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목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목왕후는 신라 신문왕의 왕비이다. 김흠운과 요석공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683년 신문왕의 계비가 되어 효소왕을 낳았다. 700년 6월 1일에 사망했으며, 황복사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 명문을 통해 사망 시점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출생 - 신문왕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 즉위하여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왕권 강화, 국학 설립을 통한 유교 교육 강화,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 9주 5소경 체제 완성, 고구려 유민 포용 정책 등을 통해 신라의 통일 국가 기틀을 다진 신라의 제31대 왕이다.
  • 7세기 출생 - 보니파시오
    보니파시오는 8세기 잉글랜드 출신 선교사로, 윈프리트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게르마니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를 정비했으며, 교황으로부터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을 받고 게르마니아 선교 주교로 임명되어 프랑크 왕국과 협력하여 선교하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신라의 왕비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비 - 만월부인
    만월부인은 신라 경덕왕의 왕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로, 아들이 없던 중 불국사 승려 표훈의 도움으로 혜공왕을 낳았으며 혜공왕 즉위 후 태후로서 섭정을 맡았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신목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신목왕후의 초상
신목왕후의 초상
작위왕후, 왕비
별칭미상
생애
출생일655년 이전
사망일700년 6월 1일
배우자
부군신문왕
자녀효소왕
성덕왕
김근질
김사종
가계
부친김흠운
모친요석공주
친인척태종무열왕
영창부인
왕후 정보
재위 기간692년 ~ 702년
전임자폐비 김씨
후임자미상
기타 정보
묘호미상
시호신목(神穆)
능묘미상
거주지신라
국적신라
가문경주 김씨
종교미상
왕조신라

2. 생애

신라 신문왕의 두 번째 왕비이자 효소왕성덕왕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내물왕의 8대손인 김흠운이며, 어머니는 태종무열왕의 딸인 요석공주이다.[5] 아버지 김흠운이 655년 전사하였으므로 그 이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681년 김흠돌의 난으로 첫 번째 왕비였던 사촌 김씨가 폐위된 후, 683년 신문왕의 계비로 책봉되었다. 이후 687년 효소왕을, 691년?에는 성덕왕을 낳았다.

700년 6월 1일에 사망하였으며,[4] 이는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의 금동사리함 명문과 일본의 《속일본기》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사후 아들인 성덕왕에 의해 신목태후(神穆太后)로 추존되었다.[4]

2. 1. 출생과 가계

김흠운요석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는 내물왕의 8대손인 김흠운이며, 어머니는 태종무열왕의 딸인 요석공주이다. 아버지 김흠운이 655년 백제와의 조천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으므로, 신목왕후는 적어도 655년 이전에 출생한 것으로 보인다.

삼촌은 김흠돌이며, 신문왕의 첫 번째 왕비였던 폐비 김씨는 사촌이다. 어머니 요석공주가 원효와 재혼하여 낳은 아들인 설총은 신목왕후의 이부동생이다. 설총은 이두와 화왕계로 유명한 신라의 학자였다.

신목왕후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신목왕후 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조부김달복(金達福)604년? ~ ?
조모김정희(金政熙)610년? ~ ?김해 김씨
김흠운(金歆運)? ~ 655년내물왕의 8대손, 요석공주의 첫 남편
요석공주(瑤石公主)630년? ~ ?태종무열왕의 딸, 신라 경주 김씨
외조부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603년 ~ 661년신라 제29대 왕
외조모김보희(金寶姬)603년? ~ ?영창부인, 김해 김씨, 김정희의 언니. 이로 인해 김흠운과 요석공주는 사촌 관계.
계부원효(元曉)617년 ~ 686년설총의 아버지
이부동생설총(薛聰)647년? ~ 736년?이두와 화왕계로 유명한 학자
남편신문왕(神文王)642년? ~ 692년신라 제31대 왕
아들효소왕(孝昭王)687년 ~ 702년신라 제32대 왕
아들성덕왕(聖德王)691년? ~ 737년신라 제33대 왕
아들김근질(金根質)693년? ~ ?
아들김사종(金詞宗)695년? ~ ?


2. 2. 왕비 책봉

681년 김흠돌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숙청되었다. 이 사건의 여파로 당시 왕비였던 김흠돌의 딸 김씨가 폐위되었고, 이후 683년 신목왕후가 계비로 책봉되었다. 687년에는 효소왕을 낳았다.

2. 3. 사망

신목왕후의 사망에 대한 기록은 국내 역사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1943년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 명문에 따르면, 신목왕후는 700년 6월 1일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사리함은 706년 5월에 성덕왕이 아버지 신문왕, 어머니 신목태후(신목왕후), 형인 효소왕을 추모하며 발원한 것이다.[4]

또한, 일본의 역사서인 《속일본기몬무 천황 4년(700년) 11월 기록에는 신라에서 살찬 김소모(金所毛)를 파견하여 신라 국왕 어머니의 죽음을 알렸다는 내용이 남아있어, 신목왕후의 사망 사실이 당시 일본에도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3. 가계

아버지는 내물왕의 8대손인 김흠운이며, 어머니는 태종무열왕의 딸인 요석공주이다.[5] 이두와 화왕계로 유명한 신라 신문왕대의 학자인 설총은 그녀의 어머니 요석공주가 원효대사와 혼인하여 낳은 아들로, 신목왕후에게는 이부동생이 된다.

'''신목왕후 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김흠운(金歆運)[5]? ~ 655년내물왕의 8대손, 요석공주의 첫 남편
어머니요석공주(瑤石公主)630년? ~ ?태종무열왕의 딸, 신라 경주 김씨
조부김달복(達福公)604년 ~ ?
조모김정희(金政熙)610년 ~ ?김해 김씨
외조부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603년 ~ 661년신라 제29대 왕
외조모영창부인 김보희(永昌夫人 金寶姬)603년 ~ ?김해 김씨
계부원효(元曉)617년 ~ 686년요석공주의 두 번째 남편
이부동생설총(薛聰)647년? ~ 736년?원효와 요석공주의 아들
배우자신문왕(神文王)642년? ~ 692년신라 제31대 왕
아들효소왕(孝昭王)687년 ~ 702년신라 제32대 왕
아들성덕왕(聖德王)691년? ~ 737년신라 제33대 왕
며느리성정왕후 김씨(成貞王后 金氏)691년? ~ ?성덕왕의 첫 왕비
며느리소덕왕후 김씨(炤德王后 金氏)700년 ~ 724년성덕왕의 두 번째 왕비
손자효성왕(孝成王)718년 ~ 742년성덕왕과 소덕왕후의 아들, 신라 제34대 왕
손자경덕왕(景德王)723년 ~ 765년성덕왕과 소덕왕후의 아들, 신라 제35대 왕
손녀김씨 부인(金氏 夫人)724년 ~ ?성덕왕과 소덕왕후의 딸
아들김근질(金根質)693년? ~ ?
아들김사종(金詞宗)695년? ~ ?


참조

[1] 간행물 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2006
[2] 논문 Queen Dowager Sinmok of Silla as the Mother King https://www.kci.go.k[...] 2011
[3]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신목왕후 神穆王后 https://terms.naver.[...]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4] 웹인용 황복사금동사리함명(皇福寺 金銅舍利函銘) http://db.history.go[...]
[5] 문서 혹은 金欽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