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유럽 정상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는 아시아와 유럽 국가 간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창설된 회의체이다. 51개 국가와 2개의 지역 기구가 참여하며, 격년으로 아시아와 유럽에서 번갈아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정상회의 외에도 외교, 재정, 문화, 경제, 교육, 노동 및 고용, 교통 또는 환경 문제에 관해 관련 장관들이 참석하는 각료 회의도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아시아와 유럽 정상들의 다자회의로,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 인사가 대표로 참석하여 양 대륙의 협력 관계를 논의했다. - 유럽 연합 - 친유럽주의
친유럽주의는 유럽 연합의 통합과 협력을 지지하는 정치적 입장이지만, 유럽 연합의 연방화 추진, 문화적 주권 보호, 유럽 중심주의 비판 등 다층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 유럽 연합 -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은 스위스와 오스트리아 사이 알프스에 위치한 작은 내륙국으로,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높은 1인당 GDP와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가지지만 조세 피난처 논란이 있고, 스위스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국제 사회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 유럽의 국제 기구 - 발트 의회
발트 의회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개국 의회 간 협력 기구로서, 러시아군 철수, 공동 정책 개발 등을 추진하며, 6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연 1회 정기 회의를 개최한다. - 유럽의 국제 기구 - 경제상호원조회의
경제상호원조회의는 소련이 마셜 플랜에 대응하여 1949년 설립한 사회주의 국가 경제 협력 기구로, 소련의 영향력, 경제적 불균형, 비효율적 계획경제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1991년 해체되었다.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 |
---|---|
개요 | |
이름 | 아시아 유럽 회의 (ASEM) |
유형 | 정치 대화 포럼 |
설립 | 1996년 |
회원 | 53개 파트너 |
회원 목록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방글라데시 벨기에 브루나이 불가리아 캄보디아 중국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카자흐스탄 라오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말레이시아 몰타 몽골 미얀마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싱가포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태국 영국 베트남 아세안 유럽 연합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www.ASEMInfoBoard.org |
2. 회원
1994년 고촉통 싱가포르 총리가 프랑스에 제안하여 시작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는 1996년 3월 방콕에서 제1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한국, 중국, 일본, ASEAN 7개국, 유럽 연합(EU) 15개국, 유럽 위원회가 참여했다. 이후 회원국이 확대되어, 2018년 기준으로 51개 국가와 유럽 연합, ASEAN 사무국 2개의 지역 기구가 참여하고 있다.[1]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세아니아에 위치하고 있으나 ASEM에서는 아시아 국가로 분류하며, 러시아는 유럽과 아시아 두 대륙에 걸쳐 있으나 ASEM에서는 아시아 국가로 분류한다.
2. 1. 아시아
2018년 기준으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2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5][6]국가 | 가입 년도 |
---|---|
대한민국 | 1996년 |
말레이시아 | 1996년 |
베트남 | 1996년 |
브루나이 | 1996년 |
싱가포르 | 1996년 |
인도네시아 | 1996년 |
일본 | 1996년 |
중국 | 1996년 |
태국 | 1996년 |
필리핀 | 1996년 |
라오스 | 2004년 |
미얀마 | 2004년 |
캄보디아 | 2004년 |
인도 | 2006년 |
몽골 | 2006년 |
파키스탄 | 2006년 |
뉴질랜드 | 2010년 |
러시아 | 2010년 |
오스트레일리아 | 2010년 |
방글라데시 | 2012년 |
카자흐스탄 | 2014년 |
아시아 측에서는 아세안 사무국과 더불어,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카자흐스탄, 한국, 라오스, 몽골, 뉴질랜드, 파키스탄, 태국 등이 참여한다.[1]
2. 2. 유럽
2018년 기준으로 유럽에서는 30개국이 참여한다.[5][6]국가 | 가입 연도 |
---|---|
그리스 | 1996년 |
네덜란드 | 1996년 |
덴마크 | 1996년 |
독일 | 1996년 |
룩셈부르크 | 1996년 |
벨기에 | 1996년 |
스웨덴 | 1996년 |
스페인 | 1996년 |
아일랜드 | 1996년 |
영국 | 1996년 |
오스트리아 | 1996년 |
이탈리아 | 1996년 |
포르투갈 | 1996년 |
프랑스 | 1996년 |
핀란드 | 1996년 |
라트비아 | 2004년 |
리투아니아 | 2004년 |
몰타 | 2004년 |
슬로바키아 | 2004년 |
슬로베니아 | 2004년 |
에스토니아 | 2004년 |
체코 | 2004년 |
키프로스 | 2004년 |
폴란드 | 2004년 |
헝가리 | 2004년 |
루마니아 | 2006년 |
불가리아 | 2006년 |
노르웨이 | 2012년 |
스위스 | 2012년 |
크로아티아 | 2014년 |
2. 3. 국제 기구
2018년 기준으로, 51개 국가(아시아 21개국, 유럽 30개국)와 2개의 지역 기구가 참여한다.[5][6]- 유럽 위원회 (1996년 가입)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2006년 가입)
아셈(ASEM)은 53개 파트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51개 국가와 유럽 연합, 아세안 사무국 2개의 지역 기구가 참여하고 있다.[1] 참여 국가는 다음과 같다.
1994년 고촉통 싱가포르 수상이 아시아와 유럽 간의 협력 관계 강화를 위해 제안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는 2년에 한 번씩 아시아와 유럽에서 번갈아 개최되며, 각 파트너 국가 및 기구의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이 참석한다.
1994년 싱가포르의 고촉통 총리가 아시아와 유럽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구상"을 프랑스의 에두아르 발라뒤르 총리에게 제안하면서 정상회의가 시작되었다. 1996년 3월에 열린 제1차 회의에는 아시아 측에서 ASEAN 7개국과 일본, 중국, 대한민국이, 유럽 측에서는 EU 가맹국 15개국과 유럽 위원회 위원장이 참가했다.
3. 역대 정상회의
회차 일정 개최 장소 1차 1996년 3월 1일 ~ 3월 2일 -- 방콕 2차 1998년 4월 3일 ~ 4월 4일 -- 런던 3차 (상세) 2000년 10월 20일 ~ 10월 21일 -- 서울 4차 2002년 9월 22일 ~ 9월 24일 -- 코펜하겐 5차 2004년 10월 8일 ~ 10월 9일 -- 하노이 6차 2006년 9월 10일 ~ 9월 11일 -- 헬싱키 7차 2008년 10월 24일 ~ 10월 25일 -- 베이징 8차 2010년 10월 4일 ~ 10월 5일 -- 브뤼셀 9차 2012년 11월 5일 ~ 11월 6일 -- 비엔티안 10차 2014년 10월 16일 ~ 10월 17일 -- 밀라노 11차 2016년 7월 15일 ~ 7월 16일 -- 울란바토르 12차 2018년 10월 18일 ~ 10월 19일 -- 브뤼셀 13차 2021년 11월 25일 ~ 11월 26일 -- 프놈펜
4. 각료 회의
4. 1. 분야별 각료 회의
정상회의 외에도 외교, 재정, 문화, 경제, 교육, 노동 및 고용, 교통,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각 분야 장관들이 참석하는 정기적인 각료 회의가 개최된다.
회차 | 개최일 | 개최지 | 국가 |
---|---|---|---|
https://www.aseminfoboard.org/events/14th-asem-foreign-ministers-meeting-asem-fmm14 ASEMFMM14 | 2019년 12월 15일~16일 | 마드리드 | España|스페인es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13th-asem-foreign-ministers-meeting-asem-fmm13 ASEMFMM13 | 2017년 11월 20일~21일 | 네피도 | မြန်မာ|미얀마my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12th-asem-foreign-ministers-meeting-asem-fmm12 ASEMFMM12 | 2015년 11월 5일~6일 | 룩셈부르크 | Lëtzebuerg|룩셈부르크lb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11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11 ASEMFMM11 | 2013년 11월 11일~12일 | 뉴델리 | भारत|인도hi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10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10 ASEMFMM10 | 2011년 6월 6일~7일 | 괴될뢰 | Magyarország|헝가리hu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9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9 ASEMFMM9 | 2009년 5월 25일~26일 | 하노이 | Việt Nam|베트남vi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8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8 ASEMFMM8 | 2007년 5월 28일~29일 | 함부르크 | Deutschland|독일de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7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7 ASEMFMM7 | 2005년 5월 6일~7일 | 교토 | 日本|일본일본어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6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6 ASEMFMM6 | 2004년 4월 17일~18일 | 킬데어 | Éire|아일랜드ga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5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5 ASEMFMM5 | 2003년 7월 23일~24일 | 발리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4th-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4 ASEMFMM4 | 2002년 6월 6일~7일 | 마드리드 | España|스페인es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3rd-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3 ASEMFMM3 | 2001년 5월 24일~25일 | 베이징 | 中国|중국중국어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2nd-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2 ASEMFMM2 | 1999년 3월 29일 | 베를린 | Deutschland|독일de |
http://www.aseminfoboard.org/events/1st-asem-foreign-ministers-meeting-fmm1 ASEMFMM1 | 1997년 2월 15일 | 싱가포르 | Singapore|싱가포르영어 |
참조
[1]
웹사이트
Partners - ASEM InfoBoard
http://www.aseminfob[...]
[2]
서적
Asia and Europe: the development and different dimensions of ASEM
Routledge (UK)
[3]
뉴스
ASEM ministers wrap up ‘productive’ session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ASEF's Expansion
https://web.archive.[...]
2019-01-03
[5]
웹인용
30 EUROPEAN COUNTRIES & THE EUROPEAN UNION & 21 ASIAN COUNTRIES & THE ASEAN SECRETARIAT
https://www.aseminfo[...]
n.d.
[6]
뉴스
세계 첫 노인 인권 전담 국제기구 한국에 설립된다
https://news.sbs.co.[...]
2018-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