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마사히로 (181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마사히로(1819년)는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이자 막부의 로주로, 1819년에 태어나 1857년에 사망했다. 그는 빈고 후쿠야마 번의 번주를 거쳐, 1843년 로주가 되어 막부 정치를 총괄하며, 1854년 미국과의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하여 쇄국 정책을 종식시켰다. 그는 또한 안세이 개혁을 추진하며 해안 방비를 강화했으나, 1857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후쿠야마번 (빈고국) 사람 -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노우에 가쿠고로는 게이오기주쿠 졸업 후 조선에서 신문 발행에 참여하고 갑신정변에 연루되어 망명했다가 일본으로 돌아와 중의원 의원을 지냈으며, 홋카이도 탄광 철도 사장과 일본제강소 설립 등 실업가로서 홋카이도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후쿠야마번주 (빈고국) - 아베 마사쿠니
아베 마사쿠니는 에도 시대의 후다이 다이묘로, 미야즈 번, 우쓰노미야 번을 거쳐 후쿠야마 번의 번주를 역임하며 번정 안정화에 힘썼고, 특히 후쿠야마 번에서는 영내 실정 파악, 치안 유지, 연공 징수 방법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간세이 개혁 시기에는 막부 정책에 적극 협력하여 번의 위상을 높였다. - 후쿠야마번주 (빈고국)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683년)
마쓰다이라 다다마사(1683년)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야마가타 번, 후쿠야마 번, 구와나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번정 개혁과 번교 신슈칸의 기초를 다지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후다이 아베씨 - 오다와라번
오다와라번은 1590년 오다와라 정벌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오쿠보 다다요를 성주로 임명하며 시작되어 오쿠보 가문이 주로 다스렸으나 아베 가문과 이나바 가문이 잠시 통치하기도 했고, 후지산 분화와 외국인 경비 임무로 어려움을 겪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가나가와현에 통합된 에도 시대의 번이다. - 후다이 아베씨 - 후쿠야마번 (빈고국)
후쿠야마번은 1619년 미즈노 가쓰시게에게 하사되어 시작되었으며, 미즈노 가문과 아베 가문을 거쳐 메이지 유신까지 존속하다가 폐번치현으로 후쿠야마 현이 되었다.
아베 마사히로 (1819년) | |
---|---|
인물 정보 | |
이름 | 아베 마사히로 |
국적 | 일본 |
![]() | |
출생일 | 1819년 12월 3일 |
출생지 | 에도, 일본 |
사망일 | 1857년 8월 6일 |
사망지 | 에도, 일본 |
배우자 | 마쓰다이라 하루요시의 딸, 마쓰다이라 노리코 |
관직 | |
직위 | 후쿠야마 번주 |
임기 시작 | 1837년 1월 31일 |
임기 종료 | 1857년 8월 6일 |
이전 | 아베 마사야스 |
다음 | 아베 마사노리 |
이름 정보 | |
개명 | 고조 마사히로 유켄 가쿠슈켄 |
별칭 | 시로고로 주케노카미 쇼이치 슈쿠도 슈쿠쿄 |
시호 | 료토쿠인덴 코요 신기 세츠도 다이코지 |
묘소 | 도쿄도다이토구의 야나카 묘지 |
관위 | 종5위하이세노카미 종4위하 시종 증종3위 |
막부 | 에도 막부소자반 지샤부교 가역 지샤부교 노주 캇테가카리 노주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나리 가게요시 이에사다 |
가문 | 아베 씨 |
가족 | 부: 아베 마사카타 모: 다카노 가미코 양부: 아베 마사야스 |
형제자매 | 마사스이 마사야스 마사히로 도다 다다아키라 정실 이노우에 마사하루 정실 쿠제 히로치카 정실 등 |
배우자 | 정실: 마쓰다이라 하루요시의 딸, 긴히메 계실: 마쓰다이라 요시나가의 양녀, 히메 |
자녀 | 아쓰노스케 데쓰지로 고조 히사코 등 양자: 마사노리 |
2. 생애
1819년 10월 16일(분세이 2년), 에도 니시노마루 저택에서 빈고 후쿠야마 번 제5대 번주인 아베 마사키요의 6남으로 태어났다.[9] 1836년 12월 25일, 건강이 악화되어 은거한 형 마사야스의 양자가 되어 제7대 번주로 취임하였다. 1837년 후쿠야마로 귀향하였는데, 마사히로가 영지로 돌아갔던 것은 이때가 유일하다.
1843년 9월 11일, 25세에 로주가 되어 다쓰노쿠치(지요다구 오테마치)의 저택으로 옮겼다.[1] 미즈노 다다쿠니의 뒤를 이어 로주 상석이 되어 제12대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요시,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 시대의 막부 정치를 통괄하였다.
1845년부터 해안 방어 용무괘(해안 방비괘)를 설치하여 외교·국방 문제에 대응하도록 했다. 또, 사쓰마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나 미토번의 도쿠가와 나리아키를 비롯한 여러 다이묘들에게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쓰쓰이 마사노리, 도다 우지요시, 마쓰다이라 지카나오, 아와지 도시아키라, 이노우에 기요나오, 미즈노 다다노리, 에가와 히데타쓰, 존 만지로, 이와세 다카노부 등을 등용하는 대담한 인사정책을 폈다.
1853년 매슈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우라가에 내항했을 때, 도쿠가와 막부는 큰 혼란에 빠졌다. 도쿠가와 이에요시 쇼군이 사망하고, 병약한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뒤를 이으면서 실질적인 권력은 로주 수장인 아베 마사히로에게 있었다. 마사히로는 당시 일본의 군사력으로는 미국의 요구에 저항할 수 없다고 판단했지만, 독단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꺼렸다.[4]
이에 마사히로는 모든 다이묘에게 의견을 묻는 전례 없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는 막부의 약점을 드러내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았다.[4] 다이묘들의 의견은 찬반으로 갈렸고,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5]
1854년 페리가 더 큰 함대를 이끌고 다시 돌아오자, 막부는 협상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약 한 달간의 협상 끝에 1854년 3월 31일, 가나가와에서 미일화친조약이 체결되었다. 일본 측은 상업 협정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구를 수용했으며, 시모다와 하코다테 두 항구를 개항하기로 합의했다.[5] 조약 체결은 마사히로의 전권 대사인 하야시 아키라가 담당했다.[1]
미일화친조약 체결로 약 200년간 계속되었던 쇄국정책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1] 그러나 조약에 반대한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해안 방비직을 사임하게 되었다.[1]
안세이 2년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압력으로 개국파인 로주 마쓰다이라 노리야스, 마쓰다이라 다다마스 2명이 파면되자, 개국파인 홋타 마사요시에게 로주 상석을 물려주어 개국파와 양이파의 융화를 도모하였다.[1]
이후 마사히로는 에가와 히데타쓰, 가쓰 가이슈, 오쿠보 이치오, 나가이 나오유키, 다카시마 슈한 등을 등용하고 해강무소나 양학소, 나가사키 해군전습소를 창설하는 등 해안 방비를 강화하였다.[1] 또, 서양 포술 추진, 대형 함선 건조 규제 완화 등 막부 정치 개혁(안세이 개혁)에도 힘을 쏟았다.[5]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지지하였다.[2]
1857년 6월 17일 로주 재임 중 향년 39세로 급사하였다.[2] 사인은 암으로 추정된다.[3]
2. 1. 유소년기 및 번주 취임
분세이 2년(1819년) 10월 16일, 에도 니시노마루 저택에서 빈고 후쿠야마 번 제5대 번주인 아베 마사키요의 6남으로 태어났다.[9] 분세이 9년(1826년) 아버지가 사망하여 형 마사야스가 제6대 번주가 되면서 마사히로는 혼고 저택(분쿄구 소재)으로 옮겨졌다.[9] 1836년 12월 25일, 건강이 악화되어 은거한 형의 양자가 되어 제7대 번주로 취임하였다. 1837년 후쿠야마로 귀향하였는데, 마사히로가 영지로 돌아갔던 것은 이때가 유일하다.2. 2. 막부 정치 참여 및 로주 취임
1843년 9월 11일, 25세에 로주가 되어 다쓰노쿠치(지요다구 오테마치)의 저택으로 옮겼다.[1] 미즈노 다다쿠니의 뒤를 이어 로주 상석이 되어 제12대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요시,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 시대의 막부 정치를 통괄하였다.[1] 가에이 5년 (1852년)에는 에도 성 니시노마루 축조를 지휘한 공으로 녹봉 1만 석을 추가받았다.[1]1845년부터 해안 방어 용무괘(해안 방비괘)를 설치하여 외교·국방 문제에 대응하도록 했다. 또, 사쓰마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나 미토번의 도쿠가와 나리아키를 비롯한 다이묘들에게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쓰쓰이 마사노리, 도다 우지요시, 마쓰다이라 지카나오, 아와지 도시아키라, 이노우에 기요나오, 미즈노 다다노리, 에가와 히데타쓰, 존 만지로, 이와세 다카노부 등을 등용하는 대담한 인사정책을 폈다.
사가미국 우라가(현 가나가와현)에 미국의 동인도 함대가 내항했던 1852년에는 쇄국을 이유로 통상을 거절했지만, 1853년에 다시 매슈 페리 제독이 동인도 함대를 이끌고 우라가에 내항했다. 같은 해 7월에는 나가사키에 러시아 프챠틴 함대 역시 내항하여 통상을 요구했다. 이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마사히로는 조정을 시작으로 도자마 다이묘를 포함한 여러 다이묘와 관료들의 의견을 모았지만 별다른 대책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에 마쓰다이라 슌가쿠, 시마즈 나리아키라 등의 의견에 따라 도쿠가와 나리아키에게 해안 방비를 맡기게 되었다. 이러한 다이묘들의 막부 정치 참여는 결과적으로 막부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2. 3. 페리 내항과 미일화친조약
1853년 매튜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우라가에 내항했을 때, 도쿠가와 막부는 큰 혼란에 빠졌다. 도쿠가와 이에요시 쇼군이 사망하고, 병약한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뒤를 이으면서 실질적인 권력은 로주 수장인 아베 마사히로에게 있었다. 마사히로는 당시 일본의 군사력으로는 미국의 요구에 저항할 수 없다고 판단했지만, 독단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꺼렸다.[4]이에 마사히로는 모든 다이묘에게 의견을 묻는 전례 없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는 막부의 약점을 드러내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았다.[4] 다이묘들의 의견은 찬반으로 갈렸고,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5]
1854년 페리가 더 큰 함대를 이끌고 다시 돌아오자, 막부는 협상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약 한 달간의 협상 끝에 1854년 3월 31일, 가나가와에서 미일화친조약이 체결되었다. 일본 측은 상업 협정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구를 수용했으며, 시모다와 하코다테 두 항구를 개항하기로 합의했다.[5] 조약 체결은 마사히로의 전권 대사인 하야시 아키라가 담당했다.[1]
이후 러시아, 네덜란드, 영국과도 유사한 조약이 체결되었다.[1]
2. 4. 안세이 개혁과 사망
1854년 3월 3일에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하여 약 200년간 계속되었던 쇄국정책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1] 그러나 조약에 반대한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조약 체결 후 해안 방비직을 사임하게 되었다.[1]안세이 2년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압력으로 개국파인 로주 마쓰다이라 노리야스, 마쓰다이라 다다마스 2명이 파면된 것이 개국파의 분노를 사게 되자,[4] (아베의 인사정책에 대한 신판 다이묘들의 반발이 원인이라는 견해도 있다.[4]) 개국파인 홋타 마사요시에게 로주 상석을 물려주어 개국파와 양이파의 융화를 도모하였다.[1]
이러던 중 마사히로는 에가와 히데타쓰, 가쓰 가이슈, 오쿠보 이치오, 나가이 나오유키, 다카시마 슈한 등을 등용하고 해강무소나 양학소, 나가사키 해군전습소를 창설하는 등 해안 방비를 강화하게 된다.[1] 또, 서양 포술 추진, 대형 함선 건조 규제 완화 등 막부 정치 개혁(안세이 개혁)에도 힘을 쏟았다.[5]
또한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지지하였다.[2]
1857년 6월 17일 로주 재임 중 향년 39세로 급사하였다.[2] 사인은 암으로 추정된다.[3] 이에 조카이자 양자인 아베 마사노리가 뒤를 이었다.[2]
3. 인물 및 평가
도쿠토미 소호의 근세 일본 국민사에서는 아베 마사히로에 대해 우유부단하거나 팔방미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국민사』에 수록된 서간에서는 쇄국을 주장하던 마사히로가 국정을 담당하는 입장에서, 극론과 폭론을 반복하는 양이파(攘夷派)를 억제하기 위해 본심을 숨기고 의도적으로 협조적인 노선을 선택한 점을 엿볼 수 있다. 교육 연구 기관을 설치하는 등 실리적으로 서양 학문을 도입하면서도, 자신은 란포 의사(네덜란드 의사)의 치료를 끝까지 거부했다고 하며, 조상의 쇄국 체제를 깨뜨린 점도 마음에 상처로 남아 있었다고 한다.
너무 이른 사망 원인에 관해서는 간암으로 인한 병사, 외교 문제로 인한 격무로 인한 과로사 등 여러 설이 있다. 비약적인 설로는 시마즈 씨 등 외양의 웅번을 막부에 참여시키는 것에 불만을 품은 후다이 다이묘(류칸즈메)에 의한 암살설까지 있다.
외양 등의 웅번, 비문벌 개명파 막리(幕吏)를 막정에 참여시키는 자세는 후다이 등으로부터 미온적인 정치 자세로 비춰져, "표주박 메기"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서양의 학문에 이해를 보였으며, 가쓰 가이슈의 소개로 마사히로의 저택에 불려간 스기 준도가 독일판 세계 지리서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했다. 마사히로는 "우리나라는 좁구나"라며 감명받고, 스기를 위해 원서를 무엇이든 사주겠다고 약속했다.
마사히로는 남의 말을 잘 들었지만,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어떤 사람이 그것을 수상히 여겨 묻자, "자신의 의견을 말하다가 만약 실언이라도 하면, 그것을 빌미로 직무상의 실패가 될 수 있다. 그래서 남의 말을 잘 듣고, 좋은 점을 취하고 나쁜 점은 버리려고 노력한다"라고 웃으면서 대답했다고 한다.
마사히로는 비만 체질이었고, 장시간 정좌하는 것을 고통스러워했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는 항상 장시간 정좌를 했다. 마사히로가 퇴출된 후, 차보우즈(시중을 드는 사람)가 마사히로가 앉았던 자리를 보니 땀으로 돗자리가 젖어 있었다고 한다.
4. 연보
연도 | 사건 |
---|---|
1836년 | |
1838년 | 9월 1일 - 주자반에 취임. |
1840년 | |
1843년 | |
1844년 | |
1845년 | |
1855년 | 10월 9일 - 홋타 마사요시의 로주 재임 및 수좌 취임에 따라, 캇테가케 겸임인 채로 로주 차좌가 됨. |
1915년 | 11월 10일 - 정부로부터 증 종3위. |
5.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아베 마사키요 | (1775-1826) |
어머니 | 타카노 카이 미코 | |
양아버지 | 아베 마사야스 | (1809-1870) |
정실 | 킨히메 | 마츠다이라 하루요시의 딸 |
계실 | 히메 | (1837-1873), 마츠다이라 요시나가의 양녀, 마츠다이라 나오하루의 딸 |
장남 | 토쿠노스케 | 생모 불명, 요절 |
차남 | 테츠지로 | 생모 불명, 요절 |
삼남 | 코조 | 생모 불명, 요절 |
육녀 | 코토코 | (1850-1884), 생모 불명, 마츠다이라 시게아키의 양녀, 아베 마사토모의 정실 |
양자 | 아베 마사노리 | (1840-1861), 아베 마사야스의 장남 |
마사히로의 자녀는 육녀 코토코를 제외하고 모두 요절하였다. 이 때문에 선대 형인 마사야스의 아들 마사노리가 양자가 되어 뒤를 이었다.
6. 관련 작품
- 소설
- * 소후에 이치로, 『아베 마사히로 일본을 구한 막말의 대정치가』
- * 도쿠나가 신이치로, 「아베 마사히로」(『막말 각료전』 수록)
- * 호타카 겐이치, 『안세이 유신 아베 마사히로의 생애』 (남남사)
- * 호타카 겐이치, 『아내와 딸들의 막말』―오오쿠의 최고 권력자 아네코지 실상― (남남사)
- * 시마다 소지, 『별의 궤(상)』
- 만화
- * 테즈카 오사무, 『따스한 나무』
- * 미나모토 타로, 『풍운아들』
- * 요시나가 후미, 『오오쿠』 (※남녀 역전 설정)
- 텔레비전 드라마
- * 『꽃의 생애』(1963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다카마쓰 마사오)
- * 『여행가라스 사건첩』(1980년, 간사이 TV・후지 TV 계, 배우:오자와 에이타로) - 고바야시 아키라가 연기하는 주인공 하타모토・진보 나오지로와 숙부와 조카의 관계라는 설정.
- * 『오오쿠 (1983년판)』(1984년, 간사이 TV, 사이고 테루히코)
- * 『날아오르듯이』(1990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와카바야시 고)
- * 『가쓰 가이슈』(1990년, 니혼 TV 연말 시대극 스페셜, 배우:나카노 세이야)
- * 『도쿠가와 요시노부』(199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오하시 고로)
- * 『아츠히메』(200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쿠사카리 마사오)
- * 『료마전』(2010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마스 이키)
- * 『야에의 벚꽃』(2013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히사마츠 노부미)
- * 『세고돈』(201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후지키 나오히토)
- * 『영원의 니시파 ~홋카이도라고 이름 붙인 남자 마쓰우라 다케시로~』(2019년, NHK, 배우:카케히 토시오)
- * 『푸른 하늘을 찔러라』(2021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오타니 료헤이)
- * 『오오쿠 Season2』(2023년, NHK 드라마 10, 배우:타키우치 쿠미) (※남녀 역전 설정)
7. 현대
히로시마 현립 후쿠야마 세이시칸 고등학교는 "세이시칸"을 기원으로 한다.[13][9]
1875년(메이지 8년)에 창립된 분쿄구립 세이시 초등학교는 후쿠야마번 마루야마 나카야시키의 번교를 전신으로 한다.[14][9]
참조
[1]
백과사전
Abe Masahiro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
서적
Treasures among Men
[3]
서적
The Meiji Restoration
[4]
서적
Japan
[5]
서적
The Meiji Restoration
[6]
서적
[7]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8]
서적
江戸時代人物控1000
小学館
2007
[9]
뉴스
東京の「福山」 文京区西片、築城400年で深まる縁
https://www.asahi.co[...]
2022-12-16
[10]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12-02
[11]
웹사이트
福山藩校 弘道館と誠之館
https://www.city.fuk[...]
福山市
2022-12-16
[12]
웹사이트
福山藩主について -阿部家-
https://fukuyamajo.j[...]
福山城博物館
2022-12-16
[13]
웹사이트
学校案内|校長挨拶
https://www.fukuyama[...]
広島県立福山誠之館高等学校
2022-12-16
[14]
웹사이트
校長室より|誠之小学校の歴史
https://www.bunkyo-t[...]
文京区立誠之小学校
2022-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