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다치 미쓰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다치 미쓰히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1959년부터 1980년까지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언더핸드 투수로서 1967년 퍼시픽 리그 MVP를 수상했고, 같은 해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 통산 676경기에 출전하여 187승을 기록했으며, 일본 시리즈 감투상 3회,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4회를 수상했다. 은퇴 후에는 한큐와 오릭스 구단에서 스카우트로 활동했고, 간세이 가쿠인 대학 야구부 임시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모리 고타로
모리 고타로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큐군, 도큐 플라이어스, 니시닛폰 파이레츠 등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41년 다승왕과 최고 승률을 석권하고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으며, 은퇴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 - 기타벳푸 마나부
기타벳푸 마나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213승을 기록한 전설적인 투수로, 일본시리즈 우승과 MVP 수상, 명예의 전당 헌액 등 화려한 선수 경력 이후 야구 해설가, 지도자, 유튜버로 활동했다. - 오사카시 출신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오사카시 출신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아다치 미쓰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다치 미쓰히로 |
원어 이름 | 足立 光宏 (아다치 미쓰히로) |
로마자 표기 | Mitsuhiro Adachi |
출생일 | 1940년 3월 10일 |
출생지 | 오사카부 오사카시 고노하나구 |
신장 | 173cm |
체중 | 74kg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포지션 |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오사카 다이마루 오사카 시립 니시 고등학교 |
프로 | 한큐 브레이브스 (1959년 ~ 1980년) |
코치 경력 | |
프로 | 한큐 브레이브스 (1980년 ~ 1985년) |
대학 | 간세이 가쿠인 대학 |
프로 데뷔 | |
데뷔일 | 1959년 4월 10일 |
마지막 출장 | 1979년 10월 9일 |
통계 | |
승-패 | 187승 153패 |
평균 자책점 | 2.91 |
탈삼진 | 1482 |
2. 선수 경력
오사카 대공습으로 집과 공장이 모두 불타는 피해를 입어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의 친척 집으로 이사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다.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에게 글러브를 선물받아, 야구 도구를 소중히 다루는 법을 배웠다.[1]
오사카 시립 시모후쿠시마 중학교 시절까지는 독특한 폼으로 공을 던졌다고 한다.[1] 오사카 시립 니시 고등학교 1학년 때 팔꿈치에 연골이 생겨 1년 동안 휴식을 취해야 했다. 부상 후 재발에 대한 불안감으로 팔의 위치가 점차 낮아져 언더핸드 투수가 되었다.[2][1]
고등학교 졸업 후 주변의 권유로 사회인 야구팀 오사카 다이마루에 입단, 1958년 제29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이를 계기로 프로 구단 스카우트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1]
1959년에 한큐 브레이브스에 입단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카프 등에서도 영입 제의가 있었지만, 도쿄를 싫어했고 요미우리는 안중에도 없었으며, "가장 보람 있을 것 같았다"는 점과 "은근히 요네카지 콤비에게 동경심이 있었다"는 이유로 한큐를 선택했다. 개막전이었던 4월 10일 도에이 플라이어스와의 경기에서 7회부터 등판해 3이닝을 막아내며 승리 투수가 되었으나, 이후에는 부진했다. 1962년, 봄 캠프부터 컨디션이 좋았지만, 감독 토쿠라 카츠시로에게 등판 기회를 얻지 못해, 5월 초 오키나와 원정에서도 제외되었다. 5월 24일 난카이와의 경기에서 첫 선발 등판하여, 1경기 17 탈삼진이라는 프로 야구 기록(당시)을 세웠다. 그 해에는 요네다 테츠야 (20승)・카지모토 타카오 (14승)에 이어 8승에 방어율 1.96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63년에 감독으로 취임한 니시모토 유키오는 아다치를 자주 기용했고, 47경기, 200이닝이 넘는 등판을 했다. 그러나 안에서 솟아나는 힘이 균형 있게 공에 실리지 않고 헛돌고 있는 느낌이어서 6승 18패, 방어율 3.45로 부진했다. 패배가 많아도 기용해 준 니시모토에 대한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아다치는 연습에 매진했다. 1964년에는 13승을 거두며 처음으로 규정 이닝에 도달했고 리그 10위 방어율 2.78을 기록했다. 이후, 1965년 17승, 1967년에는 20승 10패, 방어율 1.75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하며 한큐의 첫 우승에 크게 기여했고, MVP로도 선정되었다.
V9 시기였던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 4경기에 등판, 2차전에서는 호리우치 츠네오와 맞대결을 펼쳐 완투했지만 0-1로 아쉽게 패했다. 4차전은 카네다 마사이치를 상대로 완투 승리, 5차전도 구원 등판하여 2승을 거두었다. 팀은 2승 4패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쳤지만, 동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1968년 캠프 중에 어깨 부상을 입었고, 오픈전에서도 무리하게 등판하여 더욱 악화되었다. 오른손으로는 얼굴을 씻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했지만, 훈련을 계속하면서 통증이 완화되어, 9월 말에는 선발로 복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으나, 2차전에서는 5실점하며 5회에 강판, 패전 투수가 되었다. 1969년에도 5월에 부상으로 2승으로 부진했다. 일본 시리즈는 총 6경기 중 5경기에 등판, 2차전에서는 미야모토 유키노부를 구원 등판하여 연장 10회 사요나라 승리, 5차전에서는 완투 승리를 장식했다.
부상으로 인해 이전의 구위는 잃었지만, 이 사이에 습득한 싱커를 무기로 부활했다. 1971년에는 19승, 방어율 2.49(야마다 히사시에 이은 리그 2위)를 기록했다. 1970년부터 17연승을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2022년에 야마모토 요시노부에게 갱신되기 전까지 구단 기록이었다.[4] 프로 야구 전체에서도 2022년 현재 8위의 기록이다.[5] 이 해, 일본 프로 야구에서 마지막 몰수 경기가 된 7월 13일 롯데 오리온즈와의 경기에서 (롯데 측의 책임으로 몰수되었기 때문에) 승리 투수가 되었다.[6]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모두 패전 투수가 되었다. 1972년에도 16승, 방어율 2.63 (리그 5위)을 기록했고, 첫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획득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3차전에서 호리우치 츠네오를 상대로 완투 승리했다. 요미우리에 막혀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루지 못했지만, 요네다 테츠야・카지모토 타카오・야마다 히사시 등과 함께 한큐 황금 시대를 지탱했다. 아다치는 당시를 회상하며 "이 무렵에는 삼진을 잡기 위해 3구를 던지는 것도 힘들어서, 1구로 어떻게 아웃시킬까를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를 타격하게 만들어 중심을 벗어나게 해야 한다. 그게 싱커의 진가(真価)이고요"라고 말장난을 섞어 말했다.[7] 컨트롤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무렵부터 사구가 늘기 시작했지만, "공이 느리기 때문에, 타자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가끔 경고의 의미로 몸쪽을 공략했다"는 결과라고 한다.[7]
33세가 된 1973년에는 체력적인 쇠퇴와 기술적인 한계에 시달리며 다시 4승으로 부진했다. 이 해부터 심판이 세트 포지션에서의 정지를 엄격하게 보게 되면서, 모션까지의 시간이 짧은 아다치는 보크를 7개나 범하며 리듬이 깨진 면도 있었다. 커브에 연마를 가했고, 2종류의 커브를 던지는 기술에 더해, 타자의 호흡과 노림수를 빗나가는 기술까지 익혀, 1974년부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다. 1975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3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승패는 기록되지 않았다. 1976년에는 아다치로부터 싱커를 배워 익힌 야마다가 26승을 거두자, 아다치 자신도 17승을 거두며, 한큐의 완전 우승 (2시즌제로 전기, 후기 모두 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3경기에 선발 등판, 한큐가 3연승을 거둔 후 요미우리에 3연패를 당해 벼랑 끝에 몰린 마지막 7차전에서 클라이드 라이트를 상대로 완투 승리했고, 숙원이었던 요미우리 격파를 달성했다. 이 해 일본 시리즈 우승이 결정된 곳은 약 5만 명의 요미우리 팬이 있는 고라쿠엔 구장이었고, 당시 언론에서는 "혼자 5만 명과 싸운 남자"라고 평가했다.[8]
1977년 시즌 후반, 오랫동안 언더스로의 낮은 투구 자세를 지탱해 온 무릎에 부상(왼쪽 무릎 관절염)을 입었다. 왼쪽 무릎의 뼈가 마모되어 물이 차는 상태가 되었다. 등판 시에는 무릎을 테이핑과 서포터로 고정하고, 투구를 마칠 때마다 무릎에서 물을 빼는 대응을 해야 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요미우리를 상대로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 1978년에는 정규 시즌을 포기하고, 일본 시리즈에 전념하기로 결심한다. 정규 시즌은 부상으로 인해 4승에 그쳤지만,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3차전에서 완봉 승리, 마지막 7차전에서는 오스기 카츠오에게 의혹의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지만,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1979년부터는 1군 투수 코치를 겸임했지만, 승리를 거두지 못했고, 등판 기회가 없었던 1980년을 끝으로 현역 은퇴했다. 1979년을 끝으로 은퇴했다는 설도 있지만, 1980년에도 코치 겸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9]
2. 1. 프로 입단 전
오사카 대공습으로 집과 공장이 모두 불타는 피해를 입어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의 친척 집으로 이사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다.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에게 글러브를 선물받아, 야구 도구를 소중히 다루는 법을 배웠다.[1]오사카 시립 시모후쿠시마 중학교 시절까지는 독특한 폼으로 공을 던졌다고 한다.[1] 오사카 시립 니시 고등학교 1학년 때 팔꿈치에 연골이 생겨 1년 동안 휴식을 취해야 했다. 부상 후 재발에 대한 불안감으로 팔의 위치가 점차 낮아져 언더핸드 투수가 되었다.[2][1]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주변의 권유로 사회인 야구팀 오사카 다이마루에 입단했다.[1] 1958년 제29회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이를 계기로 프로 구단 스카우트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1]
2. 2.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1959-1980)
1959년에 한큐 브레이브스에 입단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카프 등에서도 영입 제의가 있었지만, 도쿄를 싫어했고 요미우리는 안중에도 없었으며, "가장 보람 있을 것 같았다"는 점과 "은근히 요네카지 콤비에게 동경심이 있었다"는 이유로 한큐를 선택했다. 개막전이었던 4월 10일 도에이 플라이어스와의 경기에서 7회부터 등판해 3이닝을 막아내며 승리 투수가 되었으나 이후에는 부진했다. 1962년, 봄 캠프부터 컨디션이 좋았지만, 감독 토쿠라 카츠시로에게 등판 기회를 얻지 못해, 5월 초의 오키나와 원정에서도 제외되었다. 하지만 5월 24일 난카이와의 경기에서 첫 선발 등판하여, 1경기 17 탈삼진이라는 프로 야구 기록(당시)을 세웠다. 그 해에는 요네다 테츠야 (20승)・카지모토 타카오 (14승)에 이어 8승에 방어율 1.96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1963년에 감독으로 취임한 니시모토 유키오는 아다치를 자주 기용했고, 47경기, 200이닝이 넘는 등판을 했다. 그러나 안에서 솟아나는 힘이 균형 있게 공에 실리지 않고 헛돌고 있는 느낌이어서 승수를 늘리지 못하고 6승 18패, 방어율 3.45로 끝났다. 패배가 많아도 기용해 준 니시모토에 대한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아다치는 연습에 매진했다. 1964년에는 13승을 거두며 처음으로 규정 이닝에 도달했고 리그 10위 방어율 2.78을 기록했다. 이후, 1964년 15승, 1965년 17승으로 승수를 늘렸다. 1967년에는 20승 10패, 방어율 1.75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하며 한큐의 첫 우승에 크게 기여했고, 투수 요네다, 카지모토, 타자 스펜서・나가이케를 제치고 MVP로도 선정되었다. V9 시기였던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4경기에 등판했다. 2차전에서는 호리우치 츠네오와 맞대결을 펼쳐 완투했지만 0-1로 아쉽게 패했다. 4차전은 카네다 마사이치를 상대로 승리하며 완투 승리, 5차전도 구원 등판하여 2승을 거두었다. 팀은 2승 4패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쳤지만, 동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이듬해 1968년 캠프 중에 어깨 부상을 입었고, 오픈전에서도 무리하게 등판하여 더욱 악화되었다. 오른손으로는 얼굴을 씻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했지만, 훈련을 계속하면서 통증이 완화되어, 9월 말에는 선발로 복귀했다.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2차전에서는 5실점하며 5회에 강판, 패전 투수가 되었다. 1969년에도 5월에 부상으로 2승으로 부진했다. 하지만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는 총 6경기 중 5경기에 등판했다. 2차전에서는 미야모토 유키노부를 구원 등판하여 연장 10회 사요나라 승리, 5차전에서는 완투 승리를 장식했다.
부상으로 인해 이전의 구위는 잃었지만, 이 사이에 습득한 싱커를 무기로 부활했다. 1971년에는 19승, 방어율 2.49(야마다 히사시에 이은 리그 2위)를 기록했다. 또한, 전년도 1970년부터 17연승을 기록했다. 이 기록은 2022년에 야마모토 요시노부에게 갱신되기 전까지 구단 기록이었다[4]. 프로 야구 전체에서도 2022년 현재 8위의 기록이다[5]. 이 해, 일본 프로 야구에서 마지막 몰수 경기가 된 7월 13일 롯데 오리온즈와의 경기에서 (롯데 측의 책임으로 몰수되었기 때문에) 승리 투수가 되었다[6].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모두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듬해 1972년에도 16승, 방어율 2.63 (리그 5위)을 기록했고, 첫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획득했다.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3차전에서 호리우치 츠네오를 상대로 승리하며 완투 승리했다. 요미우리에 막혀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루지 못했지만, 요네다 테츠야・카지모토 타카오・야마다 히사시 등과 함께 한큐 황금 시대를 지탱했다. 아다치는 당시를 회상하며 "이 무렵에는 삼진을 잡기 위해 3구를 던지는 것도 힘들어서, 1구로 어떻게 아웃시킬까를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를 타격하게 만들어 중심을 벗어나게 해야 한다. 그게 싱커의 진가(真価)이고요"라고 말장난을 섞어 말했다[7]. 컨트롤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무렵부터 사구가 늘기 시작했지만, "공이 느리기 때문에, 타자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가끔 경고의 의미로 몸쪽을 공략했다"는 결과라고 한다[7].
33세가 된 1973년에는 체력적인 쇠퇴와 기술적인 한계에 시달리며 다시 4승으로 부진했다. 배경에는 이 해부터 심판이 세트 포지션에서의 정지를 엄격하게 보게 되면서, 모션까지의 시간이 짧은 아다치는 보크를 7개나 범하며 리듬이 깨진 면도 있었다. 이번에는 이전부터 주무기였던 커브에 연마를 가했고, 2종류의 커브를 던지는 기술에 더해, 타자의 호흡과 노림수를 빗나가는 기술까지 익혀, 1974년부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다. 1975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3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승패는 기록되지 않았다. 1976년에는 아다치로부터 싱커를 배워 익힌 야마다가 26승을 거두자, 아다치 자신도 17승을 거두며, 한큐의 완전 우승 (2시즌제로 전기, 후기 모두 우승)에 기여했다.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3경기에 선발 등판, 한큐가 3연승을 거둔 후 요미우리에 3연패를 당해 벼랑 끝에 몰린 마지막 7차전에서 클라이드 라이트를 상대로 승리하며 완투 승리했고, 숙원이었던 요미우리 격파를 달성했다. 이 해 일본 시리즈 우승이 결정된 곳은 약 5만 명의 요미우리 팬이 있는 고라쿠엔 구장이었고, 당시 언론에서는 "혼자 5만 명과 싸운 남자"라고 평가했다[8].
1977년 시즌 후반, 오랫동안 언더스로의 낮은 투구 자세를 지탱해 온 무릎에 부상(왼쪽 무릎 관절염)을 입었다. 왼쪽 무릎의 뼈가 마모되어 물이 차는 상태가 되었다. 등판 시에는 무릎을 테이핑과 서포터로 고정하고, 투구를 마칠 때마다 무릎에서 물을 빼는 대응을 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리즈에서는 요미우리를 상대로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 1978년에는 아다치는 정규 시즌을 포기하고, 일본 시리즈에 걸기로 결심한다. 정규 시즌은 부상으로 인해 4승에 그쳤지만,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2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3차전에서 완봉 승리, 마지막 7차전에서는 오스기 카츠오에게 의혹의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지만,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1979년부터는 1군 투수 코치를 겸임했지만, 승리를 거두지 못했고, 등판 기회가 없었던 1980년을 끝으로 현역 은퇴했다. 1979년을 끝으로 은퇴했다는 설도 있지만, 1980년에도 코치 겸 선수로 등록되어 있다[9].
2. 3. 은퇴 후
1981년부터 1985년까지 한큐 2군 투수 코치를 거쳐, 1986년부터 한큐・오릭스의 스카우트가 되었다. 2009년부터 간세이 가쿠인 대학 경식 야구부의 임시 코치를 맡아 2017년까지 역임했다[1].현역 시절의 트로피나 유니폼 대부분은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니시노미야시의 자택이 피해를 입었을 때 처분했다[2]. 브레이브스 OB 토크 이벤트에는 "그런 자리는 서투르다"는 이유로 출연을 고사했으며[3], 현역 시절의 영상도 보지 않는다고 한다[4].
3. 주요 기록 및 수상
아다치 미쓰히로는 통산 676경기에 등판하여 372경기에서 선발로 나왔다. 141번의 완투와 36번의 완봉승을 기록했으며, 187승 153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2.91을 기록했다. 특히 1967년에는 20승 10패, 평균자책점 1.75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하며 한큐의 첫 우승에 크게 기여했고, MVP로도 선정되었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 17연승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2년 야마모토 요시노부에게 갱신되기 전까지 구단 기록이었다.[4] 프로 야구 전체에서도 2022년 현재 8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5] 1971년 7월 13일 롯데 오리온즈와의 경기에서 일본 프로 야구 마지막 몰수 경기 승리 투수가 되었다.[6]
수비 능력도 뛰어나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통산 4번 수상했다. 3000이닝 이상을 던진 투수(역대 28명, 2021년 종료 현재) 중 통산 폭투는 4개로 가장 적다.
연도 | 소속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59 | 한큐 | 36 | 11 | 2 | 0 | 0 | 4 | 7 | -- | -- | .364 | 466 | 111.2 | 113 | 4 | 25 | 1 | 3 | 63 | 0 | 0 | 57 | 47 | 3.79 | 1.24 |
1960 | 41 | 13 | 1 | 1 | 0 | 4 | 7 | -- | -- | .364 | 449 | 112.1 | 101 | 6 | 19 | 2 | 3 | 52 | 1 | 0 | 42 | 40 | 3.20 | 1.07 | |
1961 | 27 | 6 | 0 | 0 | 0 | 1 | 4 | -- | -- | .200 | 267 | 62.0 | 71 | 7 | 11 | 0 | 2 | 37 | 0 | 0 | 33 | 28 | 4.06 | 1.32 | |
1962 | 39 | 9 | 4 | 4 | 2 | 8 | 4 | -- | -- | .667 | 483 | 123.2 | 92 | 8 | 22 | 3 | 1 | 94 | 0 | 0 | 32 | 27 | 1.96 | 0.92 | |
1963 | 47 | 24 | 5 | 2 | 0 | 6 | 18 | -- | -- | .250 | 803 | 200.2 | 187 | 24 | 31 | 6 | 6 | 121 | 0 | 0 | 89 | 77 | 3.45 | 1.09 | |
1964 | 46 | 29 | 8 | 4 | 2 | 13 | 15 | -- | -- | .464 | 927 | 236.0 | 200 | 26 | 37 | 3 | 5 | 125 | 0 | 0 | 82 | 73 | 2.78 | 1.00 | |
1965 | 31 | 24 | 10 | 4 | 2 | 15 | 9 | -- | -- | .625 | 684 | 171.0 | 146 | 14 | 35 | 1 | 11 | 104 | 0 | 0 | 59 | 52 | 2.74 | 1.06 | |
1966 | 52 | 30 | 10 | 3 | 2 | 17 | 14 | -- | -- | .548 | 1099 | 270.1 | 243 | 27 | 49 | 5 | 14 | 158 | 0 | 0 | 98 | 79 | 2.63 | 1.08 | |
1967 | 43 | 29 | 17 | 5 | 1 | 20 | 10 | -- | -- | .667 | 1042 | 268.0 | 191 | 13 | 60 | 10 | 9 | 130 | 0 | 0 | 65 | 52 | 1.75 | 0.94 | |
1968 | 5 | 4 | 0 | 0 | 0 | 0 | 1 | -- | -- | .000 | 74 | 18.0 | 13 | 2 | 5 | 0 | 1 | 12 | 0 | 0 | 11 | 7 | 3.50 | 1.00 | |
1969 | 33 | 5 | 0 | 0 | 0 | 2 | 1 | -- | -- | .667 | 265 | 60.1 | 73 | 10 | 10 | 2 | 6 | 32 | 0 | 0 | 39 | 32 | 4.77 | 1.38 | |
1970 | 46 | 6 | 3 | 0 | 0 | 9 | 2 | -- | -- | .818 | 469 | 117.0 | 112 | 11 | 24 | 3 | 3 | 59 | 0 | 0 | 45 | 39 | 3.00 | 1.16 | |
1971 | 43 | 32 | 18 | 4 | 3 | 19 | 8 | -- | -- | .704 | 996 | 252.2 | 200 | 21 | 55 | 9 | 11 | 116 | 0 | 0 | 80 | 70 | 2.49 | 1.01 | |
1972 | 34 | 23 | 12 | 1 | 2 | 16 | 6 | -- | -- | .727 | 785 | 195.1 | 174 | 25 | 31 | 5 | 4 | 71 | 0 | 0 | 69 | 57 | 2.63 | 1.05 | |
1973 | 27 | 15 | 3 | 0 | 1 | 4 | 6 | -- | -- | .400 | 443 | 103.0 | 117 | 20 | 23 | 5 | 6 | 41 | 0 | 7 | 60 | 53 | 4.63 | 1.36 | |
1974 | 30 | 27 | 8 | 3 | 0 | 10 | 9 | 1 | -- | .526 | 758 | 180.2 | 183 | 17 | 40 | 9 | 11 | 66 | 1 | 1 | 76 | 63 | 3.14 | 1.23 | |
1975 | 26 | 25 | 16 | 1 | 3 | 11 | 10 | 0 | -- | .524 | 780 | 191.2 | 177 | 12 | 32 | 7 | 11 | 66 | 0 | 0 | 69 | 58 | 2.72 | 1.09 | |
1976 | 31 | 29 | 14 | 2 | 3 | 17 | 8 | 1 | -- | .680 | 868 | 212.2 | 207 | 18 | 27 | 3 | 14 | 67 | 2 | 0 | 80 | 60 | 2.54 | 1.10 | |
1977 | 20 | 15 | 7 | 2 | 3 | 7 | 7 | 0 | -- | .500 | 461 | 114.0 | 117 | 10 | 17 | 3 | 3 | 38 | 0 | 0 | 54 | 40 | 3.16 | 1.18 | |
1978 | 15 | 14 | 3 | 0 | 0 | 4 | 6 | 1 | -- | .400 | 371 | 85.2 | 101 | 13 | 12 | 3 | 6 | 23 | 0 | 0 | 47 | 40 | 4.20 | 1.32 | |
1979 | 4 | 2 | 0 | 0 | 0 | 0 | 1 | 0 | -- | .000 | 71 | 16.1 | 20 | 4 | 2 | 0 | 0 | 7 | 0 | 0 | 13 | 11 | 6.06 | 1.35 | |
통산:21년 | 676 | 372 | 141 | 36 | 24 | 187 | 153 | 3 | -- | .550 | 12561 | 3103.0 | 2838 | 292 | 567 | 80 | 130 | 1482 | 4 | 8 | 1200 | 1005 | 2.91 | 1.10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3. 1. 타이틀
足立 光宏|아다치 미쓰히로일본어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시절 일본 시리즈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 특히 ‘ON포’가 있던 V9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좋은 성적을 거둔 몇 안 되는 투수 중 한 명이다. 일본 시리즈 통산 9승(5패)은 역대 3위 타이 기록이며, 그중 요미우리전에서 8승 4패를 기록했다. 요미우리 V9 시대에 한큐는 요미우리를 상대로 8승 20패를 기록했는데, 이 8승 중 5승이 아다치의 승리였다.- 최우수 평균 자책점: 1회(1967년)
3. 2. 수상
- MVP: 1회(1967년)
- 베스트 나인: 1회(1967년)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4회(1972년, 1974년~1976년)
- 일본 시리즈 감투상: 3회(1967년, 1972년, 1978년)
-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 1회(1969년)
- 일본 시리즈 최우수 투수상: 2회(1976년, 1977년)
-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기능상: 1회(1975년)
-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우수 투수상: 1회(1977년)
3. 3. 개인 기록
아다치 미쓰히로는 일본 시리즈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는데, 특히 ‘ON포’가 있던 V9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좋은 성적을 낸 몇 안 되는 투수 중 한 명이었다. 일본 시리즈 통산 9승(5패)은 역대 3위 타이 기록이며, 그 중 요미우리전에서 8승 4패를 기록했다. 요미우리 V9 시대에 한큐는 요미우리를 상대로 8승 20패를 기록했는데, 이 중 5승이 아다치의 승리였다.1969년 일본 시리즈에서 아다치는 단기전에서는 공식전과 달리 "이기기 위해서는 1점을 줄 때는 내줘도 괜찮다"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1976년 일본 시리즈에서 한큐는 3연승 후 3연패를 당했다. 7차전에서 36세의 아다치는 1-2로 뒤진 1사 만루 상황에서 "더 떠들어라"라고 중얼거리며 아와구치 겐지를 싱커로 투수 앞 땅볼 병살타로 잡아냈다. 아다치는 이 상황에 대해 자신에 대한 성원이라고 생각하면 힘이 났고, 그 성원으로 아와구치가 냉정함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후 모리모토 기요시의 역전 홈런과 관중들의 소란 속에서도 아다치는 "더 떠들어라"라고 말하며 완투승을 거두었고, 한큐는 2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아다치는 당시 경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실제로 아다치는 2차전과 4차전에서 오 사다하루에게 홈런을 맞았지만, 7차전에서는 볼넷 2개를 내주며 위기를 막아 완투승을 거뒀다.
1978년에는 무릎 부상에도 불구하고 시즌 4승 6패를 기록했지만, 1978년 일본 시리즈에 초점을 맞춰 컨디션을 조절했다.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해당 시리즈 3차전에서 스즈키 야스지로를 상대로 완봉승을 거두며 "일본 시리즈는 니시노미야(5차전 경기 장소)에서 끝내겠다"고 말했다. 1977년 일본 시리즈 2차전(대 요미우리)과 함께 2경기 연속 완봉승은 일본 시리즈 타이 기록이며, 25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도 세웠다. 한큐 투수 중 일본 시리즈에서 완봉승을 기록한 것은 아다치뿐이다. 그러나 7차전에서 오스기 가쓰오에게 의혹의 홈런을 맞고, 우에다 도시하루 감독의 항의로 1시간 19분 동안 경기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아다치는 이 사건으로 어깨가 식고 무릎에 물이 차면서 강판되었고, 이것이 그의 일본 시리즈 마지막 등판이 되었다. 오스기에게 던진 공에 대해 "땅볼을 칠 생각이었지만 타자에게 만만하게 들어가버렸다"며 후회는 없다고 말했다.
'''첫 기록'''
- 첫 등판·첫 승리: 1959년 4월 10일, 대 도에이 플라이어스 1회전 (고마자와 야구장)
- 첫 홈런: 1964년 3월 15일, 대 니시테쓰 라이온스 2회전(헤이와다이 야구장), 와카오 타다오로부터 (통산 유일)
'''기타 기록'''
- 올스타전 출장: 6회(1964년, 1966년, 1967년, 1971년, 1972년, 1976년)
연도 | 소속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1959 | 한큐 | 36 | 11 | 2 | 0 | 0 | 4 | 7 | -- | -- | .364 | 466 | 111.2 | 113 | 4 | 25 | 1 | 3 | 63 | 0 | 0 | 57 | 47 | 3.79 | 1.24 |
1960 | 41 | 13 | 1 | 1 | 0 | 4 | 7 | -- | -- | .364 | 449 | 112.1 | 101 | 6 | 19 | 2 | 3 | 52 | 1 | 0 | 42 | 40 | 3.20 | 1.07 | |
1961 | 27 | 6 | 0 | 0 | 0 | 1 | 4 | -- | -- | .200 | 267 | 62.0 | 71 | 7 | 11 | 0 | 2 | 37 | 0 | 0 | 33 | 28 | 4.06 | 1.32 | |
1962 | 39 | 9 | 4 | 4 | 2 | 8 | 4 | -- | -- | .667 | 483 | 123.2 | 92 | 8 | 22 | 3 | 1 | 94 | 0 | 0 | 32 | 27 | 1.96 | 0.92 | |
1963 | 47 | 24 | 5 | 2 | 0 | 6 | 18 | -- | -- | .250 | 803 | 200.2 | 187 | 24 | 31 | 6 | 6 | 121 | 0 | 0 | 89 | 77 | 3.45 | 1.09 | |
1964 | 46 | 29 | 8 | 4 | 2 | 13 | 15 | -- | -- | .464 | 927 | 236.0 | 200 | 26 | 37 | 3 | 5 | 125 | 0 | 0 | 82 | 73 | 2.78 | 1.00 | |
1965 | 31 | 24 | 10 | 4 | 2 | 15 | 9 | -- | -- | .625 | 684 | 171.0 | 146 | 14 | 35 | 1 | 11 | 104 | 0 | 0 | 59 | 52 | 2.74 | 1.06 | |
1966 | 52 | 30 | 10 | 3 | 2 | 17 | 14 | -- | -- | .548 | 1099 | 270.1 | 243 | 27 | 49 | 5 | 14 | 158 | 0 | 0 | 98 | 79 | 2.63 | 1.08 | |
1967 | 43 | 29 | 17 | 5 | 1 | 20 | 10 | -- | -- | .667 | 1042 | 268.0 | 191 | 13 | 60 | 10 | 9 | 130 | 0 | 0 | 65 | 52 | 1.75 | 0.94 | |
1968 | 5 | 4 | 0 | 0 | 0 | 0 | 1 | -- | -- | .000 | 74 | 18.0 | 13 | 2 | 5 | 0 | 1 | 12 | 0 | 0 | 11 | 7 | 3.50 | 1.00 | |
1969 | 33 | 5 | 0 | 0 | 0 | 2 | 1 | -- | -- | .667 | 265 | 60.1 | 73 | 10 | 10 | 2 | 6 | 32 | 0 | 0 | 39 | 32 | 4.77 | 1.38 | |
1970 | 46 | 6 | 3 | 0 | 0 | 9 | 2 | -- | -- | .818 | 469 | 117.0 | 112 | 11 | 24 | 3 | 3 | 59 | 0 | 0 | 45 | 39 | 3.00 | 1.16 | |
1971 | 43 | 32 | 18 | 4 | 3 | 19 | 8 | -- | -- | .704 | 996 | 252.2 | 200 | 21 | 55 | 9 | 11 | 116 | 0 | 0 | 80 | 70 | 2.49 | 1.01 | |
1972 | 34 | 23 | 12 | 1 | 2 | 16 | 6 | -- | -- | .727 | 785 | 195.1 | 174 | 25 | 31 | 5 | 4 | 71 | 0 | 0 | 69 | 57 | 2.63 | 1.05 | |
1973 | 27 | 15 | 3 | 0 | 1 | 4 | 6 | -- | -- | .400 | 443 | 103.0 | 117 | 20 | 23 | 5 | 6 | 41 | 0 | 7 | 60 | 53 | 4.63 | 1.36 | |
1974 | 30 | 27 | 8 | 3 | 0 | 10 | 9 | 1 | -- | .526 | 758 | 180.2 | 183 | 17 | 40 | 9 | 11 | 66 | 1 | 1 | 76 | 63 | 3.14 | 1.23 | |
1975 | 26 | 25 | 16 | 1 | 3 | 11 | 10 | 0 | -- | .524 | 780 | 191.2 | 177 | 12 | 32 | 7 | 11 | 66 | 0 | 0 | 69 | 58 | 2.72 | 1.09 | |
1976 | 31 | 29 | 14 | 2 | 3 | 17 | 8 | 1 | -- | .680 | 868 | 212.2 | 207 | 18 | 27 | 3 | 14 | 67 | 2 | 0 | 80 | 60 | 2.54 | 1.10 | |
1977 | 20 | 15 | 7 | 2 | 3 | 7 | 7 | 0 | -- | .500 | 461 | 114.0 | 117 | 10 | 17 | 3 | 3 | 38 | 0 | 0 | 54 | 40 | 3.16 | 1.18 | |
1978 | 15 | 14 | 3 | 0 | 0 | 4 | 6 | 1 | -- | .400 | 371 | 85.2 | 101 | 13 | 12 | 3 | 6 | 23 | 0 | 0 | 47 | 40 | 4.20 | 1.32 | |
1979 | 4 | 2 | 0 | 0 | 0 | 0 | 1 | 0 | -- | .000 | 71 | 16.1 | 20 | 4 | 2 | 0 | 0 | 7 | 0 | 0 | 13 | 11 | 6.06 | 1.35 | |
통산:21년 | 676 | 372 | 141 | 36 | 24 | 187 | 153 | 3 | -- | .550 | 12561 | 3103.0 | 2838 | 292 | 567 | 80 | 130 | 1482 | 4 | 8 | 1200 | 1005 | 2.91 | 1.10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4. 투구 스타일
아다치 미쓰히로는 1959년 한큐 브레이브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직구와 커브만 던졌지만, 언더핸드 투수 특유의 떠오르는 빠른 공을 주무기로 삼았다. 컨트롤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1962년에는 1경기 17탈삼진이라는 프로 야구 기록(당시)을 세우기도 했다.
1963년부터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의 신뢰를 받으며 많은 경기에 등판했지만, 힘이 제대로 공에 실리지 않아 6승 18패로 부진했다. 하지만 꾸준한 연습으로 1964년 13승을 거두며 처음으로 규정 이닝을 채웠고, 이후에도 꾸준히 승수를 쌓아 1967년에는 20승 10패, 방어율 1.75로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획득하며 팀의 첫 우승에 기여, MVP로 선정되었다. V9 시기였던 요미우리와의 일본 시리즈에서 4경기에 등판하여 2승을 거두며 감투상을 수상했다.
1968년 캠프 중 어깨 부상을 입었지만, 재활을 거쳐 9월에 복귀했다. 부상으로 구위는 떨어졌지만, 싱커를 익혀 새로운 무기로 삼았다. 1971년에는 19승, 방어율 2.49를 기록하며 부활했고, 1970년부터 17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1972년에는 16승, 방어율 2.63을 기록하며 첫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수상했다.
33세가 된 1973년에는 체력적인 문제와 세트 포지션 정지 규칙의 강화로 부진했지만, 커브를 연마하여 1974년부터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다. 1976년에는 17승을 거두며 팀의 완전 우승에 기여했고, 일본 시리즈에서 숙원이었던 요미우리 격파를 달성했다.
1977년 무릎 부상을 입었지만, 일본 시리즈에서 완봉승을 거두는 투혼을 발휘했다. 1978년에는 정규 시즌을 포기하고 일본 시리즈에 집중, 일본 시리즈에서 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차전 완봉승을 거두었지만, 7차전에서 패전 투수가 되며 시리즈 감투상을 수상했다. 1979년부터 투수 코치를 겸임했고, 1980년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뛰어난 수비 능력으로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통산 4번 수상했으며, 통산 폭투는 4개로 3000이닝 이상을 던진 투수 중 가장 적다.
5. 야마다 히사시와의 관계
山田일본어는 1970년 입단 2년 차에 급성장했고, 아다치는 "조만간 20승을 올릴 것이다"라고 느꼈다. 구속이 나오지 않게 된 아다치는 "이대로는 밥벌이가 안 된다"고 위기감을 느껴 어깨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쳐서 잡는 피칭을 하기 위해 싱커를 갈고 닦아 부활했다.
아다치의 회상에 따르면 1975년 시즌 중, 직구 중심의 피칭에 한계를 느끼기 시작한 야마다가 싱커 던지는 법을 가르쳐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다치는 "배우지 마라"고 거절했다. 이는 "직구로 승부할 수 있는 시기에는 그것을 살린 투구를 하는 것이다"라는 자신의 경험에 의한 것이었지만, 후에 "야마다가 싱커를 배우면 엄청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느꼈다. 팀에 같은 유형의 투수는 두 명 필요 없으니까요"라고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았다.
이후 싱커 던지는 법을 가르쳐주긴 했지만, "나는 이렇게 쥐지만, 던지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다. 나머지는 스스로 생각하라"고 힌트를 주는 데 그쳤다. 야마다 스스로도 싱커 습득에 필사적이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후에 "아다치가 처음부터 가르쳐 줬다면 '아, 이런 거구나' 하고 끝났을지도 모른다. 스스로 고심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매우 참고가 되었다"고 말했다.
같은 언더스로 투수이고 공이 빠른 야마다가 던지면 타자들의 눈이 익숙해져 자신의 느린 공이 통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야마다가 던진 후에 등판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다.
6. 가계
아다치 미쓰히로는 아다치 츄타로의 장남으로 오사카부 오사카시 고노하나구에서 태어났다. 본적지인 효고현 히카미군 토오사카촌(현 탄바시 아오가키초 토오사카)는 탄바 아다치 씨의 본거지이며, 미쓰히로는 그 적통 자손 중 한 명에 해당한다. 아다치 가문의 조상은 후지와라 북가의 흐름인 토오카네의 아들 토오모토이며, 토오카네가 무사시국 아다치군(현 도쿄도 아다치구 근교)으로 이주하여 아다치 씨를 칭했다. 쇼겐 3년 (1209년) 탄바국 히카미군 사지쇼의 신보 지토직이 된 토오모토의 손자 토오마사가 아다치 일족을 이끌고 무사시국에서 사지쇼 오구라로 이주하여 야마가키성·토오사카성을 본거로 구축하여 탄바 아다치 씨의 조상이 되었다.[3]
참조
[1]
뉴스
足立光宏&山田久志「阪急黄金時代に輝いた2人のサブマリン」/プロ野球20世紀の男たち {{!}} 野球コラム
https://column.sp.ba[...]
2024-12-09
[2]
웹사이트
프로야구20세기 の 남자들 아다치 미쓰히로&야마다 히사시 "한큐 황금 시대에 빛난 2명의 잠수함"
https://column.sp.ba[...]
2019-09-04
[3]
문서
『丹波氷上郡佐治庄地頭足立氏系図』
[4]
뉴스
【オリックス】山本由伸、球団新記録18連勝 7回2失点の粘投で3勝目 昨年5月から負けなし
https://www.nikkansp[...]
2022-04-09
[5]
뉴스
【オリックス】山本由伸、球団新記録18連勝 オール先発白星は楽天田中将大に次ぐ2人目
https://www.nikkansp[...]
2022-04-10
[6]
뉴스
【帰ってきた!ダンカンが訪ねる 昭和の侍】足立光宏さん、日本球界“最後”の男 (1/3ページ)
https://www.sanspo.c[...]
2018-12-01
[7]
서적
阪急ブレーブス 黄金の歴史 1936→1988 よみがえる勇者の記憶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8]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23年11月6日号『あの日、あのとき、あの場所で』(59頁)
[9]
웹사이트
SportsClick:しゅりんぷ池田のひとくちコラム!
http://www.sportscli[...]
[10]
웹인용
프로야구20세기 の 남자들 아다치 미쓰히로&야마다 히사시 "한큐 황금 시대에 빛난 2명의 잠수함"
https://column.sp.ba[...]
2019-09-04
[11]
뉴스
【オリックス】山本由伸、球団新記録18連勝 7回2失点の粘投で3勝目 昨年5月から負けなし
https://www.nikkansp[...]
2022-04-09
[12]
뉴스
【オリックス】山本由伸、球団新記録18連勝 オール先発白星は楽天田中将大に次ぐ2人目
https://www.nikkansp[...]
2022-04-10
[13]
뉴스
【帰ってきた!ダンカンが訪ねる 昭和の侍】足立光宏さん、日本球界“最後”の男 (1/3ページ)
https://www.sanspo.c[...]
2018-12-01
[14]
서적
《한큐 브레이브스 황금의 역사(영구보존판) - 새로 태어나는 용자의 기억 1936-1988》
베이스볼 매거진사
2011
[15]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23年11月6日号『あの日、あのとき、あの場所で』(59頁)
[16]
웹사이트
しゅりんぷ池田のひとくちコラム! 第36回:引退選手のカード制作で要注意の“一軍試合出場なし”
http://www.sportscli[...]
[17]
문서
『丹波氷上郡佐治庄地頭足立氏系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