유통기한이 지난 델리카트슨 식품이나 빵과 같이 남은 음식을 노숙자 쉼터나 자선 부엌에 기증하기도 한다.[49]

독일 베를린의 음식물 쓰레기 반대 시위


유럽 연합은 2014년을 "음식물 쓰레기 반대의 해"로 선언하며 문제 해결에 나섰다.[50] 과거 많은 소매업체 계약은 식품이 특정 외형 기준을 충족하도록 요구했지만, 최근의 사회적, 정치적 변화로 인해 모양이 완벽하지 않은 토마토나 흠집이 있는 사과와 같은 식품도 새로운 시장을 찾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슈퍼마켓 체인인 인터마르셰는 "못난이 과일과 채소(fruits et légumes moches프랑스어)" 캠페인을 시작하여 이러한 상품을 할인된 가격에 판매함으로써 쓰레기를 줄이고자 했다. 이 캠페인은 판매량이 24%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포르투갈의 소매업체 Fruta Feia 역시 비슷한 사업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유엔 환경 계획(UNEP)의 2021년 분석에 따르면, 생산 과정에서의 손실을 제외하고도 음식물 쓰레기는 모든 국가와 경제 수준에서 심각한 문제이다.[51] 이 연구는 전 세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연간 9억 3,100만 톤(1인당 약 121kg)으로 추정했으며, 발생처는 가구(61%), 식품 서비스(26%), 소매(13%) 순이었다.[51]

음식물 쓰레기는 연간 33억 톤의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을 배출하며,[52][53] 토지 이용, 물 소비, 생물 다양성 손실과 같은 다른 환경 문제와 더불어 농업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음식물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으로는 기부 등을 통한 잉여 음식 재사용, 동물 사료 활용, 영양소 재활용, 에너지 회수 순으로 우선순위가 매겨진다. 메탄 배출 문제로 인해 매립은 가장 지양해야 할 처리 방법으로 간주된다.[54]

국제 사회는 유엔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2.3을 통해 2030년까지 소매 및 소비자 수준에서 1인당 전 세계 음식물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생산 및 공급망 전반의 식품 손실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55] 기후 변화 완화 노력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감축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56][57] 2022년 유엔 생물 다양성 회의에서는 203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50% 감축하기로 국가 간 합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58][59]

참조

[1] 웹사이트 Origin of the Word Grocer https://culinarylore[...] 2013-03-19
[2] 웹사이트 Grocery store https://www.merriam-[...] 2020-07-13
[3] 웹사이트 Grocery https://www.oxfordle[...] 2020-07-13
[4] 웹사이트 '"4451", 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NAICS) Canada 2012' https://www23.statca[...] 2011-10-20
[5] 뉴스 A cultural history of the beloved corner shop https://www.bbc.co.u[...] BBC 2020-03-25
[6] 웹사이트 The grocery market: The OFT's reasons for making a reference to the Competition Commission https://assets.publi[...] Office of Fair Trading (UK Government) 2006-05-01
[7] 웹사이트 How Indian grocery business is becoming big? https://www.indianre[...]
[8] 뉴스 Grocer 1989
[9] 웹사이트 What The Word 'Grocery' Originally Meant https://www.tastingt[...] 2022-06-12
[10] 웹사이트 What does grocer mean? https://www.definiti[...] 2021-09-09
[11] 웹사이트 About Us | Piggly Wiggly http://www.pigglywig[...]
[12] 웹사이트 Tennessee History for Kids http://www.tnhistory[...] Tnhistoryforkids.org 2015-03-06
[13] 간행물 Piggly Wiggly Man http://www.time.com/[...] 1929-02-25
[14] 웹사이트 The future of grocery retail https://www2.deloitt[...] Deloitte
[15] 웹사이트 FMI | Supermarket Facts https://www.fmi.org/[...]
[16] 웹사이트 Cucumbers and gherkins http://apeda.gov.in/[...] 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Export Development Authority, Government of India 2015
[17] 웹사이트 Future is not bright for mom and pop corner grocery stores https://mexiconewsda[...] 2017-12-21
[18] 서적 Understanding Food: Principles and Preparation 2013
[19] 웹사이트 Definition of delicatessen - Merriam-Webster's Student Dictionary http://www.wordcentr[...] Wordcentral.com 2012-09-20
[20] 서적 A Child's Introduction to Poetry http://search.barnes[...]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s 2003-05-01
[21] 웹사이트 The Great Success of Ethnic Supermarkets in the United States https://abasto.com/e[...] 2017-05-15
[22] 서적 Exploring Honolulu's Chinatown Bess Press, Honolulu 1987
[23] 웹사이트 IBISWorld -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s https://www.ibisworl[...]
[24] 웹사이트 IBISWorld -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s https://www.ibisworl[...]
[25] 뉴스 Health Food And The Change In Eating Habits https://www.nytimes.[...] 1984-04-04
[26] 서적 A Strategic Analysis of Online Grocery and Its Future Outlook https://books.googl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ngineering Systems Division 2004
[27] 웹사이트 Peapod who? Online grocer shows Amazon, Walmart how it's done http://www.cnet.com/[...] 2014-04-28
[28] 웹사이트 Online Grocery Shopping With Free Shipping http://www.efooddepo[...] EFoodDepot.com 2015-03-06
[29] 웹사이트 Online grocery growth tests U.S. retail agility http://www.thecitywi[...] The City Wire 2014-04-28
[30] 뉴스 The Food Tech Revolution http://seekingalpha.[...] Seeking Alpha 2014-04-14
[31] 뉴스 Online grocery sales to double in key European markets by 2016: IGD https://www.reuters.[...] 2013-10-23
[32] 웹사이트 The Man Who's Going to Save Your Neighborhood Grocery Store https://longreads.co[...] 2019-04-23
[33] 문서 Wansink, Marketing Nutrition, 501–3.
[34] 간행물 Defining Commercial Speech in the Context of Food Marketing 2015
[35] 문서 Smith, 501–3.
[36] 문서 Mead
[37] 문서 Jango-Cohen
[38] 문서 Benson
[39] 문서 Humphery
[40] 간행물 "[T]he farmer's share of the food dollar (after paying for input costs) has steadily declined from about 40 percent in 1910 to less than 10 percent in 1990." Magdoff, Fred (Ed.)
[41] 뉴스 Food prices rising across the world CNN 2008-03-24
[42] 웹사이트 Grocery Spending Survey http://www.stretcher[...] Stretcher.com 2006-06-20
[43] 웹사이트 Estimating and Addressing America's Food Losses http://www.ers.usda.[...]
[44] 문서 Kantor, p. 3.
[45] 웹사이트 Making the most of packaging, A strategy for a low-carbon economy http://www.defra.gov[...]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9-09-13
[46] 서적 Food packaging: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09-27
[47] 웹사이트 Review of Food Waste Depackaging Equipment http://www.organics-[...] Waste and Resources Action Programme 2009-09-27
[48] 서적 Waste: Uncovering the Global Food Scandal: The True Cost of What the Global Food Industry Throws Away Penguin
[49] 서적 Society on the Run: A European View of Life in America M.E. Sharpe
[50] 웹사이트 In Europe, Ugly Sells In The Produce Aisle https://www.npr.org/[...] 2014-12-09
[51] 보고서 UNEP Food Waste Index Report 2021 http://www.unep.org/[...]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21-03-04
[52] 웹사이트 FAO - News Article: Food wastage: Key facts and figures http://www.fao.org/n[...] 2021-06-07
[53] 뉴스 A third of food is wasted, making it third-biggest carbon emitter, U.N. says https://www.reuters.[...] 2013-09-11
[54] 웹사이트 Food Recovery Hierarchy https://www.epa.gov/[...] 2015-08-12
[55] 간행물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2017-07-06
[56] 웹사이트 Reduced Food Waste https://drawdown.org[...] 2020-02-12
[57] 웹사이트 Call to use leftovers and cut food waste https://www.theguard[...] 2007-10-28
[58] 웹사이트 COP15: NATIONS ADOPT FOUR GOALS, 23 TARGETS FOR 2030 IN LANDMARK UN BIODIVERSITY AGREEMENT https://www.cbd.int/[...] United Nations 2023-01-09
[59] 웹사이트 Britain's colossal food waste is stoking climate change https://www.independ[...] 2015-09-22
[60] 서적 Hippocrene Concise Dictionary: Lithuanian-English / English-Lithuanian Hippocrene Books
[61] 문서 Lietuvių kalbos žodynas (t. I–XX, 1941–2002): elektroninis variantas / redaktorių kolegija: Gertrūda Naktinienė (vyr. redaktorė), Jonas Paulauskas, Ritutė Petrokienė, Vytautas Vitkauskas, Jolanta Zabarskaitė. – Vilnius: Lietuvių kalbos institutas, 2005 (atnaujinta versija, 2008). – http://www.lkz.lt. ISBN 9986-668-98-0
[62] 문서 参考: 現代トルコ語 bakkal
[63] 문서 参考: بقال(ラテン文字転写: baqqāl)
[64] 서적 コンサイス露和辞典〈第5版〉 三省堂
[65] 웹인용 식품점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