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메이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메이선은 일본 홋카이도 후카가와에서 나요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11년 우류 계곡에 철도 건설을 요구하는 청원에서 시작되었다. 1918년 후카가와-슈마리나이 간 경편철도 건설이 결정되었고, 1922년 우류선이 착공되어 1931년 호로카나이선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소야 본선과 호로카나이선을 연결하는 메이우선 건설을 거쳐 1941년 두 노선을 통합하여 신메이선으로 개칭되었다. 우류댐 건설과 목재 수송으로 지역 경제에 기여했으나, 1960년대 석탄 산업 쇠퇴와 수입 목재 유입, 인구 감소, 모터리제이션의 발달로 수송량이 감소하면서 적자 노선이 되었고, 1995년 9월 4일 폐선되었다. 폐선 이후에는 JR 홋카이도 버스가 대체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는 터널이나 선로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폐지 노선 - 쓰가루 해협선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며 운영되던 쓰가루 해협선은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폐지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운영 중이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폐지 노선 - 에사시선
    에사시선은 과거 홋카이도 남서부를 가로지르던 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이었으나, 구간 폐지와 노선 이관으로 현재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으로 일부 구간만 남아 있다.
  • 홋카이도의 폐지된 철도 노선 - 데미야선
    데미야선은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남오타루역과 테미야역을 잇는 2.8km 철도 노선으로 1880년 개통되었으나 이용객 감소와 국철 경영 악화로 1985년 폐지되었고 폐선 부지는 산책로로 활용되고 있다.
  • 홋카이도의 폐지된 철도 노선 - 세타나선
    세타나선은 일본국유철도가 홋카이도 후타미군의 군누이역에서 세타나군의 세타나역을 잇던 48.4km의 철도 노선으로, 이용객 감소로 1987년 폐지되었다.
  • 적자 83선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 적자 83선 - 무기선
    무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쿠시마현의 철도 노선으로,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며 특급 및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은 버스와 공동 경영하며, 일부 구간 이관 및 특급 열차 운행 종료 예정이다.
신메이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신메이선
로마자 표기Sinmeongseon
나라일본
상태폐지
기점후카가와역
홋카이도 후카가와시
종점나요로역
홋카이도 나요로시
역수7
개통일1924년 10월 25일
폐지일1995년 9월 4일
소유자홋카이도여객철도
운영자홋카이도여객철도
영업 거리121.8 km
궤간1,067 mm(협궤)
선로전 구간 단선임.
전철화없음

2. 역사

1911년 호로카나이 주민들이 우류 계곡 철도 노선 건설 청원을 제출하면서 신메이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5년 후 우류철도기성동맹회(雨竜鉄道期成同盟会|우류 철도 기성 동맹회일본어)가 결성되었고, 1918년 일본 정부는 후카가와-슈마리나이 간 경편철도 건설을 결정했다. 1922년 우류선(雨龍線|우류 선일본어) 착공 후, 1931년 호로카나이선(幌加内線|호로카나이 선일본어)으로 개칭되었다.

1935년 소야 본선 연결을 위한 메이우선(名雨線|메이우 선일본어) 건설이 시작, 1941년 우류선과 메이우선이 통합되어 신메이선(深名線|신메이 선일본어)이 되었다.

우류댐 건설로 생긴 슈마리나이호는 관광 명소가 되었고, 댐 건설 후에도 목재 수송과 지역 교통을 담당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석탄 산업 쇠퇴, 수입 목재 증가, 자동차 보급 확대로 연선 지역 경제와 인구가 감소하면서 신메이선 수송량도 감소했다. 호로카나이정 인구는 1965년 9,195명에서 1970년 7,283명으로 줄었고, 시라카바역, 후키노다이역 주변 마을은 소멸했다.

신메이선은 적자83선에 포함, 1979년 영업계수 2,785를 기록할 정도로 심각한 적자를 겪었다. 1980년 국철재건법 제정에도 불구, 겨울철 대체 도로 미비로 제2차 폐지 대상 특정지방교통선에서 제외되었으나, 국철분할민영화 이후 홋카이도여객철도(JR 홋카이도)로 이관되었다가 1995년 9월 4일 결국 폐선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11년 ~ 1941년)

1911년, 호로카나이 지역 주민들은 처음으로 우류 계곡에 철도 노선 건설을 요구하는 청원을 제출했으며, 5년 후에는 우류철도기성동맹회(雨竜鉄道期成同盟会|우류 철도 기성 동맹회일본어)가 결성되었다. 1918년 일본 정부는 후카가와에서 슈마리나이를 잇는 경편철도 건설을 결정했다. 이 철도 노선은 우류선(雨龍線|우류 선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1922년 착공하여 6개 공구로 나누어 개통되었다. 1931년 10월 10일, 우류선은 호로카나이선(幌加内線|호로카나이 선일본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35년에는 소야 본선과 호로카나이선을 연결하는 메이우선(名雨線|메이우 선일본어) 건설이 시작되었다. 1941년, 우류선과 메이우선 두 노선은 신메이선(深名線|신메이 선일본어)으로 통합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1995년)

우류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호수는 관광 자원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슈마리나이호로 이름 붙여져 관광지가 되었다. 댐 건설 이후에도 목재 수송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연선 지역의 주요 교통수단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석탄 산업이 쇠퇴하고 값싼 수입 목재가 들어오면서 연선 지역 경제가 몰락하여 인구가 감소하였다. 호로카나이정의 인구는 1965년 9,195명에서 1970년 7,283명으로 감소하였고, 시라카바역과 후키노다이역 주변에는 마을이 사라졌으며, 자동차 교통의 발달(모터리제이션)과 도로의 정비로 신메이선의 수송량은 계속해서 감소하였다.

적자83선에 포함되기도 하였고, 1979년에는 영업계수 2,785의 큰 적자를 기록하였다. 1980년 국철재건법이 제정되었으나, 겨울철 대체 도로가 정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2차 폐지 대상 특정지방교통선에서 제외되었다.

국철분할민영화로 홋카이도여객철도(JR 홋카이도)로 이관된 후인 1995년 9월 4일 최종 폐선되었다.

3. 운행 형태

국철분할민영화 직후에는 후카가와~호로카나이 구간에 5왕복, 호로카나이~슈마리나이 구간에 4왕복(후카가와에서 직통), 슈마리나이~나요로 구간에 3왕복의 열차가 운행되었다.

4. 사용 차량

해당 문서는 비어 있는 상태이다. 내용을 추가하려면 편집이 필요하다.

5. 역 목록

역명일본어 역명일본어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 및 비고소재지



신메이선은 폐지 당시 모든 역이 홋카이도에 위치하였다.

5. 1. 역 목록

호로카나이정신나리우新成生일본어2km39.9km호로카나이幌加内일본어3.8km43.7km가미호로카나이上幌加内일본어3.1km46.8km(임시) 우엔베쓰雨煙別일본어4.3km51.1km1990년 3월 10일 폐지(임시) 세이와온센政和温泉일본어5.1km56.2km1990년 3월 10일 폐지세이와政和일본어2.5km58.7km신토미新富일본어5.5km64.2km1990년 9월 1일 폐지소에우시나이添牛内일본어4.4km68.6km오마가리 임시 승강장大曲仮乗降場일본어3.6km72.2km1976년 2월 1일 폐지교에이共栄일본어3.3km75.5km슈마리나이朱鞠内일본어3.3km78.8km고한湖畔일본어1.9km80.7km우쓰나이 임시 승강장宇津内仮乗降場일본어4.3km85km1956년 11월 19일 이후 폐지(임시) 후키노다이蕗ノ台일본어4.5km89.5km1990년 3월 10일 폐지(임시) 시라카바白樺일본어4.1km93.6km1990년 3월 10일 폐지기타모시리北母子里일본어5.4km99km데시오야요이天塩弥生일본어15.6km114.6km나요로시니시나요로西名寄일본어3.2km117.8km나요로名寄일본어4km121.8km홋카이도여객철도 소야 본선


6. 폐지 후

JR 홋카이도 버스가 대체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폐선 부지가 논밭이나 도로 용지로 전용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터널이나 선로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