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쿠라 소테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쿠라 소테키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아사쿠라 가문의 번영을 이끈 인물이다. 1477년 아사쿠라 다카카게의 아들로 태어나 쓰루가 군 장관을 거쳐 1506년 잇코 잇키와의 구즈류가와 전투에서 승리하며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그는 아사쿠라 가문의 실질적인 당주로서, 외교와 군사를 담당하며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다. 1555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아사쿠라 가문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저서로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가 있으며,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쿠라씨 -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당주로, 문화와 외교에 능했으나 우유부단한 태도와 군사적 능력 부족으로 가문을 멸망시켰다.
  • 아사쿠라씨 - 아네가와 전투
    아네가와 전투는 1570년에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이 승리하였으나 아자이 가문의 몰락을 가속화시키고 노부나가 포위망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 1477년 출생 - 안 드 브르타뉴 여공작
    안 드 브르타뉴는 브르타뉴 공국의 마지막 독립 군주로서 프랑스 국왕 샤를 8세, 루이 1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예술을 후원하고 브르타뉴의 자치권을 지키려 노력했다.
  • 1477년 출생 - 여기 (화가)
  • 에치젠국 사람 -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당주로, 문화와 외교에 능했으나 우유부단한 태도와 군사적 능력 부족으로 가문을 멸망시켰다.
  • 에치젠국 사람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아사쿠라 소테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명아사쿠라 노리카게
출생일1477년
사망일1555년 9월 23일
국적일본
직업사무라이, 무사
주요 활동1506년, 구즈류 강 전투에서 잇코 잇키에 맞서 아사쿠라 군을 이끔
인물 정보
시대센고쿠 시대
개명고타로, 노리카게, 소테키
별명다로사에몬노조
이명에치젠의 군신, 아사쿠라의 구즈류
시호긴고, 쇼요소테키
씨족아사쿠라 씨
주군아사쿠라 우지카게
아사쿠라 사다카게
다카카게
요시카게
아버지아사쿠라 다카카게
어머니게이시쓰에이쇼다이시
형제우지카게
가게아키라
아사쿠라 마고시로
가게후사
아사쿠라 노리카게 (이센무네카쓰)
도키카게
가게노리
아사쿠라 노리카게 (소테키)
아내아사쿠라 가게후유의 딸
자녀가안코케이
아사쿠라 가게토시 (양자)
가게노리

2. 생애

분메이 9년(1477년), 아사쿠라 가문 제7대 당주 아사쿠라 다카카게의 8남으로 태어났다.[14] 분메이 13년(1481년) 아버지 다카카게가 사망했을 때 소테키는 네 살에 불과하여 형 우지카게가 가독을 이었다.

분키 3년(1503년), 쓰루가 성 성주 아사쿠라 가게토요가 모반을 일으켰을 때, 소테키는 가게토요의 여동생과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게토요 측의 가담 권유를 거절하고 류코지(竜興寺)로 출가했다. 그리고 이 모반을 당주 아사쿠라 사다카게에게 밀고하여 가게토요는 자결하였다.[1] 이 공으로 소테키는 가네가사키 성 성주로서 쓰루가 군지(郡司, 군 장관)에 취임하여, 이후 아사쿠라 가문의 군무를 담당하게 되었다.[1]

에이쇼 3년(1506년) 구즈류가와 전투에서 가가·엣추·노토일향종 문도에 맞서 아사쿠라 군을 이끌고 승리하였다.

1517년 와카사 슈고 다케다 가문의 원군으로서 와카사·단고로 출진하여, 와카사 슈고다이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1525년 미노의 내란에 개입한 북 오미아자이 스케마사를 견제하기 위해 남 오미의 롯카쿠 가문과 협력하여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 오다니 성으로 출진하였다.

1527년 오미로 도망쳐 온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간레이 호소카와 다카쿠니의 요청으로 상락하여,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1531년 가가에서 내분(교로쿠의 착란)이 일어나자, 노토 하타케야마 가문과 함께 가가로 출진하였으나, 동맹군인 노토 하타케야마 군이 괴멸되면서 철수하였다.[1]

1555년 에치고 우에스기 가문과 연합하여 다시 가가로 출진하였으나, 진중에서 병으로 쓰러져 귀환하였고, 9월 8일 이치조다니 성에서 향년 79세로 병사하였다.[1]

2. 1. 탄생

분메이 9년(1477년), 아사쿠라 가문 제7대 당주 아사쿠라 다카카게의 8남으로 태어났다.[14] 아버지 다카카게의 가명인 '''고타로'''(小太郎)라고 불렸고, 아사쿠라 역대 당주가 받는 글자인 '가게(景)' 자가 이름에 들어갔으며, '노리카게'라는 이름 자체도 증조부 노리카게의 이름을 딴 것으로 조부 이에카게와 부친 다카카게도 모두 노리카게라는 이름을 쓴 적이 있는 등, 소테키는 적남으로 대우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부친 다카카게가 사망한 분메이 13년(1481년)에 소테키는 네 살에 불과하여 가독을 잇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되어 형 우지카게가 가독을 이었다.

2. 2. 쓰루가 군 장관 취임

분키 3년(1503년), 쓰루가 성 성주 아사쿠라 가게토요가 모반을 일으켰을 때 아사쿠라 소테키는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소테키는 가게토요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았기 때문에 가게토요 측에 가담하라는 권유를 받았으나, 이를 거절하기 위해 류코지(竜興寺)로 출가하고, 가게토요의 모반을 당주 아사쿠라 사다카게에게 밀고하여 가게토요는 자결하였다.[1] 이 공으로 소테키는 가네가사키 성 성주로서 쓰루가 군지(郡司, 군 장관)에 취임하여, 이후 아사쿠라 가문의 군무를 담당하게 되었다.[1]

2. 3. 에이쇼 3년의 잇코 잇키 (구즈류가와 전투)

가가국을 통치하고 있던 일향종(가가 일향 일규)은 세력 확대를 목표로 여러 차례 에치젠을 침공했는데, 이는 중앙의 권력 투쟁과도 깊은 관계가 있었다. 당시 간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혼간지는 우호 관계에 있었고,[8] 마사모토의 강력한 요청으로 혼간지는 반(反) 호소카와 파인 아사쿠라 씨를 포함한 호쿠리쿠의 여러 다이묘를 공격하게 된 것이다. 에이쇼 3년(1506년) 3월, 가가의 일향종 일문인 혼센지 주지 렌고가 나가오 가문·노토 하타케야마 가문 타도를 외치는 격문을 돌리고 봉기하여, 6월에 접어들자 그 소란이 에치젠까지 번지게 되었다.

같은 해 7월, 가가·엣추·노토의 일향종 문도가 에치젠에서 일어난 일향일규에 가세하기 위하여 에치젠으로 침공을 개시하였다. 이에 대항하기 위하여 소테키를 총대장으로 하는 아사쿠라·일향종 이외의 문도 연합군이 출진하여 일향종과 구즈류강(구즈류가와 전투) 일대에서 대치하였다. 이것이 에이쇼 3년의 일향 일규(구즈류가와 전투)이다. 이때 일향종 세력은 30만을 넘어섰다고 하며[16], 이에 맞서는 아사쿠라 군은 1만 1천여 명 정도였다. 구즈류강 유역 각지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는 가운데, 8월 6일 나카노고 전투에서 일향종 측의 군세가 완전히 무너지면서 아사쿠라 군이 승리하였다.

2. 4. 아사쿠라 가문의 번영

1517년, 무로마치 막부의 명으로 와카사 슈고 다케다 가문의 원군으로서 와카사·단고로 출진하여, 와카사 슈고다이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1525년, 미노의 내란에 개입한 북 오미아자이 스케마사를 견제하기 위해 남 오미의 롯카쿠 가문과 협력하여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 오다니 성으로 출진하였다. 그러나 격렬하게 싸우지는 않고, 5개월에 걸쳐 오다니 성 일각에 포진한 상태로 롯카쿠 가문과 아자이 가문의 조정역을 맡았다.

1527년에는 오미로 도망쳐 온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간레이 호소카와 다카쿠니의 요청을 받아들여 상락하여,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다음해 1528년교토에서 철수하였기 때문에(다카쿠니와의 대립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고립된 다카쿠니는 유랑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러한 소테키의 활약으로 아사쿠라 가문의 지위는 반석 위에 오르게 되었고, 중앙 정치에 대해서도 확고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1527년에 소테키는 양자 아사쿠라 가게토시에게 쓰루가 군지 직을 물려주었으나, 군 부교 직은 계속 맡으며 여전히 군무를 담당하였다.

2. 5. 만년

1531년, 가가에서 내분(교로쿠의 착란)이 일어나자, 노토 하타케야마 가문과 함께 가가로 출진하였다. 데도리강(데도리가와)까지 진군하였으나, 도중에 동맹군인 노토 하타케야마 군이 괴멸되면서 철수하였다.[1]

1555년, 에치고 우에스기 가문과 연합하여 다시 가가로 출진하였다. 이것이 소테키의 마지막 출진이었다. 순조롭게 진군하였으나, 진중에서 소테키가 병으로 쓰러져 귀환하였고, 9월 8일 이치조다니 성에서 병사하였다. 향년 79세였다. 법명은 겟코인도노 쇼요소테키 대거사(月光院殿照葉宗滴大居士)이다.[1]

3.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朝倉宗滴話記)》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는 아사쿠라 소테키의 어록과 행적을 기록한 책으로, 그의 가신 하기와라 하치로우에몬 무네토시가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다.[17] 그러나 서신 등에서 그 내용이 확인되지 않아 동시대 사료로서의 가치는 불분명하다. "무사는 개나 짐승이라 불려도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구절[18]이 유명하다.

3. 1. 성립 시기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는 소테키가 말한 것을 그의 가신인 하기와라 하치로우에몬 무네토시(萩原八郎右衛門尉宗俊)가 정리한 책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서신 등에서 보이지 않아 동시대 사료로서의 가치는 불분명하다.[17]

정확한 성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소테키 사후에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소테키가 사망한 1555년(덴분 24년)에서 저자 하기와라 무네토시가 전사한 1570년(겐키 원년) 사이로 추측된다.

특히, 제47조에서 사람을 다루는 데 있어 모범적인 다이묘를 이야기하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나열된 미요시 나가요시와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의 관위와 성명을 통해 1560년(에이로쿠 3년) 또는 1561년(에이로쿠 4년) 정도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진다.[17]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이름도 언급되는데, 그의 평판을 떨어뜨린 오케하자마 전투 이전인 1560년으로 한정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된다.[17][13]

3. 2. 내용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는 아사쿠라 소테키가 말한 것을 그의 가신 하기와라 하치로우에몬 무네토시(萩原八郎右衛門尉宗俊)가 정리한 책이라고 전해진다. 다만 서신 등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보이지 않아 동시대 사료로서의 가치는 불명확하다.

이 책은 주로 소테키의 전투 교훈, 가훈, 그리고 그의 경력을 담고 있다. 특히 "무사는 개나 짐승이라 불려도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구절[18]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전투에 대한 기술은 간결하며, 소테키가 언제 무엇을 말했다는 식의 구체적인 기록은 없다. 여러 잡담을 모아 놓은 듯한 인상을 주지만, 완전히 관련 없는 주제들이 나열된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조문들끼리 묶여 있다.

'아사쿠라 소테키 와키'라는 제목은 『속속 군서유종』(국서간행회, 메이지 39년)에 수록되면서 붙여진 것으로, 원래부터 쓰이던 제목은 아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제목으로 불렸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소테키 님 어담 공통 단단 하기와라 각오 건」(『아사쿠라 가록』, 쇼와 57년)
  • 「소테키 잡담」(가에츠노 문고 소장)
  • 「소테키 병담」(존경각문고)
  • 「소테키 야화」(가에츠노 문고·존경각문고)
  • 「소테키 잡담 하기와라 각서」(세이한 문고)
  • 「아사쿠라 사금오 이구 조목」(영고관 문고)
  • 「아사쿠라 에이린 소테키」(내각문고)
  • 「아사쿠라 에이린 가계」(궁내청 서릉부)
  • 「금오 이구서」(스나가 긴사로 교정 『아사쿠라 총서』 메이지 43년)


다만, 『속속 군서유종』의 저본이 된 내각 소유 판본과 구로카와 씨 본 2개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소테키 야화」에는 「소테키 님 어담 공통 단단 하기와라」라는 내제가 붙어 있으며, 제목뿐만 아니라 내용도 조금씩 다르다. '소테키 와키'의 조목은 『속속 군서유종』에만 수록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소테키의 전진훈, 가훈, 경력을 서술하고 있으며, "무사는 개나 짐승이라 불려도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부분이 유명하다. 전투는 간결하게 기술되어 있고, 구체적인 날짜 기록은 없다. 잡담을 모아 놓은 듯하지만, 관련 있는 조항들이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연호, 달의 이칭, 초하룻날, 그믐 등 당시 공가나 무가의 일기에서 보이는 표기나 연도 기재가 없고, 본문 전체에서 『갑양군감』에 보이는 에도 시대 어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마에다 토시이에의 언행록인 『국조유언』(가가번 사료 가에츠노 문고에 대부분 수록)의 전진훈은 처음 30조 정도가 이 책의 전진훈과 내용이 일치하여, 아사쿠라 소테키의 글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속속군서류종』에 수록된 내용은 국립공문서관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인물 및 평가

소테키는 사다카게 혹은 노리카게 시대부터 사실상 아사쿠라 가문의 당주였다. 군사적으로는 군사 봉행으로서 아사쿠라 군을 이끌고 수많은 무훈을 세워 아사쿠라 가문의 위세를 높이는 동시에 에치젠에 평화를 가져왔다. 정치적으로도 노리카게 시대의 출병 대부분은 막부의 요청에 의한 것으로, 이것이 아사쿠라 가문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에치고의 나가오 다메카게나 나가오 가게토라(우에스기 겐신)와도 서신을 주고받으며 소식을 주고받는 등 외교까지 맡았다. 소테키가 살아있는 동안 주변 여러 나라도 아사쿠라 가문에 손을 댈 수 없었고, 아사쿠라 가문은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소테키의 죽음으로 아사쿠라 가문에는 창업기의 공신이 한 명도 없어졌고, 또한 그를 대신할 만한 역량을 가진 인물도 아사쿠라 가문에는 없었다. 이 때문에 소테키 사후, 아사쿠라 가문은 요시카게 아래에서 일족과 가신의 내분, 잇코잇키 중과 주변 여러 나라의 공격 등으로 쇠퇴하게 된다[12]

소테키가 아사쿠라 가문에서 명장이었다는 것은 그의 사후에 깨닫게 된다. 후임 총대장이 된 가게타카는 9월부터 10월에 걸쳐 가가의 각지를 공격했지만 거의 전과를 올리지 못했다. 그뿐만 아니라 다음 해가 되자 가가 잇코잇키가 에치젠으로 침입하여 각지를 불태우고, 궁지에 몰린 아사쿠라 가문은 4월이 되어서 막부의 중재로 잇키 중과 화해했다[12]

소테키는 오다 노부나가의 재능을 간파했다고 한다. 임종 직전에 "지금 당장 죽어도 남길 말은 없다. 하지만, 앞으로 3년만 더 살고 싶었다. 별로 목숨을 아끼는 것이 아니다. 오다 가즈사노스케의 앞날을 보고 싶었던 것이다"라고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속속 군서유종』 제83조, 『아사쿠라 가록』).

정원에서 에서 키우는 인공 번식을 하고 있었으며, 이 양매법은 전국 무장 중에서도 특이한 예로 꼽힌다[12]

5. 가계

항목내용
아버지아사쿠라 타카카게 (1428년 - 1481년) - 에이린
어머니게이시츠 에이쇼 다이시 - 이츠미 씨 양녀, 온시나 씨의 딸
정실아사쿠라 카게후유의 딸
생모 불명의 자녀호안 코케이 (1532년 - 1597년)
양자아사쿠라 카게노리 (1505년 - 1572년) - 아사쿠라 사다카게의 넷째 아들


6. 관련 작품


  • 시게노 나오키의 만화 『노부나가의 시노비』 (하쿠센샤영 애니멀2008년부터 연재, 2016년부터 애니메이션화)에서 아사쿠라 소테키를 다루고 있다. 성우는 오키아유 료타로이다.[4]
  • 아카가미 료의 소설 『취상의 유법 아사쿠라 성쇠기』 (코단샤, 2018년 12월 18일 출간)에서 아사쿠라 소테키를 다루고 있다.[4]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朝倉宗滴」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8
[3]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4] 웹사이트 日本の城がわかる事典「大聖寺城」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8
[5] 웹사이트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朝倉教景(2)」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8
[6] 웹사이트 朝倉宗滴話記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8
[7] 문서 2代を継いだ兄・氏景は仮名が孫次郎である。また曽祖父の教景の「教」は足利義教から結城合戦の功績を賞されて与えられた名誉あるものであった。
[8] 문서 『実隆公記』等にその記述がある。
[9] 문서 天文21年4月8日付朝倉宗滴書状 米沢市立図書館
[10] 논문 室町幕府と出羽大宝寺氏 思文閣出版
[11] 서적 越前朝倉氏の研究 吉川弘文館
[12] 논문 戦国武将の養鷹と鷹書の伝授―越前朝倉氏を中心に― 吉川弘文館
[13] 간행물 朝倉氏の家訓 福井県立一乗谷朝倉氏遺跡資料館
[14] 문서 아사쿠라 가문의 제 7대 당주 다카카게와 제 10대 당주 다카카게는 이름이 같다. 증조부와 증손자 사이인 두 사람을 구분하기 위하여 법명을 넣어 전자를 에이린 다카카게(英林孝景), 후자를 소준 다카카게(宗淳孝景)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15] 문서 무로마치 막부 제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비장하고 있었다는 유명한 다기. 소테키가 입수하였을 때 500관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고 하며, 후에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천 관을 지불하고 손에 넣었다고 한다.
[16] 문서 물론 상당한 과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17] 간행물 아사쿠라 씨의 가훈(朝倉氏の家訓) 후쿠이 현립 이치조다니 아사쿠라 씨 유적 자료관
[18] 문서 「武者は犬ともいへ、畜生ともいへ、勝つことが本にて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