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체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체케는 카사바를 발효시켜 만든 코트디부아르의 전통 음식이다. "아티에케"라고도 불리며,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아체케는 카사바를 삶고 발효시킨 후, 물기를 제거하고 쪄서 만든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구운 생선, 고추, 토마토 등과 함께 먹는다. 코트디부아르를 넘어 유럽 등 국제 시장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트디부아르 요리 - 땅콩 스튜
땅콩 스튜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래한 스튜로, 닭고기, 토마토, 채소 등을 넣어 만들며, 쌀밥 등과 함께 제공된다. - 코트디부아르 요리 - 케제누
케제누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 요리이며, 큰사탕수수쥐, 닭고기, 생선 등을 재료로 사용한다. - 가나 요리 - 졸로프 라이스
졸로프 라이스는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하여 쌀, 토마토, 양파, 고추 등의 향신료로 조리하는 쌀 요리로, 지역별 변형과 국가 간 기원 논쟁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가나 요리 - 땅콩 수프
땅콩 수프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조리되며, "은카텐콴"이라고 불리는 아칸식 수프를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변형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카사바 요리 - 타피오카 펄
타피오카 펄은 녹말을 사용해 만든 쫄깃한 펄로, 후식이나 음료에 사용되며, 버블티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크기와 색깔로 생산되지만, 제조 과정에서 첨가물 사용 및 환경 문제,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카사바 요리 - 아말라
아말라는 요루바족의 음식으로, 뿌리작물 가루를 끓는 물에 반죽하여 만들며, 주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다양한 수프와 함께 먹는다.
아체케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아티에케 |
국가 | 코트디부아르 남부 |
지역 | 서아프리카 |
종류 | 반찬 |
주재료 | 발효되고 갈아진 카사바 |
영양 정보 | |
지방 | 0.1g |
탄수화물 | 84g |
언어별 명칭 | |
밤바라어 | cɛkɛ |
프랑스어 | 아티에케 (attiéké) |
에브리어 | achɛkɛ |
기타 | |
유래 | 코트디부아르 |
2. 이름
차만어 "아체케(achɛkɛebr)"의 "ch"는 기식이 있는 경구개 파열음이다. 코트디부아르의 공용어인 프랑스어 철자법에 따라 "아티에케(attiéké프랑스어)"로도 적히며, 현지에서는 "체케(chɛkɛebr)"로도 부른다. 이웃한 가나에서는 아칸어 철자법에 따라 "아체케(akyeketw)"로 적히며, 이때 "ky"의 발음은 치경구개~경구개 파찰음이다.[14]
"아티에케/아체케"(attiéké)는 코트디부아르 남부에서 사용되는 에브리에어(Ebrié)의 "아제케"(adjèkè)에서 변형된 말이다. 원래 아제케는 에브리에족 여성들이 가정에서 소비할 양만 만들었으나, 판매용은 "아제케"와 구분되었다. 밤바라족 짐꾼들이 "아체케"(atchèkè)라고 부르며 퍼뜨렸고, 프랑스인 정착민들은 "attiéké"로 표기했다. 마을에서는 "치에케" 또는 "체케"(tch(i)éké)라고도 불렀다.
"카사바 쿠스쿠스"로 부르기도 하지만, 쿠스쿠스와는 다른 음식이다.[14]
"아티에케/아체케"라는 단어는 코트디부아르 남부에서 사용되는 에브리에어(Ebrié)의 "아제케(adjèkè)"라는 단어에서 변형된 것이다. 원래 아제케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요리는 에브리에족 여성들에 의해 가정에서 소비할 양만 만들어졌다. 집 밖에서 팔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에브리에족 주부들은 집에서 먹는 것과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아제케"를 판매 상품으로 간주했다. 밤바라족 짐꾼들이 아제케를 "아체케(atchèkè)"라고 부르고 퍼뜨렸다. 코트디부아르를 식민 지배한 프랑스인 정착민들은 아마도 표기상의 외관을 고려하여 "아티에케(attiéké)"라고 표기했다. 그러나 마을에서는 장난삼아 종종 첫 글자 "a"를 빼고 "치에케" 또는 "체케(tch(i)éké)"라고 발음했다.[14]
3. 역사
코트디부아르 남부 프플 라구네르(석호의 민족)의 명물 요리인 아체케는 전통적으로 마을 여성들이 모여 협동하여 만들었다. 소비량이 많아지면서 제조 공장이 건설되었다.
1979년, 아체케 생산 현대화와 이윤 극대화를 위해 소시에테 이부아리엔느 드 테크놀로지 트로피칼(I2T, 이보아르 여성 열대 기술 협회)가 창설되었다. 초대 협회장은 우마르 A. 디아라였다. 아체케는 코트디부아르에서 히트 상품이 되었고, 유럽과 다른 서아프리카 국가에도 수출되었다.[14]
3. 1.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2024년 12월, 코트디부아르의 아체케 제조 기술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9][16]
4. 종류
시대가 흐르면서 아체케의 종류가 여러 가지로 개발되었다.
- 아브고자마(L'abgodjama): 입자의 크기로 다른 아체케와 구별된다. 입자가 크며, 일반적으로 푸플르 라그네르의 자가 소비를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품질의 마니옥 요리의 기초가 된다. 다른 종류보다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렵다.
- 아체케 프티 그랭(L'attiéké petit grain): 아브고자마보다 입자가 작은 상업용 아체케이다. 표준 아체케이며 시장에서 많은 양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다. 밀가루 쿠스쿠스와 달리 약간의 산미와 신선한 풍미가 있다. 미각이 둔한 사람은 밀가루 쿠스쿠스와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색상은 더 선명하다. 반죽에 탄력이 있고 끈기가 강하며, 반투명한 외관을 띤다. 향기도 특유의 것이다. 쿠스쿠스가 밀을 직접 갈아 만든 식품인 반면, 아체케는 발효 식품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 아체케 드 가르바(L'attiéké de garba): 이름 그대로, garba|갈바 (요리)프랑스어에 사용하는 아체케이다. 매우 작은 입자의 마니옥을 섞어 만들고, 페이스트 상태로 발효시켜 강한 산미가 있는 placali|플라칼리프랑스어로 가공한다. 둥글게 만드는 대신, 크기를 맞추기 위해 체로 쳐서 잘 섞는다. 특히, 발효되어 산미가 강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섞는다. 이 공정이 아체케 안의 섬유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판매가는 고급 아체케의 3배보다 저렴하다.
5. 만들기
카사바를 껍질을 벗겨 갈아서 소량의 미리 발효된 카사바(발효종)와 섞어 반죽을 만든다. 이 발효종은 민족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에브리에에서는 "망난(mangnan)", 아주쿠르에서는 "리질(lidjrou)", 아라장에서는 "베데퐁(bêdêfon)"이라고 한다.[8] 이 반죽을 하루나 이틀 동안 발효시킨다. 발효가 끝나면 쓴 카사바에 많이 들어있는 시안화 수소가 대부분 제거된다. 그 후 펄프를 탈수, 체질, 건조한 뒤 마지막으로 찜으로 조리하면 아체케가 완성된다.[8] 아체케는 구운 생선, 고추, 토마토와 함께 먹는 것이 가장 좋다.[3]
시장에서 판매되는 아체케는 보통 미리 조리되어 있다.
5. 1. 전통 방식
카사바는 껍질을 벗기고 심을 제거한 다음 삶아서 며칠 간 밀봉해 발효시킨다. 잘 발효되면 발효되지 않은 카사바와 함께 갈아서 하루나 이틀 더 발효시킨다. 발효 과정에서 카사바에 함유된 청산이 제거된다. 잘 발효되면 면보에 넣고 짜서 물기를 제거한다. 면보를 꽉 묶고 무거운 것을 올려 며칠 간 물기를 짜낸 뒤, 물기가 없어진 카사바를 체에 쳐서 펴 말린다. 잘 말려지면 찜기에 쪄서 먹을 수 있다. 판매되는 기성품은 이미 익혀져 있어 전자레인지 등으로 데워 먹기만 하면 되는 경우가 많다.[8][3][15]껍질을 벗겨 갈아 으깬 카사바를, 이전에 발효시켜 둔 소량의 카사바(발효종)와 섞어 페이스트 상태로 만들고, 1~2일 동안 놓아두어 발효시킨다. 발효가 완료되면, 전분에 포함된 독소(시안화 수소)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최종적으로 증기를 쐬어 완성한다. 발효종의 명칭은 민족에 따라 다르며, 에브리에에서는 "망난(mangnan)", 아주쿠르에서는 "리질(lidjrou)", 아라장에서는 "베데퐁(bêdêfon)"이라고 부른다.
6. 먹는 방법
아체케는 전통적으로 소스와 함께 고기나 생선을 곁들여 손으로 작은 경단을 만들어 먹는다. 코트디부아르 남부에서는 가지를 베이스로 한 소스(소스 클레르, sauce claire프랑스어)나 팜유를 사용한 붉은 소스(소스 그레느, sauce graine프랑스어)를 자주 곁들인다. 저녁 식사나 간식으로 먹을 때는 계란과 함께 오믈렛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때는 대개 잘게 썬 양파와 토마토를 섞어 향신료와 식초로 향을 낸 것을 곁들인다. 아보카도 등의 과일이나 볶은 땅콩을 곁들이기도 한다.
7. 국제 시장
아체케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서민들이 가격을 매기는 요리의 곁들임으로 여겨져, 배불리 먹어도 싸다는 인상이 있다(2009년 아비장에서 100그램 당 100XOF (약 0.15EUR)).
최근 아체케는 코트디부아르산을 중심으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국가들에서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으로 자주 수출되는 식료품이 되었다. 이 코트디부아르 요리는 높이 평가받아 적절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탈수 건조하거나 냉동하거나, 또는 생으로 유통되며, 대체로 500그램씩 봉지에 담아 판매된다.
아체케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 표준에 맞는 적절한 가격이 매겨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유럽에서 2EUR에 거래되는 다이스 큐브 형태의 덩어리는 서아프리카에서 1200XOF이다. 이는 코트디부아르에서 같은 양의 아체케 거래 가격의 약 10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ttieké, A Tasty West African Dish
http://sekoukamara.c[...]
2013-10-01
[2]
웹사이트
Ivory Coast seeks protected status for staple cassava dish
https://www.yahoo.co[...]
2016-08-07
[3]
웹사이트
Attieke from the Western Region
https://www.pulse.co[...]
2020-06-05
[4]
서적
Successes and challenges of cassava enterprises in West Africa: a case study of Nigeria, Benin and Sierra Leone
https://books.google[...]
IITA
2012-10-15
[5]
서적
Indigenous Fermented Food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02-25
[6]
서적
Ghana - Culture Smart!: The Essential Guide to Customs & Culture
https://books.google[...]
Kuperard
2015-02-25
[7]
서적
Sex
Sub-Saharan Publishers
[8]
문서
African Cooking: The Most Delicious African Food Recipes with Simple and Easiest Directions and Mouth Watering Taste
[9]
뉴스
Ivory Coast’s beloved staple food gains UN cultural heritage status
https://www.bbc.com/[...]
2024-12-05
[10]
서적
Successes and challenges of cassava enterprises in West Africa: a case study of Nigeria, Benin and Sierra Leone
https://books.google[...]
IITA
2012-10
[11]
서적
Innovations as Key to the Green Revolution in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0
[12]
서적
Cote D'Ivoire Investment and Business Guide
https://books.google[...]
USA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14-07-30
[13]
서적
Rural Development and Women in Africa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2-10
[14]
웹사이트
L'Attiéké
http://cuisine.abidj[...]
2008-08-21
[15]
문서
African Cooking: The Most Delicious African Food Recipes with Simple and Easiest Directions and Mouth Watering Taste
[16]
웹사이트
UNESCO - Skills related to Attiéké production in Côte d’Ivoire
https://ich.unesco.o[...]
2024-12-13
[17]
뉴스
코트디부아르 문화를 말한다 The Ambassador of Cote d'Ivoire introduces the Ivorian culture.
http://wtimes.kr/new[...]
2017-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