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가니스탄의 정치는 1996년 탈레반 정권 축출 이후, 2001년 본 협정을 통해 과도 정부 수립, 2004년 헌법 제정 및 대통령 선거 실시 등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을 겪었다. 입법부는 양원제인 국민의회로 구성되며, 행정부는 대통령 중심제로,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군 통수권자이다. 사법부는 대법원을 최고 법원으로 하는 3심제를 채택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다양한 국제기구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의 대통령 선거를 통해 정권이 교체되었다. 2021년 탈레반의 재집권으로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현재는 과도 정부 체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 탈레반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 단체로, 샤리아 법을 적용한 통치와 인권 유린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으며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이 탈레반 정권을 응징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시작되어, 탈레반 축출과 미군 철수,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종결되었으며,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지도
개요
국가명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004년 ~ 2021년)
정치 체제이슬람 공화국 (2004년 ~ 2021년)
정부
정부 형태과도 정부 (2001년 ~ 2004년), 이슬람 공화국 (2004년 ~ 2021년)
대통령하미드 카르자이 (2004년 ~ 2014년), 아슈라프 가니 (2014년 ~ 2021년)
의회
의회 형태양원제
상원메스라노 즈르가
하원월레시 즈르가
주요 사건
2001년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2004년새로운 헌법 채택, 대통령 선거 실시
2009년대통령 선거 논란
2014년대통령 선거 논란, 국민 통합 정부 구성
2021년탈레반 공세로 정부 붕괴
국제 관계
관련 국제 기구국제 연합
외국과의 관계미국, 파키스탄, 인도, 중국, 이란 등
법률 및 사법부
법률 시스템이슬람 법률과 민법의 혼합
사법부대법원
선거
선거 제도대통령 중심제, 양원제 의회
최근 선거2019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
정당 및 정치 단체
주요 정당다양한 정당 및 정치 단체 존재 (대부분 국민 통합 정부에 참여)
정치적 분쟁정부와 탈레반 간의 무력 충돌, 정치적 불안정
기타
참고아프가니스탄의 정치,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 2021년)

2. 역사

아프가니스탄의 정치는 2001년을 기점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2001년 이전에는 탈레반이 정권을 장악했으나, 9.11 테러 이후 미국의 군사 작전 (항구적 자유 작전)으로 탈레반 정권이 무너졌다.[1]

하미드 카르자이가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후 파이잘 아흐마드 신와리 등과 함께 서 있다.


2001년 이후, 유엔의 지원 아래 아프가니스탄은 독일 본 협정을 통해 임시 행정부와 과도 행정부를 거쳐 선거를 통해 민주적인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2] 2004년에는 하미드 카르자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아슈라프 가니가 대통령직을 이어받았다. 국민 의회는 2005년과 2010년에 선출되었으며, 여성 의원 비율이 28%에 달했다. 아프가니스탄 대법원은 사예드 유수프 할렘 대법원장이 이끌었다.

2. 1. 2001년 이전

1996년 9월, 부르하누딘 라바니 치하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 관리들은 탈레반 세력에 의해 축출되었다. 유엔은 탈레반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대신 이슬람 국가를 공식적인 망명 정부로 인정했다. 이슬람 협력 기구는 분쟁 중인 세력 간의 협상을 통해 정통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아프가니스탄의 의석을 비워두었다. 탈레반은 2001년까지 영토의 95%를 통제했으며,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만이 그들을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인정했다. 나머지 5%는 북부 동맹으로 알려진 반군 세력에 속했다.

탈레반이 오사마 빈 라덴을 미국 당국에 인도하는 것을 거부한 후, 뉴욕워싱턴 D.C.에서 발생한 9.11 테러에 대한 빈 라덴의 연루로 인해 미국 주도의 국제 연합군이 결성되었다. 연합군의 공중 폭격과 북부 동맹과의 작전을 포함한 지상 군사 작전이 수 주 동안 진행된 후, 2001년 11월 17일 탈레반은 공식적으로 권력에서 축출되었다.[1]

2. 2. 2001년 이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오사마 빈 라덴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탈레반은 이를 거부했다. 이에 미국 주도의 국제 연합군이 결성되어 항구적 자유 작전을 통해 공중 폭격과 지상 군사 작전을 펼쳤고, 2001년 11월 17일 탈레반 정권은 붕괴되었다.[1]

2001년 12월, 유엔의 후원 하에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인사들이 독일에 모여 국가 통치 계획을 논의했다. 이 회의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AIA)가 수립되었고, 2001년 12월 22일부터 6개월간 임시 행정부를 운영한 후, 2년간의 아프가니스탄 과도 행정부(ATA)를 거쳐 선거를 치르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은 헌법 제정으로 일부 조항이 만료되었지만, 민주적인 아프가니스탄을 건설하는 기반을 마련했다.[2]

3. 입법부

아프가니스탄의 입법부는 양원제 의회인 국민 의회로 구성되며, 하원인 월레시 지르가(인민 의회)와 상원인 메시라노 지르가(원로원)로 나뉜다.

2002년 6월 10일, 비상 로야 지르가 (대회) 소집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 국가(TISA)가 설립되었고, 이후 헌법 로야 지르가를 거쳐 국민 의회가 설치되었다.

본 협정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헌법 위원회가 설립되어 헌법 초안을 작성했고, 2003년 12월 헌법 ''로야 지르가'' 회의에서 양원제 입법부를 갖춘 대통령제 헌법이 채택되었다.

2004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에서 하미드 카르자이가 55.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5] 1969년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시브가툴라 모자데디가 상원 의장, 유누스 카누니가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아프가니스탄 의회 구 건물 내부 (2006)

3. 1. 월레시 지르가 (인민 의회)

2005년 총선은 1969년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의회 선거였다.[4] 249석으로 구성된 월레시 지르가 의석을 놓고 328명의 여성을 포함한 총 2707명의 후보가 경합했다.[4] 선거는 34개 주를 각각 하나의 선거구로 하는 중선거구제를 택했으며, 각 주에는 인구를 고려하여 차등적인 의석이 할당되었다. 투표는 단기비이양투표(SNTV) 방식으로 치러졌다.[4]

3. 2. 메시라노 지르가 (원로원)

메시라노 지르가(원로원)는 아프가니스탄 국회의 상원에 해당한다. 메시라노 지르가는 10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 의원의 1/3은 주 의회에서 선출하며, 1/3은 군 의회에서 선출하고, 나머지 1/3은 대통령이 지명한다.

군 의회 선거는 선거구 획정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무기한 연기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주 의회가 군 의회 몫(1/3)의 메시라노 지르가 의원까지 선출하도록 되어 있다.

4. 행정부

아프가니스탄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다.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아프가니스탄군의 총사령관이며, 2명의 부통령과 함께 선출된다. 대통령은 각료와 주지사를 임명하며, 이들은 아프가니스탄 국민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1.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 (2004-2014)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하미드 카르자이가 2006년 3월 1일 카불에서 만났다. 미국-아프가니스탄 관계는 2001년 말부터, 특히 카르자이 행정부 구성 이후 개선되었다.


하미드 카르자이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임시 행정부 의장을 지냈고, 2002년 6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임시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6][7]

2004년 선거 승리 후, 카르자이는 북부 동맹 군벌들을 내각에서 대거 제거하고 2005년에 보다 적극적인 개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2004년 카르자이의 새 행정부 출범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경제는 수년 만에 처음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정부 수입은 매년 증가했지만, 여전히 외국 원조에 크게 의존했다. 카르자이 행정부 기간 동안, 부패와 탈레반 반군과의 전투에서 발생한 민간인 사상자에 대한 대중의 불만이 커졌다.

2009년 선거 이후 3개월 만에 카르자이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승리자로 선언되었다.[8]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카르자이에게 무능하거나 부패한 관료를 새 정부에서 제외할 것을 촉구했고, 그의 재선을 도운 영향력 있는 아프간인들은 요직을 요구했다. 정치 분석가들에 따르면 카르자이가 의회에 제출한 장관 명단은 "고무적이지 않았다"고 하지만, 이는 현실 정치를 반영한 것이었다. 절반이 조금 넘는 장관들이 현재 직책을 유지하거나 카르자이 정부에서 이전에 봉사했던 사람들이었다.[9] 2009년 1월, 아프가니스탄 의회는 카르자이가 지명한 24명의 내각 후보 중 17명을 거부하고 7명만을 승인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카르자이의 관계는 처음에는 좋지 않았지만, 오사마 빈 라덴의 사망과 카르자이의 동생 아흐메드 왈리 카르자이의 암살 이후인 2012년에 약간 개선되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10년과 2012년에 아프가니스탄을 두 차례 공식 방문했다. 카르자이가 미국과의 양자 안보 협정(BSA)에 서명하지 않기로 결정한 후, 2013년 말에 관계는 다시 악화되기 시작했다.

4. 2.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 (2014-2021)

2014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 이후 아슈라프 가니가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압둘라 압둘라는 최고 행정관이 되었다.[10] 가니 정부는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했다.[11]

2021년 탈레반 공세카불 함락으로 2021년 8월 15일, 아슈라프 가니는 부인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을 떠나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로 망명했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가니는 ভবিষ্যতে 카불로 돌아올 수도 있다고 한다.

5. 사법부

아프가니스탄 헌법은 아프가니스탄 대법원을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아프가니스탄의 최고 사법 기관이자 최종심 법원이다. 대법관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국민의회의 인준을 받는다. 하급 법원으로는 치안 법원, 제1심 법원, 중간 항소 법원이 있다. 중간 항소 법원은 상고가 대법원으로 보내지기 전에 하급 법원의 결정을 검토하며, 항소가 기각되면 대법원으로 보낼 수 있다. 제1심 법원은 모든 도시에 존재하며, 형사, 민사, 종교, 행정, 노동, 가족 부서 등 주요 사건을 모두 재판하는 여러 부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1심에는 군인을 재판하는 군사 법원도 포함된다. 치안 법원은 최하위 법원으로서, 경미한 민사 및 형사 사건을 재판한다.

6. 정당

아프가니스탄의 정당들은 유동적인 상황이며, 많은 주요 인사들이 새로운 정당을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정당들은 다음과 같다.


  • 아프간 사회 민주당
  • 헤즈비 이슬라미
  • 자미아트-에 이슬라미
  • 아프가니스탄 국민 이슬람 전선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다와 기구
  • 아프가니스탄 국민 운동
  • 아프가니스탄 국민 연대 운동
  • 아프가니스탄 국민 이슬람 통합당
  • 아프가니스탄 국민 연대당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운동
  • 아프가니스탄 국민 회의당


잘마이 할릴자드가 압둘 가니 바라다르, 압둘 하킴 이샤크자이, 셰르 모하마드 아바스 스타니크자이, 수하일 샤힌탈레반 구성원과 카타르 도하에서 만나는 모습.

7. 국제기구 참여

아프가니스탄은 상하이 협력 기구 (옵서버),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SAARC), 콜롬보 플랜, 이슬람 협력 기구 (OIC), 경제 협력 기구 (ECO), 77개 그룹, 세계 은행, 아시아 개발 은행 (ADB), 국제 통화 기금 (IMF),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이슬람 개발 은행 (IDB), 식량 농업 기구, 국제 농업 개발 기금, 국제 원자력 기구 (IAEA), 국제 민간 항공 기구, 국제 형사 재판소 (ICC), 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 국제 투자 분쟁 해결 센터, 국제 금융 공사, 국제 노동 기구, 국제 철도 연맹, 국제 형사 경찰 기구 (인터폴),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 이주 기구,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비동맹 운동, 화학 무기 금지 기구, 유엔 (UN), 유엔 무역 개발 회의, 유엔 개발 계획 (UNDP), 유엔 산업 개발 기구, 만국 우편 연합, 세계 노동조합 연맹, 세계 보건 기구, 세계 기상 기구, 세계 관광 기구, 세계 무역 기구 (WTO) 회원국이다. 2015년 12월 이전에는 세계 무역 기구 (WTO) 옵서버였다.[20]

8. 선거

아프가니스탄은 2004년 이후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와 총선을 실시했다. 2004년 첫 대통령 선거에서는 하미드 카르자이가 당선되었고, 2005년 총선에서는 1969년 이후 처음으로 월레시 지르가(민회) 의원들을 선출했다. 2009년, 2014년, 2019년에도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지만, 부정선거 의혹과 정치적 분쟁으로 혼란을 겪기도 했다.[4][12][13][14][15][16][17][18][19]

8. 1. 2004년 대통령 선거

하미드 카르자이는 총 득표율 55.4%를 얻어 1차 투표에서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2004년 10월 9일, 새 헌법에 따른 첫 번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임시 대통령이었던 하미드 카르자이는 결선 투표 없이 당선될 만큼 충분한 표를 얻었다.

8. 2. 2005년 총선

2005년 아프가니스탄 의회 선거는 1969년 이후 처음으로 9월 18일에 실시되었다. 249석의 월레시 지르가(민회) 의석을 놓고 328명의 여성을 포함한 총 2707명의 후보가 경쟁했다.[4] 34개 주를 각각 하나의 선거구로 하는 중선거구제와 단기비이양투표(SNTV) 방식을 채택했다.

탈리반 등 반정부세력의 방해 시도에도 불구하고 선거는 대체로 평온하게 진행되었다. 투표율은 약 50%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2004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모든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정당별 결과 분석은 불가능했다.

8. 3. 2009년 대통령 선거

2009년 대통령 선거는 보안 부족, 낮은 투표율, 광범위한 투표함 조작, 협박 및 기타 선거 부정 행위로 특징지어졌다.[12][13][14] 420개의 주 의회 의석을 뽑는 선거와 함께 2009년 8월 20일에 투표가 실시되었지만, 긴 개표 및 부정 조사 기간 동안 해결되지 않았다.[15]

미국과 동맹국의 강력한 압력으로, 현직 대통령 하미드 카르자이와 그의 주요 경쟁자인 압둘라 압둘라 간의 결선 투표가 2009년 11월 7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11월 1일, 압둘라는 선거 관리 위원회 변경에 대한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았고 "투명한 선거는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결선 투표에 불참을 선언했다. 하루 뒤인 2009년 11월 2일, 선거 관리 위원회는 결선 투표를 취소하고 하미드 카르자이를 5년 임기의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으로 선언했다.[13][14]

8. 4. 2014년 대통령 선거

2014년 대통령 선거는 2014년 4월에 치러졌으며, 6월에 결선 투표가 치러졌다. 아슈라프 가니가 승자로 선언되었으나, 패배한 후보 압둘라 압둘라는 부정 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다. 미국은 두 후보에게 권력 분점 합의를 제안했고 초기에는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2014년 9월까지 선거 결과는 분쟁 상태로 남아있었다. 유엔 주도의 감사에도 불구하고 압둘라는 결선 투표에서 집계된 100만 표의 추가 득표를 설명할 수 없다는 이유로 결과에 불복했다. 가니 지지자들은 합의를 원하며 협상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고 주장했다.[16]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2014년 7월 12일 아프가니스탄 미국 대사관에서 압둘라 압둘라(왼쪽)와 아슈라프 가니(오른쪽)와 함께 앉아 선거 결과에 대한 기술적 및 정치적 계획 합의를 중재하는 모습

8. 5. 2019년 대통령 선거

2019년 대통령 선거는 2019년 9월 2일에 치러졌으며, 아슈라프 가니압둘라 압둘라를 근소한 차이로 이기고 재선되었다. 압둘라는 예비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다. 2020년 2월에 최종 결과가 발표되자 압둘라는 이를 거부하고 병립 정부를 구성하여 별도의 취임식을 열었다.[17] 가니는 2020년 3월 9일에 공식적으로 취임했다.[18] 이 분쟁은 2020년 5월 16일에 두 사람이 권력 분점 합의에 서명하면서 종결되었는데, 가니는 대통령으로 남고, 두 사람 모두 동등한 수의 장관을 선택하며 압둘라는 탈레반과의 평화 회담을 이끌게 되었다.[19]

참조

[1] 웹사이트 Hardliners get key posts in new Taliban government https://www.bbc.com/[...] 2021-09-07
[2] 웹사이트 Afghanistan: Taliban increasingly violent against protesters – UN - BBC News https://www.bbc.co.u[...] 2021-09-10
[3] 웹사이트 Afghan envoy to UN: Don’t recognise Taliban govt https://pajhwok.com/[...] 2021-09-08
[4] 웹사이트 Polls Closed in Afghan Elections https://www.dw.com/e[...] 2004-10-10
[5] 웹사이트 Karzai declared Afghan president http://news.bbc.co.u[...] 2004-11-03
[6] 웹사이트 With New Afghan Vote, Path to Stability Is Unclear 2009-10-20
[7] 웹사이트 Hamid Karzai agrees to run-off amid fears of more violence and fraud https://www.telegrap[...] 2018-04-03
[8] 웹사이트 Afghanische Regierung: Karzai hält an seinen Vertrauten fest 2021-08-16
[9] 웹사이트 Afghan Cabinet Nominations Show Little Change 2009-12-19
[10] 뉴스 An unlikely pair to lead Afghanistan in historic handover of power https://www.washingt[...] 2014-09-29
[11] 웹사이트 Mending Alliance, U.S. and Afghanistan Sign Long-Term Security Agreement 2014-09-30
[12] 웹사이트 Afghan commission orders first ballots invalidated https://web.archive.[...] 2016-11-12
[13] 웹사이트 Obama Warns Karzai to Focus on Tackling Corruption 2009-11-02
[14] 웹사이트 Obama calls Afghan election 'messy' but upholds its final outcome -- latimes.com http://www.latimes.c[...] 2009-11-05
[15] 웹사이트 Karzai Campaign Declares Victory https://www.rferl.or[...] 2021-08-16
[16] 뉴스 Abdullah insists he has won and refuses to accept vote audit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2014-09-08
[17] 웹사이트 Afghan political rivals to hold parallel inaugurations https://www.aljazeer[...] 2021-02-14
[18] 웹사이트 Ghani sworn in as Afghan president, rival holds own inauguration https://www.aljazeer[...] 2021-02-14
[19] 뉴스 Afghanistan: Rival leaders Ghani and Abdullah in power-sharing deal https://www.bbc.com/[...] 2021-02-14
[20] 웹사이트 Afghanistan becomes member of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https://pajhwok.com/[...] 2015-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