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스 쉬데니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1729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스웨덴의 사상가, 루터교 목사, 정치가이다. 그는 자유 무역과 산업을 옹호하고, 자유주의,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쉬데니우스는 1765년 팸플릿 《국가의 이득》에서 자유 무역, 경제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며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1766년 스웨덴의 언론 자유 법 제정에 기여했으며, 핀란드와 스웨덴에서 기념 지폐와 주화에 등장할 정도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솟카모 출신 - 베이코 캉코넨
핀란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자 스키 점프 선수인 베이코 캉코넨은 헬싱키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응용 수학 교수로 재직하며 수치 해석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고 핀란드 수학 교육 개혁에 기여했으며, 스키 점프 선수로서 핀란드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고, 진보적인 가치관을 실천했지만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핀란드의 과학자 - 아르보 윌푀
아르보 윌푀는 1887년 핀란드에서 태어나 소아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헬싱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 활동을 이어가다 1992년 사망했다. - 핀란드의 철학자 - 에드바르드 베스테르마르크
에드바르드 베스테르마르크는 핀란드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도덕과 결혼 풍습 연구에 기여했으며 웨스터마크 효과를 제시하고 도덕적 상대주의를 옹호하며 기독교적 가치관을 비판하는 진보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안데르스 쉬데니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Anders Chydenius |
인물 정보 | |
직업 | 정치인 경제학자 철학자 과학자 |
출생일 | 1731년 11월 27일 |
출생지 | 핀란드 솟카모 |
사망일 | 1803년 12월 31일 (72세) |
사망지 | 핀란드 코콜라 |
거주지 | 핀란드 |
사상 및 활동 | |
학파/전통 | 자유주의 자유의 시대 (스웨덴) |
주요 관심사 | 수학 자연과학 경제학 정치철학 |
주요 아이디어 | 경제적 자유주의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자유 이주 |
2. 생애
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1731년 솟카모에서 군종으로 근무하던 아버지 야코브(Jacob)의 아들로 태어났다. 1734년 아버지가 교구 목사로 임명되면서 가족과 함께 쿠사모로 이주했다.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개인 교습을 받았고, 이후 오울루 문법 학교에 입학했다.
1745년 투르쿠 왕실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웁살라 대학에서 수학, 자연 과학, 라틴어, 철학을 전공했다. 1753년 대학을 졸업하고 크로노뷔 네데르베틸 대주교 성직자로 임명되었다.
1765년 팸플릿 《국가의 이득》(Den nationnale winstensv)을 통해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자유주의,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 그의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1766년 세계 최초로 언론의 자유와 정보공개를 규정한 스웨덴 법률인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 제정에 공헌했다.
1986년 핀란드는 그의 초상화를 담은 1,000마르카 지폐를 발행했고, 2003년에는 10유로 기념주화를 발행했다.
2. 1. 초기 생애
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1729년 그의 아버지 야코브가 군종 목사로 있던 오스트로보트니아의 소트카모(현재 카이누 지역에 속함)에서 태어났다.[6] 1734년 가족은 그의 아버지가 교구 목사가 된 쿠사모로 이사했다.[6]
안데르스는 척박한 핀란드 북부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형제 사무엘과 함께 아버지에게 개인적으로 교육을 받았고, 이후 울루 김나지움(울레아보르그 트리비알스콜라)에 다녔다.[6]
러시아-스웨덴 전쟁 (1741–1743) 이후, 형제는 토르니오에서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1745년 Åbo 왕립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그들은 또한 웁살라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안데르스는 수학, 자연 과학, 라틴어, 철학을 공부했다. 1746년 아버지 야코브와 가족은 코콜라로 이사했다.[6]
2. 2. 네데르베틸(Nedervetil) 시기
1753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외스테르보텐의 크로노비에 속한 네데르베틸의 부속 교구 예배당 설교자로 임명되었다. 1755년에는 야코브스타드 상인의 딸인 베아타 마그달레나 멜베르그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6]네데르베틸에 있는 동안 늪 개간, 새로운 품종의 동물과 식물 실험, 감자와 담배의 새로운 경작 방법 도입 등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모범을 통해 농민들을 계몽하고자 했다. 의학을 실천하며 일반 사람들에게 천연두 예방 접종을 실시했고, 백내장 수술을 수행하고 약을 조제하기도 했다.[6]

2. 3. 1765-1766년 의회 활동
쉬데니우스는 1765년 국회에 파견되어 오스트로보트니아의 도시들에 자유 무역 권리를 얻어내려 했다. 감라칼레비, 바사(핀란드어: ''Vaasa''), 비외르네보르그(핀란드어: ''Pori'') 및 울레오보르그는 항해 권리를 획득하여 이후 발전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오스트로보트니아 전체를 도왔다. 당시 그의 도시와 해안에 번영을 가져다주어야 할 타르는 대부분의 이윤을 남기는 스톡홀름을 통해 해외로 판매되어야 했다. 쉬데니우스의 노력으로 스톡홀름의 독점은 깨졌고, 1765년부터 도시들은 타르를 외국 고객에게 직접 판매하고 선적할 자유를 얻었다.쉬데니우스는 의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격렬한 논란을 일으킨 여러 비판 기사를 발표했다. 그가 의회에서 한 활동의 결과 중 하나는 정부 예산에 대한 더 엄격한 의회 통제였다. 그는 자신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가 언론의 자유 확장이었다고 여겼다.[6] 그의 급진적인 활동으로 인해 1766년 그는 자신의 정당에 의해 의회에서 배제되었다.[6]
2. 4. 코콜라(Kokkola) 시기
1770년 그는 감라카를레비에 교구 목사로 임명되어 교구 업무에 집중했다. 그는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유지하며 그들과 함께 리허설을 진행했다. 그들은 교구 사택의 접견실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그의 아버지는 1746년부터 1766년까지 감라카를레비의 목사관에 살았고, 안데르스는 1770년부터 1803년까지 그곳에서 살았다.[6]1778년과 1779년 사이에 쉬데니우스는 다시 한번 국회에 참여하여 고용된 사람들의 지위 문제를 논의했다. 그는 하인 계급의 권리를 옹호했다. 구스타브 3세 국왕의 제안에 따라 그는 외국인에게도 자신들의 종교를 제한적으로 실천할 권리를 부여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1793년 다시 국회에 참여했으며, 농업 발전, 초석 소각, 천연두, 라플란드 정착을 다루는 작가로 활동했다. 그의 말년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옛 교구 교회의 확장을 감독하는 것이었다. 1796년 그는 조카 야콥 텐그스트룀과 함께 기독교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된 스웨덴 사회 프로 피데 에트 크리스티아니즘의 회원이 되었다.[7] 1803년에 사망했다.[6]
3. 사상
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1765년 팸플릿 《국가적 이익》(Den nationnale winstensv)에서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자유주의,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 그의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가 발표한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다. 1766년에는 세계 최초로 언론의 자유와 정보공개를 규정한 스웨덴의 법률인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 제정에 공헌했다.
쉬데니우스는 중상주의, 중상주의적 정복 정치, 보수주의, 보호무역주의, 특권을 비판했다.[1] 국가 관직은 매매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국가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제한이나 특권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 성직자, 귀족, 공무원 등 특권층이 농민의 노동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농민의 지위에 대한 논쟁을 특권층의 지위에 대한 논쟁으로 바꾸려 한다고 비판했다.[1]
당시 지배적인 견해는 농민과 노동자가 게으름을 피우지 못하도록 가난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지만, 쉬데니우스는 노동자는 자신의 행복을 추구할 자유가 있는 개인이라고 보았다.[1] 그는 평화, 완전하고 침해할 수 없는 토지 소유권, 난민 보호, 농민과 장인의 제품 판매 자유를 주장했다.[1] 가격 및 임금 규제와 노동 파업에 반대했으며, 노동자가 고용주를 선택할 권리를 요구했다. 인구가 희박한 라플란드를 야경 국가로 만들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1]
쉬데니우스는 자연이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만들었으며, 창조주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권리를 주었다고 주장했다.[6]
3. 1. 자유주의와 경제 사상
1765년에 배포한 팸플릿 《국가적 이익(Den nationnale winsten)》(Den nationnale winstensv)에서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한편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8] 그가 정립한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가 발표한 저서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으며, 특히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과 매우 유사한 이론을 스미스보다 11년 앞서 발표했다.[8]쉬데니우스는 당시 만연해 있던 중상주의, 중상주의적 정복 정치, 보수주의, 보호무역주의, 그리고 특권을 비판했다. 국가 관직은 매매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국가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제한이나 특권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직자, 귀족, 공무원 및 기타 특권층이 농민의 노동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농민의 지위에 대한 논쟁을 특권층의 지위에 대한 논쟁으로 바꾸려 한다고 비판했다.
당시 지배적인 견해는 농민과 노동자가 게으름을 피우지 못하도록 가난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지만, 쉬데니우스는 노동자는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도록 강요받아야 하는 게으름뱅이가 아니라, 자신의 행복을 추구할 자유가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익을 가져다 줄 필수적인 개인임을 보여주었다.
쉬데니우스는 평화를 지지하고, 완전하고 침해할 수 없는 토지 소유권을 요구했으며, 난민 보호와 농민 및 장인에게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제품을 판매할 권리를 부여하고자 했다. 그는 가격 및 임금 규제와 노동 파업에 반대했으며, 노동자가 고용주를 선택할 권리를 요구했다. 그는 라플란드를 구하기 위해, 라플란드를 야경 국가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 자유로운 국가, 사유 재산, 개인의 자유. 주민들은 어떤 직업이든 선택할 수 있으며, 무역의 자유는 완전하고, 특권, 규제 또는 세금은 없을 것이다. 관료주의는 존재하지 않으며, 유일한 공무원은 누구의 권리도 침해되지 않도록 감독하는 판사일 것이다.[9]
그는 신분 의회에 보트니아 만 연안 도시들의 과감한 무역 자유화를 제안하여 자신의 이론을 실천에 옮기기도 했다. 그러나 라플란드를 가난한 지역의 경제적 번영을 위해 야경 국가로 만드는 것과 같은 그의 다른 제안들은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3. 2. 사회 사상
쉬데니우스는 1765년에 배포한 팸플릿 《국가의 이득》(Den nationnale winstensv)에서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한편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 그가 정립한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가 발표한 저서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다. 1766년 세계 최초로 언론의 자유와 정보공개를 규정한 스웨덴의 법률인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데에도 공헌했다.쉬데니우스는 당시 만연해 있던 중상주의, 중상주의적 정복 정치, 보수주의, 보호무역주의, 그리고 특권을 공격하는 데 자유주의적 저술의 초점을 맞췄다.[1] 그의 견해에 따르면, 국가 관직은 매매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국가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제한이나 특권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 그는 성직자, 귀족, 공무원 및 기타 특권층을 비판하며, 그들이 농민의 노동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농민의 지위에 대한 논쟁을 특권층의 지위에 대한 논쟁으로 바꾸려 한다고 말했다.[1] 당시 지배적인 견해는 농민과 노동자가 게으름을 피우지 못하도록 가난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1] 쉬데니우스는 그와는 반대로, 노동자는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도록 강요받아야 하는 게으름뱅이가 아니라, 자신의 행복을 추구할 자유가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익을 가져다 줄 필수적인 개인임을 보여주었다.[1]
쉬데니우스는 평화를 지지하고, 완전하고 침해할 수 없는 토지 소유권을 요구했으며, 난민 보호와 농민 및 장인에게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제품을 판매할 권리를 부여하고자 했다.[1] 그는 가격 및 임금 규제와 노동 파업에 반대했으며, 노동자가 고용주를 선택할 권리를 요구했다.[1] 인구가 희박한 라플란드를 구하기 위해, 그는 라플란드를 야경 국가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1]
3. 3. 언론의 자유
쉬데니우스는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1776년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10]> 글쓰기와 출판의 자유가 국가의 자유로운 조직을 위한 가장 강력한 보루 중 하나라는 증거는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 없이는 의회가 훌륭한 법률을 제정하는 데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할 것이고, 사법부는 감시받지 않을 것이며, 국민은 법의 요구, 정부 권리의 한계, 그리고 그들 자신의 책임을 알지 못할 것이다. 교육과 훌륭한 행동은 억압될 것이고, 사상, 언어, 그리고 태도에서의 거친 면이 만연할 것이며, 무지함이 몇 년 안에 우리 자유의 하늘 전체를 어둡게 할 것이다.
그는 1765년에 배포한 팸플릿 《국가의 이득》(Den nationnale winstensv)에서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한편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 그가 정립한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가 발표한 저서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다. 1766년 세계 최초로 언론의 자유와 정보공개를 규정한 스웨덴의 법률인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데에도 공헌했다.
3. 4. 자연적 평등 사상
쉬데니우스는 보편적 권리와 특권 폐지에 대해 거침없이 발언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른 모든 사람들과 똑같은 자유를 주고 싶어했으며, 당시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다소 예외적이었던 가난한 사람들의 이익을 옹호했다. 그는 민주주의를 옹호했으며,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무역과 산업의 자유, 그리고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했다. 그는 국가 자금 지출 방식에 대한 감독을 요구했다. 현대적인 언어로 말하면, 그는 개방성과 좋은 거버넌스를 옹호했다고 할 수 있다.> 자연은 그들을 우리와 똑같이 만들었다. 그들의 요람에서의 자세는 우리와 같고, 그들의 영혼은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조주가 그들에게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권리를 주려고 의도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난다.[6]
4. 유산 및 평가
쉬데니우스는 1765년 팸플릿 《국가의 이득》(Den nationnale winstensv)을 통해 자유 무역과 산업에 관한 이론, 경제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자유주의, 자본주의, 현대 민주주의 사상의 원리를 정립했다. 이 이론은 1776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의 기초가 되었으며, 1766년 세계 최초로 언론의 자유와 정보공개를 규정한 스웨덴 법률 《언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 제정에도 기여했다.
4. 1. 핀란드와 스웨덴에서의 평가
쉬데니우스는 북유럽 사상가들과 현실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고전적 자유주의를 엄격하게 옹호했다. 그는 스웨덴 자유주의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11] 스웨덴과 핀란드 모두 그를 역사적 인물로 꼽으며, 국적에 따라 스웨덴인 또는 핀란드인으로 분류된다.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시대를 앞선 인물로 기억되며, 당시에는 급진적이었지만 현재는 북유럽 이념의 근간이 된 사상을 표현했다.[8] 그는 또한 계몽주의 사상가, 과학, 예술, 합리적 사고, 자유의 옹호자로 여겨진다. 그는 과학자이자 숙련된 안과 의사였으며, 여러 발명품을 만들었고, 핀란드에서 백신 접종을 개척했으며,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쉬데니우스는 핀란드 마르카의 마지막 디자인 시리즈에서 가장 높은 가치의 지폐(1000 마르크)에 등장했다.[6] 코콜라에는 쉬데니우스를 기리는 많은 지명이 있으며, 2006년에 시내 중심에 완공된 쉬데니아 쇼핑 센터도 그중 하나이다.[12]
안데르스 쉬데니우스는 2003년에 주조된 €10 안데르스 쉬데니우스 기념 주화에서 최근 핀란드 기념 주화의 주요 모티프로 선정되었다. 앞면에는 쉬데니우스의 수많은 출판물과 성경을 나타내는 열린 책이 묘사되어 있다. 뒷면에는 교회와 다른 건물들이 있는 전통적인 마을이 보인다.
니클라스 에크달과 페테르 칼손이 쓴 책 ''역사상 가장 중요한 스웨덴인 100인''에서 쉬데니우스는 역사상 17번째로 중요한 스웨덴인으로 선정되었다.[13] 핀란드에서는 쉬데니우스가 전국 방송 회사가 주최한 투표에서 "가장 위대한 핀란드인" 목록에서 40위에 올랐다.[14]
쉬데니우스 가문은 오늘날에도 핀란드에서 잘 알려진 문화 가문이다. 작곡가 카이 쉬데니우스는 안데르스의 먼 친척이다.
5. 저서
- Amerikanska näfwerbåtar|아메리카식 나무 껍질 배sv (투르쿠, 1753)
- Swar På samma Fråga (Om bästa sättet at upodla Mosslupna Ängar)|동일 질문에 대한 답변 (이끼 덮인 초원을 경작하는 최선의 방법에 관하여)sv (스톡홀름, 1762)
- Swar På samma Fråga (Om Wagnars förbättring)|동일 질문에 대한 답변 (마차 개선에 관하여)sv (스톡홀름, 1764)
- Wederläggning Af de Skäl, Hwarmed Man Söker Bestrida Fri Seglation Emellan Städerne I Österbotn, Wästerbotn och Norland|오스테르보텐, 베스테르보텐, 베스테르노르란드 도시 간의 자유 항해에 반대하려는 자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sv (스톡홀름, 1765)
- Swar På den Af Kongl. Wetenskaps Academien förestälta Frågan: Hwaraf kommer det, at så många Svenske årligen flytta utur Landet?|왕립 과학 아카데미가 제기한 질문에 대한 답변: 왜 그렇게 많은 스웨덴 사람들이 매년 국외로 이주하는가?sv (스톡홀름, 1765)
- Källan Til Rikets Wan-Magt|왕국의 쇠퇴 원천sv (스톡홀름, 1765)
- Nationnale Winsten|국민 이익sv (스톡홀름, 1765)
- Närmare Förklaring Öfwer Wederläggningen, Samt Anmärkningarne Wid Källan Til Rikets Wanmagt, Och Dess Wattenprof|"왕국의 쇠퇴 원천"이라는 서적에 대한 반박과 동일한 원천에서 수행된 수질 검사에 대한 주석에 대한 상세한 답변sv (스톡홀름, 1765)
- Berättelse Om Chinesiska Skrif-Friheten, öfvers. från Danskan|중국 언론의 자유에 대한 보고서, 덴마크어에서 번역sv (스톡홀름, 1766)
- Rikets Hjelp, Genom en Naturlig Finance-System|자연 통화 시스템을 통한 왕국 지원sv (스톡홀름, 1766)
- Tal, Hållet Vid Vår Allernådigste Konungs, Gustaf III:s Kröning, Den 29 Maji 1772|1772년 5월 29일, 우리 모든 은총스러운 왕 구스타프 3세의 대관식 연설sv (스톡홀름, 1772)
- Svar På Vetenskaps och Vitterhets Samhällets I Götheborg Förestälta Fråga: Om Landt-Handelen I Gemen Är Riket Nyttig Eller Skadelig, Samt I Hwad Mon Den Bidrager Til Näringarnes Upkomst Eller Aftagande?|예테보리 과학 및 문학 협회가 제기한 질문에 대한 답변: 농촌 무역이 왕국에 일반적으로 유익한지 해로운지, 그리고 산업의 발전 또는 쇠퇴에 얼마나 기여하는가?sv (스톡홀름, 1777)
- Tankar Om Husbönders Och Tienstehions Naturliga Rätt|주인과 하인의 자연권에 대한 생각sv (스톡홀름, 1778)
- Memorial, Angående Religions-Friheten|종교의 자유에 관한 각서sv (스톡홀름, 1779)
- Predikningar Öfwer Tio Guds Bud|십계명에 대한 설교sv (웁살라, 1781–82)
- Predikningar Öfver Catechesens Andra Hufvudstycke. Prediko-försök. 6 Saml. 2 Afd|교리 문답의 두 번째 주요 부분에 대한 설교. 설교적 시도. 6권. 2부sv (스톡홀름, 1784)
- Om Salpeter-Sjuderier, I synnerhet I Österbotten. Skrifter Af Sällskapet för Allmänna Medborgerliga Kunskaper 2|초석 제조, 특히 외스테르보텐에서. 일반 시민 지식 협회의 저술 2sv (스톡홀름, 1795)
- Tankar Om Koppympningen För Allmogen I Finland. K. Finska Hushålls-Sällskapets Handlingar 1|핀란드 일반 대중을 위한 천연두 예방 접종에 대한 생각. K. 핀란드 가계 협회의 행위 1sv (투르쿠, 1803)
참조
[1]
웹사이트
Etusivu
https://kansallisbio[...]
2021-03-18
[2]
BLF
[3]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Freedom of Information Act (Sweden/Finland 1766)
https://www.scribd.c[...]
2021-07-25
[4]
웹사이트
freedominfo.org, "Sweden"
http://www.freedomin[...]
2011-09-26
[5]
서적
Den Svenska Liberalismens Historia
[6]
웹사이트
Anders Chydenius
http://sydaby.eget.n[...]
2007-11-26
[7]
웹사이트
Kommentar till Brev till Pro Fide et Christianismo 1796
https://chydenius.ko[...]
1796-12-23
[8]
웹사이트
Acton Institute: Anders Chydenius (1729–1803)
https://web.archive.[...]
2007-11-26
[9]
웹사이트
Liberalismen.com: Anders Chydenius – den svenska liberalismens fader
https://web.archive.[...]
2008-05-17
[10]
웹사이트
Helsingin Sanomat – International Edition
https://web.archive.[...]
2007-11-26
[11]
Webarchive
The Story of Sweden is About Markets, Not Socialism
https://www.atlasnet[...]
Atlas Network
2021-04-27
[12]
뉴스
Kokkolan vahva vaikuttaja Anders Chydenius oli aikaansa edellä myös rokotusasiassa: Olisiko hänen terveysvalistusperintö elvytettävä uudelleen?
Keskipohjanmaa
[13]
서적
Historiens 100 viktigaste svenskar
Forum
[14]
웹사이트
YLE.fi
http://www.yle.fi/su[...]
[15]
웹사이트
Chydenius, Anders (Nordic Authors)
https://runeberg.org[...]
2007-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