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은 1924년 멕시코에서 빅토르 라울 아야 데 라 토레에 의해 창당된 라틴 아메리카의 주요 정당이다. 반제국주의, 팬아메리카주의, 국제 연대, 경제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라틴 아메리카 여러 정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공산주의로 몰려 탄압받았으며, 이후 우경화되어 과두 지배층과 결탁했다. 알란 가르시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집권했으나 경제 정책 실패로 비판받았으며, 2019년 가르시아의 자살 이후 2020년 총선에서 의회 진출에 실패하는 등 위기를 겪었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회원이며, 페루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설립된 정당 - 레바논 공산당
레바논 공산당은 1924년 프랑스 위임통치하 레바논에서 창당되어 여러 명칭 변경과 시리아 공산당과의 분당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활동하며, 레바논 독립 후 합법화와 불법화를 반복하고 내전 기간 민병대를 조직했으나 소련 붕괴 후 영향력이 감소했으며, 꾸준히 선거에 참여하고 종파와 지역을 초월하는 정치 조직과 대중 조직을 통해 활동하고 있다. - 1924년 설립된 정당 - 타지키스탄 공산당
타지키스탄 공산당은 1929년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공산당으로, 소련 시대에 발전했으나 소련 붕괴 후 당명 변경 시도와 활동 재개를 거쳐 현재는 정부를 지지하며 야당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 페루의 정치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페루의 정치 - 페루의 대통령
페루의 대통령은 페루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 5년 임기로 선출되며, 1993년 헌법에 따라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직함과 권한을 가지고 통치해 왔다. - 페루의 정당 - 자유 페루
자유 페루는 2008년 창당된 페루의 좌익 사회주의 정당으로, 반제국주의, 민주주의, 분권화를 이념으로 하며 2021년 페드로 카스티요를 대통령으로 당선시켜 집권 여당이 되었으나 현재는 소수 야당이다. - 페루의 정당 - 국민연대당 (페루)
국민연대당은 루이스 카스타녜다 로시오가 1998년에 창당한 페루의 정당으로, 우파 성향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대선과 총선에 참여했으나, 2020년 해산되고 국민 혁신당으로 재창당되었다.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약칭 | PAP |
창립자 | 비クトル 라울 아야 데 라 토레 |
창립일 | 1924년 5월 7일 (멕시코) |
재창립일 | 1930년 9월 20일 (페루) |
당원 수 | 50,000명 (2022년) |
청년 조직 | 페루 아프리스타 청년단 |
본부 | 아베니다 알폰소 우가르테 N° 1012, 브레냐, 리마 |
웹사이트 | 페루 아프리스타당 공식 웹사이트 |
지도부 | |
대표 | 세사르 트레예스 |
사무총장 | 벨렌 가르시아 (제도) |
정치위원회 의장 | 마우리시오 물데르 |
정치적 입장 | |
현재 | 중도우파에서 우익 |
역사적 | 중도좌파에서 좌익 |
이념 | |
주요 이념 |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라틴 아메리카 통합 |
역사적 이념 | 좌익 포퓰리즘 좌익 민족주의 |
국제 관계 | |
지역 | COPPPAL |
국제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의석수 | |
공화국 의회 의석수 | 0석 / 130석 |
주지사 | 0석 / 25석 |
지역 의원 | 0석 / 274석 |
도 시장 | 0석 / 196석 |
구 시장 | 0석 / 1874석 |
상징 |
2. 역사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은 창당 초기 민주사회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폭력 혁명을 목표로 삼았다.[38] 당시 활발했던 인디헤니스모 운동에도 접근을 시도했다. 그러나 점차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페루 군 및 페루 경찰과 충돌했으며, 당을 탄압했던 페루 대통령 루이스 미겔 산체스 세로의 암살 사건 등에 연루되기도 했다. 이후 APRA는 점차 페루의 과두 지배층과 결탁하여 1960년대에는 기존의 노선에서 벗어나 페루 정치 체제의 일부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68년 후안 베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이 이끄는 군사혁명정권이 들어서자 APRA는 이와 대립하며, APRA 계열 노동조합과 군정 간의 충돌이 반복되었다. 군사정권이 물러나고 1980년 민정 이양이 이루어진 후, 1985년 대선에서 당수인 알란 가르시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창당 61년 만에 처음으로 페루의 정권을 잡았다. 이후 2006년 대선에서도 알란 가르시아가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24년 ~ 1930년대)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은 1924년 5월 7일 빅토르 라울 아야 데 라 토레에 의해 멕시코시티에서 창당되었다. 당초 APRA는 라틴 아메리카 대륙 전체를 아우르는 정당을 목표로 했으며, 아야 데 라 토레가 유럽 체류 중 관찰했던 파시스트 및 공산주의 정당 조직에서 영감을 받았다.[16] 창립자 아야 데 라 토레는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했으며[38], 초기에는 반제국주의, 팬아메리카주의, 국제 연대, 경제 민족주의와 함께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를 내걸었다. 또한 당시 활발했던 인디헤니스모 운동에 접근하며 페루에서의 사회주의 폭력 혁명을 목표로 삼기도 했고,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와도 교류했다.APRA는 볼리비아의 혁명적 민족주의 운동(MNR), 도미니카 공화국의 도미니카 혁명당(PRD), 코스타리카의 코스타리카 국민해방당(PLN) 등 여러 라틴 아메리카 정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16] 1920년대 APRA의 초기 지지 기반은 주로 설탕 산업의 현대화 과정에서 불만을 느낀 페루의 중산층과 부유층이었다.[17] 페루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으로서 APRA는 단순한 정치 운동을 넘어 사회 현상으로 자리 잡았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당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보이는 당원들을 확보했다. 그러나 수년간 이어진 탄압과 비밀 활동, 그리고 아야 데 라 토레의 강력한 1인 지배 체제는 당 내부에 뚜렷한 분파주의와 위계적인 계층 구조를 형성하게 만들었다.[18]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APRA는 루이스 미겔 산체스 세로가 이끄는 파시스트 성향의 정부와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당시 APRA는 공산주의라는 부정확한 낙인이 찍힌 채 활동이 금지되었는데, 이탈리아와 미국은 APRA를 볼셰비즘의 위장 단체로 간주하고 이러한 금지 조치를 지지했다.[19] APRA와 산체스 세로 정부 간의 대립은 내전에 가까운 상황으로 치달았다.[19] 1932년 7월 2일, APRA 당원들이 트루히요에서 군인 60명을 살해하는 사건(트루히요 봉기)이 발생하자, 산체스 세로 정권은 약 1,500명에 달하는 아프리스타스(Apristas, APRA 당원)를 학살하고 아야 데 라 토레를 체포하는 등 극단적인 탄압으로 대응했다.[19] 이듬해인 1933년 4월 30일, APRA 당원인 아벨라르도 멘도사 레이바가 산체스 세로 대통령을 암살했다.[19] 이처럼 APRA는 창당 초기부터 페루 군 및 페루 경찰과 격렬하게 충돌하며 페루 정치사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부상했다.
2. 2. 우경화와 과두 지배층과의 결탁 (1940년대 ~ 1960년대)
창당 초기 민주사회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내걸었던 APRA는[38], 산체스 세로 정권과의 격렬한 대립 과정에서 대통령 암살[19] 등 충돌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당은 점차 페루의 과두 지배층과 결탁하는 모습을 보였다.1944년에는 극우 성향의 개혁민주당(Reformist Democratic Party), 파시스트 혁명연합(Revolutionary Union) 등과 함께 민족민주전선을 결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페루 공산당(Peruvian Communist Party)은 배제되었다.[20] 이 연합을 통해 극우 인사로 분류되던 호세 루이스 부스타만테 이 리베로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데 기여했다.[20]
1950년대에 이르러 APRA는 우익 정당으로 간주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좌익 지지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다.[21] 결국 1960년대에는 페루의 과두 지배층과 완전히 결합하여, 당시 '부패한 민주주의' 체제의 일부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2. 3. 군사정권과의 대립과 민주화 (1968년 ~ 1980년대)
1968년 후안 베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이 이끄는 군사혁명정권이 성립되자 APRA는 이와 대립하였다. 군정과 APRA 계열 노동조합은 충돌을 반복했으나, 베라스코 장군이 건강 문제로 실각하면서 페루 혁명은 미완으로 끝났다.수년간의 군사 독재 끝에 APRA는 1979년 합법 정당으로 다시 인정받았다. APRA는 그 해 제헌의회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 다수 의석을 차지했으며, 이는 12년 만에 처음으로 치러진 민주 선거를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 당의 창립자인 빅토르 라울 아야 데 라 토레는 제헌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80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유력했으나 선거 전에 사망했다.
아야 데 라 토레의 사후 당은 아르만도 비야누에바와 안드레스 타운센드(Andres Townsend)를 중심으로 분열되었다. APRA는 비야누에바를 후보로 내세웠으나, 타운센드와 다른 당원들은 탈당하여 하야주의 기반 운동(Hayist Bases Movement)을 결성했다. 이러한 분열로 인해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인민행동당의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가 승리하며 군사정권에서 민정으로 이양이 이루어졌다.
1985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APRA의 알란 가르시아가 당선되어, 당 창립 61년 만에 처음으로 페루의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2. 4. 알란 가르시아 집권과 좌절 (1985년 ~ 1990년, 2006년 ~ 2011년)
1980년 군사 정권의 민정 이양 이후, APRA는 아르만도 비야누에바와 안드레스 타운센드 지지 세력으로 분열되는 등 내부 갈등을 겪었다. 이러한 분열 속에서 1980년 대선에서는 인민행동당의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가 승리했으나, APRA는 하원과 상원에서 사실상 다수당 지위를 확보했다. 이 선거를 통해 젊은 알란 가르시아가 리마 주의 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며 중앙 정치 무대에 등장했다.1985년 4월 14일 페루 대통령 선거에서, 카리스마를 앞세운 알란 가르시아는 1차 투표에서 4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과반 득표에 실패하여 이스키에르다 우니다(연합 좌파)의 알폰소 바란테스 링간과 결선 투표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바란테스가 정치적 불안정 장기화를 우려하여 사퇴하면서 가르시아는 1985년 7월 28일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 이는 창당 61년 만에 APRA가 처음으로 페루의 정권을 잡은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가르시아의 첫 번째 임기(1985년 ~ 1990년)는 극심한 경제난과 사회 혼란으로 점철되었다. 연간 13,000%를 넘어서는 기록적인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페루 경제는 파탄 지경에 이르렀고, 정부 기관의 기능마저 마비되었다. 기아, 만연한 부패, 사회 불안 심화는 테러리즘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다. 가르시아는 임기 마지막 고별 연설에서 야당 의원들의 거센 야유를 받아 연설을 중단해야 했으며, 이 장면은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퇴임 직후 페루 하원은 가르시아의 재임 기간 중 불법적인 부 축적과 부패 혐의에 대한 조사를 위한 특별 위원회를 구성했다. 미국 의회 조사와 뉴욕 지방 검사 로버트 모겐소는 가르시아가 BCCI 스캔들에 연루되어 수백만 달러를 수수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1992년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존 케리가 주도한 BCCI 스캔들 보고서(The BCCI Affair)는 가르시아가 부패뿐만 아니라 마약 및 무기 밀매 등 국제 범죄 조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이후 페루 대법원은 가르시아에 대한 모든 조사와 헌법적 기소를 무효라고 선언했다.
1990년 총선을 앞두고 APRA는 루이스 알바 카스트로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당시 유력 후보였던 작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당선을 저지하기 위해, APRA는 정치 신인이었던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캄비오 90과 암묵적인 거래를 맺었다는 평가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 선거에서는 후지모리가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후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알란 가르시아는 다시 한번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2. 5. 후지모리 시대와 APRA (1990년 ~ 2000년)
1990년 후지모리가 대통령으로 취임했을 당시, 페루 의회는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민주전선 야당 세력이 장악하고 있었다. 후지모리의 정당은 180석 중 32석, 상원의원 60석 중 14석만을 확보한 소수파였다. 의회 다수당은 APRA(22%)와 민주전선(약 32%)이 분할하여 차지하고 있었다.1992년, 후지모리는 성공적인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로 인해 가르시아는 페루를 탈출하여 정치적 박해를 고발하며 망명을 요청했고, 콜롬비아 대통령 세사르 가비리아는 이를 승인했다. 그 후 곧, 프랑스의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보호 아래 가르시아는 다시 정치 망명의 특권을 얻어 콜롬비아를 떠나 파리에 거주하게 되었다.
후지모리는 APRA가 참여하지 않은 민주 구성 의회 선거를 소집했다. 1995년 총선에서 APRA의 대통령 후보는 메르세데스 카바니야스였으며, 득표율은 4%에 그쳐 전 유엔 사무총장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에야르(Javier Pérez de Cuéllar)(21%)와 재선된 후지모리(64%)에 뒤처졌다. APRA는 120석 중 8석만을 얻었고, 후지모리의 카시오 90-신다수당 연합이 67석으로 의회를 장악했다.
2000년, 아벨 살리나스(Abel Salinas)가 APRA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총선에서 득표율 1%라는 최악의 결과를 기록했다. APRA 소속 의원은 단 6명만 당선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선거 부정을 의심했고, 결국 후지모리 정권의 부패가 야당에 의해 밝혀지면서 후지모리는 사임했다.
2. 6. 21세기 APRA의 위기와 과제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의 후보로 나선 아벨 살리나스는 득표율 1%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참패했고, 의회에서도 단 6석을 얻는 데 그쳤다. 당시 많은 이들이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했으며, 이후 후지모리 정권의 부패 스캔들이 드러나면서 후지모리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2001년 총선에서는 분위기가 다소 반전되었다. APRA는 19.7%의 득표율로 페루 공화국 의회 120석 중 28석을 확보했다. 같은 해 대선에서는 알란 가르시아가 25.8%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했으나, 알레한드로 톨레도에게 패배했다.
2006년 대선에서 알란 가르시아는 다시 한번 도전하여 루르데스 플로레스를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 투표에서 올란타 우말라를 꺾고 승리하며 두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2006년 7월 28일 공식 취임했다.
그러나 가르시아의 두 번째 임기 말인 2011년 페루 총선을 앞두고 APRA는 다시 위기를 맞았다. 당초 전직 장관 메르세데스 아라오스를 대선 후보로 내세웠으나, 당내 갈등으로 인해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APRA는 대선 후보 없이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이 선거에서 APRA는 의회 4석을 얻는 데 그쳤고, 이후 올란타 우말라 정부에 대한 야당으로 남았다.
2016년 페루 총선에서는 페루 기독교 국민당, 페루 가자와 함께 "인민동맹"이라는 이름의 선거 연합을 결성했다. 알란 가르시아가 다시 대선 후보로 나섰고, 과거 경쟁자였던 루르데스 플로레스가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22] 하지만 이 연합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가르시아는 6.19%의 득표율로 5위에 그치며 또다시 참패했고, 선거 직후 APRA 대표직에서 사퇴하며 당의 개혁을 촉구했다. 이 시기 APRA와 케이코 후지모리 세력 간의 정치적 연합 움직임도 관찰되었다.[23][24]
설상가상으로 2019년 4월 17일, 알란 가르시아 전 대통령은 브라질 건설사 오데브레히트와 관련된 부패 혐의(일명 오데브레히트 부패 스캔들)로 검찰의 체포 영장이 발부되자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5] 이는 APRA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2019년 의회 해산 이후 치러진 2020년 임시 의회 선거에서 APRA는 2.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창당 이후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5%의 의회 진출 기준선을 넘지 못해 25년 만에 원외 정당으로 전락했다.[26][27] 임시 선거였기에 정당 등록 자체는 유지되었으나[28][29], 당의 위상은 크게 흔들렸다.
2021년 페루 총선을 앞두고 APRA는 전 장관 니디아 빌체스를 대선 후보로 지명했지만, 선거관리위원회가 APRA의 의회 후보 명단 제출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후보 등록을 불허하자 결국 대선 후보직을 철회했다.[30] 총선 불참으로 인해 APRA는 법률에 따라 정당 등록이 취소될 위기에 처하며[31][32][33], 10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진 정당의 존립 자체가 불투명해지는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3. 이념 및 정책
창당 초기에는 민주사회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내걸었으며, 당시 활발했던 인디헤니스모 운동과 연대를 모색했다. 창립자 아야 데 라 토레는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와 교류하며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기도 했고[38], 페루에서의 사회주의 폭력 혁명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당의 세력이 커지면서 페루 군 및 경찰과 충돌이 잦아졌고, 당을 탄압했던 페루 대통령 산체스 세로의 암살 사건 등에 연루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페루의 과두 지배층과 손을 잡았고, 1960년대에는 부패한 민주주의 체제의 일부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1968년 들어선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의 군사 혁명 정권과는 대립 관계였으며, 군정과 아프라 계열 노동조합 간의 충돌이 반복되었다. 벨라스코 장군이 건강 문제로 물러나고 페루 혁명이 미완으로 끝난 후, 군사 정권은 1980년 선거를 통해 민정 이양을 단행했다. 1985년 대선에서 당수인 알란 가르시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아프라는 창당 61년 만에 처음으로 페루 정권을 잡았다. 이후 2006년 선거에서도 알란 가르시아가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3. 1. 외교 정책 및 국제 관계
APRA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회원이다.4. 조직 구조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의 조직은 당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집행하는 여러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기구로는 당의 실질적인 운영과 활동을 총괄하는 전국집행위원회, 상징적인 최고 지도자인 당 의장, 그리고 당의 정치 노선과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전국정치위원회가 있다. 각 기구는 당 규약에 따라 구성되고 운영되며, 전국 대회를 통해 주요 구성원이 선출된다.
4. 1. 전국집행위원회 (National Executive Committee)
페루 아프리스타당 전국 집행위원회는 당의 유기적인 행동과 동원을 실행하는 기구이다. 전국 집행위원회는 총 행동위원회와 당 간부들의 단결을 이끌고, 분권화된 활동의 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전국 정치 지도부의 지식을 바탕으로 전국 각지의 기층위원회에 의사결정 권한을 위임하는 책임을 맡는다.각 전국 연구소 및 지역 연구소 대표와 총괄 조정관의 설립, 기능, 권한은 일반 조직 규칙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전국 정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전국 대회에서 선출되는 두 명의 사무총장이 전국 집행위원회를 이끈다.
현재 전국 집행위원회는 2019년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 제25차 전국 대회에서 선출되었다. 이카 출신 전 의회 후보인 벨렌 가르시아 멘도사(Belén García Mendoza)가 기관 총서기를, 전 상원의원이자 당과 연계된 노동조합인 노동자 연맹의 현 의장인 베니뇨 키리노스(Benigno Chirinos)가 정치 총서기를 맡고 있다.
직책 | 이름 | ||||||||||||||||||||
---|---|---|---|---|---|---|---|---|---|---|---|---|---|---|---|---|---|---|---|---|---|
기관 총서기 | 벨렌 이사벨 가르시아 멘도사 ({{lang|es|Belén Ysabel García Mendoza|} | })
구분 | 위원 |
---|---|
전국대회 선출 | 의장: 마우리시오 멀더 |
메르세데스 카바니야스 | |
엘리아스 그리할바 알바라도(Elías Grijalva Alvarado) | |
호세 헤르만 피멘텔 알리아가(José Germán Pimentel Aliaga) | |
카르멘 나하로 키스페(Carmen Najarro Quispe) | |
대통령 임명 | 엔리케 발데라마 |
모이세스 탐비니 델 발레(Moisés Tambini del Valle) | |
펠릭스 안토니오 마우리시오 알로르(Félix Antonio Mauricio Alor) | |
후안 세군도 카를로스 메히아 세미나리오(Juan Segundo Carlos Mejía Seminario) | |
사무총장 | 벨렌 가르시아 멘도사 |
베니뇨 키리노스 |
5. 역대 선거 결과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은 창당 이후 페루 정치에서 점차 중요한 세력으로 자리 잡았으나, 오랜 기간 집권에는 이르지 못했다. 군사 정권이 물러나고 1980년 민정 이양이 이루어진 후, 1985년 선거에서 당시 당수였던 알란 가르시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APRA가 창당 61년 만에 처음으로 페루의 정권을 장악한 사례였다. 이후 2006년 선거에서도 알란 가르시아가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두 번째 집권에 성공했다. 각 선거별 상세한 결과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역대 대통령 후보
(페루 인민연합 소속)
5. 2. 역대 대통령 당선자
- 1985년: 알란 가르시아 - 1985년 선거에서 당선되어 같은 해 7월 28일 취임했다. 이는 아메리카 혁명인민동맹(APRA) 창당 이후 첫 대통령 배출이었다.
- 2006년: 알란 가르시아 - 2006년 선거에서 올란타 우말라와의 결선 투표 끝에 당선되어 같은 해 7월 28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5. 3. 총선 결과
1995년 페루 총선에서 APRA는 메르세데스 카바니야스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으나, 득표율은 4%에 그쳐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에야르(21%)와 재선에 성공한 알베르토 후지모리(64%)에 크게 뒤처졌다. 의회에서는 120석 중 8석만을 확보하여, 67석을 차지한 후지모리의 카시오 90-신다수당 연합에 밀려 소수파로 전락했다.2000년 페루 총선에서는 아벨 살리나스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지만, 득표율 1%라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의회에서도 단 6석을 얻는 데 그쳤다. 당시 선거는 많은 부정 의혹에 휩싸였으며, 결국 후지모리 정권의 부패가 드러나면서 후지모리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
후지모리 정권 붕괴 후 치러진 2001년 페루 총선에서 APRA는 회복세를 보였다. 득표율 19.7%를 기록하며 페루 공화국 의회 120석 중 28석을 차지했다. 같은 해 대선에서는 알란 가르시아가 25.8%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며 결선에 진출했으나, 알레한드로 톨레도에게 패배했다.
2006년 페루 총선에서 APRA는 다시 알란 가르시아를 후보로 내세웠다. 가르시아는 1차 투표에서 루르데스 플로레스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2위를 차지했으며, 결선 투표에서 올란타 우말라를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의회 선거에서도 APRA는 득표율 20.6%를 얻어 36석으로 의석수를 늘렸으나, 여전히 소수파 지위에 머물렀다.
가르시아 대통령 임기 말에 치러진 2011년 페루 총선에서는 전직 장관 메르세데스 아라오스를 대통령 후보로 지지했으나, 당내 갈등으로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APRA는 대통령 후보 없이 선거를 치렀다. 그 결과 의회 선거에서 득표율 6.4%, 4석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올란타 우말라 정부의 야당이 되었다.
2016년 페루 총선을 앞두고 APRA는 페루 기독교 국민당 및 페루 가자와 함께 보수 성향의 선거 연합인 "인민동맹"을 결성하고 알란 가르시아를 대통령 후보로, 오랜 경쟁자였던 루르데스 플로레스를 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22] 그러나 이 연합은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했고, 가르시아는 득표율 6.19%로 5위에 그치는 참패를 당했다. 인민동맹은 의회 선거에서 8.3%의 득표율로 5석을 얻는 데 그쳤다. 선거 패배 후 가르시아는 APRA 대표직에서 사퇴했다.[23][24]
2019년 4월, 알란 가르시아 전 대통령이 오데브레히트 부패 스캔들 관련 혐의로 체포 영장이 발부되자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5] 이후 2019~2020년 페루 헌법 위기로 의회가 해산되고 치러진 2020년 임시 의회 선거에서 APRA는 2.7%의 득표율을 기록, 5%의 의회 진입 문턱을 넘지 못하며 1995년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의회 진출에 실패하는 최악의 결과를 맞았다.[26][27] 이는 당의 존립 기반마저 흔들리는 심각한 위기 상황임을 보여주었다. 다만 임시 선거였기 때문에 정당 등록 자체는 유지되었다.[28][29]
2021년 페루 총선을 앞두고 APRA는 전 장관 니디아 빌체스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으나, 특별 선거위원회(JEE)가 APRA의 의회 후보 명단 전체를 부적격으로 판정하면서 빌체스의 후보직을 철회하고 총선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30] 이로 인해 APRA는 정당 등록 말소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31][32][33]
선거 | 대표 | 득표수 | % | 의석수 | 증감 | 지위 |
---|---|---|---|---|---|---|
1995년 | 아구스틴 만티야 | 274,263 | 6.4% | 8 | (0) | 소수파 |
2000년 | 호르헤 델 카스티요 | 546,930 | 5.5% | 6 | (-2) | 소수파 |
2001년 | 알란 가르시아 | 1,857,416 | 19.7% | 28 | (+22) | 소수파 |
2006년 | 2,213,562 | 20.6% | 36 | (+8) | 소수파 | |
2011년 | 825,030 | 6.4% | 4 | (-32) | 소수파 | |
2016년 | 1,013,735 | 8.3% (인민동맹의 일부) | 5 | (+1) | 소수파 | |
2020년 | 세사르 트렐레스 | 402,330 | 2.7% | 0 | (-5) | 원외 정당 |
2021년 | 참여 금지 | 0 | (0) | 원외 정당 |
6. 평가와 비판
창당 초기, 창립자 아야 데 라 토레는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와 교류하며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했고[38], 당시 활발했던 인디헤니스모 운동에 접근하며 페루에서의 사회주의 폭력 혁명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당시 페루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은 점차 페루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초기 이념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페루 군 및 경찰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당을 탄압했던 산체스 세로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되는 등 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기도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당은 페루의 과두 지배층과 결탁하는 모습을 보였고,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페루의 부패한 민주주의 체제 유지에 일조하는 세력으로 변모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68년 들어선 후안 베라스코 알바라도 장군의 군사혁명정권과는 대립각을 세우며 갈등을 빚었다. 군사정권과 아프라 계열 노동조합 간의 충돌이 반복되었으나, 베라스코 장군의 실각과 페루 혁명의 불완전한 종결 이후 상황은 다시 변화했다. 1980년 민정 이양을 거쳐 1985년에는 당수인 알란 가르시아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창당 61년 만에 처음으로 정권을 잡게 되었고, 2006년 선거에서도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러한 집권 과정과 통치 기간 동안의 정책 및 결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7. 한국과의 관계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Partídos Políticos inscritos que presentaron Padrón de Afiliados
https://sroppublico.[...]
2024-02-25
[2]
웹사이트
La izquierda y la derecha del APRA
http://www.perupolit[...]
2006-08-11
[3]
웹사이트
El giro del APRA y de Alan García
https://nuso.org/art[...]
2008
[4]
서적
Journey to Indo-América APRA and the Transnational Politics of Exile, Persecution, and Solidarity, 1918–1945
2021-07-30
[5]
웹사이트
Estatuto del Partido Aprista Peruano
https://www2.congres[...]
2004-06
[6]
웹사이트
Historia del APRA - Partido Aprista Peruano
https://apraperu.com[...]
[7]
학술지
The Peruvian Aprista Party and Haya de la Torre: Myths and Realities
http://www.jstor.org[...]
[8]
웹사이트
Is Social Democracy Possible in Latin America?
https://www.research[...]
2008-01
[9]
웹사이트
Peruvian Aprista Party (PAP/APRA)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10]
웹사이트
Victor Raúl Haya de la Torre, the «Apra» and Indo–Americanism
https://bdigital.unc[...]
[11]
학술지
The APRA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1920's: On the activities of V. R. Haya de la Torre
https://www.jstage.j[...]
1978-05-15
[12]
웹사이트
Arturo Sabroso marsellesa aprista Lyrics
https://www.justsome[...]
[13]
웹사이트
La metamorfosis de García, de estatista a pro libre mercado Perú
https://www.reuters.[...]
2008-07-25
[14]
웹사이트
Iglesia Católica es un pilar esencial para el país, asegura jefe del Estado
https://andina.pe/ag[...]
2009-08-19
[15]
웹사이트
Evangélicos junto a Alan García oraron por el Perú
https://entrecristia[...]
2010-08-01
[16]
학술지
States, secrecy, subversives: APRA and political fantasy in mid-20th-century Peru
2010-11
[17]
학술지
Fascism and Politics in Peru during the Benavides Regime, 1933-39: The Italian Perspective
1990-08
[18]
간행물
Peru: The Message from Garcia
1985
[19]
학술지
Fascism and Politics in Peru during the Benavides Regime, 1933-39: The Italian Perspective
1990-08
[20]
학술지
The Petty-Bourgeois Ideology of the Peruvian Aprista Party
1977
[21]
웹사이트
Commanding Heights : Peru Overview on PBS
https://www.pbs.org/[...]
2023-05-06
[22]
웹사이트
JNE valida inscripción de alianza electoral que postulará a Alan García
https://gestion.pe/p[...]
2016-01-07
[23]
뉴스
Después de estas fotitos Exclusivas ¿ya podemos declarar sellada la alianza fujimorismo-Apra?
http://utero.pe/2016[...]
[24]
웹사이트
Comunidades en Twitter: Los seguidores de @SóloElApraSalvaráAlPerú Mina57
http://www.mina57.co[...]
2019-01-15
[25]
웹사이트
Confirman muerte del expresidente Alan García por un disparo en la cabeza
https://gestion.pe/p[...]
2019-04-17
[26]
웹사이트
Elecciones 2020: Apra obtiene solo el 2.8 % de votos válidos y no formaría parte del Congreso, según Ipsos
https://larepublica.[...]
2020-01-26
[27]
웹사이트
Elecciones 2020: Partido Aprista no tendrá representación parlamentaria por primera vez en 25 años nndc
https://gestion.pe/p[...]
2020-01-26
[28]
웹사이트
APRA y PPC: las causas de la derrota de dos históricos partidos en estas elecciones [Análisis]
https://rpp.pe/polit[...]
2020-01-30
[29]
웹사이트
Solidaridad y APRA: un año para no perder su inscripción
https://eltiempo.pe/[...]
2020-01-27
[30]
뉴스
Elecciones 2021: El Apra decide retirar la candidatura presidencial de Nidia Vílchez elcomercio.pe/politica
https://elcomercio.p[...]
2021-01-16
[31]
웹사이트
Elecciones 2021: un total de 16 partidos políticos perderían su inscripción en el ROP
https://elperuano.pe[...]
2021-09-19
[32]
웹사이트
Elecciones 2021: un total de 16 partidos políticos perdería su inscripción
https://andina.pe/ag[...]
2021-05-04
[33]
웹사이트
Elecciones Generales de Perú de 2021: Estos partidos perderían inscripción al no pasar valla del 5% tras comicios del 11 de abril nndc
https://peru21.pe/po[...]
2021-05-05
[34]
웹사이트
My Life With Che
http://us.macmillan.[...]
2009-02-23
[35]
웹사이트
アメリカ革命人民同盟 アメリカかくめいじんみんどうめい Alianza Popular Revolucionaria Americana; APRA
https://kotobank.jp/[...]
2019-10-04
[36]
웹사이트
APRA【アプラ】
https://kotobank.jp/[...]
2019-10-04
[37]
간행물
ペルーの新聞
http://www.isics.u-t[...]
東京大学社会情報研究所
2002-03
[38]
서적
マリアテギとアヤ・デ・ラ・トーレ―1920年代ペルー社会思想史試論
新泉社
[39]
웹사이트
http://www.perupol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