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루의 대통령은 페루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페루의 역사에서 다양한 직함과 권한을 가지고 통치해 왔다. 1821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군 지도자, 귀족,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이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내전, 쿠데타, 폭력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페루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며, 1993년 헌법에 따라 국가의 내부 질서 유지, 대외 관계 수립, 법률 제정 및 시행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 띠, 목걸이, 군 지휘부 표장 등 다양한 상징을 사용하며, 퇴임 후에는 기소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의 정치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페루의 정치 - 페루 전국주의연대
2000년 루르데스 플로레스 나노에 의해 창당된 페루 전국주의연대는 여러 정당의 연합체로 시작하여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서 의석을 확보했으나, 연합 해체 후 자체 연합으로 선거에 참여했다. - 페루의 대통령 -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는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페루 중앙준비은행 총재, 에너지광산부 장관, 경제재정부 장관, 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16년 대선에서 당선되었으나 오데브레히트 스캔들로 인해 2018년에 사임했다. - 페루의 대통령 - 알란 가르시아
알란 가르시아는 페루의 정치인으로 미국인민혁명동맹 소속이며, 두 차례 페루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위기, 인권 문제, 오데브레히트 스캔들 연루 의혹을 받았고, 2019년 부패 혐의로 체포 직전 자살했다. - 관직에 관한 전후 연결 - 크리스천 허터
크리스천 허터는 역사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고려 사항을 가지는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 관직에 관한 전후 연결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페루의 대통령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직위 | 헌법 대통령 |
소속 국가 | 페루 공화국 |
임기 | 5년, 연임 불가 |
임명 방식 | 직접 국민 투표 |
현직 대통령 | 디나 볼루아르테 |
취임일 | 2022년 12월 7일 |
관저 | 팔라시오 데 고비에르노 |
소속 부처 | 페루 공화국 행정부 |
부통령 | 제1부통령 |
직위 생성일 | 1823년 2월 28일 |
초대 대통령 | 호세 데 산 마르틴 (사실상) 호세 데 라 리바 아궤로 (처음으로 대통령 칭호 사용) |
호칭 | 여성 대통령 (비공식) 각하 (공식, 외교) |
지위 | 국가 원수 정부 수반 |
웹사이트 | www.presidencia.gob.pe |
월급 | 페루 솔 15,500/ 미화 4,155달러 |
소재지 | 리마 |
계승 순위 | 계승 순위 |
정치 | |
대통령 | 디나 볼루아르테 |
부통령 | 공석 (1st) 공석 (2nd) |
총리 | 구스타보 아드리안센 |
내각 | 내각 부처 목록 |
의회 | 공화국 의회 |
의회 의장 | 에두아르도 살루아나 |
사법 | |
사법부 | 하비에르 아레발로 벨라 상급 법원 제1심 법원 평화 법원 |
옴부즈맨 | 공공 변호인 사무실 |
기타 기관 | |
금융기관 감독국 | (SBS) |
국가선거관리국 | (ONPE) |
국가선거심사위원회 | (JNE) |
국가신분등록국 | (RENIEC) |
행정 구역 | |
지역 | 아마소나스 앙카시 아푸리막 아레키파 아야쿠초 카하마르카 칼라오 쿠스코 우앙카벨리카 우아누코 이카 후닌 라 리베르타드 람바예케 리마 로레토 마드레데디오스 모케과 파스코 피우라 푸노 산마르틴 타크나 툼베스 우카얄리 |
추가 정보 | |
주요 인물 | 엘머 스키알러 |
2. 역사
190년이 넘는 독립 기간 동안 페루는 독립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서 싸운 군 지도자들, 귀족 대표들, 그리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대통령직의 역사에는 내전, 쿠데타 및 폭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 번 이상 여러 사람이 동시에 대통령이 될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호세 데 산 마르틴이 사용한 "페루의 수호자"와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가 사용한 "최고 수호자"와 같은 다양한 직함이 사용되었다.[19]
2. 1. 콜럼버스 이전 시대
안데스 중앙부 건조 고원에서 현재 개념에 따라 인식할 수 있는 최초의 국가는 정부 체제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와리 문명이었다. 그 후 13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잉카 문명이 발전했는데, 상호 호혜의 정치적 관리에 기반을 둔 이 국가는 당시와 현재의 유럽 개념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사파 잉카를 수장으로 삼았다.[14]2. 2. 부왕령 시대
현대 페루 국가는 페루 부왕령(Viceroyalty of Peru)을 계승한다. 1532년 페루 정복(Spanish conquest of Peru)에 나선 스페인 정복자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여 지배권을 행사하고 스페인의 속국을 세웠다. 이 속국은 정복자들에게 주어진 총독 직함을 가진 총독령으로 시작되었다. 누에바 톨레도 총독령(Governorate of New Toledo) (디에고 데 알마그로(Diego de Almagro))은 현재 페루의 역사적 수도인 쿠스코(Cusco) 도시를 수도로 삼았다. 누에바 카스티야 총독령(Governorate of New Castile) (프란시스코 피사로(Francisco Pizarro))은 왕들의 도시, 즉 초기 리마(Lima)라고 불렸던 곳을 수도로 삼았고, 내전 이후 부왕령이 설치된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15]1542년 페루 부왕령(Viceroyalty of Peru)이 설립되었는데, 이곳의 정부는 스페인 왕국(Monarchy of Spain)의 왕(국가 원수)의 대표인 페루 부왕 목록(List of Viceroys of Peru)의 페루 부왕(정부 수반)이 담당했다. 부왕령 국가의 진정한 조직자는 프란시스코 데 톨레도(Francisco de Toledo)였다.
이 시기는 합스부르크 왕가(House of Habsburg)와 부르봉 왕가(House of Bourbon)의 두 스페인 왕조에 해당하는 두 단계로 나뉘며, 1542년 설립부터 1824년 아야쿠초(Ayacucho) 항복까지 282년 동안 지속되었지만,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Spanish American wars of independence)으로 인해 1821년 페루가 독립했다.
호세 페르난도 데 아바스칼 이 소우사(José Fernando de Abascal y Sousa)는 페루에서 스페인의 정치 및 군사력을 중앙 집권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의 후계자이자 페루의 마지막 부왕들은 호세 데 산마르틴(José de San Martín)과 그의 초기 후계자들과 동시대에 활동했다. 호아킨 데 라 페수엘라(Joaquín de la Pezuela)와 호세 데 라 세르나(José de la Serna)는 해방군과 대적했고, 마지막 부왕은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마지막으로 피오 데 트리스탄(Pío de Tristán)은 애국자들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임시 부왕을 맡았다.[16]
2. 3. 공화국 시대
1821년 7월, 페루 독립 전쟁 중 페루 부왕령에 속한 자치 주들이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독립하고 주권을 선포했다. 스페인이 잃어버린 식민지를 되찾으려는 위협이 임박하자 자치 부왕령은 주권 국가의 기반이 될 헌법 초안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1822년 페루 제헌 의회와 협력하여 1823년 헌법이 제정되었다. 페루 정치인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데 루나 피사로가 페루 제헌 의회를 이끌었으며, 페루의 첫 비공식 대통령으로 여겨진다.[17]1823년 헌법의 첫 번째 조항은 "기본 원칙"으로 알려진 2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 기본 원칙들은 안데스 국가의 국경을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오늘날까지 유지되는 페루 제1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수립했다. 루나 피사로가 이끄는 통치 위원회는 스페인으로부터의 페루 자치와 가톨릭 국가를 선포했다. 또한, 헌법은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의 세 가지 권력을 정의했다. 통치 위원회는 페루 역사에서 행정부의 첫 번째 표현이었다.
이후, 페루 보호령의 시몬 볼리바르에게 페루 정부의 입법부와 행정부에 대한 압도적인 권력을 부여한 기본 원칙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다.[18] 볼리바르는 이미 안데스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주변에 독재 정권을 수립하기 위한 운동을 벌이고 있었다. 이는 헌법 초안 작성자들과 통치 위원회가 행정 권한을 정의하고, 세 가지 권력 기관의 균형을 맞추며, 페루 국가 지도자의 공식 직책과 권한에 대한 아이디어 초안을 작성하는 과정을 가속화하도록 자극했다.
칠레 독립 선언은 1821년 8월 15일 리마에서 서명되었고, 그 후 정부는 호세 데 산마르틴이 보호자라는 칭호를 받고 책임을 맡았다. 나중에 입법부가 행정부를 차지했다. 1823년 의회는 호세 데 라 리바 아구에로를 페루 역사상 첫 번째 공화국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그 이후로 그것은 페루 지도자 대다수를 지칭하는 주요 명칭이 되었다. 1823년 최초의 정치 헌법(리바 아구에로 임명 후)은 그 직책을 인정하며,[19] "제72조. 행정권 행사는 공화국 대통령이라는 이름의 시민에게만 있습니다."라고 명시했다.
시몬 볼리바르가 제정한 1826년 종신 정치 헌법은 "행정권 행사는 종신 대통령, 부통령, 그리고 4명의 국무 장관에게 있습니다."라고 명시하여 부분적으로 대통령 공화제에 반대했다.
1827년까지, 대중이 스페인의 폭정으로 복귀로 간주할 볼리바르 독재를 막기 위해 행정부의 개요가 작성되었다.[20] 그 결과, 1827년 7월 28일 마누엘 살라사르가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하여 대중에 의해 선출된 페루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3.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
페루 대통령은 페루 헌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1993년 페루 헌법은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페루군의 최고 사령관이 된다.
- 헌법에서 규정한 날짜에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선거를 명령하고 감독한다.
- 페루 의회의 승인을 얻은 후 적절한 경우 전쟁을 선포한다.
- 헌법에 따라 외국으로부터 오는 평화 조약, 동맹 및 기타 협정을 규제하고 체결한다.
- 페루 의회가 공공 행정의 여러 부서에 배정한 기금의 투자를 감독하고 결정한다.
- 의회의 동의를 얻어 페루군 장교 및 공무원을 임명한다.
- 의회의 동의를 얻어 장관, 대통령 각료, 총리 및 외교관을 임명한다.
- 페루 사법부의 적절한 사법 행정과 그들이 선고한 판결의 준수를 보장하며, 배심원 재판소를 설립한다.
- 페루 공화국의 정치 및 군사 현황을 입법부에 보고하고, 페루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상당한 개선이나 적절한 개혁을 제시한다.
페루 대통령은 보통 5년 임기를 가지며, 연이어 다시 대통령이 되는 것은 금지된다.[7] 임기를 마친 전직 대통령은 다시 출마할 수 있다.[7]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연이어 재선은 허용되지 않는다.[8]
공화국 의회는 탄핵을 통해 대통령의 임기를 일찍 끝낼 수 있다. 1993년 헌법 제113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사망, 의회가 결정한 "영구적인 도덕적 또는 신체적 장애", 사임, 의회의 허가 없이 국외로 도피, 또는 헌법 제117조에 명시된 위반 행위로 인해 해임될 수 있다.
기예르모 빌링허스트, 안드레스 아벨리노 카세레스, 알베르토 후지모리,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등은 사임을 시도했다.
3. 1. 1823년 헌법
1823년 헌법은 대통령의 독점적 직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페루 의회의 법률, 법령 및 결의를 공포하고, 집행하고, 보호하고, 준수하며, 그 효력을 위해 필요한 명령을 발부한다.
# 페루군의 최고 사령관이 된다.
# 헌법에서 규정한 날짜에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선거를 명령하고 감독한다.
# 페루 의회의 승인을 얻은 후 적절한 경우 전쟁을 선포한다.
# 헌법에 따라 외국으로부터 오는 평화 조약, 동맹 및 기타 협정을 규제하고 체결한다.
# 페루 의회가 공공 행정의 여러 부서에 배정한 기금의 투자를 감독하고 결정한다.
# 의회의 동의를 얻어 페루군 장교 및 공무원을 임명한다.
# 의회의 동의를 얻어 장관, 대통령 각료, 총리 및 외교관을 임명한다.
# 페루 사법부의 적절한 사법 행정과 그들이 선고한 판결의 준수를 보장하며, 배심원 재판소를 설립한다.
# 페루 공화국의 정치 및 군사 현황을 입법부에 보고하고, 페루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상당한 개선이나 적절한 개혁을 제시한다.
3. 2. 1993년 헌법 (현행)
페루 대통령은 보통 5년 임기를 가지며, 연이어 다시 대통령이 되는 것은 금지된다.[7] 임기를 마친 전직 대통령은 다시 출마할 수 있다.[7] 정부 교체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기념일이자 국경일인 7월 28일에 이루어진다.공화국 의회는 탄핵을 통해 대통령의 임기를 일찍 끝낼 수 있다. 1993년 헌법 제113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사망, 의회가 결정한 "영구적인 도덕적 또는 신체적 장애", 사임, 의회의 허가 없이 국외로 도피, 또는 헌법 제117조에 명시된 위반 행위로 인해 해임될 수 있다.
기예르모 빌링허스트(강제 사임), 안드레스 아벨리노 카세레스, 알베르토 후지모리,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등 네 명의 페루 대통령이 사임을 시도했다.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마르틴 비스카라(첫 번째 탄핵), 페드로 카스티요(첫 번째 및 두 번째 탄핵)는 탄핵에 실패했고, 빌링허스트, 후지모리, 비스카라(두 번째 탄핵), 카스티요(세 번째 탄핵)는 탄핵되었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연이어 재선은 허용되지 않는다.[8] 대통령 취임식은 5년마다 7월 28일 의회에서 열린다. 마지막으로 직선으로 선출된 대통령은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임기를 수행한 페드로 카스티요였다. 그의 부통령이었던 디나 볼루아르테 전 공무원은 쿠데타 시도 후 탄핵을 거쳐 대통령직을 계승했다.
1992년과 2019년 의회 해산 이후, 입법부는 대통령을 해임하고 부통령을 사실상의 대통령으로 취임시키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9][10][11]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이 된 경우는 14명이다. 마지막으로 성공한 쿠데타는 1992년 알베르토 후지모리에 의해 실행되었으며, 그는 나중에 인권 침해와 부패 혐의로 투옥되었다.[12][13]
4. 선출 및 취임
페루의 대통령은 의회의 동의 없이 군대를 지휘할 수 없고, 의회의 허가 없이는 국가를 떠날 수 없다.[1] 또한, 대통령은 대법원 판사들과 업무를 처리하거나 페루 국민의 개인 자유를 박탈할 수 없으며, 공공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적절한 구금 명령을 내릴 수 있지만, 구금된 자는 24시간 이내에 판사 앞에 출두해야 한다.[1] 대통령은 어떠한 형벌도 부과할 수 없다.[1]
대통령은 의회 회의를 연기하거나 중단할 수 없다.[1]
4. 1. 선출
페루의 대통령은 의회의 동의 없이 군대를 지휘할 수 없고, 의회의 허가 없이는 국가를 떠날 수 없다.[1] 또한, 대통령은 대법원 판사들과 업무를 처리하거나 페루 국민의 개인 자유를 박탈할 수 없다.[1] 공공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적절한 구금 명령을 내릴 수 있지만, 구금된 자는 24시간 이내에 판사 앞에 출두해야 한다.[1] 대통령은 어떠한 형벌도 부과할 수 없다.[1]대통령은 의회 회의를 연기하거나 중단할 수 없다.[1] 필요한 경우 임시 회기를 소집할 수 있다.[1]
페루 대통령은 국민의 자유를 박탈하거나 형벌을 부과할 수 없지만,[1] 공공의 이익을 위해 개인 재산을 수용할 수 있다. 단, 소유주에게 정당한 보상을 해야 한다.[1] 대통령은 법률에 따른 선거 또는 기타 기능을 막을 수 없으며, 입법부의 허가 없이는 국가 영토나 수도를 떠날 수 없다.[1]
4. 2. 취임
페루 대통령 취임식은 수도 리마에 있는 페루 공화국 의회에서 거행된다. 대통령 취임식은 매년 7월 28일에 열리지만, 헌법적 계승의 경우에는 대통령 후임자가 페루 리마에 도착하는 날 취임식이 거행된다. 대통령 취임식은 페루 군의 국가 퍼레이드에 앞서 진행된다.외국 고위 인사들이 페루의 민주적 정권 이양을 자주 도왔다.
현행 페루 대통령 취임 선서의 스페인어 전문은 다음과 같다.
> 저, 마르틴 알베르토 비스카라 코르네호는 신과 조국, 그리고 모든 페루 국민 앞에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국가가 저에게 맡긴 페루 공화국 대통령직을 충실히 수행할 것을, 국가 주권과 공화국의 물리적, 도덕적 온전성을 수호할 것을, 페루의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이행할 것을, 그리고 페루 국민의 문화적, 도덕적 형성에 있어 가톨릭 교회의 중요성을 자유를 존중하며 인정할 것을 맹세합니다.
>
> 마르틴 알베르토 비스카라 코르네호, ''대통령 취임 선서'' 2018년 7월 28일
영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저, [''대통령 당선인의 성명''], 신과 조국, 그리고 모든 페루 국민 앞에서 [''임기 시작'']부터 [''임기 종료'']까지 국가가 저에게 맡긴 페루 공화국 대통령직을 충실히 수행할 것을, 국가 주권과 공화국의 물리적, 도덕적 온전성을 수호할 것을, 페루의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이행할 것을, 그리고 페루 국민의 문화적, 도덕적 형성에 있어 로마 가톨릭 교회의 중요성을 자유를 존중하며 인정할 것을 맹세합니다.
관례적으로 의회 의장이 당선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기 전에 대통령 휘장을 전달한다. 당선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마치면, 의회 의장이 대통령 휘장을 전달함으로써 페루 정부의 모든 부처에서 페루 공화국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으로 인정받는다. 대통령 휘장을 받아야만 페루 대통령으로 인정받는다.
2019년까지 페루 의회가 주관한 두 차례의 불법적인 대통령 취임식이 있었지만, 행정부나 군부에서는 인정하지 않았다. 하나는 1995년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2019년 페루의 행정부와 입법부 간의 갈등 중에 메르세데스 아라오스의 취임식이었다.
취임 선서에는 기독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강조가 있다. 페루의 모든 대통령은 가톨릭 신자였으며 기독교 성경 옆에서, 가톨릭 십자가 앞에서 취임 선서를 했다.
대통령은 어떠한 페루 국민의 자유도 박탈할 수 없으며, 어떠한 형벌도 부과할 수 없다. 공화국의 안보를 위해 한 명 이상의 시민을 체포해야 하는 경우, 피고를 관할 법원이나 판사에게 넘기지 않고 4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개인의 재산을 박탈할 수 없으나, 공공의 이익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하되, 소유주에게 정당한 보상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 공화국의 권력에 법률에 따라 속하는 선거 또는 기타 기능을 저지할 수 없다. 입법부의 허가 없이 공화국의 영토 또는 수도를 떠날 수 없다.
5. 대통령 상징
대통령의 상징은 대통령의 권위를 나타내는 여러 요소들을 포함한다.
대통령 띠는 대통령이 착용하는 가장 눈에 띄는 상징으로, 페루 공화국 초기부터 사용되었다. 페루의 국장이 수놓아진 이 띠는 민주적인 권력 이양을 상징한다.[1] 대통령 목걸이는 금과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졌으며, 중앙에 페루의 국장이 새겨진 메달이 달려 있어 페루 최고 권위를 상징한다.[1]
이 외에도 대통령은 최고 사령관임을 나타내는 군 지휘부 표장을 달거나, 스페인 관습에서 유래한 권력의 상징인 지팡이를 사용하기도 한다.[1]
5. 1. 대통령 띠
페루 헌법에는 대통령 띠에 대한 언급이 없다.5. 2. 대통령 목걸이
이 목걸이는 페루에서 최고 권위의 상징이다. 금으로 만들어지고 다이아몬드가 박혀 있으며, 중앙에는 페루의 국장이 새겨진 메달이 달려 있다. 오스카르 R. 베나비데스 라레아, 마누엘 프라도 이 우가르테체, 호세 루이스 부스타만테 이 리베로 대통령이 이 큰 목걸이와 다른 훈장들을 두드러지게 사용했다. 페르난도 벨라운데 테리 대통령 재임 이후로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최근에는 2008년 5월 리마에서 열린 유럽 연합 정상회의에서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이 이를 다시 사용했다.5. 3. 기타 상징

대통령 띠는 대통령이 착용하는 가장 눈에 띄는 상징으로, 페루 공화국 초기부터 사용되었다. 이는 마지막 총독으로부터 계승된 것이다. 대통령 띠의 위치와 전달은 민주적인 권력 이양을 상징하며,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할 때까지 의회 의장이 사용한다. 대통령 띠는 국기색인 빨강과 흰색으로 이루어진 두 가지 색깔의 띠이다.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착용하며, 허리 부분에는 금실로 페루 국장이 수놓아져 있다. 전통적으로 리마의 한 가문에서 각 대통령의 치수에 맞춰 제작하며, 정장, 턱시도 또는 군복과 함께 공식적으로 착용한다. 2006년부터는 국장의 위치가 가슴 높이로 변경되었다.
리카르도 팔마의 ''페루 전통''에 따르면, 1840년대 혼란기에 후스토 피게롤라 대통령은 집 앞에서 시위가 벌어지자 딸에게 대통령 띠를 가져와 발코니에서 사람들에게 주라고 요청했다. 군중은 피게롤라에게 환호하며 떠났고, 누군가에게 띠를 입히려 했지만, 많은 이들이 원했던 이 띠를 입으려는 사람을 찾지 못했다.
국무장관, 대법원 판사, 공화국 의원, 헌법재판소 판사, 사법위원회 위원, 검찰총장, 감사원장 등은 훈장이 달린 빨간색과 흰색 깃을 착용한다.
대통령은 가방 왼쪽 상단 주머니에 계급장처럼 끈으로 된 최고 사령관임을 나타내는 군 지휘부 표장을 단다. 이는 페루 역사에서 군 출신 대통령들이 착용했던 군사 훈장의 계승으로, 금색의 빛나는 태양 모양이다.
지팡이는 스페인에서 유래한 것으로, 지팡이를 통해 권력을 상징하는 관습에서 비롯되었다. 이 관습은 1780년 호세 가브리엘 투팍 아마루와 투팍 카타리의 반란 이후 18세기에 안데스 지역에 도입되어 인카 시장의 존엄성을 나타냈다. 아르헨티나와 달리, 페루 대통령 역사에서 대통령의 권력과 직책을 상징하는 지팡이(상징적으로 바라요크) 사용은 일반적이지 않았으며, 군부 대통령 시대에는 칼이나 검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마리아노 이냐시오 프라도, 호세 발타, 아우구스토 B. 레기아는 사진에서 지팡이를 사용했다. 최근에는 알레한드로 톨레도가 쿠스코에서의 상징적인 취임식 등에서 지팡이를 사용했고, 2008년 7월 29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알란 가르시아가 작은 대통령 지팡이를 사용했으며, 2011년 7월 29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올란타 우말라가 사용했다.
6. 대통령직 계승
- 공화국 대통령: 디나 볼루아르테
- 제1부통령: (''공석'')
- 제2부통령: (''공석'')
- 의회 의장: 알레한드로 소토 레이예스
- 의회 제1부의장: Arturo Alegría|아르투로 알레그리아es
- 의회 제2부의장: 왈데마르 세론
- 의회 제3부의장: Rosselli Amuruz|로셀리 아무루스es
7. 퇴임 후
1985년 이후 페루의 모든 전직 대통령들은 퇴임 후 기소되었다.[21]
- 알베르토 후지모리는 2000년 사임 전 일본으로 도피하여 정치적 망명을 시도했다. 일본 국회의원 출마에 실패한 후, 2006년 페루 대선 출마를 위해 라틴 아메리카로 돌아왔으나 칠레를 거쳐 페루로 돌아와 체포되었다. 뇌물 수수, 인권 침해 등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2017년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었다. 2019년 사면이 불법으로 선언되어 재수감되었으나, 2023년 다시 사면되어 석방되었다.[21]
- 알레한드로 톨레도는 2006년 임기 종료 후 페루 정계에서 은퇴하고, 부패 혐의를 피해 미국 캘리포니아주로 이주했다. 페루로 소환되었으나 불응하고 미국에 체류 중이다. 2019년 3월 공공장소 음주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되었고, 같은 해 8월 페루 사법부의 송환 요청에 따라 체포되어 구금되었다가 2023년 6월 송환되었다.[21]
-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는 2018년 3월 사임 후 자택으로 돌아갔다. 이후 사법부에 소환되어 은행 계좌 동결 및 출국 금지 조치를 당했다. 2019년 4월 오데브레히트와의 연루, 돈세탁, 뇌물 수수 혐의로 체포되었고, 2022년까지 3년의 가택 연금형을 선고받았다.[21]
- 마르틴 비스카라는 탄핵 후 여러 부패 혐의에 직면했고, 바쿠나게이트 연루로 2021년 10년간 공직 수행 금지 처분을 받았다.[21]
- 마누엘 메리노는 마르틴 비스카라 탄핵 이후 페루 의회에 의해 2020년 11월 10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나, 2020년 페루 시위로 인해 사임했다. 그는 2020년 페루 시위 중 발생한 인권 침해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21]
- 알란 가르시아는 오데브레히트 스캔들 연루로 조사를 받던 중 2019년 4월 경찰 체포 직전 자살했다.[21]
- 페드로 카스티요는 페드로 카스티요 탄핵 이후 2022년 페루 쿠데타 미수행으로 인해 직무에서 해임되었고, 리마에 있는 멕시코 대사관으로 도피하려다 체포되었다. 현재 카스티요는 반란 혐의로 투옥되어 있으며, 여러 부패 조사를 받고 있다.[21]
- 디나 볼루아르테는 2022-2023년 페루 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으로 인해 대량 학살 및 반인도 범죄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21]
- 1975년부터 1980년까지 대통령을 지낸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는 2017년 1월 이탈리아 법원으로부터 종신형을 선고받았다.[21]
8. 역대 대통령
페루는 190년이 넘는 독립 기간 동안 독립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싸운 군 지도자들과 귀족 대표들, 그리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대통령직의 역사에는 내전, 쿠데타 및 폭력이 포함되어 있다. 한 번 이상 여러 사람이 동시에 대통령이 될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1]
호세 데 산 마르틴이 사용한 "페루의 수호자"와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가 사용한 "최고 수호자"와 같은 다양한 직함이 사용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Los 10 funcionarios del Perú con los sueldos más altos en el país
https://peru.com/act[...]
2017-02-01
[2]
논문
Revolution from Within: Changing Military Perspectives in Peru
1972
[3]
서적
El Profe: Cómo Pedro Castillo se convirtió en presidente del Perú y qué pasará a continuación
https://fondoeditori[...]
Institute of Peruvian Studies
2021-08-01
[4]
뉴스
'Too many mistakes': Peru's president threatened with impeachment after shaky start
https://www.ft.com/c[...]
2021-12-07
[5]
뉴스
Peru's Keiko Fujimori backs long-shot effort to impeach President Castillo
https://www.reuters.[...]
Reuters
2021-11-19
[6]
웹사이트
Can Pedro Castillo Save His Presidency?
https://foreignpolic[...]
2021-10-15
[7]
웹사이트
Political Constitution of Peru, Article 112
http://www4.congreso[...]
[8]
웹사이트
Peru's Constitution of 1993 with Amendments through 2009
https://www.constitu[...]
2019-08-12
[9]
뉴스
Peru's President Dissolves Congress, and Lawmakers Suspend Him
https://www.nytimes.[...]
2019-09-30
[10]
뉴스
Mercedes Aráoz a la BBC: "Tenemos que solucionar esto con las instituciones, de otra forma será como un golpe de Estado"
https://www.bbc.com/[...]
2019-10-02
[11]
뉴스
Who's in Charge in Peru? Peruvians Can't Agree
https://www.nytimes.[...]
2019-10-01
[12]
논문
Fujimorism and Peru
1995-12-01
[13]
뉴스
Fujimori vuelve a prisión tras más de 100 días internado en una clínica
https://www.bbc.com/[...]
2019-01-24
[14]
논문
The Accountant-Historians of the Incas
1983
[15]
논문
The Royalist Regime in the Viceroyalty of Peru, 1820–1824
2000
[16]
논문
Corruption, Inefficiency, and Imperial Decline in the Seventeenth-Century Viceroyalty of Peru
1984
[17]
논문
The Origins of Presidential Conditional Agenda-Setting Power in Latin America
2005
[18]
논문
La Tercera Asamblea General del Instituto Panamericano de Geografía e Historia
1941
[19]
웹사이트
Peru – GOVERNMENTAL SYSTEM
http://countrystudie[...]
[20]
논문
Bolivar and the Caudillos
1983
[21]
웹사이트
Italy gives Peru dictator life in prison for 1970s murders
https://perureports.[...]
2017-01-20
[22]
논문
Revolution from Within: Changing Military Perspectives in Peru
1972
[23]
서적
El Profe: Cómo Pedro Castillo se convirtió en presidente del Perú y qué pasará a continuación
https://fondoeditori[...]
Institute of Peruvian Studies
2021-08-01
[24]
뉴스
‘Too many mistakes’: Peru’s president threatened with impeachment after shaky start
https://www.ft.com/c[...]
2021-12-07
[25]
뉴스
Peru's Keiko Fujimori backs long-shot effort to impeach President Castillo
https://www.reuters.[...]
2021-11-19
[26]
웹사이트
Can Pedro Castillo Save His Presidency?
https://foreignpolic[...]
2021-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