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 (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Conjunction)은 천문학에서 두 천체가 하늘에서 서로 가까이 위치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주로 태양계 내 천체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두 천체가 적경 또는 황경에서 같은 값을 가질 때 합이라고 부르며, 지구에서 더 가까운 천체가 다른 천체 앞을 지나가는 경우를 근접 통과라고 한다. 근접 통과 시에는 식, 통과, 엄폐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합은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며, 내행성과 외행성의 위치에 따라 내합, 외합과 같은 용어로 구분된다. 행성들의 합은 역사적으로 점성술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특정 합은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두 행성이 하늘에서 매우 가까이 접근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는 여러 천체의 황경이 같은 값을 가질 때를 말하지만, 적경의 값이 같을 때도 합이라고 부른다. 황경의 합과 적경의 합을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각각 '황경의 합', '적경의 합'이라고 부른다. 황도와 천구 적도는 23.4°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황경의 합과 적경의 합은 완전히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지만, 거의 비슷한 날짜에 일어난다. 단, 삼중합은 황경 또는 적경 중 어느 한쪽에서만 일어난다. 합의 상태에 있는 행성은 천구상에서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쪽 천체가 다른 쪽 천체의 북쪽 또는 남쪽을 통과하는 것처럼 보인다.[35][5]
두 천체가 적경에서 합을 이룰 때 같은 적위를 가지거나, 황경에서 합을 이룰 때 같은 황위를 가지면, 지구와 더 가까운 천체가 다른 천체 앞을 지나간다. 이러한 경우 삭망이 일어난다.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면 식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시야에서 사라지는 현상은 월식이다. 가까운 천체의 겉보기 원반이 더 먼 천체보다 훨씬 작으면 통과가 일어난다. 수성이 태양 앞을 지나면 수성 일면통과, 금성이 태양 앞을 지나면 금성 일면통과가 발생한다. 가까운 천체가 더 크게 보일 때는 더 작은 천체를 완전히 가리는데, 이를 엄폐라 한다. 엄폐의 예로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면서 태양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게 되는 일식이 있다. 태양이나 달이 아닌 천체에 의한 엄폐는 매우 드물지만, 달에 의한 행성의 엄폐는 비교적 자주 일어나며, 매년 지구 여러 곳에서 관측할 수 있다.[1]
합은 지구에 있는 관측자가 바라볼 때 두 천체가 함께 보이는 현상으로,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시간과 세부 사항이 약간 달라진다.[1] 이러한 차이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달과 관련된 합에서 가장 크지만, 달의 합이라도 시간 차이가 몇 시간 이상 나지 않는다.[1]
외행성에서 볼 때, 내행성이 태양의 정 반대편에 있으면 태양과 '''외합'''(外合)에 있는 것이다. '''내합'''(內合)은 두 행성이 태양과 같은 방향에 대한 직선상에 놓일 때 나타난다. 내합의 경우, 내행성에서 봤을 때 외행성은 태양과 충에 있게 된다.
두 행성 간의 합은 단일 합, 삼중 합 또는 심지어 오중 합이 될 수 있다. 오중 합은 수성이 태양의 동쪽과 서쪽으로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발생하며, 합삭 주기는 단 116일이다. 예를 들어, 2048년에 금성이 태양 뒤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수성과 다섯 번 만날 것이다(2월 16일, 3월 16일, 5월 27일, 8월 13일, 9월 5일).[6]
두 행성의 합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지만, 유사한 두 합 사이의 평균 간격은 행성의 공전 주기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행성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속도"는 시간당 회전수로 주기의 역수로 주어지며, 두 행성 간의 속도 차이는 이 값들의 차이다. 지구 궤도 바깥의 두 행성 간의 합의 경우, 두 합 사이의 평균 시간 간격은 해당 속도 차이로 360°를 커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점성술에서는 합을 역사적인 변고와 연결 짓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관점은 아부 마샤르와 같은 이슬람 세계 점성술사들의 저서 『대합의 서』를 통해 발전되었고, 12세기 르네상스를 거치며 서양 점성술에도 도입되었다.[19] 합은 주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연대 정리에 활용하려는 시도(점성 연대기)도 있었다.[19]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의 고문헌에는 합(合) 중 천체가 7촌(약 0.7도)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범(犯)"이라고 기록하여 흉조로 여겼다.[29] 청나라 초기 역서인 『관규집요 권6』의 "오성총론"에서는 서로 거리가 1척(약 1도) 이내를 범, 5촌(약 0.5도) 이내를 릉범(凌犯)이라고 하였다.[30]
2. 근접 통과
3. 더 근접한 통과
4. 관측 위치
5. 내행성과 외행성
"내합"과 "외합"이라는 용어는 특히 지구에서 봤을 때 내행성인 수성과 금성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 정의는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진 행성에서 볼 때, 두 행성의 모든 쌍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보아 화성이 충일 때, 화성에서 보면 지구는 내합이다.[3]
6. 다중 합과 준합
준합은 겉보기 역행 운동(수성 또는 금성)이 지구에서 보았을 때 적경에서 "뒤로 물러나" 다른 행성이 따라잡을 뻔하지만, 이후 원래 행성이 순행 운동을 재개하고 다시 멀어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이는 새벽 전 아침 하늘에서 발생한다. 반대의 경우도 저녁 하늘 해질녘 후에 일어날 수 있으며, 수성 또는 금성이 다른 행성을 따라잡기 직전에 역행 운동을 시작한다(종종 수성 ''과'' 금성이 ''모두'' 관련된 경우 며칠 또는 더 오래 매우 가까이 머물 수 있다). 준합은 두 행성 사이의 적경 거리가 가장 짧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적위를 고려하면 이 시점 직전이나 후에 더 가까이 나타날 수 있다.
7. 합 사이의 평균 간격
지구 궤도 안쪽의 행성(금성 또는 수성)과 바깥쪽 행성 간의 합은 약간 더 복잡하다. 외행성이 태양의 충에서 태양의 동쪽으로, 그 다음 태양과의 상합으로, 그 다음 태양의 서쪽으로, 그리고 다시 충으로 이동하면서, 금성 또는 수성과 홀수 번 합을 이룰 것이다.
수성과 금성의 합에 관해서는, 금성이 최대 이각에서 태양의 동쪽으로 이동하여 태양의 서쪽으로 최대 이각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태양의 동쪽으로 이동할 때마다(소위 금성의 합삭 주기), 수성과 짝수 번의 합이 발생한다.
다음 표는 9개의 전통적인 행성의 조합에 대해 365.25일의 율리우스력 년으로 해당 합 사이의 평균 간격을 나타낸다. 명왕성은 해왕성과 공명하므로 사용된 주기는 해왕성의 1.5배이다. 그러면 간격은 정확히 해왕성의 세 배 주기이다.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주기 0.241 0.615 1.000 1.881 11.863 29.447 84.017 164.791 247.187 수성 1.599 0.1586 2.135 1.092 1.035 1.012 1.006 1.004 금성 1.599 0.799 2.135 1.092 1.035 1.012 1.006 1.004 태양 0.159 0.799 2.135 1.092 1.035 1.012 1.006 1.004 화성 2.135 2.135 2.135 2.235 2.009 1.924 1.903 1.895 목성 1.092 1.092 1.092 2.235 19.865 13.813 12.783 12.461 토성 1.035 1.035 1.035 2.009 19.865 45.338 35.855 33.430 천왕성 1.012 1.012 1.012 1.924 13.813 45.338 171.406 127.277 해왕성 1.006 1.006 1.006 1.903 12.783 35.855 171.406 494.374 명왕성 1.004 1.004 1.004 1.895 12.461 33.430 127.277 494.374
8. 주목할 만한 합
금성과 목성의 합은 행성 다수가 모이지 않더라도 길조로 여겨졌다. 이 시기에 태어난 사람은 "사히브 키란(Sahib Qiran, '합의 소유자' 또는 '천운의 주')"이라 불리며 행운을 타고난 것으로 간주되었다. 오스만 제국 등에서는 이 칭호를 세계의 왕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여겼으며, 술레이만 1세는 칭기즈 칸, 티무르와 함께 이 칭호를 가진 대제국의 군주로 여겨졌다.[20]
다음은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합의 사례들이다.8. 1. 기원전 1953년
기원전 1953년 2월 27일, 수성, 금성, 화성, 토성이 26.45분 각 직경을 이루는 그룹을 형성했다. 같은 날 목성은 불과 몇 도 떨어져 있어서, 5개의 밝은 행성이 4.33도에 불과한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었다.[8][9] 데이비드 팡키니어와 데이비드 니비슨은 이 합이 중국 하 왕조의 시작 시기에 일어났다고 제안했다.[8][9]
8. 2. 929년
929년에 화성과 목성의 삼중 합이 일어났다. 929년 5월 26일 첫 번째 합에서 -1.8등급의 화성은 -2.6등급의 목성에서 3.1도 남쪽에 위치했다. 두 번째 합은 929년 7월 4일에 일어났으며, 화성은 목성의 5.7도 남쪽에 위치했다. 두 행성의 밝기는 모두 -2.8등급이었다. 929년 8월 18일, -1.9등급의 화성은 -2.6등급의 목성에서 4.7도 남쪽에 위치했다.
두 번째 합은 그리스도 탄생 이후 외행성 간의 모든 합 중에서 두 행성 모두가 가장 밝은 합이었을 수 있다. 다른 모든 외행성 합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행성이 더 어두웠다.
8. 3. 1054년
1054년 7월 5일, 초신성이 금성보다 밝게 나타나 황소자리의 동쪽 부분에서 초승달 근처에 나타났다. 이 날 07시 58분(협정 세계시, UTC)에 적경에서 정확한 지구중심 합이 있었으며, 각 거리는 3도였다. 초신성은 기록된 역사상 가장 밝은 별과 같은 천체였으며, 달과 더 가까운 합을 이루었다. 이 사건은 애리조나의 두 암각화에도 나타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19]
8. 4. 1503년
15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7일 사이에 화성, 목성, 토성이 태양과 충을 이루어 밤하늘에서 서로 가까이 위치했다. 1503년의 충 기간 동안 화성은 목성과 세 번(1503년 10월 5일, 1504년 1월 19일, 1504년 2월 8일), 토성과도 세 번(1503년 10월 14일, 1503년 12월 26일, 1504년 3월 7일) 합을 이루었다. 목성과 토성은 1504년 5월 24일에 19분각의 각거리로 근접 합을 이루었다.
점성술사들은 합과 역사적인 변고를 연결해 왔는데, 이러한 생각은 『대합의 서』를 저술한 아부 마샤르와 같은 이슬람 세계의 점성술사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12세기 르네상스를 통해 서양 점성술에도 도입되었다.[19]
8. 5. 1604년
1604년 10월 9일, 화성과 목성의 합이 일어났으며, 화성은 목성 남쪽으로 1.8도 지나갔다. 같은 날 목성에서 불과 2도 떨어진 곳에서 케플러 초신성이 나타났다. 이는 기록된 역사상 초신성이 두 행성의 합 근처에서 발생한 유일한 경우일 것이다.[19]
8. 6. 1899년
1899년 12월 2~3일에 그믐달일 동안, 여러 행성들이 태양과 함께 좁은 영역에 모이는 근접 대합이 일어났다. 태양, 달, 수성, 화성, 토성이 모두 서로 15도 이내에 있었고, 금성은 이 합의 5도 앞에, 목성은 15도 뒤에 있었다. 이 합에는 천왕성, 세레스, 팔라스도 포함되었다.
1899년 12월 1일부터 4일까지 달은 차례대로 목성, 천왕성, 태양, 수성, 화성, 토성, 금성과 합을 이루었다. 이 합의 대부분은 태양의 눈부심 때문에 관측할 수 없었다.
8. 7. 1962년
1962년 2월 4~5일 그믐달과 일식 동안, 황도에서 고대 행성들과 태양, 달을 포함한 8개 천체가 16도 이내에 모이는 매우 드문 대합이 일어났다.[10] 이 때 다섯 천체(태양, 달, 수성, 금성, 목성)는 지구와도 가까운 합을 이루며 3도 이내에 모였다.
1962년 2월 4일부터 6일까지, 수성과 금성, 금성과 목성, 화성과 토성이 차례로 합을 이루었다. 달과 화성, 토성, 태양, 수성, 금성, 목성 사이에서도 합이 발생했다. 수성은 태양과 내합을 이루었다. 삭 때 달과 태양의 합은 인도네시아와 태평양에서 개기 일식을 일으켰으며,[10] 이 때 다섯 개의 맨눈으로 보이는 행성들이 하늘에서 태양 근처에 나타났다.
인도에서는 이 현상으로 대재앙이 일어날 것이라는 공황 상태가 벌어져, 네루 총리가 진정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28]
8. 8. 1987년
1987년 8월 24일, 지구에서 가까운 다섯 주요 천체인 태양, 달, 수성, 금성, 화성이 5도 이내의 좁은 범위에 모였다. 해가 진 후 20분 동안 화성, 금성, 수성, 달이 차례로 나타났다. 이들은 태양을 따라 늘어선 형태로 관측되었다.[12]
1987년 8월,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수성, 금성, 화성은 7일 이내에 서로, 그리고 각각 태양과 합을 이루었다. 달 또한 8월 24일에 이 천체들과 모두 합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합들은 태양의 밝은 빛 때문에 관측하기는 어려웠다.[12]
8. 9. 2000년
2000년 5월,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가장 밝은 다섯 행성이 태양으로부터 20도 이내에서 정렬되었다. 이 행성들은 태양과 너무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이 합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했다.[12]
2000년 5월은 매우 드문 사건으로, 여러 행성들이 지구에서 볼 때 태양 근처에 위치하여 일련의 합이 일어났다. 목성, 수성, 토성은 각각 5월 8일부터 10일까지 태양과의 합에 도달했다. 이 세 행성은 차례로 수 주 동안 서로, 그리고 금성과 합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합의 대부분은 태양의 눈부심 때문에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았다.[12]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5월 5일을 합의 날짜로 언급했다.[11]
8. 10. 2002년
2002년 5월 초 저녁 하늘에서 금성, 화성, 토성이 가깝게 나타났으며, 5월 4일에는 화성과 토성의 합이 일어났다.[19] 5월 7일에는 금성과 토성의 합이,[19] 5월 10일에는 금성과 화성의 합이 일어났는데, 이때 두 행성의 각거리는 불과 18분이었다.[19] 5월 14일에는 달과 토성, 화성, 금성의 합이 연달아 일어났지만, 지구상의 어떤 한 곳에서도 어두운 상태에서 이 모든 현상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했다.[19]
8. 11. 2007년
2007년 12월 24일, 달과 화성의 합이 일어났다. 이 현상은 보름달 시기와 매우 가까웠으며, 화성이 태양과 충의 위치에 있을 때 발생했다. 화성과 보름달은 전 세계적으로 하늘에서 가깝게 보였으며, 일부 북부 지역 관측자들에게는 화성의 엄폐 현상이 관측되었다.[13]
이와 비슷한 합은 2016년 5월 21일과 2022년 12월 8일에도 있었다.
8. 12. 2008년
2008년 12월 1일, 금성과 목성의 합이 일어났고, 수 시간 후에 두 행성은 각각 초승달과의 합에 달했다.[36] 어떤 지역에서는 달에 의한 금성의 엄폐가 관측되었다.[37] 다른 지역에서는 세 천체가 모두 가까이 모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13. 2012년
8. 14. 2013년
2013년 5월 말, 수성, 금성, 목성은 불과 며칠 간격으로 일련의 합을 겪었다.[19]
8. 15. 2015년
2015년 6월 30일, 금성과 목성이 매우 가까이 접근하는 행성 합 현상이 일어났다. 두 행성은 약 1/3도 간격으로 접근했으며, 이 현상은 "베들레헴의 별"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6]
8. 16. 2016년
2016년 1월 9일 아침, 금성과 토성이 합을 이루었다.[17]
2016년 8월 27일, 수성과 금성이 합을 이루었고, 이어서 금성과 목성이 합을 이루어 세 행성이 저녁 하늘에서 매우 가까이 위치했다.[19]
8. 17. 2017년
2017년 11월 13일 아침, 금성과 목성이 합을 이루어 아침 하늘에서 가깝게 보였다.[19]
8. 18. 2018년
1월 7일 새벽, 화성과 목성이 합을 이루었다. 두 행성은 하늘에서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0.25도 떨어져 있었다.[18]
8. 19. 2020년
2020년 2월, 3월, 4월 대부분의 기간 동안 화성, 목성, 토성은 서로 가까이 있었고, 일련의 합을 겪었다. 3월 20일에는 화성이 목성과 합을 이루었고, 3월 31일에는 화성이 토성과 합을 이루었다.[19]
12월 21일에는 목성과 토성이 1623년 이후 하늘에서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합으로 알려진 사건이다.[19]
8. 20. 2022년
2022년에는 소행성 팔라스가 시리우스 옆을 지나가는 현상이 있었다.
9. 동아시아 고문헌 속의 행성 합 (범, 릉범)
고문헌에서 보이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10. 2005년 ~ 2020년 적경에서의 행성 합
합 목록과 합 (천문학)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웹사이트
Conjunction
http://asa.hmnao.com[...]
2012-07-08
[2]
서적
Astronomical Algorithms
Willman-Bell Inc., Richmond, Virginia
[3]
웹사이트
Appulse
http://asa.hmnao.com[...]
2012-07-08
[4]
서적
The Standard Americ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Planetary Conjunction over Paranal
http://www.eso.org/p[...]
ESO
2011-05-02
[6]
웹사이트
Mercury Longitudes
https://ssd.jpl.nasa[...]
[7]
웹사이트
Mercury Longitudes
https://ssd.jpl.nasa[...]
[8]
간행물
"''Mozi'' and the Dates of Xia, Shang, and Zhou: A Research Note"
[9]
간행물
The Nivison Annals
De Gruyter Mouton
[10]
웹사이트
Total Solar Eclipse of 1962 Feb 05
http://eclips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3-06-12
[11]
웹사이트
The Planetary Alignment of 5 May 2000
http://nssdc.gsfc.n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 NASA
2016-05-05
[12]
간행물
Astronomical Tables of the Sun, Moon, and Planets
Willmann-Bell, Inc.
[13]
간행물
Mars: The 2007 Opposition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14]
웹사이트
NASA – Spectacular Conjunction
https://science.nasa[...]
2017-07-12
[15]
웹사이트
Occultation of Venus 2008 December 01 16h UT1
http://asa.hmnao.com[...]
Her Majesty's Nautical Almanac Office
2012-09-12
[16]
웹사이트
Venus and Jupiter Get Bright and Tight in This Week's Sky
http://news.national[...]
2015-06-29
[17]
웹사이트
https://lightworkers[...]
[18]
웹사이트
Mars/Jupiter conjunction on January 7 {{!}} EarthSky.org
http://earthsky.org/[...]
2018-01-06
[19]
문서
『未来の歴史』筑摩書房、2000年、p.368, [[中山茂]]『占星術』[[朝日新聞社]]、1993年、p.83
[20]
문서
小笠原弘幸『オスマン帝国 繁栄と衰亡の600年史』中公新書、2018年。ISBN 978-4-12-102518-0、p.129-131。
[21]
문서
P. ジェイムズ、N. ソープ『古代文明の謎はどこまで解けたか I 』太田出版、2002年、pp.229-232
[22]
문서
「宋孝宗淳熙13年「8月1日、乙亥。日月五星聚軫」とある。(中国天文学史)(續資治通鑑卷15)
[23]
문서
ポール・クーデール『占星術』[[白水社]]([[文庫クセジュ]])、p.135
[24]
문서
ジム・テスター『西洋占星術の歴史』[[恒星社厚生閣]]、1997年、pp.249-250
[25]
문서
[[岡部雄三]]「天のしるしと神のことば」([[村上陽一郎|村上]]・[[樺山紘一|樺山]]・[[高田勇|高田]]編『ノストラダムスとルネサンス』[[岩波書店]]、2000年)pp.211-213
[26]
문서
クーデール、前掲書、 pp.136-137
[27]
문서
Hoefer(direction), ''Nouvelle biographie universelle depuis les temps les plus reculés jusqu'à nos jours'', Tome 30, Paris, 1859, pp.814-815
[28]
문서
中山、前掲書、1993年、pp.203-204
[29]
웹사이트
あすとろん第4号
https://www.kwasan.k[...]
2008-09-30
[30]
웹사이트
「賀茂注進雑記」に書かれた天変と合の御祈
http://www.kamoagata[...]
2001
[31]
웹사이트
京都の天文学【3】安倍晴明が出会った天変
https://www.kwasan.k[...]
2008
[32]
웹인용
Conjunction
http://asa.hmnao.com[...]
2013-05-01
[33]
서적
Astronomical Algorthms
[34]
웹인용
Appulse
http://asa.hmnao.com[...]
2013-05-01
[35]
웹인용
Planetary Conjunction over Paranal
http://www.eso.org/p[...]
ESO
2013-05-02
[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cience.nasa.[...]
2013-05-02
[37]
웹인용
Occultation of Venus 2008 December 01 16h UT1
http://asa.hmnao.com[...]
Her Majesty's Nautical Almanac Office
201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