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진 (15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진은 임진왜란 당시 전사한 신립의 아들로, 무과에 급제하여 삼가현령을 지냈다. 1623년 인조 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으며, 이후 형조판서, 병조판서, 훈련대장 등을 거쳐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이르렀다. 유효립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영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김유와는 아버지 대부터 친분을 이어왔으며, 드라마 남한산성, 서궁에 등장한다.
신경진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선전관에 올랐으며, 이후 무과에 급제하였다. 1614년(광해군) 삼가현령을 지냈다. 1623년 인조 반정에 가담하여 공조참의 벼슬을 받았고,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이괄의 난 때 흥안군 이제를 심기원 등과 함께 처형하여 탄핵을 받았다.[3] 1625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이후 병조판서, 공조판서, 훈련대장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지내고 영의정에 이르렀다.[4]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51년 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신경진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전사한 신립의 아들이고, 김유는 김여물의 아들이다.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은 김유의 아버지 김여물을 부장으로 삼아 탄금대 전투에 함께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인조 반정에서는 반대로 신경진이 김유를 보좌하여 반정을 일으켰다.[1]
MBC 드라마 《남한산성》 (1986년~1987년, 배우: 박영태)과 KBS 2TV 드라마 《서궁》 (1995년, 배우: 박해상)에서 신경진을 다루었다.
2. 생애
김유와는 아버지 대부터 친분을 쌓아온 사이로,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은 김유의 아버지 김여물을 부장으로 삼아 탄금대 전투에서 함께 전사했으며, 인조 반정에서는 신경진이 김유를 보좌했다.
2. 1. 초기 생애
신경진은 임진왜란 당시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선전관에 올랐으며, 이후 무과에 급제하였다. 1614년(광해군 7) 삼가현령(三嘉縣令)을 지냈다.
김유와는 아버지 대부터 친분을 쌓아온 사이이다.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은 김유의 아버지 김여물을 부장으로 삼아 탄금대 전투에서 함께 전사했으며, 인조 반정에서는 반대로 신경진이 김유를 보좌하여 인조 반정을 일으켰다.
2. 2. 인조반정
1623년 구굉, 김유, 이괄, 이귀 등과 함께 군사를 동원, 능양군을 왕으로 추대하여 인조 반정을 거사하였다. 인조 즉위 후 공조 참의 벼슬을 받았으며,[1]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2]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괄 등이 추대한 흥안군 이제를 심기원 등과 함께 처형하여 탄핵을 받았다.[3]
김유와는 아버지 대부터 친분을 쌓아온 사이이다.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은 김유의 아버지 김여물을 부장으로 삼아 탄금대 전투에서 함께 전사했으며, 인조 반정에서는 그 반대로 신경진이 김유를 보좌했다.
2. 3. 이괄의 난과 그 이후
1623년 구굉, 김유, 이괄, 이귀 등과 함께 군사를 동원, 능양군을 왕으로 추대하여 인조 반정을 거사하였다. 인조 즉위 후 공조 참의 벼슬을 받았으며,[1] 정사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2] 이괄의 난 때 이괄 등이 추대한 흥안군 이제를 심기원 등과 함께 처형하여 탄핵을 받았다.[3] 1625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이후 병조판서, 공조판서, 훈련대장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지내고 영의정(정1품)에 이르렀다.[4]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51년 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할아버지 신화국(申華國) 아버지 신립(1546 ~ 1592) 남동생 신경유(申景裕) 남동생 신경인(申景禋) 여동생 군부인 평산 신씨(郡夫人 平山 申氏, 1578 ~ 1622) 선조의 4남 신성군의 정부인 여동생 이대엽(李大燁)의 처 이이첨의 차남 장인 조정현(趙廷顯, 1549 ~ ?) 장모 해주 정씨 감찰(監察) 증 승지(贈 承旨) 정원희(鄭元禧)의 딸 부인 조효경(趙孝敬, 1573 ~ ?)[5] 장남 신준(申埈, 1592 ~ ?) 며느리 안동 김씨 가선(嘉善) 부사(府使) 김질(金晊)의 딸 손자 신여정(申汝挺) 손자 신여식(申汝拭) 손자 신여석(申汝晳) 손자 신여철(申汝哲) 장녀 평산 신씨(1595 ~ ?) 고흥 류씨 류우엽(柳于燁)의 처 차남 신해(申垓, 1598 ~ ?) 신경인의 양자로 출계 차녀 신을생(申乙生, 1605 ~ ?) 사위 밀양 박씨 박천구(朴天球) 측실 이름 미상 3녀(서녀) 전주 이씨 영주감(瀛洲監) 이봉령(李鳳齡)의 처[6] 손녀 이예임(李禮任, 1634 ~ ?) 손녀 이예절(李禮節, 1637 ~ ?) 손자 이환(李桓, 1642 ~ ?) 손녀 이재임(李再任, 1648 ~ ?) 손자 이식(李栻, 1654 ~ ?) 손자 이격(李格, 1655 ~ ?) 4녀(서녀) 이일(李佾)의 처
4. 김유와의 관계
5. 관련 작품
5. 1. 드라마
참조
[1]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1권, 1년(1623 계해 / 명 천계(天啓) 3년) 3월 25일(을묘) 7번째기사
[2]
문헌
《조선왕조실록》 인조 3권, 1년(1623 계해 / 명 천계(天啓) 3년) 윤10월 18일(갑진) 3번째기사
[3]
문헌
《조선왕조실록》 인조 4권, 2년(1624 갑자 / 명 천계(天啓) 4년) 2월 16일(경자) 8번째기사
[4]
문헌
《조선왕조실록》 인조 9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天啓) 5년) 4월 19일(병신) 5번째기사
[5]
기타
성종의 3녀인 휘숙옹주의 외고손녀 ----휘숙옹주 → 조노성의 처 풍천 임씨|임씨 → 조흔 → 조정현
[6]
기타
성종의 9남 익양군의 증손자 ----익양군 → 단천정 이수곤 → 이봉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