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트라는 만트라를 사용하여 소환되는 초자연적인 무기로, 힌두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스트라는 다양한 신들의 힘을 담고 있으며, 브라흐마, 시바, 비슈누 계열로 분류된다. 브라흐마 계열의 브라흐마스트라, 시바 계열의 파슈파타, 비슈누 계열의 수다르샤나 차크라 등이 대표적이다. 아스트라는 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서 대규모 전투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라마와 크리슈나를 비롯한 많은 영웅들이 다양한 아스트라를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신화의 무기 - 가다
가다는 인도 아대륙의 둔기 무기로, 가다-유다 무술, 칼라리파야트, 힌두교 신체 문화 훈련, 실랏 무술 등에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에서는 타격 무기를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된다. - 힌두 신화의 무기 - 차크람
차크람은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날카로운 금속제 원반 형태의 투척 무기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에 등장하고 힌두교 신의 무기로도 알려져 있으며, 시크교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스카이로 개발에 영감을 주었다. - 신화의 무기 - 삼지창
삼지창은 세 개의 갈래를 가진 무기로, 고대부터 어업, 전투, 상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신화 속 인물들의 무기로 등장하고 우크라이나 국장 등 여러 상징으로 활용된다. - 신화의 무기 - 트리아이나
트리아이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포세이돈의 상징적인 삼지창으로, 사이클롭스가 제작했다는 전승이 있으며, 물의 속성을 상징하고 포세이돈의 권위와 힘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에도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 전설의 무기 - 아이기스
아이기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그리스 신화에서 아테나와 제우스가 소유한 방패 또는 흉갑으로 등장하며, 강력한 무기로 묘사되어 고대 그리스 예술과 문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고, 현대에는 보호, 권위, 리더십 등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 전설의 무기 -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는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마법의 검으로, 호수의 요정에게서 아서 왕이 받아 영국을 통일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아서 왕 사후 호수에 반환되어 켈트족 전설에서 귀환을 상징한다.
아스트라 (신화) | |
---|---|
개요 | |
유형 | 초자연적 무기 |
문화권 | 힌두교 |
설명 | |
특징 | 아스트라는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무기이다. |
사용법 | 특정 만트라를 암송하여 소환하거나 발사할 수 있다. |
소유자 | 아스트라는 신과 영웅들이 소유하고 사용했다. 아스트라다리(astradhāri)는 아스트라를 소유한 전사를 의미한다. |
종류 | 다양한 종류의 아스트라가 존재하며, 각각 고유한 힘과 용도를 지닌다. |
예시 | 브라흐마스트라 바사비 샤크티 나라야나스트라 |
관련 개념 | 만트라 |
2. 역사와 기원
아스트라는 만트라를 사용하여 소환되는 초자연적인 무기이다. 전투에서 전사는 만트라를 사용하여 어떤 무기(보통 화살)든 신성한 무기로 변환한다. 아스트라는 네 가지 종류의 무기로 구성된다.
아스트라의 기원은 현자 나라다와 시바의 대화인 ''아히르부드냐 삼히타''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나라다가 시바에게 아스트라의 기원에 대해 묻자, 신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득한 옛날, 우주가 창조되기 전에 비슈누는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많은 형태로 변신했다. 결국, 그는 브라흐마의 형상을 취하여 우주를 창조했다. 자신의 창조물 중 사악한 존재로부터 우주를 보호하기 위해, 비슈누는 수다르샤나 차크라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 차크라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뿐이었다. 비슈누는 수다르샤나 차크라의 힘을 사용하여 100개 이상의 아스트라를 창조했다. 이들은 비슈누의 입, 가슴, 허벅지, 발, 그리고 가슴, 허리, 아랫배와 같은 다른 부위에서 유래된 것으로 분류되었다.
2. 1. 신화적 기원
아스트라는 만트라를 사용하여 소환되는 초자연적인 무기이다. 전투에서 전사는 만트라를 사용하여 어떤 무기(보통 화살)든 신성한 무기로 변환한다. 아스트라는 네 가지 종류의 무기로 구성된다.아스트라의 기원은 현자 나라다와 시바의 대화인 ''아히르부드냐 삼히타''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나라다가 시바에게 아스트라의 기원에 대해 묻자, 신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득한 옛날, 우주가 창조되기 전에 비슈누는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많은 형태로 변신했다. 결국, 그는 브라흐마의 형상을 취하여 우주를 창조했다. 자신의 창조물 중 사악한 존재로부터 우주를 보호하기 위해, 비슈누는 수다르샤나 차크라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 차크라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뿐이었다. 비슈누는 수다르샤나 차크라의 힘을 사용하여 100개 이상의 아스트라를 창조했다. 이들은 비슈누의 입, 가슴, 허벅지, 발, 그리고 가슴, 허리, 아랫배와 같은 다른 부위에서 유래된 것으로 분류되었다.
2. 2. 만트라와 소환
아스트라를 소환하거나 사용하려면 특정 주문이 필요하다. 신은 무기에 초자연적인 힘을 부여하여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대항할 수 없게 한다. 아스트라의 사용과 관련하여 특정 조건이 존재했으며, 이를 위반하면 치명적일 수 있었다. 관련된 힘 때문에, 아스트라에 대한 지식은 구루-시샤 전통에서 구루(스승)가 구두로 "시샤"(제자)에게 전수되었으며, 오직 제자의 인성이 확립된 후에만 전해졌다. 특정 아스트라는 신으로부터 직접 전해져야 했고, 주문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3. 종류와 특징
브라흐마 계열, 시바 계열, 비슈누 계열, 기타 신들의 아스트라를 소스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브라흐마 계열'''
브라흐마 계열의 아스트라는 창조신 브라흐마와 관련이 깊다. 브라흐마스트라는 브라흐마 신이 지닌 아스트라로,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대부분의 다른 아스트라를 맞받아 칠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 화살의 모습을 취하며 화살촉은 브라흐마의 머리 모습을 하고 있다. 파라슈라마,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크리파, 아슈와타마, 아르주나 등 여러 마하라티가 이 아스트라를 소유하였다. 브라흐마 카바흐를 뚫을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락슈마나가 아티카바를 상대로 사용하였다. 브라흐마스트라의 강화형으로 브라흐마시라스트라와 브라흐만다스트라가 있다. 브라흐마시라스트라는 브라흐마스트라의 진화형 아스트라로 화살촉이 브라흐마의 머리 4개가 달린 모습을 하고 있으며, 위력 또한 브라흐마스트라보다 4배 더 강력하다고 한다.[54] 마하바라타에서 아슈와타마가 판다바들을 멸족시키려고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사용하였고 아르주나도 이에 대응하여 같은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날리려고 했으나 두 아스트라들이 격돌해 세상이 멸망할 것을 우려한 리쉬들에 의해 아르주나는 화살을 거두었지만 아슈와타마는 그것을 거두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아르주나의 아들 아비만유의 아기인 파리크시트를 배던 웃타라에게 그 아스트라를 쏘았지만 크리슈나에 의해 웃타라와 파리크시트 둘다 무사히 살아남았다.
- '''시바 계열'''
시바 계열의 아스트라는 다음과 같다.
- * '''파슈파타'''는 파괴의 신 시바가 아르주나에게 건네준 아스트라이다.[58] 아르주나가 신들의 명을 받아 아수라의 공중 도시를 격추시킨 뒤, 6만 명의 전사와 싸울 때 이 아스트라를 사용하자 무수한 형상의 짐승과 귀신이 나타나 전세를 역전시켰다.[58] 몇몇 문헌에서는 파슈파타로 비슈누나 브라흐마도 죽일 수 있다고 묘사된다.[59]
- * '''트리슈라'''는 시바 신이 지닌 삼지창이다. 시바는 창조의 신 브라흐마의 가호를 받던 아수라들이 다스리던 도시들인 금으로 된 도시, 은으로 된 도시, 철로 된 도시를 이 트리슈라로 단 한 방에 모두 불태워버렸다.
- '''비슈누 계열'''
비슈누의 가장 대표적인 아스트라는 수다르샨차크라로, 태양의 일부를 떼어내서 만들어진 차크람이라고 하며 그 위력은 한번 던져 하나의 군대를 멸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묘사된다. 바이슈나바스트라는 일단 사용되면 어떤 수단을 써도 피할 수 없으며 오로지 비슈누만이 이 아스트라를 무효화하거나 궤도를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이 차크람으로 인드라나 시바를 죽일 수 있으며 이 아스트라의 소유자는 무적이 되어 어떤 신이나 아수라도 그를 이기지 못하며 적을 모두 깨부술 수 있다는 축복이 내린다고 전해진다. 나라야나스트라는 비슈누의 화신들 중 하나인 나라야나의 아스트라이며 이걸 쏘면 수백만의 아스트라가 비오듯이 쏟아지며, 어디에 가도 피할 수 없고 누구라도 죽일 수 있다고 한다. 위력이 무기를 들고 적대행위를 하는 것에 비례하며, 무기를 놓고 땅에 가만히 누워 있으면 알아서 비껴간다. 이 무기는 2번 사용할 수 없으며 2번째 사용에서는 그 무기가 사용자 측을 덮친다고 한다.[60] 모히니 아스트라는 비슈누의 유일한 여성 화신인 모히니의 아스트라로, 환상을 만들어내거나 역으로 환상을 해제하는 능력을 지닌 아스트라이다. 바르가바스트라는 비슈누의 여섯번째 화신 파라슈라마의 아스트라로, 파라슈라마의 궁술을 재현한 아스트라라고 하며 이것으로 행성 하나를 불태울 수 있다고 전해진다.
- '''기타 신들의 아스트라'''
인드라의 대표적인 무기인 바즈라는 브리트라를 물리치는데 사용되었다.[55] 마하바라타에서는 인드라가 그의 아들인 아르주나에게 바즈라를 선물하기도 하였다.[56] 불교에서는 금강저로 알려져 있다. 바사비 샤크티는 인드라의 창으로, 마하바라타에서 인드라는 카르나의 황금갑옷과 귀걸이를 가져가는 대신, 카르나에게 이 창을 딱 한번만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57]
아그니의 아스트라인 아그네야스트라는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와 아슈와타마가 사용했다. 방출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꺼지지 않는 불꽃을 발산한다. 바루나의 아스트라인 바루나스트라는 정해진 형체는 없고 물처럼 계속 변화하는 무기이다. 나가파샤는 바루나의 올가미로, 겨낭한 것은 무엇이든 반드시 사로잡아 버리는 마법의 포승이다. 바야바스트라는 바유의 아스트라로,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가 사용한다.[61]
3. 1. 브라흐마 계열
브라흐마 계열의 아스트라는 창조신 브라흐마와 관련이 깊다. 브라흐마스트라는 브라흐마 신이 지닌 아스트라로,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대부분의 다른 아스트라를 맞받아 칠 수 있는 위력을 지녔다.[54] 화살의 모습을 취하며 화살촉은 브라흐마의 머리 모습을 하고 있다. 파라슈라마,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크리파, 아슈와타마, 아르주나 등 여러 마하라티가 이 아스트라를 소유하였다. 브라흐마 카바흐를 뚫을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락슈마나가 아티카바를 상대로 사용하였다. 브라흐마스트라의 강화형으로 브라흐마시라스트라와 브라흐만다스트라가 있다.[54]3. 2. 시바 계열
시바 계열의 아스트라는 다음과 같다.- '''파슈파타'''는 파괴의 신 시바가 아르주나에게 건네준 아스트라이다.[58] 아르주나가 신들의 명을 받아 아수라의 공중 도시를 격추시킨 뒤, 6만 명의 전사와 싸울 때 이 아스트라를 사용하자 무수한 형상의 짐승과 귀신이 나타나 전세를 역전시켰다.[58] 몇몇 문헌에서는 파슈파타로 비슈누나 브라흐마도 죽일 수 있다고 묘사된다.[59]
- '''트리슈라'''는 시바 신이 지닌 삼지창이다. 시바는 창조의 신 브라흐마의 가호를 받던 아수라들이 다스리던 도시들인 금으로 된 도시, 은으로 된 도시, 철로 된 도시를 이 트리슈라로 단 한 방에 모두 불태워버렸다.
3. 3. 비슈누 계열
비슈누의 가장 대표적인 아스트라는 수다르샨차크라로, 태양의 일부를 떼어내서 만들어진 차크람이라고 하며 그 위력은 한번 던져 하나의 군대를 멸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묘사된다. 바이슈나바스트라는 일단 사용되면 어떤 수단을 써도 피할 수 없으며 오로지 비슈누만이 이 아스트라를 무효화하거나 궤도를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이 차크람으로 인드라나 시바를 죽일 수 있으며 이 아스트라의 소유자는 무적이 되어 어떤 신이나 아수라도 그를 이기지 못하며 적을 모두 깨부술 수 있다는 축복이 내린다고 전해진다. 나라야나스트라는 비슈누의 화신들 중 하나인 나라야나의 아스트라이며 이걸 쏘면 수백만의 아스트라가 비오듯이 쏟아지며, 어디에 가도 피할 수 없고 누구라도 죽일 수 있다고 한다. 위력이 무기를 들고 적대행위를 하는 것에 비례하며, 무기를 놓고 땅에 가만히 누워 있으면 알아서 비껴간다. 이 무기는 2번 사용할 수 없으며 2번째 사용에서는 그 무기가 사용자 측을 덮친다고 한다.[60] 모히니 아스트라는 비슈누의 유일한 여성 화신인 모히니의 아스트라로, 환상을 만들어내거나 역으로 환상을 해제하는 능력을 지닌 아스트라이다. 바르가바스트라는 비슈누의 여섯번째 화신 파라슈라마의 아스트라로, 파라슈라마의 궁술을 재현한 아스트라라고 하며 이것으로 행성 하나를 불태울 수 있다고 전해진다.3. 4. 기타 신들의 아스트라
브라흐마 신이 지닌 아스트라인 브라흐마스트라는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대부분의 다른 아스트라를 맞받아 칠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지녔다.[54] 화살의 모습을 취하며 화살촉은 브라흐마의 머리 모습을 하고 있다. 파라슈라마, 비슈마, 드로나, 카르나, 크리파, 아슈와타마, 아르주나 등 여러 마하라티가 이 아스트라를 소유하였다. 또한 브라흐마 신의 무적 갑옷인 브라흐마 카바흐를 뚫을 수 있는 유일한 무기이다. 브라흐마시라스트라는 브라흐마스트라의 진화형 아스트라로 화살촉이 브라흐마의 머리 4개가 달린 모습을 하고 있으며, 위력 또한 브라흐마스트라보다 4배 더 강력하다고 한다.[54]인드라의 대표적인 무기인 바즈라는 브리트라를 물리치는데 사용되었다.[55] 마하바라타에서는 인드라가 그의 아들인 아르주나에게 바즈라를 선물하기도 하였다.[56] 불교에서는 금강저로 알려져 있다. 바사비 샤크티는 인드라의 창으로, 마하바라타에서 인드라는 카르나의 황금갑옷과 귀걸이를 가져가는 대신, 카르나에게 이 창을 딱 한번만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57]
아그니의 아스트라인 아그네야스트라는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와 아슈와타마가 사용했다. 방출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꺼지지 않는 불꽃을 발산한다. 바루나의 아스트라인 바루나스트라는 정해진 형체는 없고 물처럼 계속 변화하는 무기이다. 나가파샤는 바루나의 올가미로, 겨낭한 것은 무엇이든 반드시 사로잡아 버리는 마법의 포승이다.
파슈파타는 파괴의 신 시바가 아르주나에 건네준 아스트라이다.[58] 몇몇 문헌에서는 파슈파타로 비슈누나 브라흐마도 죽일 수 있다고 묘사된다.[59] 트리슈라는 시바 신이 지닌 삼지창이다.
수다르샨차크라는 유지의 신 비슈누의 가장 대표적인 아스트라로, 태양의 일부를 떼어내서 만들어진 차크람이라고 하며 그 위력은 한번 던져 하나의 군대를 멸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묘사된다. 바이슈나바스트라는 비슈누의 아스트라이다. 일단 사용되면 어떤 수단을 써도 피할 수 없으며 오로지 비슈누만이 이 아스트라를 무효화하거나 궤도를 바꿀 수 있다고 한다. 나라야나스트라는 비슈누의 화신들 중 하나인 나라야나의 아스트라이다. 이걸 쏘면 수백만의 아스트라가 비오듯이 쏟아지며, 어디에 가도 피할 수 없고 누구라도 죽일 수 있다고 한다.[60] 모히니 아스트라는 비슈누의 유일한 여성 화신인 모히니의 아스트라로,환상을 만들어내거나 역으로 환상을 해제하는 능력을 지닌 아스트라이다. 바르가바스트라는 비슈누의 여섯번째 화신 파라수라마의 아스트라로, 파라슈라마의 궁술을 재현한 아스트라라고 하며 이것으로 행성 하나를 불태울 수 있다고 전해진다. 바야바스트라는 바유의 아스트라로,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가 사용한다.[61]
4. 서사시 속의 아스트라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서 아스트라는 대규모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파라슈라마, 라마, 락슈마나, 메가나다 (인다라지트), 라바나, 크리슈나, 비쉬마, 드로나, 카르나, 아슈왓타마, 아르주나 등 많은 궁수들이 아스트라를 사용했다.[2][3] 특히 라마와 크리슈나는 다른 어떤 전사보다 많은 아스트라를 보유했으며, 라마는 모든 아스트라를 소유했다고 전해진다.[2][3]
디비야(divya, "신성한") 아스트라는[4] 화살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다른 것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 아슈왓타마는 풀잎을 무기로 브라흐마시르슈트라를 발동하기도 했다.[5][6]
아스트라 | 신 | 효과 | |
---|---|---|---|
브라흐마스트라 | 브라흐마 | 브라흐마의 천상의 무기.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다른 대부분의 아스트라에 대항할 수 있었다. 마츠야 푸라나에서 무적의 최고 무기이다.[7] 브라흐마의 무적 갑옷인 브라흐마 카바차를 관통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였다. 라바나의 아들 아티카야는 락슈마나에 의해 브라흐마스트라를 사용하여 죽임을 당했다.[8] | |
트리슈라 | 시바 | 시바의 삼지창. 샤이바 전통에 따르면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이며, 시바와 파르바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다. | |
수다르샤나 차크라 | 비슈누 | 비슈바카르마가 만든 비슈누의 천상의 원반. 바이슈나바 전통은 이를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로 간주한다. 비슈누의 명령에 따라 무오류로 날아가며, 비슈누의 뜻에 의해서만 멈출 수 있다.[9][10] 크리슈나는 시슈팔라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11] | |
비부티 | 데비 | 데비의 천상의 무기로, 바르바리카에게 제공되었으며 "적의 몸의 생명 중추를 분열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프란을 닮은 재를 뿌린 후 화살을 발사하여 적을 파괴한다.[12][13] 바르바리카는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이를 사용하려 했으나, 크리슈나에게 살해당했다.[14] | |
인다라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수천 개의 복제본을 생성하여 적을 공격한다. 아르주나가 마하바라타에서 사용했다.[15] 락슈마나, 메가나다, 라마도 소유했다. | |
바사비사크티 | 인다라 | 인다라의 샤크티(신성한 에너지). 사용하면 상대를 죽이지만,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카르나가 가토카차를 죽이는 데 사용했다.[16] | |
프라스바파스트라 | 바수 | 영향을 받은 자가 잠들게 한다. 마하바라타에서 비쉬마가 사용하려다 제지당했다.[17] 라마야나에서 라마가 소유했다. | |
아그네야스트라 | 아그니 | 아그니의 천상의 무기. 발사되면 끌 수 없는 불꽃을 낸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18] 아우르바는 사가라에게 제공했다.[18] 아슈바타마는 이를 사용하여 전체 악샤우히니를 잿더미로 만들었다.[19] | |
바루나스트라 | 바루나 | 바루나의 천상의 무기. 엄청난 양의 물을 방출한다. 아그네야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된다.[20] 라마, 인다라지트, 라바나, 락슈마나, 아르주나, 비쉬마, 드로나가 소유했다. | |
마나바스트라 | 마누 | 마누의 천상의 무기. 목표물을 멀리 운반하고[21] 악한 존재에게 인간적인 특성을 불어넣는다. 라마가 마리차에게 사용했다.[22] 아르주나도 소유했다.[23] | |
바루나파샤 | 바루나 | 바루나의 올가미.[24] 죄인을 고문하고 탈출을 허용하지 않는 일곱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25] 라마, 인다라지트,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바우마스트라 | 부미 | 부미의 천상의 무기. 땅속 깊은 곳으로 터널을 만들고 보석을 소환한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26] | |
바르가바스트라 | 파라슈라마 | 파라슈라마의 천상의 무기. 파라슈라마와 카르나만이 알고 있다. 카르나가 사용했다.[27] | |
나가스트라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천상의 무기. 정확한 조준을 가지며 치명적인 뱀의 형태를 취한다. 아르주나와 카르나가 소유했다.[28] | |
나가파샤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올가미. 독사 뱀의 고리로 목표물을 묶는다.[29] 인다라지트가 사용했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가루다스트라 | 가루다 | 가루다의 천상의 무기. 나가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으며, 라마야나에서 라마가 사용했다.[30] | |
안잘리카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와 관련된 천상의 무기. 아르주나가 카르나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31] | |
바야비야스트라 | 바유 | 바유의 천상의 무기. 강풍을 가져온다. 아슈왓타마와 아르주나가 사용했다.[32] 인다라지트와 라마도 소유했다. | |
수리야스트라 | 수리야 | 수리야의 천상의 무기. 어둠을 걷어내고 물을 말리는 빛을 내며 불을 방출한다.[33] | |
마가바나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빠르고 불타는 무기이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34] | |
바즈라 | 인다라 | 인드라의 번개. 아르주나가 소유했다.[35] | |
모히니아스트라 | 모히니 | 마야를 걷어낸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36] | |
트바슈타라스트라 | 트바슈트라 | 집단에 대항하여 사용하면 서로를 적으로 착각하게 한다. 아르주나와 라마만이 소유했다.[37] | |
삼모하나/프라모하나 | 간다르바 | 군대가 혼수상태에 빠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 | |
파르바타스트라 | 하늘에서 목표물에 산이 떨어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브라흐마시라스트라 | 브라흐마 | 데바를 죽일 수 있다. 아슈왓타마가 파리크시트에게 사용했다. 브라흐마스트라보다 4배 강력하다. 끝에 브라흐마의 네 개의 머리를 가지고 나타난다. 과거, 현재, 미래의 존재를 지울 수 있었다.[38] | |
브라마단다 | 브라흐마 | 방어적인 개인 무기. 다른 고에너지 무기를 격퇴할 수 있다. 비슈와미트라에 대항하여 바시슈타에 의해 사용되었다. | |
나라야나스트라 | 비슈누 | 화살과 원반을 쏟아낸다.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힘이 증가한다.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었다.[39] 두 번째 시도는 사용자 자신과 군대에 반동을 일으킨다. 드로나가 아슈왓타마에게 선물했다. 아슈왓타마가 사용했다.[40] | |
바이슈나바스트라 | 비슈누 | 목표물의 본질과 관계없이 대상을 파괴했다. 나라카수라, 바가다타, 크리슈나가 소유했다. 라마가 사용했다.[41] | |
카우모다키 | 비슈누 | 비슈누의 신성한 곤봉.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샤랑가 | 비슈누 | 비슈누의 활. 라마와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난다카 | 비슈누 | 비스누의 신성한 검.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비자야 | 시바 | 비슈바카르마가 시바를 위해 만든 천상의 무기. 파라슈라마를 거쳐 카르나에게 주어졌다.[42][43] 카르나가 사용했다.[44] | |
피나카 | 시바 | 시바의 활. 시바가 파라슈라마에게 주었다. | |
마헤슈바라스트라 | 시바 | 시바의 세 번째 눈의 힘. 불꽃 광선을 발사한다. 온 세상을 잿더미로 만들 수 있다. 락슈마나와 아르주나가 소유했다.[45] | |
루드라스트라 | 시바 | 루드라의 힘을 담고 있다. 목표물을 파괴한다. 아르주나만이 소유했다.[47][48] | |
파슈파타스트라 | 시바 | 가장 강력한 아스트라 중 하나. 괴물과 무기를 의인화하는 거대한 영혼을 소환한다. 세상을 파괴할 수 있었다. 아르주나와 비슈와미트라가 소유했다.[47][48] | |
파라슈 | 시바 | 파라슈라마에게 시바가 준 도끼. 가네샤에게 주어졌다. | |
찬드라하사 | 시바 | 신성한 검. 라바나에게 주어졌다. | |
간다비 | 브라흐마 | 브라흐마가 만든 무적의 활. 아르주나에게 주어졌다. | |
삽다베다스트라 | 상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는다. 카르나, 아르주나, 크리슈나가 알고 있었다. | ||
안타르다나스트라 | 쿠베라 | 사물, 사람, 장소를 사라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프라즈나스트라 | 사람의 감각과 생각을 회복시킨다. 아르주나와 드로나가 사용했다. | ||
사일라스트라 | 바유 | 강한 바람을 사라지게 한다. 라마, 크리슈나, 인다라지트,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비쇼샤나 | 인다라 | 무엇이든 말릴 수 있는 건조 무기. 아르주나가 소유했다.[46] | |
조티크샤스트라 | 수리야 | 어두운 지역을 밝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사우파르나 | 가루다를 소환한다. 수샤르마가 사용했다.[49] | ||
고바르다나 | 비슈누 | 비슈누의 강력한 활. 비두라가 소유했다. |
4. 1. 《라마야나》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서 아스트라는 대규모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3] 파라슈라마, 라마, 락슈마나, 메가나다 (인다라지트), 라바나, 크리슈나, 비쉬마, 드로나, 카르나, 아슈왓타마, 아르주나 등 많은 궁수들이 아스트라를 사용했다.[2][3] 특히 라마와 크리슈나는 다른 어떤 전사보다 많은 아스트라를 보유했으며, 라마는 모든 아스트라를 소유했다고 전해진다.[2][3]디비야(divya, "신성한") 아스트라는[4] 화살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다른 것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 아슈왓타마는 풀잎을 무기로 브라흐마시르슈트라를 발동하기도 했다.[5][6]
아스트라 | 신 | 효과 | |
---|---|---|---|
브라흐마스트라 | 브라흐마 | 브라흐마의 천상의 무기.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다른 대부분의 아스트라에 대항할 수 있었다. 마츠야 푸라나에서 무적의 최고 무기이다.[7] 브라흐마의 무적 갑옷인 브라흐마 카바차를 관통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였다. 라바나의 아들 아티카야는 락슈마나에 의해 브라흐마스트라를 사용하여 죽임을 당했다.[8] | |
트리슈라 | 시바 | 시바의 삼지창. 샤이바 전통에 따르면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이며, 시바와 파르바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다. | |
수다르샤나 차크라 | 비슈누 | 비슈바카르마가 만든 비슈누의 천상의 원반. 바이슈나바 전통은 이를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로 간주한다. 비슈누의 명령에 따라 무오류로 날아가며, 비슈누의 뜻에 의해서만 멈출 수 있다.[9][10] 크리슈나는 시슈팔라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11] | |
비부티 | 데비 | 데비의 천상의 무기로, 바르바리카에게 제공되었으며 "적의 몸의 생명 중추를 분열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프란을 닮은 재를 뿌린 후 화살을 발사하여 적을 파괴한다.[12][13] 바르바리카는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이를 사용하려 했으나, 크리슈나에게 살해당했다.[14] | |
인다라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수천 개의 복제본을 생성하여 적을 공격한다. 아르주나가 마하바라타에서 사용했다.[15] 락슈마나, 메가나다, 라마도 소유했다. | |
바사비사크티 | 인다라 | 인다라의 샤크티(신성한 에너지). 사용하면 상대를 죽이지만,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카르나가 가토카차를 죽이는 데 사용했다.[16] | |
프라스바파스트라 | 바수 | 영향을 받은 자가 잠들게 한다. 마하바라타에서 비쉬마가 사용하려다 제지당했다.[17] 라마야나에서 라마가 소유했다. | |
아그네야스트라 | 아그니 | 아그니의 천상의 무기. 발사되면 끌 수 없는 불꽃을 낸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18] 아우르바는 사가라에게 제공했다.[18] 아슈바타마는 이를 사용하여 전체 악샤우히니를 잿더미로 만들었다.[19] | |
바루나스트라 | 바루나 | 바루나의 천상의 무기. 엄청난 양의 물을 방출한다. 아그네야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된다.[20] 라마, 인다라지트, 라바나, 락슈마나, 아르주나, 비쉬마, 드로나가 소유했다. | |
마나바스트라 | 마누 | 마누의 천상의 무기. 목표물을 멀리 운반하고[21] 악한 존재에게 인간적인 특성을 불어넣는다. 라마가 마리차에게 사용했다.[22] 아르주나도 소유했다.[23] | |
바루나파샤 | 바루나 | 바루나의 올가미.[24] 죄인을 고문하고 탈출을 허용하지 않는 일곱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25] 라마, 인다라지트,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바우마스트라 | 부미 | 부미의 천상의 무기. 땅속 깊은 곳으로 터널을 만들고 보석을 소환한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26] | |
바르가바스트라 | 파라슈라마 | 파라슈라마의 천상의 무기. 파라슈라마와 카르나만이 알고 있다. 카르나가 사용했다.[27] | |
나가스트라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천상의 무기. 정확한 조준을 가지며 치명적인 뱀의 형태를 취한다. 아르주나와 카르나가 소유했다.[28] | |
나가파샤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올가미. 독사 뱀의 고리로 목표물을 묶는다.[29] 인다라지트가 사용했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가루다스트라 | 가루다 | 가루다의 천상의 무기. 나가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으며, 라마야나에서 라마가 사용했다.[30] | |
안잘리카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와 관련된 천상의 무기. 아르주나가 카르나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31] | |
바야비야스트라 | 바유 | 바유의 천상의 무기. 강풍을 가져온다. 아슈왓타마와 아르주나가 사용했다.[32] 인다라지트와 라마도 소유했다. | |
수리야스트라 | 수리야 | 수리야의 천상의 무기. 어둠을 걷어내고 물을 말리는 빛을 내며 불을 방출한다.[33] | |
마가바나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빠르고 불타는 무기이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34] | |
바즈라 | 인다라 | 인드라의 번개. 아르주나가 소유했다.[35] | |
모히니아스트라 | 모히니 | 마야를 걷어낸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36] | |
트바슈타라스트라 | 트바슈트라 | 집단에 대항하여 사용하면 서로를 적으로 착각하게 한다. 아르주나와 라마만이 소유했다.[37] | |
삼모하나/프라모하나 | 간다르바 | 군대가 혼수상태에 빠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사용했다. | |
파르바타스트라 | 하늘에서 목표물에 산이 떨어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브라흐마시라스트라 | 브라흐마 | 데바를 죽일 수 있다. 아슈왓타마가 파리크시트에게 사용했다. 브라흐마스트라보다 4배 강력하다. 끝에 브라흐마의 네 개의 머리를 가지고 나타난다. 과거, 현재, 미래의 존재를 지울 수 있었다.[38] | |
브라마단다 | 브라흐마 | 방어적인 개인 무기. 다른 고에너지 무기를 격퇴할 수 있다. 비슈와미트라에 대항하여 바시슈타에 의해 사용되었다. | |
나라야나스트라 | 비슈누 | 화살과 원반을 쏟아낸다.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힘이 증가한다.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었다.[39] 두 번째 시도는 사용자 자신과 군대에 반동을 일으킨다. 드로나가 아슈왓타마에게 선물했다. 아슈왓타마가 사용했다.[40] | |
바이슈나바스트라 | 비슈누 | 목표물의 본질과 관계없이 대상을 파괴했다. 나라카수라, 바가다타, 크리슈나가 소유했다. 라마가 사용했다.[41] | |
카우모다키 | 비슈누 | 비슈누의 신성한 곤봉.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샤랑가 | 비슈누 | 비슈누의 활. 라마와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난다카 | 비슈누 | 비스누의 신성한 검.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비자야 | 시바 | 비슈바카르마가 시바를 위해 만든 천상의 무기. 파라슈라마를 거쳐 카르나에게 주어졌다.[42][43] 카르나가 사용했다.[44] | |
피나카 | 시바 | 시바의 활. 시바가 파라슈라마에게 주었다. | |
마헤슈바라스트라 | 시바 | 시바의 세 번째 눈의 힘. 불꽃 광선을 발사한다. 온 세상을 잿더미로 만들 수 있다. 락슈마나와 아르주나가 소유했다.[45] | |
루드라스트라 | 시바 | 루드라의 힘을 담고 있다. 목표물을 파괴한다. 아르주나만이 소유했다.[46] | |
파슈파타스트라 | 시바 | 가장 강력한 아스트라 중 하나. 괴물과 무기를 의인화하는 거대한 영혼을 소환한다. 세상을 파괴할 수 있었다. 아르주나와 비슈와미트라가 소유했다.[47][48] | |
파라슈 | 시바 | 파라슈라마에게 시바가 준 도끼. 가네샤에게 주어졌다. | |
찬드라하사 | 시바 | 신성한 검. 라바나에게 주어졌다. | |
간다비 | 브라흐마 | 브라흐마가 만든 무적의 활. 아르주나에게 주어졌다. | |
삽다베다스트라 | 상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는다. 카르나, 아르주나, 크리슈나가 알고 있었다. | ||
안타르다나스트라 | 쿠베라 | 사물, 사람, 장소를 사라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프라즈나스트라 | 사람의 감각과 생각을 회복시킨다. 아르주나와 드로나가 사용했다. | ||
사일라스트라 | 바유 | 강한 바람을 사라지게 한다. 라마, 크리슈나, 인다라지트,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비쇼샤나 | 인다라 | 무엇이든 말릴 수 있는 건조 무기. 아르주나가 소유했다.[46] | |
조티크샤스트라 | 수리야 | 어두운 지역을 밝게 한다.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사우파르나 | 가루다를 소환한다. 수샤르마가 사용했다.[49] | ||
고바르다나 | 비슈누 | 비슈누의 강력한 활. 비두라가 소유했다. |
4. 2.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에서 아스트라는 대규모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3] 파라슈라마, 라마, 락슈마나, 메가나다(인다라지트), 라바나, 크리슈나, 비쉬마, 드로나, 카르나, 아슈왓타마, 아르주나 등 많은 전사들이 아스트라를 사용했다.[2][3]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서 라마와 크리슈나는 다른 어떤 전사보다 많은 아스트라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라마는 모든 아스트라를 소유했다고 전해진다.[2][3]디비야(divya, "신성한")[4] 아스트라는 일반적으로 화살에 사용되었지만, 다른 것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아슈왓타마는 풀잎을 무기로 사용하여 브라흐마시르슈트라를 발동했다.[5][6]
아스트라 | 신 | 효과 | |
---|---|---|---|
브라흐마스트라 | 브라흐마 | 브라흐마의 천상의 무기. 한 번에 전체 군대를 파괴하고 다른 대부분의 아스트라에 대항할 수 있었다. 마츠야 푸라나에서 무적의 최고 무기이며,[7] 브라흐마의 무적 갑옷인 브라흐마 카바차를 관통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였다. 아티카야는 브라흐마스트라에 의해서만 관통될 수 있는 갑옷을 소유, 락슈마나에 의해 브라흐마스트라를 사용하여 죽임을 당했다.[8] | |
트리슈라 | 시바 | 시바의 삼지창. 샤이바 전통에 따르면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이며, 시바와 파르바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다. | |
수다르샤나 차크라 | 비슈누 | 비슈누의 천상의 원반으로, 비슈바카르마가 그를 위해 만들었다. 바이슈나바 전통은 이를 힌두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로 간주한다. 비슈누의 명령에 따라 무오류로 날아가며 비슈누의 뜻에 의해서만 멈출 수 있다.[9][10] 비슈누의 여덟 번째 아바타인 크리슈나는 그의 사촌 시슈팔라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11] | |
비부티 | 데비 | 데비의 천상의 무기로, 브라만이 바르바리카에게 제공, "적의 몸의 생명 중추를 분열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사프란을 닮은 재를 가지고 있으며, 아군은 건드리지 않고 적의 취약한 부분에 재를 흩뿌린다.[12] 재가 뿌려진 후 화살이 발사되어 적을 파괴한다.[13] 바르바리카는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이를 사용하려 했지만, 크리슈나에게 살해당했다.[14] | |
인다라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수천 개의 복제본을 생성하여 적을 공격하며, 아르주나가 마하바라타에서 사용했다.[15] 락슈마나, 메가나다, 라마를 포함한 다른 전사들이 소유하고 있다. | |
바사비사크티 | 인다라 | 인다라의 샤크티(신성한 에너지). 사용하면 상대를 죽이지만,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카르나가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가토카차를 죽이는 데 사용했다.[16] | |
프라스바파스트라 | 바수 | 영향을 받은 자가 잠들게 한다. 마하바라타에서 비쉬마는 이 무기를 그의 스승인 파라슈라마에게 사용하는 것을 나라다에 의해 제지당했다.[17] 라마야나에서 라마는 이 무기를 가지고 있다. | |
아그네야스트라 | 아그니 | 아그니의 천상의 무기. 발사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끌 수 없는 불꽃을 낸다. 아르주나는 이를 간다르바인 안가르파르나에 대항, 아우르바는 이 아스트라를 사가라에게 제공했다.[18] 쿠룩셰트라 전쟁 중 아슈바타마는 이를 사용하여 전체 악샤우히니의 병사, 말, 전차 및 코끼리를 잿더미로 만들었다.[19] | |
바루나스트라 | 바루나 | 바루나의 천상의 무기. 엄청난 양의 물을 방출했다. 일반적으로 아그네야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언급된다.[20] 라마, 인다라지트, 라바나, 락슈마나, 아르주나, 비쉬마, 드로나가 소유하고 있다. | |
마나바스트라 | 마누 | 마누의 천상의 무기. 목표물을 수십만 요자나 멀리 운반하고[21] 악한 존재에게 인간적인 특성을 불어넣을 수 있다. 라마가 라마야나에서 라크샤사 마리차에게 사용했다.[22] 아르주나 또한 이 무기를 소유하고 있다.[23] | |
바루나파샤 | 바루나 | 바루나의 올가미.[24] 죄인을 고문하고 탈출을 허용하지 않는 일곱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25] 라마, 인다라지트, 아르주나를 포함한 전사들이 이 무기를 소유했다. | |
바우마스트라 | 부미 | 부미의 천상의 무기. 땅속 깊은 곳으로 터널을 만들고 보석을 소환할 수 있었다. 아르주나는 마하바라타에서 이 아스트라를 사용했다.[26] | |
바르가바스트라 | 파라슈라마 | 파라슈라마의 천상의 무기. 힌두 신화에서 신비로운 무기이다. 파라슈라마와 카르나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이 무기에 대해 알지 못한다.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서 이 아스트라를 사용하여 인드라스트라에 대항한다.[27] | |
나가스트라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천상의 무기. 정확한 조준을 가지며 충격 시 치명적인 뱀의 형태를 취한다. 아르주나는 이를 수샤르마에 대항, 카르나도 이를 소유한 것으로 묘사된다.[28] | |
나가파샤 | 나가 | 나가 종족과 관련된 올가미. 충격 시, 독사 뱀의 고리로 목표물을 묶는다.[29] 라마야나에서 인다라지트는 이를 라마와 락슈마나에 대항, 아르주나는 그의 아내 울루피로부터 이를 얻었다. | |
가루다스트라 | 가루다 | 가루다의 천상의 무기. 일반적으로 나가스트라에 대항하는 데 사용된다. 아르주나가 소유하고 있으며, 라마야나에서 라마가 사용했다.[30] | |
안잘리카스트라 | 인다라 | 인다라와 관련된 천상의 무기. 아르주나가 카르나의 목을 베는 데 사용했다.[31] | |
바야비야스트라 | 바유 | 바유의 천상의 무기로, 군대를 땅에서 들어 올릴 수 있는 강풍을 가져온다. 쿠룩셰트라 전쟁 중 아슈왓타마는 이를 사용하여 안자나파르반이 만든 환영을 관통, 아르주나는 이 아스트라를 드로나에 대항.[32] 인다라지트와 라마도 이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 |
수리야스트라 | 수리야 | 수리야의 천상의 무기로, 어둠을 걷어내고 물을 말리는 눈부신 빛을 내며 불을 방출한다.[33] | |
마가바나 | 인다라 | 인다라의 천상의 무기. 특히 환상적인 전쟁에서 사용되는, 빠르고 불타는 무기이다. 아르주나는 이 무기를 인드라로부터 얻었다.[34] | |
바즈라 | 인다라 | 인드라의 개인적인 번개로 번개를 만든다. 인드라는 이 아스트라를 그의 아들 아르주나에게 주었다.[35] | |
모히니아스트라 | 모히니 | 비슈누의 여성 아바타인 모히니의 이름을 딴 천상의 무기. 매혹적인 노래를 만들어 그 주변의 마야 또는 마법을 걷어낸다. 아르주나는 이 아스트라를 니바타카바차에 대항, 그들이 만든 환상을 걷어냈다.[36] | |
트바슈타라스트라 | 트바슈트라 | 집단(군대 등)에 대항하여 사용하면 서로를 적으로 착각하게 하여 서로 싸우게 한다. 아르주나와 라마만이 이 무기를 소유했다. 신성한 건축가이자 장인인 트바슈트라가 만들었다.[37] | |
삼모하나/프라모하나 | 간다르바 | 군대가 혼수상태에 빠지게 한다. 아르주나는 이 무기를 비라타 전쟁에서 카우라바 군대에 대항, 쿠룩셰트라 전쟁 6일째에 드리슈타디유마는 이를 카우라바에 대항, 드로나는 그의 프라즈나스트라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멈추었다. | |
파르바타스트라 | 하늘에서 목표물에 파르바타(산)가 떨어지게 한다. 아르주나가 이 아스트라를 소유했다. | ||
브라흐마시라스트라 | 브라흐마 | 데바를 죽일 수 있다. 아슈왓타마가 파리크시트에게 사용했다. 브라흐마시르샤 아스트라는 브라흐마스트라의 진화된 버전이며 브라흐마가 브라흐마스트라보다 4배 더 강력하게 만든 비밀의 무오류 무기로 여겨진다. 마하바라타는 이 무기가 끝에 브라흐마의 네 개의 머리를 가지고 나타난다고 보고한다. 마하바라타에서 이는 아그니베샤, 비쉬마, 드로나, 카르나, 크리파, 아르주나 및 아슈왓타마(아슈왓타마는 이를 철회하는 지식이 없었다)에 의해 휘둘러졌다. 과거, 현재, 미래의 존재를 지울 수 있었다.[38] | |
브라마단다 | 브라흐마 | 바르마나만이 소유한 방어적인 개인 무기이자 신성한 막대(단다). 다른 고에너지 무기를 격퇴할 수 있다. 비슈와미트라에 대항하여 바시슈타에 의해 사용되었다. 방어용으로만 사용된다. | |
나라야나스트라 | 비슈누 | 화살과 원반을 쏟아낸다.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이 아스트라의 힘은 증가했다. 비슈누의 나라야나 형태로 직접 얻어야 하며,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었다.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이다.[39] | |
바이슈나바스트라 | 비슈누 | 목표물의 본질과 관계없이 대상을 파괴했다. 비슈누로부터 직접 얻어야 한다. 유일한 대응책은 공격하는 바이슈나바스트라에 대항하기 위해 다른 바이슈나바스트라를 발동하거나, 주재신이 바이슈나바스트라를 멈추게 하는 것이었다. 마하바라타에서 나라카수라, 바가다타, 크리슈나가 이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바가다타는 이 무기를 아르주나에게 사용했지만, 크리슈나가 아르주나 앞에 서서 무기를 회수했다. 라마는 이 무기를 사용하여 바르가바 라마의 에너지를 파괴했다.[41] | |
카우모다키 | 비슈누 | 비슈누의 신성한 곤봉으로, 전체 군대를 파괴했으며 무오류였고 비할 데가 없었다. 크리슈나는 데몬 단타바크라를 그것으로 죽였다. | |
샤랑가 | 비슈누 | 비슈누의 활로, 바이슈나바 다누쉬라고도 불리며, 라마가 사용하고, 그 다음 크리슈나가 사용했다. | |
난다카 | 비슈누 | 비스누의 신성한 검으로, 파괴 불가능한 칼날을 가지고 있었다. 크리슈나는 수많은 데몬을 죽이는 데 사용했다. | |
비자야 | 시바 | 비슈바카르마가 시바를 위해 만든 천상의 무기. 파라슈라마에게 주어졌고, 그는 그의 기술에 감명받아 카르나에게 주었다.[42][43] 카르나가 비자야 다누쉬[44]를 사용하여 싸운 유일한 때는 쿠룩셰트라 전쟁 17일째에 아르주나와 싸우고 안잘리카스트라로 최후를 맞이했을 때였다. | |
피나카 | 시바 | 시바의 활로, 시바 다누쉬라고도 불리며, 전투에서 수많은 아수라를 죽이는 데 사용했다(트리푸라는 피나카를 사용하여 시바에 의해 파괴되었다). 파라슈라마에게 시바에 의해 주어졌다. | |
마헤슈바라스트라 | 시바 | 시바의 세 번째 눈의 힘. 천상의 존재조차 잿더미로 만들 수 있는 불꽃 광선을 발사한다. 온 세상을 잿더미로 만들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락슈마나는 이를 인다라지트에 대항, 드와파르 유가에서 아르주나만이 이를 소유했다.[45] | |
루드라스트라 | 시바 | 루드라의 힘을 담고 있다. 사용될 때, 열한 개의 루드라(Ekadasha)의 루드라의 힘을 발동시켜 목표물을 파괴한다.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는 3천만 개의 니바타카바차와 칼라케야에 대항, 마하바라타에서 아르주나만이 이 무기를 소유했다.[46] | |
파슈파타스트라 | 시바 | 가장 강력한 아스트라 중 하나. 소환할 때마다 그 머리가 달랐다. 괴물과 무기를 의인화하는 거대한 영혼을 소환한다. 본질에 관계없이 모든 대상을 파괴할 수 있다. 세상을 파괴할 수 있었다. 드바파라 유가에서 아르주나만이 파슈파타스트라를 소유했다.[47] 트레타 유가에서 현자 비슈와미트라가 이 무기를 소유했다.[48] | |
파라슈 | 시바 | 파라슈(도끼)는 파라슈라마에게 시바가 다른 신성한 무기와 함께 준, 정복할 수 없고 파괴 불가능한 신성한 무기였다. 파라슈라마는 나중에 이 도끼를 가네샤에게 주었다. 파라슈라마는 파라슈라마가 시바로부터 도끼를 얻을 때까지 알려진 이름인 라마를 뜻한다. | |
찬드라하사 | 시바 | 신성한 검. "달의 웃음"이라는 의미의 찬드라하사(문자적으로 달의 웃음이지만, 미소를 닮은 초승달 모양을 지칭)는 라바나에게 부당한 이유로 사용하면 삼안 시바에게 돌아가고 라바나의 날이 얼마 남지 않으리라는 경고와 함께 주어졌다. | |
간다비 | 브라흐마 | 이 무적의 활은 우주를 창조한 브라흐마가 만들었다. 브라흐마는 천 년 동안 이 활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 프라자파티가 503년 동안, 인다라가 580년 동안, 소마가 500년 동안 가지고 있었다. 그 후, 바루나는 칸다바-다하 파르바 동안 아그니가 요청한 대로 아르주나에게 카피/하누만 깃발이 달린 전차와 두 개의 고갈되지 않는 화살통과 함께 넘겨주기 전에 100년 동안 가지고 있었다. 이 활은 수백 개의 금색 보스와 빛나는 끝으로 장식되었다. 이 활은 데바, 간다르바 및 다나바에 의해 숭배되었다. 아르주나 외에는 아무도 간다비를 휘두를 수 없었고, 아르주나는 간다비의 사용자였고 그 후 간다비드리(간다비 활의 소유자)로 알려지게 되었다. | |
삽다베다스트라 | 상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는다. 아르주나가 간다르바 왕 치트라세나에 대항, 마하바라타에서 카르나, 아르주나, 크리슈나만이 이 무기에 대해 알고 있었다. | ||
안타르다나스트라 | 쿠베라 | 안타르다나스트라는 사물, 사람 또는 전체 장소를 사라지게 한다. 이 아스트라는 아르주나에게 쿠베라가 주었다. | |
프라즈나스트라 | 이 무기는 사람의 감각과 생각을 회복하는 데 사용되었다. 삼모하나 아스트라에 대한 좋은 대응이었다. 아르주나와 드로나와 같은 전사들이 전쟁에서 이 아스트라를 사용했다. | ||
사일라스트라 | 바유 | 사일라스트라는 강한 바람을 사라지게 하는 데 사용되어 바야비야스트라, 바람 무기에 대한 대응이 되었다. 전사 라마, 크리슈나, 인다라지트, 아르주나가 소유했다. | |
비쇼샤나 | 인다라 | 비쇼샤나는 무엇이든 말릴 수 있는 건조 무기였다. 바루나스트라에 대한 놀라운 대응이었다. 아르주나는 하늘에서 인드라로부터 이 무기를 얻었다.[46] | |
조티크샤스트라 | 수리야 | 조티크샤스트라는 어두운 지역을 밝게 할 수 있었다. 아르주나는 마하바라타에서 이 아스트라를 가지고 있었다. | |
사우파르나 | 사우파르나트라는 가루다를 소환할 것이다. 따라서 나가스트라에 대한 좋은 대응이었다. 아르주나가 삼스파파타카 군대에 나가스트라를 사용했을 때 마하바라타 전쟁에서 수샤르마가 사용했다.[49] | ||
고바르다나 | 비슈누 | 비슈누의 강력한 활. 마하바라타 동안 비슈누는 비두라에게 이 활을 주었다. |
5. 한국과의 관계
5. 1. 불교의 금강저
6. 현대 문화 속의 아스트라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ythological Obje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5-29
[2]
서적
India through the ages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3]
서적
Mahabharata
[4]
웹사이트
Sanskrit: Divya
http://vedabase.net/[...]
2018-07-27
[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Kairata Parva: Section XL
http://www.sacred-te[...]
2018-01-28
[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LXIV
https://sacred-texts[...]
[7]
서적
The Matsya Puranam (vols.2 Set)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2007
[8]
서적
The Illustrated ''Ramayana'': The Timeless Epic of Duty, Love, and Redemption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22-12-15
[9]
서적
Stories from the Bhagvatam
https://books.google[...]
Advaita Ashrama
[10]
서적
The Essence of Shreemad Bhagavatam
https://books.google[...]
Bhakti Marga Publications
[1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89
http://www.sacred-te[...]
2018-01-11
[12]
서적
Encyclopedia of Mythological Obje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5-29
[13]
서적
The Skanda Purana Part 2: Ancient Indian Tradition And Mythology [Volume 50]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3
[14]
서적
Puranic Encyclopedia: A Comprehensive Work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5-01-01
[15]
서적
The Mahabharata By Dr. N.V.R. Krishnamacharya In English
http://archive.org/d[...]
TTD
2015
[16]
서적
Mahabharata
http://archive.org/d[...]
Bharatiya Vidya Bhavan
2007
[17]
서적
Delphi Collected Sanskrit Epics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8-05-19
[18]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A
2008-03-27
[19]
간행물
Divyāstras of the Kurukṣetra War
https://www.jstor.or[...]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20]
서적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Giri Trading Agency Private Limited
2023-05-08
[21]
서적
The ''Ramayan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08-01-09
[22]
서적
Encyclopedia of Mythological Obje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6-22
[23]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07-20
[24]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25]
서적
Atharvaveda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vt Ltd
2015-03-03
[26]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07
[27]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07-20
[28]
서적
Mahabharatha
https://books.google[...]
Blue Rose Publishers
2020-06-09
[29]
서적
Vyasa's Mahabharatam
https://books.google[...]
Academic Publishers
2008
[30]
웹사이트
Valmiki ''Ramayana'' - Yuddha Kanda
http://www.valmikira[...]
[3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in Sanskrit: Book 8: Chapter 67
http://www.sacred-te[...]
2018-01-11
[32]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07-20
[33]
서적
Encyclopedia of Mythological Obje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5-29
[3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LXIX
https://www.sacred-t[...]
2020-05-01
[3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LXXI
http://www.sacred-te[...]
2018-01-11
[36]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07-20
[37]
서적
Encyclopedia of Mythological Obje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38]
서적
Vimana: Flying Machines of the Ancients
https://books.google[...]
SCB Distributors
2013-12-18
[39]
서적
On the Weapons, Army Organisation, and Political Maxims of the Ancient Hindus: With Special Reference to Gunpowder and Firearms
https://archive.org/[...]
Higginbotham
[4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Drona-vadha Parva: Section CC
https://www.sacred-t[...]
2020-05-01
[41]
웹사이트
Valmiki ''Ramayana'' - Baala Kanda - Sarga 76
http://www.valmikira[...]
[42]
서적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in Honour of Dr. U.P. Shah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95
[43]
서적
The Mahābhārata: An English Version Based on Selected Vers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99
[4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42
https://sacred-texts[...]
[45]
서적
Valmiki ''Ramayana''
https://books.google[...]
Giri Trading Agency Private Limited
2021-01-16
[4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LXX
https://sacred-texts[...]
[4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Kairata Parva: Section XL
http://www.sacred-te[...]
2018-01-11
[48]
웹사이트
Valmiki ''Ramayana'' - Bala Kanda - Sarga 56
http://www.valmikira[...]
[49]
웹사이트
"Fighting Arjuna, Susarma Unleashes the Suparna Weapon which Invokes Garuda", Folio from a Razmnama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50]
웹인용
Astradhari (Astradhari) meaning in English - ASTRADHARI मीनिंग - Translation
http://dict.hinkhoj.[...]
[51]
서적
India through the ages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52]
문서
Mahabharata by Roy, Chandra Pratap
[53]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Kairata Parva: Section XL
http://www.sacred-te[...]
2018-01-28
[54]
저널
Brahmaśiras - Oxford Reference
http://www.oxfordref[...]
[55]
문서
Rigveda 1.32, translated by Ralph T. H. Griffith
[56]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Tirtha-yatra Parva: Section CLXXI
http://www.sacred-te[...]
2018-01-11
[57]
문서
나들목. 크리슈나 다르마 저. <마하바라타> 제2권 시련. 202~203쪽
[58]
URL
http://www.sacred-te[...]
[59]
URL
http://www.sacred-te[...]
[60]
URL
https://www.sacred-t[...]
[61]
문서
나들목. 크리슈나 다르마 저. <마하바라타> 제1권 주사위가 던져지다. 77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