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쑹타오 (195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쑹타오(宋濤)는 1955년 4월 장쑤성 쑤첸 시 출생으로, 중국의 정치인이다. 문화 대혁명 시기 하방 지식 청년으로 활동했으며, 푸젠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외교관, 당 간부 등을 역임했다. 2015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중국 공산당 대외 연락부 부장을 지냈으며, 이 기간 동안 시진핑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은과 회담했다. 2022년 12월부터는 중국 국무원 대만 사무판공실 주임으로 재직하고 있다. 캄보디아 왕립 훈장 대십자장과 히랄-이-임티아즈 훈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단 학원 동문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모나시 대학교 동문 - 마크 홀든
    마크 홀든은 1970년대 가수로 데뷔하여 배우, 작곡가, 프로듀서, 방송인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변호사가 된 오스트레일리아의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모나시 대학교 동문 - 데이미언 콘웨이
    데이미언 콘웨이는 펄 프로그래밍 언어 전문가이자 《펄 베스트 프랙티스》, 《객체 지향 펄》, 《펄 핵》 등 펄 관련 서적을 저술한 작가이다.
쑹타오 (195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쑹타오
원래 이름宋涛
출생일1955년 4월 17일
출생지장쑤성 쑤첸
거주지베이징
정치
소속 정당중국공산당
직책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임기 시작2015년 11월 1일
주석시진핑
총리리커창
경력
주요 경력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차장
중국공산당 외교행정위원
역임한 직책타이완 사무판공실 주임 (2022년 12월 28일 ~ 현재)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2015년 11월 19일 ~ 2022년 6월 2일)
필리핀 주재 중국 대사 (2007년 9월 ~ 2008년 10월)
가이아나 주재 중국 대사 (2002년 3월 ~ 2004년 8월)
타이완 사무판공실 주임 후임없음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후임류젠차오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전임왕자루이
필리핀 주재 중국 대사 후임류젠차오
필리핀 주재 중국 대사 전임리진쥔
학력
출신 학교푸젠 사범대학교
대학원모나시 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개인 정보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정보 없음
부모정보 없음
친척정보 없음
종교정보 없음

2. 생애

쑹타오는 1955년 4월 장쑤성 쑤첸 시에서 태어났다. 1973년 3월부터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1975년 9월에 중국 공산당 당원이 되었다.

십 대 시절 문화 대혁명을 겪으며 푸젠성 샤 현에서 하방 지식 청년으로 육체 노동을 했다. 이후 평생 푸젠성에서 일했으며, 푸젠 사범대학을 졸업했다. 1978년부터 푸젠 임업 연구소에서 일했고, 이후 푸젠 경공업 연구소, 뤄위안 현, 푸젠 경공업 회사, 푸젠 국제 신탁 회사 등에서 근무했다. 1988년 9월부터 1991년 8월까지는 호주 모나쉬 대학교에서 유학했다.[1]

2001년 주 인도 중국 대사 보좌관으로 임명된 후 가이아나 주재 대사, 외교부 국장, 필리핀 주재 대사를 역임했다.[1] 2008년 외교부 당 위원회에 합류하여 기율 검사 책임자가 되었고, 2011년 외교부 부부장, 2013년 외사 영도 소조 외사판공실 부주임, 2014년 상무 부주임(장관급)으로 승진했다.[1]

2015년 왕자루이의 뒤를 이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에 임명되었다. 2017년 시진핑 총서기의 특사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 최룡해 등과 회담했고, 김정은 위원장 방중 시 단둥역에서 영접 및 회담을 가졌다. 김일성 생일 기념 국제 예술제에 참가,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하고 중조 관계 강화를 논의했다.[11]

2022년 6월 대외연락부장에서 물러났으며, 12월 류제이의 뒤를 이어 중국 국무원 대만 사무판공실 주임에 취임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쑹타오(宋濤)는 1955년 4월 장쑤성 쑤첸 시에서 태어났다. 문화 대혁명 시기 쑹타오는 푸젠성 샤 현에서 하방 지식 청년으로 육체 노동을 했다. 그는 평생 푸젠성에서 일했으며, 푸젠 사범대학을 졸업했다. 1978년부터 푸젠 임업 연구소에서 일했고, 이후 푸젠 경공업 연구소, 뤄위안 현, 푸젠 경공업 회사, 푸젠 국제 신탁 회사 등에서 근무했다.[1] 1988년 9월부터 1991년 8월까지는 호주 모나쉬 대학교에서 유학했다.[1]

2. 2. 외교 경력

쑹타오(宋濤)는 장쑤성 쑤첸 시 출신으로, 문화 대혁명 시기 푸젠성에서 하방 지식 청년으로 육체 노동을 경험했다. 평생 푸젠성에서 일했으며, 푸젠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푸젠 임업 연구소, 푸젠 경공업 연구소, 뤄위안 현, 푸젠 경공업 회사, 푸젠 국제 신탁 회사 등에서 근무했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호주 모나쉬 대학교에서 유학했다.[1]

2001년 주 인도 중국 대사 보좌관으로 임명된 후, 가이아나 주재 대사, 외교부 국장, 필리핀 주재 대사를 역임했다.[1] 2008년에는 외교부 당 위원회에 합류하여 기율 검사 책임자로서 감독 및 반부패 활동을 담당했고, 2011년에는 외교부 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1] 2013년 외사 영도 소조의 집행 기구인 외사판공실 부주임, 2014년에는 상무 부주임(장관급)으로 승진했다.[1]

2015년 11월, 왕자루이의 뒤를 이어 중국 공산당 대외 연락부 부장에 임명되었다.[1] 2015년 10월에는 류윈산과 함께 북한을 방문했다.

2017년 시진핑 총서기의 특사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5] 최룡해 등과 회담했지만,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견은 공개되지 않았다.[6] 같은 해 3월 방중한 김정은 위원장을 단둥역에서 맞이하고 특별 열차에 동승하여 회담을 가졌으며,[7] 시진핑 총서기와의 회담에도 배석했다.[8] 이후 단둥역까지 동행하여 특별 열차 안에서 다시 회담을 가졌다.[9]

2017년 4월, 김일성 생일 106주년 기념 국제 예술제에 참가하기 위해 다시 방북하여 김여정 등의 영접을 받았고,[10]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하여 중조 관계 강화를 위한 의견을 교환했다.[11] 김정은 위원장이 주최한 연회에도 참석했으며,[12]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관련 협의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14][15] 이례적으로 김정은과 두 번째 회담을 가지기도 했다.[16]

자민당·공명당과의 중일 여당 협의회를 정례화하는 데 합의(2015년 3월)한 후,[20] 2015년 12월 6년 만에 재개된 제5회 중일 여당 협의회에서 일본 측 카운터파트 역할을 맡았다.[21] 2017년 8월 제6회 중일 여당 교류 협의회 참석차 일본을 방문,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민진당 렌호 대표와 회담했다.[23][24]

2022년 6월 당 중앙 대외 연락부 부장직에서 물러났으며,[17][18] 12월에는 류제이의 뒤를 이어 중국 국무원 대만 사무판공실 주임으로 임명되었다.[2][19]

2024년 쑹타오가 상하이에서 방문한 중국 국민당 부주석 샤리옌을 만났다.

2. 3.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2015년 11월, 쑹타오는 왕자루이의 뒤를 이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에 임명되었다. 왕자루이는 10년 넘게 대외연락부를 이끌었다.[1] 2015년 10월, 쑹타오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류윈산과 함께 북한을 고위급으로 방문했다.

2017년 12월 17일부터 시진핑총서기의 특사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일간 방문하여[5], 조선로동당 부위원장 최룡해 등과 회담했지만 김정은위원장과의 회견은 공개되지 않았다.[6]

2017년 3월 26일, 김정은 위원장의 첫 방중 때 단둥역에서 그를 맞이하여 특별 열차에 동승하고 직접 회담을 진행했으며,[7] 시진핑 총서기와의 회담에도 배석했다.[8] 쑹타오는 단둥역까지 동행하여 특별 열차 안에서 회담을 가졌다.[9]

2017년 4월 13일, 김일성 생일 106주년 기념 국제 예술제에 참가하기 위해 예술단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공항에서는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등이 영접했으며,[10] 김정은 위원장과 회담하여 "중대한 문제와 국제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중조 관계 강화를 위해 의견을 같이했다.[11] 김정은 위원장이 주최한 연회에도 참석했다.[12] 같은 시기에 진행된 영국, 프랑스, 미국시리아 군사 공격,[13]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도 협의한 것으로 보인다.[14][15] 17일에는 이례적으로 김정은과 두 번째 회담을 가졌다.[16]

2022년 6월, 당 중앙 대외연락부 부장직에서 물러났다.[17][18]

2. 4. 대만 사무판공실 주임

2022년 12월 28일, 류제이의 뒤를 이어 중국 국무원 대만 사무판공실 주임으로 임명되었다.[2] 장쑤성 쑤첸 시에서 태어났다.[19]

참조

[1] 뉴스 宋涛接替王家瑞任中联部部长 http://china.caixin.[...] Caixin 2015-11-25
[2] 뉴스 宋涛出任中央台办、国台办主任 http://district.ce.c[...] ce.cn 2022-12-28
[3] 웹사이트 King decorates China rep with Grand Cross https://www.khmertim[...] 2018-08-30
[4] 웹사이트 宋涛会见巴基斯坦驻华大使哈克 https://www.idcpc.or[...] 2020-11-19
[5] 뉴스 中国が北に習総書記の特使、17日派遣へ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7-11-15
[6] 뉴스 中国対外連絡部長帰国…金正恩委員長との面談は明らかにせず https://japanese.joi[...] 2017-11-21
[7] 뉴스 特別列車内で中国要人と面会も 北朝鮮メディアが映像公開 https://www.sankei.c[...] 2018-03-30
[8] 뉴스 中国芸術団訪朝へ 習近平氏側近、高官と会談へ https://www.sankei.c[...] 2018-04-11
[9] 뉴스 传金正恩访华内幕:宋涛当人质金与正守家 http://www.ntdtv.com[...] 2018-03-30
[10] 웹사이트 北朝鮮、中国芸術団を厚遇…金与正氏ら出迎え「親善」アピール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8-04-14
[11] 웹사이트 金正恩氏、中国高官と会談 関係発展で一致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15
[12] 웹사이트 金日成主席の生誕記念日 前日には金正恩委員長が中国共産党中央対外連絡部長と会談 関係強化アピール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 2018-04-15
[13] 웹사이트 金正恩氏、中国高官と会談=「重大な問題」で意見交換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8-04-13
[14] 웹사이트 金正恩氏、中国共産党の高官と会談 「重大な問題」協議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4-15
[15] 웹사이트 正恩氏、訪朝の中国高官と会談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4-16
[16] 웹사이트 中国共産党幹部とまた会談 金正恩氏、協力強化を協議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18
[17] 뉴스 中国共産党中央対外連絡部のトップに劉建超氏 https://jp.reuters.c[...] 2022-06-03
[18] 뉴스 対外連絡部長に劉氏 中国共産党 https://web.archive.[...] 2022-06-04
[19] 뉴스 中国の台湾政策トップに宋濤氏 https://www.sankei.c[...] 2022-12-28
[20] 뉴스 日中与党交流再開を確認 自公幹事長と中国共産党要人 https://www.nikkei.c[...] 2015-03-24
[21] 뉴스 中日与党交流協議会第5回会議が開幕 http://j.people.com.[...] 2015-12-04
[22] 뉴스 「一帯一路」積極的に協力 日中与党協議会が共同提言 https://web.archive.[...] 2017-08-09
[23] 뉴스 宋濤中国共産党対外連絡部部長等による表敬 https://www.kantei.g[...] 2017-08-08
[24] 뉴스 蓮舫代表、宋濤・中国共産党中央対外連絡部長と会談 https://www.minshin.[...] 201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