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마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퍼마켓은 다양한 상품을 한 곳에서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점으로, 1960년대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의 까르푸가 대표적이며, 북미에서는 월마트 슈퍼센터 등이 하이퍼마켓 형식을 따르고 있다. 하이퍼마켓은 넓은 매장에 식료품, 의류, 가전제품 등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고, 고객이 직접 상품을 골라 계산대에서 한 번에 결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의 성장과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사업 모델이 위협받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창고형 할인점은 하이퍼마켓과 유사한 형태이나, 유료 회원 가입을 요구하고 상품 포장 단위가 더 크다는 차이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마켓 - 기업형 슈퍼마켓
기업형 슈퍼마켓은 대규모 유통 기업이 운영하는 체인 형태의 슈퍼마켓으로,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에 등장하여 200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포화로 다시 진출했으며, 중소상인 생존 위협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야기한다. - 슈퍼마켓 - 에데카
에데카는 1898년 베를린에서 설립된 독일의 식료품 유통 회사이며, 다양한 매장과 온라인 식료품점을 운영하고 SPAR, Netto Marken-Discount 등의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다. - 할인점 - 테스코
테스코는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다국적 식료품 소매업체로, 성장과 인수합병을 통해 세계적인 유통업체가 되었으나, 논란과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매장 형태와 온라인 서비스, 자회사 운영을 통해 사업을 다각화하며 지속적인 비판과 경쟁에 직면해 있다. - 할인점 - 롯데마트
롯데마트는 1998년 롯데쇼핑 할인점 사업부문으로 시작하여 200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브랜드로, 국내외 점포 운영, 해외 시장 진출, PB 상품 '통큰' 브랜드 출시, 창고형 할인매장 '빅마켓' 운영, 그리고 '스마트 스토어' 도입을 통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하이퍼마켓 | |
---|---|
개요 | |
![]() | |
유형 | 대형 소매점 |
특징 | 식료품점과 백화점의 결합 |
면적 | 5,000 ~ 15,000 제곱미터 |
역사 | |
기원 | 프랑스 |
최초의 하이퍼마켓 | 1963년 카르푸 (Carrefour)에 의해 프랑스 생트주느비에브데부아 (Sainte-Geneviève-des-Bois)에 설립됨 |
특징 | |
상품 구성 | 다양한 상품 (식료품, 의류, 가전제품 등) 판매 |
가격 전략 | 대량 구매를 통한 저렴한 가격 |
편의 시설 | 넓은 주차 공간, 다양한 부대시설 (푸드코트, 은행 등) |
장점 | |
원스톱 쇼핑 | 다양한 상품을 한 곳에서 구매 가능 |
가격 경쟁력 |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 구매 가능 |
편리성 | 넓은 주차 공간 및 다양한 편의 시설 제공 |
단점 | |
규모 | 매장 규모가 커서 쇼핑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위치 | 주로 도시 외곽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음 |
혼잡도 |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혼잡할 수 있음 |
2. 역사
하이퍼마켓은 1963년 프랑스 까르푸가 처음으로 선보인 소매 형태이다.[22] 이 매장은 식품, 일용품, 의류, DIY용품, 서적, 장난감 등 다양한 상품을 넓은 공간에 진열하여 판매한다. 고객은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상품을 담고, 출구의 레지에서 결제한다.[23] 이는 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하이퍼마켓은 셀프 서비스 방식을 도입하고, 정육 등 신선 식품의 경우 매장 내 가공장을 설치하여 신선함을 강조한다.[24][25]
이 업태는 주로 교외에 위치하며,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대량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26][27] 건물 외관에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쇼핑 카트 이동이 편리하도록 설계되며, 보통 1~3층 건물로 각 층의 면적이 넓다. 에스컬레이터는 쇼핑 카트를 실을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다.
PB 상품이나 노 브랜드 제품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슈퍼마켓보다 15~20% 저렴하게 판매하여 대량 구매를 유도한다.[29][30][31]
2. 1. 유럽
1961년 벨기에에서 백화점 규모 제한 법이 폐지된 후, 그랑 바자르는 '슈퍼바자르'라는 이름으로 3개의 하이퍼마켓을 열었다. 브뤼헤에 문을 연 첫 번째 '슈퍼바자르'는 3300m2의 면적으로 일반 슈퍼마켓으로 전환되었지만, 오데르겜에 문을 연 9100m2 규모의 매장은 하이퍼마켓의 개념을 구체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개념은 벨기에 시장 개발 엔지니어 모리스 코웨가 파라무스, 뉴저지에 있는 그랜드 유니언의 "그랜드 웨이" 센터를 방문하며 영감을 얻어 채택했다.[2][3]까르푸는 1963년 에손주, 생트-제네비에브-데-보아에 첫 하이퍼마켓을 열었다. 공동 창업자들은 NCR 코퍼레이션의 마케팅 캠페인의 일환으로 임원 교육을 가르친 베르나르도 트루히요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다.[22]
프랑스에서 하이퍼마켓은 일반적으로 도시 외곽의 쇼핑몰(centre commercial or centre d'achats|상트르 코메르시알 또는 상트르 다샤프랑스어)에 위치해 있지만, 일부는 도심에도 있다. 이들은 광대한 주차 시설과 일반적으로 의류, 스포츠 용품, 자동차 용품 등을 판매하는 다른 전문 대형 매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슈퍼마켓과 하이퍼마켓의 성공 이후, 소규모 매장이 사업에서 밀려날 것이라는 우려 속에 프랑스는 하이퍼마켓 건설을 더 어렵게 만들고, 하이퍼마켓 체인이 공급업체에 가할 수 있는 경제적 영향력의 양을 제한하는 법(''갈랑법'')을 제정했다.[23][24][25]

2. 2. 북미
로블로는 1979년 리얼 캐네디언 슈퍼스토어 체인을 설립하여 캐나다 하이퍼마켓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곳은 주로 식료품을 판매하며, 의류, 전자 제품, 가정 용품도 함께 판매한다. 캐나다 내에서 가장 큰 경쟁사는 월마트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식품과 비식품을 결합한 대형 매장이 흔치 않았다. "하이퍼마켓"이라는 용어 자체도 미국에서는 여전히 드물게 사용된다. 태평양 북서부 체인 프레드 메이어(현재 크로거 슈퍼마켓 회사의 일부)는 1931년 포틀랜드, 오리건의 할리우드 지구에 미국 최초의 교외 원스톱 쇼핑 센터를 열었다. 이 매장의 혁신에는 드럭스토어와 식료품점, 길가 주차장, 자동차 윤활 및 오일 서비스가 포함되었다. 1960년대에는 최초의 현대식 프레드 메이어 하이퍼마켓이 등장했다.[4]
미국 중서부 체인 메이어는 "슈퍼 센터"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5] 1961년 6월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에 "Thrifty Acres"라는 브랜드로 첫 번째 하이퍼마켓 형식의 매장을 열었다.[6][7]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할인점 체인인 월마트, K마트, 타겟 코퍼레이션은 하이퍼마켓과 유사한 형식의 체인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월마트는 1987년에 하이퍼마트 USA를 도입했고, 1988년에는 월마트 슈퍼센터를 도입했다.[8] 같은 해 프랑스 체인 까르푸와 오샹은 각각 필라델피아와 그레이터 휴스턴에 하이퍼마켓을 열었다.[9] K마트는 1991년에 첫 번째 슈퍼 K마트 센터를 열었고,[10] 타겟은 1990년에 첫 번째 타겟 그레이트랜드 매장을 열었고, 1995년에는 더 큰 슈퍼타겟 매장을 열었다.[11]
1990년대 초반 미국의 하이퍼마켓은 연료 판매를 시작했다. 현재 미국에는 연료를 판매하는 약 4,500개의 하이퍼마켓 매장이 있다.[12]
2. 3. 일본
이토요카도의 전신은 1920년에 서양 물품을 판매하며 설립되었고, 1957년에 상장했으며, 1965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세이부 백화점은 1956년에 설립되었고, 1963년에 식료품 체인 세이유 그룹을 열었다. 나카우치 이사오는 1957년 고베에 의류, 전자 제품, 가구, 식료품을 모두 한 매장에서 판매하는 최초의 다이에이를 설립했다. JUSCO는 1970년에 설립되었으며, 결국 이온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일본에서 하이퍼마켓은 総合スーパー(소고 수파, 일반 상품 매장)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슈퍼(スーパー)와 백화점(デパート)의 구분이 있으며, 전자는 할인점인 반면, 후자는 고급 브랜드 의류와 고급 식료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하이퍼마켓은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본 정부는 하이퍼마켓 설치를 장려하는데, 이는 금융 주식의 상호 투자가 하이퍼마켓을 운영하는 일반적인 방식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하이퍼마켓에는 레스토랑, 만화 서적 코너, 인터넷 카페, 일반적인 백화점 상품, 다양한 식료품, 미용실 및 기타 서비스가 한 곳에서 제공될 수 있다. 최근에는 균일가 매장 개념과 하이퍼마켓 설계를 결합하여 "햑킨 플라자(hyakkin plaza)"가 등장하는 추세이다. ''햑킨'' (百均) 또는 ''햐쿠 엔''(百円)은 100JPY(약 1USD)을 의미한다.
의류나 가전 제품 등 비식품 분야에 대해서도, 일본에서는 가전 양판점이나 홈 센터, 시마무라(しまむら)·유니클로(ユニクロ)와 같은 전문 체인점(소위 카테고리 킬러)에 비해, 상품 구색이나 품질·서비스 면에서 열세이기 때문에 성립하기 어려운 업태라는 의견이 있다.[34] 특히 일본의 경우, 냉장고 대신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식품 슈퍼마켓이 발달해 좁은 상권에서 성립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량 구매를 노린 상권이 큰 업태인 하이퍼마켓은 경쟁력이 부족하여 성공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32] 실제로 다이에(Daiei)도 '하이퍼 마트'라는 이름으로 전개했지만, 역시 경영 부진으로 철수했다.[33]
2. 4. 오스트레일리아
호주에서 하이퍼마켓은 198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소유의 픽 앤 페이 스토어와 현재는 사라진 K마트 오스트레일리아의 슈퍼 K마트 매장 형식이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곧 매력을 잃었다. 슈퍼 K마트 매장은 문을 닫았고, 이전 위치에는 콜스 슈퍼마켓과 K마트 매장이 들어섰다. 픽 앤 페이는 2000년대까지 호주에서 운영을 지속했으며, 애스플리와 서니뱅크 힐스의 매장은 콜스 슈퍼마켓과 K마트 백화점으로 전환되었다.[1]2022년 현재, 호주에서 운영되는 유일한 하이퍼마켓 또는 대형 매장은 코스트코 창고형 매장으로, 현재 호주에 16개의 매장이 있다. 지역별 매장 수는 다음과 같다.[1]
2019년 독일 하이퍼마켓 회사인 카우프랜드가 호주에 매장을 열 계획을 발표했으나, 이 계획은 2020년에 취소되었다.[1]
2. 5. 이란
이란의 하이퍼마켓은 2009년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그 이전에는 몇몇 지역 하이퍼마켓이 있었지만, 국제 지점은 없었다. 늦게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하이퍼마켓은 상당한 성장을 이루었다. 첫 번째 지점은 아랍에미리트에 기반을 둔 카르푸와 마지드 알 푸타임 그룹의 협력을 통해 이란 하이퍼스타라는 이름으로 테헤란에 문을 열었다.[1] 아랍에미리트 홀딩스는 회사 주식의 약 75%를 소유한 주요 주주이다.[1] 이란 하이퍼스타의 첫 번째 매장이 비교적 성공을 거둔 후 새로운 지점이 설립되었다.[1] 현재, 다른 지점들은 테헤란, 이스파한, 시라즈, 마슈하드, 아바즈 등에 설립되었다.[1]3. 특징
하이퍼마켓은 넓은 매장 면적, 다양한 상품 구색, 저렴한 가격, 편리한 쇼핑 환경 등을 특징으로 한다.
프랑스에서 하이퍼마켓은 일반적으로 도시 외곽의 쇼핑몰(centre commercial or centre d'achats프랑스어)에 위치하지만, 일부는 도심에도 있다. 이들은 광대한 주차 시설과 의류, 스포츠 용품, 자동차 용품 등을 판매하는 다른 전문 대형 매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하이퍼마켓(hypermarché/s프랑스어)을 최소 2500m2의 비전문 시장으로 정의한다.[16] 평균적인 까르푸 하이퍼마켓은 10000m2의 면적을 차지하는 반면, 2000년대 유럽의 트렌드는 3000m2에서 5000m2의 더 작은 하이퍼마켓으로 변화했다.[15]
일본에서 하이퍼마켓은 総合スーパー(소고 수파, 일반 상품 매장)로 알려져 있다. 슈퍼(スーパー)와 백화점(デパート)의 구분이 있으며, 전자는 할인점인 반면, 후자는 고급 브랜드 의류와 고급 식료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하이퍼마켓은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본 정부는 하이퍼마켓 설치를 장려하는데, 이는 금융 주식의 상호 투자가 하이퍼마켓을 운영하는 일반적인 방식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하이퍼마켓에는 레스토랑, 만화 서적 코너, 인터넷 카페, 일반적인 백화점 상품, 다양한 식료품, 미용실 및 기타 서비스가 한 곳에서 제공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식품과 비식품을 결합한 대형 매장이 흔치 않았다.[4] "하이퍼마켓"이라는 용어 자체도 미국에서는 여전히 드물게 사용된다. 태평양 북서부 체인 프레드 메이어는 1931년 포틀랜드의 할리우드 지구에 미국 최초의 교외 원스톱 쇼핑 센터를 열었고, 1960년대에는 최초의 현대식 프레드 메이어 하이퍼마켓이 등장했다.[4] 미국 중서부 체인 메이어는 1961년 6월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에 "Thrifty Acres"라는 브랜드로 첫 번째 하이퍼마켓 형식의 매장을 열었다.[6][7]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할인점 체인인 월마트, K마트 및 타겟 코퍼레이션은 유사한 형식의 체인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3. 1. 운영 방식
하이퍼마켓은 종합 식품·일용품을 중심으로 의류, DIY용품, 서적, 장난감 등 다양한 상품을 넓은 공간에 진열한다. 고객은 쇼핑 카트에 상품을 담아 출구 게이트 겸 레지에서 결제한다.[23] 이는 전문 매장별로 결제하는 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와 다른 점이다.셀프 서비스 방식과 더불어, 정육 등 신선 식품은 매장 내 가공 시설을 통해 시각적 효과와 신선함을 강조한다.[24][25]
하이퍼마켓은 전형적인 교외형 점포로, 옥상이나 주변에 대규모 주차장을 갖추고[26] 대량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27] 건물 외장에 큰 비용을 들이지 않아 천장이 노출된 경우가 많고[28], 쇼핑 카트 이동이 쉽도록 매장을 설계하며, 1층에서 최대 3층 건물로 각 층 면적이 넓다. 에스컬레이터는 쇼핑 카트를 실을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고 단차가 없다.
의류 PB 상품이나 노 브랜드 제품이 많은 등 거의 모든 상품에서 대량 구매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29], 점포 외장에 비용을 들이지 않아 슈퍼마켓 등 다른 형태의 점포보다 상품 가격이 15~20% 저렴한 경우가 많다.[30]
3. 2. 판매 상품
하이퍼마켓은 식품, 의류, 일용품, DIY 용품, 서적, 장난감 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한다. 창고형 매장 형태로 넓은 공간에 상품을 진열하며, 고객은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상품을 담고 계산대에서 결제한다.[23] 이는 전문 매장별로 결제하는 종합 슈퍼마켓과 다른 점이다.정육 등 신선 식품의 경우, 매장 내 가공장을 설치하여 신선함을 강조하는 노력을 초창기부터 해왔다.[24][25]
의류의 PB 상품이나 노 브랜드 제품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29] 슈퍼마켓 등 다른 형태의 점포보다 상품이 15~20% 저렴하게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30]
3. 3. 매장 구조
하이퍼마켓은 창고형 매장 형태로, 천장이 높고 배관 등이 노출된 경우가 많다.[28] 쇼핑 카트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되며, 보통 1층에서 3층 건물로 구성된다. 각 층의 면적이 넓고, 에스컬레이터는 쇼핑 카트를 그대로 실을 수 있도록 경사가 완만하고 단차가 없는 것이 사용된다.하이퍼마켓은 종합 식품·일용품을 중심으로 의류, DIY용품, 서적, 장난감 등 다채로운 상품을 넓은 공간에 진열한다.[23] 고객은 구매하려는 상품을 쇼핑 카트에 담아 출구 게이트를 겸한 레지에서 결제한다.[23] 이는 전문 매장별로 결제하는 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와는 다른 점이다.
정육 등 신선 식품의 경우, 매장 내에 가공장을 설치하여 시각적인 효과와 신선함을 강조하기도 한다.[24][25] 전형적인 교외형 점포로, 옥상 또는 주변에 대규모 주차장을 갖추고 대량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26][27]
4. 미래 전망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영어)과 맞춤형 소비로의 전환은 하이퍼마켓 사업 모델에 위협이 되고 있다.[17] 2015년까지 도이치뱅크의 글로벌 전략가였던 산지브 사니알은 일부 개발도상국들이 하이퍼마켓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8]
한국에서는 냉장고 대신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식품 슈퍼마켓이 발달해 좁은 상권에서 성립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량 구매를 노린 상권이 큰 업태인 하이퍼마켓은 경쟁력이 부족하여 성공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32] 실제로 까르푸 외에도 과거에 다이에도 '하이퍼 마트'라는 이름으로 하이퍼마켓을 전개했지만, 경영 부진으로 철수했다.[33]
5. 창고형 할인점
북아메리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멤버십 기반의 도매 창고형 할인 매장은 하이퍼마켓과는 다른 유형의 매장이다. 월마트의 자회사인 샘스 클럽, 코스트코, 동부 해안의 BJ's Wholesale Club, 멕시코의 클루브 시티 클럽 등이 대표적인 창고형 할인 매장이다. 유럽에서는 메트로 AG가 소유한 마크로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창고형 할인 매장은 내부 장식이 간소하고 유료 회원 가입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하이퍼마켓과 구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더 큰 포장 단위로 상품을 판매하며, 각 품목별로 선택의 폭이 좁다.
참조
[1]
뉴스
Hypermarket
https://www.investop[...]
24/7 Wall Street
2007-06-24
[2]
서적
Naissance de l'hypermarche
Colin
1991
[3]
뉴스
Bernardo Trujillo, l'accoucheur des grandes surfaces
https://www.lesechos[...]
2018-02-10
[4]
웹사이트
Fred Meyer Stores, Inc. History
http://www.fundingun[...]
FundingUniverse
2014-01-09
[5]
웹사이트
Our Company
http://www.meijer.co[...]
2014-01-09
[6]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meijer.co[...]
2014-01-09
[7]
웹사이트
Column: Meijer's first Super center past its prime but full of good memories
http://www.mlive.com[...]
2015-07-30
[8]
웹사이트
Walmart Corporate - We save people money so they can live better.
http://www.walmartst[...]
2015-07-30
[9]
뉴스
Food Town to occupy portion of shuttered Auchan hypermarket
http://www.bizjourna[...]
Houston Business Journal
2011-01-13
[10]
웹사이트
Sears Holdings Corporation - Corporate Website
http://www.kmartcorp[...]
2015-07-30
[11]
웹사이트
Target through the years
https://corporate.ta[...]
2014-01-09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asoline Retailing
http://www.nacsonlin[...]
[13]
웹사이트
تاریخچه هایپراستار؛ همه چیز درباره بزرگترین فروشگاه زنجیره ای – فرصت امروز
https://www.forsatne[...]
2023-04-16
[14]
뉴스
Walmart Now Has Six Types of Stores
http://247wallst.com[...]
24/7 Wall Street
2016-06-17
[15]
뉴스
Carrefour Rethinks Its 'Bigger Is Better' Strategy
https://www.nytimes.[...]
2016-06-17
[16]
간행물
La situation du commerce en 2014
http://www.insee.fr/[...]
INSEE
2016-06-17
[17]
웹사이트
Sanjeev Sanyal on The Customization Revolution - Project Syndicate
http://www.project-s[...]
2015-07-30
[18]
웹사이트
Sanjeev Sanyal on Clicks over Bricks in India - Project Syndicate
http://www.project-s[...]
2015-07-30
[19]
뉴스
Carrefour enters U.S. via share in Costco
http://findarticles.[...]
Supermarket News
1985-01
[20]
문서
郊外立地の倉庫型店舗、レジの集中化など…セルフサービス販売方式の利点を最大限に活用し、同時にディスカウントストアから習得した最低のマージンおよび高い回転率を実現することは、「一つの屋根の下であらゆる部門の商品を取扱う(toutsouslemimetoit)」というハイパーマーケットの基本的な考え方を支えることになった。「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2004年9月
[21]
문서
「ハイパーマーケットは売り場面積 2,500m2以上、スーパーマーケットは 400 - 2,500m2、そして400m2未満をミニマーケットと呼ぶ。」「平成19年度農林水産物貿易円滑化推進事業のうち品目別市場実態調査(結果)」 [[農林水産省]]食料産業局産業連携課海外展開・輸出促進室
[22]
문서
「1963年、[[サント=ジュヌヴィエーヴ=デ=ボワ|サント=ジュヌヴィエーヴ=デ=ボワ]](Sainte-Geneviève-des-Bois)にカルフールの店舗名で世界初のハイパーマーケットをオープンした。」「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 2004年9月
[23]
문서
「倉庫型店舗、レジの集中化など…セルフサービス販売方式の利点を最大限に活用し…「一つの屋根の下であらゆる部門の商品を取扱う」「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 2004年9月
[24]
문서
「店から見える精肉のバックヤードは、その当時、インパクトの大きいイノベーションであった」「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 2004年9月
[25]
문서
「生鮮5品(鮮魚・精肉・青果・ベーカリー・デリカ)を中心に対面の市場方式を基本とし…作業場・加工場をオープンにすることにより、加工・調理している雰囲気を製造小売の新鮮さ(つくりだての商品)とオリジナル性(当店の独自商品)を「ビジュアル的に演出」「流通とSC・私の視点(214)ハイパーマーケット業態とは(その1)!!」 六車秀之 2000年12月29日 [http://www.dynamic-m.co.jp/xdw/siten/214.pdf ウェブサイト]
[26]
문서
「大きな売場と駐車場、低価格政策や郊外型立地などに特徴づけられるハイパーマーケット」「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2004年9月
[27]
문서
「ハイパーマーケットは、「ロット志向」(大規模単位売り)、「ボリューム志向」(同一商品の山積型陳列)」「流通とSC・私の視点(214)ハイパーマーケット業態とは(その1)!!」 六車秀之 2000年12月29日 [http://www.dynamic-m.co.jp/xdw/siten/214.pdf ウェブサイト]
[28]
문서
「倉庫型店舗…m2当たりの建設費用も既存の伝統的小売商の4分の1」「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2004年9月
[29]
문서
「衣料品は自社開発のPB商品、ノーブランド商品で構成されている。殆どの製品はスケールメリットを生かした廉価製品で、製品は低コスト」「フランスの毛織物市場調査報告書」[[日本貿易振興機構]]市場開拓部 2004年8月
[30]
문서
「大型店は「流通工場(usineEtdistribuer)」と呼ばれていたが、それは大量生産丁場に対応するということで、セルフサービス方式の大量流通を意味していた。初期投資費用においても、土地代が80万フランで、m2当たりの建設費用も既存の伝統的小売商の4分の1に相当する1000フランに制限することにした。…このような新しい業態の低費用構造は、伝統的食料品店より15-20%安い価格で販売できる仕組みを可能にしたのである」「フランス的小売業態の国際移転プロセス - 取り込み型国際移転から持ち込み型国際移転へ -」 白貞壬 フランスESCp-EAPLECERIDICE客員研究員 季刊マーケティングジャーナル第24巻第2号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2004年9月
[31]
문서
「ハイパーマーケットは、「ロット志向」(大規模単位売り)、「ボリューム志向」(同一商品の山積型陳列)」「流通とSC・私の視点(214) ハイパーマーケット業態とは(その1)!! 」 六車秀之、2000年12月29日
[32]
문서
「アメリカではウォルマートがハイパーマーケットUSA、Kマートはアメリカンフェアを開発しその後業態転換し、また、フランスからアメリカへ進出したカルフールも撤退して一時的な話題で終焉しました。…冷蔵庫代わりの食料品業態が確立されていると、マトメ買い型の食料品業態は成立困難」「流通とSC・私の視点(215) ハイパーマーケット業態とは(その2)!!― 視点214より続く ―」 六車秀之、2000年12月29日 [http://www.dynamic-m.co.jp/xdw/siten/215.pdf ウェブサイト]
[33]
문서
「わが国でもダイエーがハイパーマーケットを真似して二見店を中心にハイパーマートを全国展開しましたが完全に失敗しました。」「流通とSC・私の視点(215) ハイパーマーケット業態とは(その2)!!― 視点214より続く ―」 六車秀之、2000年12月29日 [http://www.dynamic-m.co.jp/xdw/siten/215.pdf ウェブサイト]
[34]
문서
「衣料品ではニューファミリー層への品揃えの限定が目立ち、婦人衣料等、ヤングや団塊世代、シニア層は買うものが無い。婦人衣料ではテイストも絞られており、品揃えのバラエテイは極めて限られる。子供衣料はまだましだが、全体では最近の大型化した“しまむら”ほどもスペースがあるのに、品揃えのバラエテイはその三分の一もない。数パーセント含まれるオリジナルの“TEX”は素材や縫製は許容ギリギリ…ハウスウエアについても、HCの方が遥かに品揃えが豊富だし、GMSでついで買いする方が便利だ。アプライアンスに関しても、品揃えもともかく商品説明やアフターサービスのインフォメーションをあれだけ欠いては、家電のカテゴリーキラーの敵とはなり得ない。」「早くも撤退が危ぶまれるカルフールに学ぶべきこと」(株)小島ファッションマーケティング代表取締役 小島健輔 ファッション販売、2001年3月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