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랫볏박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랫볏박쥐속은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 속의 하나이다. 큰귀알락박쥐, 굴드아랫볏박쥐, 초콜릿색아랫볏박쥐, 누벨칼레도니아랫볏박쥐, 백발아랫볏박쥐, 작은알락박쥐, 뉴질랜드긴꼬리박쥐, 해안입술박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기박쥐아과 내에서 다양한 속들과 함께 분류되며, 계통 분류에 따라 여러 분기군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기박쥐과 - 흰배박쥐
흰배박쥐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며, 곤충을 주로 먹고 반향정위와 큰 귀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번식기는 10월부터 2월까지이다. - 애기박쥐과 - 원반발박쥐
원반발박쥐는 흡반박쥐과 흡반박쥐속에 속하며, 마다가스카르흡반박쥐와 타이완흡반박쥐 2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완흡반박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아랫볏박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halinolobus |
명명자 | Peters, 1866 |
모식종 | Vespertilio tuberculatus |
모식종 명명자 | Gray, 1843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2. 하위 종
- 큰귀알락박쥐 (''Chalinolobus dwyeri'')
- 굴드아랫볏박쥐 (''Chalinolobus gouldii'')
- 초콜릿색아랫볏박쥐 (''Chalinolobus morio'')
- 누벨칼레도니아랫볏박쥐 (''Chalinolobus neocaledonicus'') - 굴드아랫볏박쥐(''C. gouldii'')의 아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 백발아랫볏박쥐 (''Chalinolobus nigrogriseus'')
- 작은알락박쥐 (''Chalinolobus picatus'')
- 뉴질랜드긴꼬리박쥐 또는 긴꼬리아랫볏박쥐 (''Chalinolobus tuberculatus'')
- 해안입술박쥐(Chalinolobus orarius)
3. 계통 분류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
애기박쥐아과는 크게 4개의 분기군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분기군은 알렌큰귀박쥐속, 토끼박쥐속, 바르바스텔레박쥐속, 흰세점박이박쥐속, 사막긴귀박쥐속, 혹코박쥐속, 털꼬리박쥐족을 포함한다.
두 번째 분기군은 노랑박쥐속, 흰배박쥐족(알렌노랑박쥐속, 아메리카노랑박쥐속,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분기군은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문둥이박쥐족(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저녁박쥐족(저녁박쥐속, 나비박쥐속,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을 포함한다.
마지막 분기군은 아프리카긴귀박쥐속,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슐리펜박쥐속,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검은집박쥐속, 숲박쥐속, 아랫볏박쥐속, 대나무박쥐속, 애기박쥐족(애기박쥐속, 작은집박쥐속, 집박쥐속, 멧박쥐속)으로 구성된다.
3. 1.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 알렌큰귀박쥐속
- 토끼박쥐속
- 바르바스텔레박쥐속
- 흰세점박이박쥐속
- 사막긴귀박쥐속
- 혹코박쥐속
- 털꼬리박쥐족
- 노랑박쥐속
- * 흰배박쥐족
- ** 알렌노랑박쥐속
- ** 아메리카노랑박쥐속
- ** 반겔더박쥐속
- ** 흰배박쥐속
- 동부집박쥐속
- 서부집박쥐속
- * 문둥이박쥐족
- ** 할리퀸박쥐속
- ** 문둥이박쥐속
- * 저녁박쥐족
- ** 저녁박쥐속
- ** 나비박쥐속
- ** 은색털박쥐속
- ** 아리엘룰루스속
- 아프리카긴귀박쥐속
-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 슐리펜박쥐속
-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 검은집박쥐속
- 숲박쥐속
- 아랫볏박쥐속
- 대나무박쥐속
- * 애기박쥐족
- ** 애기박쥐속
- ** 작은집박쥐속
- ** 집박쥐속
- ** 멧박쥐속
3. 2. 아랫볏박쥐속의 계통 분류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애기박쥐아과는 크게 4개의 분기군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분기군은 알렌큰귀박쥐속, 토끼박쥐속, 바르바스텔레박쥐속, 흰세점박이박쥐속, 사막긴귀박쥐속, 혹코박쥐속, 털꼬리박쥐속을 포함한다.
두 번째 분기군은 노랑박쥐속, 흰배박쥐족(알렌노랑박쥐속, 아메리카노랑박쥐속,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분기군은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문둥이박쥐족(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저녁박쥐족(저녁박쥐속, 나비박쥐속,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을 포함한다.
마지막 분기군은 아프리카긴귀박쥐속, 아프리카문둥이박쥐속, 슐리펜박쥐속, 아이젠트라우트집박쥐, 검은집박쥐속, 숲박쥐속, 아랫볏박쥐속, 대나무박쥐속, 애기박쥐족(애기박쥐속, 작은집박쥐속, 집박쥐속, 멧박쥐속)으로 구성된다.
참조
[1]
논문
A New Species of Lobe-lipped Bat (Chalinolobus: Vespertilionidae) from southern Papua New Guinea
[2]
서적
Australian Bats
New Holland Publishers
[3]
간행물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