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다쓰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도 다쓰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코치, 스카우트이다.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은퇴했으며, 3루수로서 골든 글러브상을 3회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요코하마의 코치, 스카우트, 그리고 도야마 선더버즈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5년부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1군 벤치 코치로 현장에 복귀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야마현 출신 야구 선수 - 아라키 다카히로
아라키 다카히로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내야수와 외야수로 활약하며 팀 내 최고 수준의 훈련량을 소화하는 노력가로, 2021년에는 개인 최다 100경기 출전으로 팀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일본 야구 선수이다. - 도야마현 출신 야구 선수 - 이시카와 아유무
이시카와 아유무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지바 롯데 마린스 소속 투수이며 2013년 드래프트 1순위로 입단하여 퍼시픽 리그 신인왕과 최우수 평균 자책점을 수상했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선수 - 사이토 아키오
사이토 아키오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1977년부터 1993년까지 활약하며, 오른손 투수 최초로 100승 100세이브를 달성하고 신인왕을 수상한 후 은퇴, 야구 해설가와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 오릭스 블루웨이브 선수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오릭스 블루웨이브 선수 - 다구치 소
다구치 소는 간사이 학생 야구 연맹 최다 안타 기록을 세우고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데뷔하여 NPB와 MLB에서 외야수로 활약하며 골든 글러브,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오릭스 코치를 역임한 뛰어난 수비력과 클러치 능력을 가진 야구 선수이다.
신도 다쓰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0년 1월 14일 (54세) |
출생지 | 도야마현 다카오카시 |
포지션 | 내야수 / 코치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프로 입단 연도 | 1987년 |
드래프트 순위 | 드래프트 외 |
첫 출장 | 1988년 10월 20일 |
최종 출장 | 2003년 10월 12일 |
선수 경력 | |
선수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88–2000) 오릭스 블루웨이브 (2001–2003) |
데뷔 리그 | NPB |
데뷔 팀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
최종 리그 | NPB |
감독 및 코치 경력 | |
감독 | 도야마 선더버즈 (2012–2013) |
코치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04–2007, 2014–2016) 도야마 선더버즈 (2010–2011)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25–) |
현재 소속팀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
현재 직책 | 벤치 코치 |
등번호 | 78 |
통계 (2003 시즌 종료 시점) | |
리그 | NPB |
타율 | .239 |
안타 | 917 |
타점 | 412 |
수상 | |
수상 내역 | 1× 일본 시리즈 우승 (1998년) 3× 퍼시픽 리그 골든 글러브상 (1997–1999) |
2. 경력
다카오카 상업고등학교 시절 클린업 타자를 맡았고, 제69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좋은 활약을 보였다. 1987년에 드래프트 번외로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에 입단했다.
1988년 신인으로 1군에 승격되었고,[23] 1989년부터 대기 선수로 1군에 정착했다. 1992년에는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며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고, 1993년에는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웠다. 1994년 시즌 중반 부상으로 잠시 주전에서 밀려났지만 시즌 종반에 복귀했다. 1995년에는 주로 하위 타선에서 활약하며 두 번째로 규정 타석을 채웠다.
1996년, 오야 아키히코 감독의 내야 수비 위치 변경으로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했지만, 부상으로 인해 다시 3루 수비를 맡게 되었다. 1997년에는 타격 호조를 보였으나 사구를 맞은 후 부진했다. 1998년에는 팀의 38년 만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타율, 홈런, 타점 모두 개인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1999년에는 아르키메데스 포조의 입단으로 선발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타율 2할 8푼 6리를 기록하며 팀 타율 일본 신기록 달성에 공헌했다. 오프에는 FA를 선언했으나 요코하마에 잔류했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 연속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00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59경기 출전에 그쳤다.
2001년, 트레이드를 통해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이적했다. 오기 아키라 감독은 신도에게 등번호 '''7'''번을 부여하며 기대를 표했다. 오릭스에서 신도는 규정 타석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내야 모든 포지션을 소화하며 활약했다. 그러나 2003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은퇴 후 2004년부터 요코하마의 내야 수비 코치, 스카우트를 거쳐, 2010년 도야마 선더버즈 코치, 2012년 감독을 역임했다.[25] 2014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1군 타격 코치 겸 작전 담당, 2015년 1군 수석 코치를 맡아 팀을 3위에 올리는 데 공헌했다. 2017년부터 구단 GM 보좌 겸 편성부장, 2019년부터 편성부장을 역임했다.[27] 2025년부터는 1군 벤치 코치로 현장에 복귀한다.[11]
2. 1. 프로 입단 전
다카오카 상업고등학교 시절에는 클린업을 맡았고 팀 동료는 오야마 쓰토무, 호시바 다카히사가 있었다. 제69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1차전인 나가사키 상업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선제 적시타를 때려냈고[22] 3차전은 훗날 팀 동료가 되는 노무라 히로시가 소속된 PL가쿠엔 고등학교와 맞붙었지만 패했다. 남들보다 뛰어난 수비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아 1987년에 드래프트 번외로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에 입단했다.2. 2. 다이요·요코하마 시절
1988년 신인이면서도 1군에 승격되었고[23] 이듬해인 1989년부터는 대기 선수로 1군에 정착했다. 1992년에는 주전 유격수 자리를 다카하시 마사히로에게서 빼앗아 팀의 주전으로 활약하며 시즌 두 자릿수 홈런(11개)을 기록했다. 1993년에는 처음으로 규정 타석에 도달했고, 1994년에는 시즌 대부분을 1번 타자로 출전했다. 그러나 시즌 중반에 오른쪽 어깨를 다치면서[23] 당시 신인이던 하루 도시오에게 포지션을 빼앗겼지만 시즌 종반에 복귀했다. 1995년에는 주로 하위 타선에 출전하면서 두 번째로 규정 타석을 채웠다.1996년, 그 해에 감독으로 취임한 오야 아키히코의 내야 수비 위치 변경에 따라 3년 연속 3루수로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던 이시이 다쿠로는 유격수로, 2루수인 로버트 로즈는 3루수로, 신도는 2루수로 변경됐다. 하지만 2루 수비 도중 송구가 정반대쪽으로 던져진 영향으로 등근육을 다치면서 로즈도 3루에서 실책을 연발했기 때문에 로즈를 2루로 되돌리고 신도가 3루 수비를 맡게 됐다. 하지만 그 후에도 부상이 계속돼 규정 타석에는 미치지 못했다.
1997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타격 호조를 보이며 타율 상위에 랭크됐지만 머리 부분에 사구를 맞은 이후 극도로 부진했다. 1998년 7월 8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전날인 7일에 시즌 무실점 기록과 연속 세이브 기록이 중단된 마무리 투수 사사키 가즈히로가 전날에 이어 1아웃 2루 상황에 위기를 맞았는데 야노 아키히로에게 3루수와 유격수 사이에 안타성 타구를 맞았다. 팀의 절대적인 승부 패턴이 흔들린 시즌의 터닝 포인트가 됐던 장면이었으나 3루수인 신도가 땅볼을 옆쪽에서 날아들어 호수비를 보여줬고 그 자리에서 1루로 송구, 아웃시켜 팀의 위기를 구했다.[23] 이시이, 로즈, 고마다 노리히로 등과 함께 당시 12개 구단 가운데서도 최강의 수비력이라 불린 요코하마 내야진의 3루수로서 호수비를 펼치는 등 팀의 38년 만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타격에서도 모두 개인 최고 성적이 되는 타율 2할 4푼 1리, 14홈런, 54타점을 기록했고 팀의 리그 우승이 결정된 경기에서도 승리 타점을 때려내는 등 ‘머신건 타선’의 일원으로서 맹활약했다.
1999년에는 아르키메데스 포조의 입단으로 선발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규정 타석 미달로 끝났지만 타율 2할 8푼 6리를 기록했다. 당시 팀 타율의 일본 신기록을 낸 타선의 7번 타자로서 활약했다. 오프에는 FA를 선언하면서 오릭스 블루웨이브, 세이부 라이온스, 지바 롯데 마린스 등이 영입에 나섰지만, 2루수로서의 출장을 강력하게 희망했던 신도에 대해 오릭스는 골든 글러브상을 차지한 3루수로서의 기용을 예정하고 있었던 탓에 교섭은 결렬됐다. 세이부, 지바 롯데도 이미 편성을 종료했기 때문에 방향을 선회하여 요코하마에 잔류했다. 신도의 잔류에 따라 당시 요코하마에 FA 이적이 가장 유력시 됐던 에토 아키라는 3루수 포지션이 신도와 겹치게 되면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됐다.[24]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루수 부문에서 골든 글러브상을 3년 연속 수상했다.
2000년에는 오른쪽 발목에 부상을 입으면서 겨우 59경기에 출전했고 타율도 2할 2푼 4리, 홈런 2개에 그쳤다.
2. 3. 오릭스 시절
2001년에 도카노 히사시, 아라이 기요시와 함께 오가와 히로후미, 스기모토 유, 마에다 가즈유키와의 3대 3 맞트레이드로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이적했다. 오기 아키라 감독은 후쿠모토 유타카 이래 사실상의 영구 결번인 등번호 '''7'''번을 후쿠모토의 승낙을 받아 신도에게 부여하며 기대를 표했다.오릭스에서 신도는 규정 타석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내야 모든 포지션을 소화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 활약했다. 그러나 부상을 안고 무리했던 몸에 한계를 느껴 2003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33세의 나이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2. 4. 은퇴 후
2004년부터 야마시타 다이스케 감독의 부름을 받고 친정팀 요코하마의 내야 수비 코치로 발탁되어 2007년까지 맡았고, 2008년부터는 요코하마의 스카우트로 활동했다.[25] 2010년에는 출신지인 도야마현의 도야마 선더버즈 코치로 취임했고, 2012년에는 감독으로 승격했다.[25]2013년 10월에 도야마 선더버즈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이듬해인 2014년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1군 타격 코치 겸 작전 담당으로 부임했다.[26] 2015년부터 1군 수석 코치를 맡으면서 이듬해 2016년에는 구단으로선 11년 만에 팀을 3위에 오르는 공헌을 했으며, 2016년 시즌 종료 후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2017년에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GM 보좌 겸 편성부장으로 이동했다.
2019년부터 구단 편성부장으로 부임했다.[27] 2025년부터는 1군 벤치 코치라는 직함으로 현장에 복귀하는데, 팀 통괄 본부장인 하기와라 류다이에 따르면 "감독의 참모 역할", "작전 코치와 비슷한 위치"라고 설명하고 있다.[11]
3. 상세 정보
신도 다쓰야는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회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1]
'''기념비적인 기록'''
기록 | 내용 | 비고 |
---|---|---|
1000경기 출장 | 2000년 5월 5일, 주니치 드래곤스와의 6차전 (나고야 돔),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 | 역대 356번째[1] |
100홈런 | 2003년 4월 29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5차전 (Yahoo! BB 스타디움), 7회말에 야마모토 쇼고를 상대로 우월 2점 홈런 | 역대 227번째[1] |
'''첫 기록'''
- 첫 출장: 1988년 10월 20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9회초에 2루수로 출장[1]
- 첫 안타: 1989년 5월 12일, 주니치 드래건스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야마모토 마사를 상대로 2루타[1]
- 첫 타점: 1989년 6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 (아키타 시영 야바세 구장), 8회초에 다나베 마나부의 대타로 출장, 기요카와 에이지를 상대로 적시타[1]
- 첫 선발 출장: 1989년 6월 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1]
- 첫 홈런: 1989년 9월 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말에 구와타 마스미를 상대로[1]
'''등번호'''
新藤 達也|신도 다쓰야일본어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28]
연도 | 등번호 |
---|---|
1988년 ~ 1992년, 2010년 ~ 2013년 | 36 |
1993년 ~ 2000년 | 1 |
2001년 ~ 2003년 | 7 |
2004년 ~ 2007년 | 82 |
2014년 ~ 2016년, 2025년 ~ | 78 |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 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88년 | 다이요 요코하마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 | ---- | |
1989년 | 56 | 91 | 83 | 8 | 20 | 4 | 2 | 2 | 34 | 9 | 0 | 0 | 3 | 0 | 4 | 0 | 0 | 24 | 0 | .241 | .276 | .410 | .686 | |
1990년 | 40 | 136 | 119 | 18 | 31 | 5 | 0 | 2 | 42 | 9 | 3 | 1 | 8 | 0 | 9 | 0 | 0 | 19 | 0 | .261 | .313 | .353 | .665 | |
1991년 | 23 | 47 | 40 | 5 | 7 | 2 | 0 | 1 | 12 | 5 | 1 | 0 | 3 | 0 | 3 | 0 | 1 | 14 | 0 | .175 | .250 | .300 | .550 | |
1992년 | 108 | 388 | 353 | 45 | 87 | 18 | 1 | 11 | 140 | 30 | 7 | 0 | 6 | 0 | 25 | 2 | 4 | 75 | 7 | .246 | .304 | .397 | .700 | |
1993년 | 127 | 472 | 414 | 53 | 94 | 22 | 4 | 12 | 160 | 45 | 3 | 6 | 4 | 1 | 46 | 2 | 7 | 70 | 6 | .227 | .314 | .386 | .701 | |
1994년 | 80 | 327 | 283 | 34 | 67 | 14 | 2 | 4 | 97 | 23 | 3 | 5 | 6 | 2 | 34 | 1 | 2 | 40 | 6 | .237 | .321 | .343 | .664 | |
1995년 | 126 | 456 | 368 | 47 | 80 | 10 | 4 | 11 | 131 | 31 | 5 | 2 | 20 | 2 | 62 | 2 | 4 | 55 | 12 | .217 | .335 | .356 | .691 | |
1996년 | 67 | 238 | 195 | 21 | 51 | 8 | 1 | 2 | 67 | 24 | 4 | 2 | 12 | 0 | 30 | 2 | 1 | 34 | 5 | .262 | .363 | .344 | .706 | |
1997년 | 117 | 423 | 352 | 37 | 83 | 19 | 1 | 10 | 134 | 43 | 9 | 5 | 12 | 5 | 53 | 3 | 1 | 61 | 7 | .236 | .333 | .381 | .714 | |
1998년 | 124 | 456 | 390 | 50 | 94 | 19 | 1 | 14 | 157 | 54 | 0 | 0 | 8 | 3 | 52 | 5 | 2 | 75 | 14 | .241 | .331 | .403 | .734 | |
1999년 | 109 | 370 | 332 | 38 | 95 | 13 | 1 | 14 | 152 | 43 | 1 | 1 | 4 | 4 | 30 | 3 | 0 | 60 | 5 | .286 | .342 | .458 | .799 | |
2000년 | 59 | 147 | 134 | 14 | 30 | 7 | 0 | 2 | 43 | 15 | 0 | 0 | 0 | 0 | 13 | 1 | 0 | 26 | 2 | .224 | .293 | .321 | .613 | |
2001년 | 오릭스 | 115 | 342 | 302 | 40 | 73 | 17 | 0 | 9 | 117 | 40 | 0 | 2 | 3 | 1 | 35 | 1 | 1 | 65 | 4 | .242 | .322 | .387 | .709 |
2002년 | 121 | 392 | 356 | 35 | 80 | 14 | 0 | 5 | 109 | 29 | 4 | 1 | 10 | 1 | 19 | 1 | 6 | 94 | 6 | .225 | .275 | .306 | .581 | |
2003년 | 75 | 134 | 122 | 14 | 25 | 5 | 0 | 5 | 45 | 12 | 2 | 1 | 1 | 0 | 10 | 0 | 1 | 34 | 3 | .205 | .271 | .369 | .640 | |
통산: 16년 | 1348 | 4419 | 3843 | 459 | 917 | 177 | 17 | 104 | 1440 | 412 | 42 | 26 | 100 | 19 | 425 | 23 | 30 | 746 | 77 | .239 | .318 | .375 | .693 |
- 다이요(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는 1993년에 요코하마 베이스타스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3. 1. 수상·타이틀 경력
골든 글러브상 3회 수상(1997년 ~ 1999년)[1]3. 2. 개인 기록
; 기념비적인 기록기록 | 내용 | 비고 |
---|---|---|
1000경기 출장 | 2000년 5월 5일, 주니치 드래곤스와의 6차전 (나고야 돔),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 | 역대 356번째[1] |
100홈런 | 2003년 4월 29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5차전 (Yahoo! BB 스타디움), 7회말에 야마모토 쇼고를 상대로 우월 2점 홈런 | 역대 227번째[1] |
3. 2. 1. 첫 기록
- 첫 출장: 1988년 10월 20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9회초에 2루수로 출장[1]
- 첫 안타: 1989년 5월 12일, 주니치 드래건스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야마모토 마사를 상대로 2루타[1]
- 첫 타점: 1989년 6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 (아키타 시영 야바세 구장), 8회초에 다나베 마나부의 대타로 출장, 기요카와 에이지를 상대로 적시타[1]
- 첫 선발 출장: 1989년 6월 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1]
- 첫 홈런: 1989년 9월 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말에 구와타 마스미를 상대로[1]
3. 2. 2. 기록 달성 경력
구분 | 내용 | 비고 |
---|---|---|
첫 기록 | 첫 출장 | 1988년 10월 20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24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9회초에 2루수로 출장 |
첫 안타 | 1989년 5월 12일, 주니치 드래곤스와의 5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야마모토 마사를 상대로 2루타 | |
첫 타점 | 1989년 6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9차전 (아키타 시영 야바세 구장), 8회초에 다나베 마나부의 대타로 출장, 기요카와 에이지를 상대로 적시타 | |
첫 선발 출장 | 1989년 6월 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9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8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 | |
첫 홈런 | 1989년 9월 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20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5회말에 구와타 마스미를 상대로 | |
기념비적인 기록 | 1000경기 출장 | 2000년 5월 5일, 주니치 드래곤스와의 6차전 (나고야 돔), 7번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356번째 |
100홈런 | 2003년 4월 29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5차전 (Yahoo! BB 스타디움), 7회말에 야마모토 쇼고를 상대로 우월 2점 홈런 ※역대 227번째 |
3. 3. 등번호
新藤 達也|신도 다쓰야일본어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28]연도 | 등번호 |
---|---|
1988년 ~ 1992년, 2010년 ~ 2013년 | 36 |
1993년 ~ 2000년 | 1 |
2001년 ~ 2003년 | 7 |
2004년 ~ 2007년 | 82 |
2014년 ~ 2016년, 2025년 ~ | 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