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류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류트족은 북동아시아에서 베링 육교를 통해 알류샨 열도로 이주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일파이다. 해양 포유류 사냥과 자원 활용을 통해 번영했으나, 18세기 러시아인과의 접촉 이후 질병과 가혹한 대우로 인해 인구가 급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침략과 미국의 강제 이주를 겪기도 했다. 알류트족은 전통 예술과 문화를 보존하며, 알류트어와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키모 - 유픽족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진짜 사람들"을 의미하는 유픽족은 전통적인 어로 및 수렵 생활을 유지하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알래스카의 가장 큰 원주민 집단 중 하나이다. - 에스키모 - 축치인
축치인은 주로 러시아 축치 자치구에 거주하며 해양 포유류 사냥과 순록 유목을 하는 민족으로, 소련 시대에 축치어 문자가 제정되고 집단 농장 체제가 시행되었으며, 시베리안 허스키의 기원이기도 하다. - 알래스카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하이다족
하이다족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 콰이에 거주하며 토템 기둥과 포틀래치 문화를 발전시켰고, 18세기 유럽인과의 접촉, 인구 감소, 권리 회복 운동을 거쳐 2024년 하이다 콰이 전체에 대한 토지 소유권을 인정받은 원주민이다. - 알래스카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툴레인
툴레는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1600년까지 베링 해협 주변에 존재했던 이누이트의 선사 시대 조상으로, 고래 사냥과 개썰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북극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며 철과 구리를 사용하고 상업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 알류트족 - 메드니섬
메드니섬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에 속하며 베링해 남서쪽 끝에 위치한 섬으로, 1741년 베링에 의해 발견되었고, 알류트족이 정착했으나 1970년 이후 무인도가 되어 동식물 연구가 진행 중이며, 러시아어와 알류트어가 혼합된 크리올어인 메드니 알류트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 알류트족 - 니콜스코예
니콜스코예는 러시아 베링 섬에 위치한 마을로, 1826년 알류트족 정착민들이 설립했으며, 어업과 정부 서비스에 경제가 의존하고, 아한대 기후를 보이며, 2012년에 재건된 교회가 있다.
알류트족 | |
---|---|
기본 정보 | |
우나강어로 | унаӈан (unangan) |
우나강어로 (서부 방언) | унаӈас (unangas) |
러시아어 | Алеуты (Aleuty) |
![]() | |
미국 (알래스카) | 6,752명 |
러시아 (캄차카 지방) | 482명 |
거주 지역 | 미국, 알래스카주 러시아, 캄차카 지방 |
언어 | 영어 러시아어 알류트어 |
종교 | 동방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애니미즘 |
관련 민족 | 이누이트 유픽 시레니크 에스키모 알래스카 크리올 |
민족 | Unangax̂ (동부 방언), Unangas (서부 방언) |
언어 | Unangam Tunuu (알류트어) |
거주지 | Unangam Tanangin (알류샨 열도) |
문화 | |
문화 영상 | We Are Unangax |
추가 정보 | |
관련 자료 | Unangax̂ (Aleut) & Alutiiq/Sugpiaq |
연방 정부 인정 부족 목록 | 알류트 지역 |
러시아 원주민 협회 | 알류트족 |
2. 역사
알류트족의 조상은 빙하기에 북동아시아로부터 베링 육교를 통해 건너왔다고 생각되며, 이누이트족과 언어학적, 인류학적으로 가깝다. 선사시대부터 주로 바다표범이나 해달 등을 수렵하며 약 2만 5000명 정도가 살고 있었으나, 18세기부터 러시아인의 정착지가 세워지며 접촉이 시작되었다. 1784년에는 해양 자원 고갈에 불만을 품은 알류트족과 러시아인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후 외부에서 유입된 전염병으로 알류트족 인구는 급감하여 1910년 인구조사에서는 1,491명만이 남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6월, 일본군은 알류샨 열도 서부의 키스카 섬(Kiska)과 아투 섬(Attu Island)을 점령하고,[22] 아투 섬 주민들을 홋카이도(Hokkaidō)로 이송하여 전쟁 포로로 수감했다.[22] 미국 정부는 일본의 추가 공격을 우려하여 알류샨 열도 서부와 프리빌로프 제도(Pribilofs)의 알류트족 수백 명을 알래스카 남동부의 강제 수용소로 이송했다.[22]
1988년 미국 의회(United States Congress)는 알류트족 배상법(Aleut Restitution Act of 1988)을 통해 생존자들에게 보상하려 노력했고, 2017년 6월 17일에는 우낭간족(Unangan people)의 강제 수용과 수용소 내 처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25]
2000년에는 11,914명이 알류트족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부분 영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알류트족의 조상은 빙하기에 북동아시아로부터 베링 육교를 통해 건너왔다고 생각되며, 이누이트족과 언어학적, 인류학적으로 가깝다. 빙하기에는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이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베링 육지교), 많은 사람들이 동북아시아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들이 바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조상들이다. 빙하기가 끝나고 해수면이 상승하여 고립된 알류샨 열도에 남은 집단이 알류트족의 조상이다.척박한 땅과 부족한 자원의 섬이었지만, 그들은 표류목과 해양 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생활했다. 특히 해양 포유류를 사냥하는 기술이 뛰어났다. 해양 포유류의 가죽과 소화 기관으로 만든 후드가 달린 방수복을 입고, 표류목과 해양 포유류 가죽으로 만든 카약을 타고, 표류목과 뼈로 만든 투창 등을 가지고 여러 명의 동료와 함께 바다로 나가 해달, 바다표범,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 등을 사냥했다. 사냥한 동물의 몸은 지느러미에서 뼈까지 버리는 것 없이 모두 사용했다. 오랫동안 고립된 민족이었지만, 17세기까지 약 2만 5천 명이 열도에 거주하며 크게 번영했다.
그러나 러시아인의 진출로 해양 자원이 고갈되고, 그들이 가져온 질병으로 인해 인구는 1/10 이하로 급감했다. 다음은 알류트족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인구 |
---|---|
1834년 | 2,250명 |
1890년 | 1,702명[40] |
1910년 | 1,491명 |
그들은 섬들의 동굴 속에 많은 미라를 남겼다. 미라가 된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일부 사람만 미라가 된 것으로 보아 특별한 사람만 미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외부 세력과의 접촉
알류트족의 조상은 빙하기에 북동아시아로부터 베링 육교를 통해 건너왔으며, 이누이트족과 언어학적, 인류학적으로 가깝다.[17] 선사시대부터 주로 바다표범이나 해달 등을 수렵하며 약 2만 5000명 정도가 살고 있었으나 18세기부터 러시아인의 정착지가 세워지며 접촉이 시작되었다.[17]

18세기 후반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이 도착한 후, 많은 알류트인들이 기독교인이 되었다.[17] 알래스카의 수많은 러시아 정교회 교구 중 대부분은 알래스카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7] 북미 최초의 기독교 순교자 중 한 명은 알류트의 베드로(Peter the Aleut)이다.[17]
1784년에는 해양 자원 고갈에 불만을 품은 알류트족에 의해 암치트카 섬에서 충돌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17] 당시 러시아인들은 암치트카 섬에 작은 무역 기지를 두고 있었는데, 알류트족은 해마다 수달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러시아인들이 모피에 대한 대가로 점점 더 적은 물품을 지급한다고 주장했다.[18] 알류트족 지도자들은 러시아인들과 협상을 벌이며 모피에 대한 충분한 물품을 제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18]
러시아인들의 지도자인 네지모프는 자신의 정부이자 알류트족 추장의 딸인 오니이신(オニイシン, Oniishin)이 아버지와 다른 지도자들이 더 많은 물품을 요구하는 것을 만류하려 했다는 의혹을 가지고, 부하인 스테파노프(ステッパノ, Suteppano)와 카지모프(カジモフ, Kazimofu) 두 명에게 그녀를 살해하라고 명령했다.[18] 네 명의 지도자가 살해된 후, 알류트족은 암치트카 섬에서 인근 섬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18] 이 사건은 러시아 관리들에게 보고되었고, 네지모프는 투옥되었다.[18]
이후 외부로부터 전염된 질병으로 인구가 급감하여 19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491명만이 남아 있었다.[17] 러시아 상인들은 알류트 남성들을 강제로 여우와 해달 사냥을 하게 하여 모피를 얻기 위해 알류트 여성과 어린이들을 인질로 잡았으며, 종종 알류트 남성들을 노예로 삼기도 했다.[17]
1814년, 러시아 회사는 상업적 가치가 높은 해달 가죽을 더 확보하기 위해 알류트족 사냥꾼들을 강제로 산 니콜라스 섬으로 데려왔다.[19] 현지에 거주하던 니콜레뇨족은 그 지역에서 많은 수의 해달이 사냥되는 것에 대해 알류트족 사냥꾼들에게 대가를 요구했다.[19] 이로 인해 의견 충돌이 발생하여 폭력으로 번졌고, 알류트족 한 명이 살해당하자 보복으로 알류트족이 여러 명의 니콜레뇨족을 살해했다(정확한 수는 알 수 없음).[19] 1835년, 한 여성(후아나 마리아)과 아이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니콜레뇨족이 섬에서 옮겨졌다.[20] 1853년, 후아나 마리아(Juana Maria)라는 세례명을 받은 그 여성이 발견되어 산타 바바라로 옮겨졌다.[21] 그녀는 마지막 생존자였을 가능성이 있다.[20][21]
러시아아메리카회사(RAC) 기록에 따르면, 알류트족을 주축으로 다국적 승무원으로 구성된 200톤짜리 해달 사냥선 ''일례나(Il’mena)''이 산 니콜라스 섬의 원주민 학살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한다.[19]
2000년에는 11,914명이 알류트족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부분 영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7]
2. 3. 질병과 인구 감소
18세기부터 러시아인의 정착지가 세워지면서 알류트족은 외부 세계와 접촉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해양 자원이 고갈되었고, 이에 불만을 품은 알류트족이 1784년에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후 외부에서 전염된 질병, 가혹한 대우, 원주민 사회 파괴 등으로 인해 알류트족 인구는 급감했다. 1834년 조사에서는 알류트족 인구가 2,250명, 1890년 조사에서는 1,702명[40], 1910년 인구조사에서는 1,491명만이 남아 있었다.[26]2. 4.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6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은 알류샨 열도 서부의 키스카 섬(Kiska)과 아투 섬(Attu Island)을 점령했다.[22] 이후 일본군은 포로로 잡힌 아투 섬 주민들을 홋카이도(Hokkaidō)로 이송하여 전쟁 포로로 수감했다.[22] 다른 알류샨 열도와 알래스카 본토에 대한 일본의 공격을 우려한 미국 정부는 알류샨 열도 서부와 프리빌로프 제도(Pribilofs)에서 수백 명의 알류트족을 추가로 강제 수용소로 이송했다.[22] 이들은 알래스카 남동부의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었고, 과밀한 숙소에서 홍역, 인플루엔자 및 기타 전염병이 빠르게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22] 미국 강제 수용소에서 약 75명이 사망했고, 일본군 포로로 잡혀 있던 중 22명이 사망했다.[22] [23] [24]1988년 알류트족 배상법(Aleut Restitution Act of 1988)은 미국 의회(United States Congress)가 생존자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시도한 법안이다. 2017년 6월 17일, 미국 정부는 우낭간족(Unangan people)의 강제 수용과 수용소 내 처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25]
미국이 아투 섬과 키스카 섬을 탈환하기 위한 알류샨 열도 전투(Aleutian Islands Campaign)는 미국 전역과 태평양 전쟁(Pacific Ocean theater of World War II) 작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6월 7일, 일본군은 아투섬을 점령했다. 아투섬에는 알류트족 40여 명이 사는 마을이 있었다. 일본군은 아투섬을 무인화하기 위해 9월에 알류트족 주민들을 일본 본토로 이송하여 일본에서의 적국인 억류 정책의 일환으로 홋카이도 오타루시에서 수용했다. 오타루에 수용된 알류트족은 45명(오타루에서 태어난 5명 포함)이었고, 그중 20명이 수용 중에 사망하여 종전을 맞이한 사람은 25명이었다. 전후 미국은 아투섬 주민들의 귀환을 허용하지 않고 알류샨 열도의 아투카섬으로 이송했다.
3. 인구 및 분포
알류트족은 역사적으로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반도 극서부에 거주했으며, 유럽인과 접촉하기 전에는 약 2만 5천 명으로 추산됩니다.[12] 1820년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는 러시아 주도 모피 무역 확장 기간 동안 북태평양 상당 부분을 관리했습니다. 이들은 많은 알류트 가족을 러시아 캄차카 지방 알류트스키 구 코만도르스키 제도[13]와 알래스카 프리빌로프 제도로 재정착시켰습니다.[14][15] 이 지역에는 여전히 알류트족이 대다수인 지역 사회가 있습니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만 1,941명이 알류트족, 1만 7,000명이 알류트족 혼혈로 확인되었습니다. 유럽인 접촉 이전에는 약 2만 5천 명의 알류트족이 이 군도에 살았습니다.[16]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온라인은 21세기 초 1만 5천 명 이상이 알류트족 혈통을 가지고 있다고 명시합니다.[12] 19세기와 20세기 초, 알류트족은 유라시아 전염병으로 인해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그들이 면역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12] 또한, 전통적인 생활 방식 붕괴로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러시아 상인들과 후대 유럽인들은 알류트 여성들과 결혼하여 가족을 이루었습니다.[12]
알류트족은 빙하기 베링 육지교를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 조상들과 함께 북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했습니다. 빙하기가 끝나고 해수면이 상승하여 알류샨 열도에 고립된 집단이 알류트족의 조상입니다. 척박한 땅과 부족한 자원에도 불구, 표류목과 해양 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생활했습니다. 특히 해양 포유류 사냥 기술이 뛰어났습니다. 해양 포유류 가죽과 소화 기관으로 만든 후드 달린 방수복을 입고, 표류목과 해양 포유류 가죽으로 만든 카약을 타고, 표류목과 뼈로 만든 투창 등으로 해달, 바다표범,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 등을 사냥했습니다. 사냥한 동물은 지느러미에서 뼈까지 모두 사용했습니다. 오랫동안 고립되었지만, 17세기까지 약 2만 5천 명이 열도에 거주하며 크게 번영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인 진출로 해양 자원이 고갈되고, 그들이 가져온 질병으로 인해 인구는 1/10 이하로 급감했습니다. 1834년 조사에서는 알류트족 인구가 2,250명, 1890년 조사에서는 1,702명[40], 1910년 조사에서는 1,491명이었습니다.
4. 언어
이들의 토착 언어인 알류트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한다. 알류트어에서 이들은 우낭안(동부 방언)과 우낭아스(서부 방언)라는 자칭 명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용어 모두 "사람들"을 의미한다.[8] 러시아어 용어 "알류트"는 알류샨 열도의 원주민과 동쪽 코디악 제도의 이웃 주민(그들은 또한 "태평양 에스키모" 또는 수그피앗/알루티이트라고 불렸다) 모두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였다.[9]
4. 1. 방언과 부족
알류트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1995년 통계에 따르면 305명의 사용자가 남아있으나 2011년 150명 정도로 감소하였다. 알류트족은 알류트어(Unangam Tunuu)를 사용하며, 미국에서는 영어를, 러시아에서는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한다. 미국에는 약 150명, 러시아에는 5명의 알류트어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10] 알류트어는 동부 알류트어, 아트칸어, 그리고 현재는 사멸된 아투어의 세 가지 방언이 있다.[10]프리빌로프 제도에는 알류트어(Unangam Tunuu)의 활동적인 화자가 가장 많다. 대부분의 원주민 원로들은 알류트어를 사용하지만, 일반인이 유창하게 알류트어를 구사하는 것은 드물다.
1829년부터 알류트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1870년부터는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있다. 알류트어 사전과 문법이 출판되었고, 성경 일부가 알류트어로 번역되었다.[10]

알류트어(우낭간어) 방언과 부족은 다음과 같다:[11]
방언 | 부족 |
---|---|
아투 방언 | |
아트칸 방언 (서부 알류트어 또는 알리구타흐) | |
동부 알류트어 방언 |
알류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1989년 구 소련(소비에트 연방) 인구 통계 조사에 따르면 알류트어 사용자는 487명이었고, 1995년에는 305명이었다.[42]
5. 문화
알류트족은 사냥과 채집을 통해 생활하며, 연어, 게, 조개류, 대구 등의 해산물과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를 식량으로 삼았다.[36] 이들은 해양 포유류의 가죽과 소화 기관으로 만든 후드가 달린 방수복을 입고, 표류목과 해양 포유류 가죽으로 만든 카약을 타고 바다로 나가 사냥했다.[36] 사냥한 동물은 지느러미에서 뼈까지 모두 사용했다.
알류트족의 전통 예술에는 무기 제작, 바이달카(특수 사냥용 보트) 건조, 직조, 작은 조각상 제작, 의복 제작, 조각, 가면 제작 등이 있다. 19세기 장인들은 정교하고 다채로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화려한 나무 사냥 모자로 유명했는데, 이 모자는 바다사자 수염, 깃털, 바다코끼리 상아로 장식되었다.[29] 알류트족 여성들은 바다표범 창자로 정교하게 꿰맨 방수 파카를 만들고, 바다 갯잔디로 고운 바구니를 짰다.[29]
알류트족은 반지하식 주택인 바라바라(barabara)를 건설했다. 20세기 알류트 지도자였던 릴리 맥가비(Lillie McGarvey)는 바라바라가 "잦은 비로부터 거주자들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항상 따뜻하며, 이 지역의 흔한 강풍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라고 설명했다.[27]
알류트족은 문신과 피어싱으로 업적과 종교적 신념을 표현했다. 신체 예술이 동물의 영혼을 기쁘게 하고 악령을 막는다고 믿었으며,[30] 코, 입, 귀 등에 피어싱을 하여 악령(khoughkhale)의 침입을 방지했다.[30]
5. 1. 어원
알류트어에서 이들은 우낭안(동부 방언)과 우낭아스(서부 방언)라는 자칭 명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용어 모두 "사람들"을 의미한다.[8] 러시아어 용어 "알류트"는 알류샨 열도의 원주민과 동쪽 코디악 제도의 이웃 주민(이들은 또한 "태평양 에스키모" 또는 수그피앗/알루티이트라고 불렸다) 모두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였다.[9]5. 2. 주거
알류트족은 반지하식 주택인 바라바라(barabara)를 건설했다. 20세기 알류트 지도자였던 릴리 맥가비(Lillie McGarvey)는 바라바라가 "잦은 비로부터 거주자들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항상 따뜻하며, 이 지역의 흔한 강풍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라고 설명했다. 알류트족은 전통적으로 땅에 길쭉한 사각형 구덩이를 파서 집을 지었는데, 일반적으로 15m x 6m 크기였다. 구덩이 위에 표류목으로 뼈대를 만들고 잔디로 지붕을 덮은 다음 단열을 위해 흙으로 덮었다.[27] 측면에는 도랑을 파고, 위에 매트를 깔아 깨끗하게 유지했다. 침실은 입구 반대편인 집 뒤쪽에 있었다. 여러 가족이 한 집에 살면서 각자의 구역을 사용했다. 중앙에 벽난로나 모닥불을 피우는 대신 집 안에 등불을 걸어 두었다.5. 3. 생계
알류트족은 사냥과 채집으로 생활했다. 연어, 게, 조개류, 대구를 잡았고,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를 사냥했다. 생선과 해양 포유류는 말리거나 훈제하거나 굽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했다. 카리부, 사향소, 사슴, 무스, 고래 및 기타 여러 종류의 사냥감은 구워 먹거나 나중에 먹도록 저장했다. 열매도 말렸다. 또한 열매, 기름, 생선을 섞은 alutiqqutigaq|알류티쿠티가크ale으로 가공하기도 했다. 고래의 삶은 가죽과 기름은 바다코끼리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별미였다.오늘날 많은 알류트족은 전통적인 지역 식재료를 계속 먹고 있지만, 알래스카에서는 비싼 외국산 가공식품도 구입한다.
5. 4. 예술
알류트족의 전통 예술에는 무기 제작, 바이달카(특수 사냥용 보트) 건조, 직조, 작은 조각상 제작, 의복 제작, 조각, 가면 제작 등이 있다. 19세기 장인들은 정교하고 다채로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화려한 나무 사냥 모자로 유명했는데, 이 모자는 바다사자 수염, 깃털, 바다코끼리 상아로 장식되었다. 슈마긴 제도의 앤드류 그론홀트는 고대 차구닥스(굽은 나무 사냥용 얼굴 가리개) 제작 기술을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알류트족 여성들은 바다표범 창자로 정교하게 꿰맨 방수 파카를 만들고, 바다 갯잔디로 고운 바구니를 짰다. 일부는 호밀풀로 바구니를 짜기도 한다. 알류트족 예술은 알래스카 전역에서 실천되고 가르쳐지고 있으며, 섬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알류트족은 예술 지식을 함께 가져갔다. 또한 실크스크린, 비디오 아트, 설치 미술 등 새로운 재료와 방법이 도입되기도 했다.
알류트족 조각은 각 지역마다 독특하며, 수세기 동안 상인들을 끌어들였다. 역사적으로 남성의 예술이자 지도자의 속성이었던 조각은 오늘날 남녀 모두에게 행해진다. 바다코끼리 상아와 표류목 조각은 주로 사냥 무기 제작의 일부였으며, 바다표범, 고래 등 지역 동물을 묘사한 조각상과 인물상이 제작되었다.[29]
알류트족은 보석과 바늘 등에도 바다코끼리 상아를 사용했다. 보석은 각 부족 지역에 따라 특정한 디자인을 가졌으며, 각 씨족은 기원을 나타내는 고유한 스타일을 지녔다. 보석 장식은 입술, 코, 귀를 뚫거나 목걸이로 사용되었다. 여성들은 자신이 만든 고유한 바늘을 가졌으며, 종종 동물 머리 모양의 세부적인 끝 부분이 있었다.[29]
알류트족 바구니 제작의 주요 방법은 가짜 자수(오버레이)로, 풀이나 갈대 가닥을 기본적인 직조 표면에 겹쳐 플라스틱 효과를 냈다. 바구니 제작은 여성에게만 허용된 예술이었다.[29] 초기 알류트족 여성들은 엄지손톱만을 도구로 사용하여 뛰어난 기술 수준의 바구니와 짠 매트를 만들었다. 오늘날에도 알류트족 직조공들은 고대 전통에 뿌리를 둔 현대 미술 작품인 놀라운 천 같은 질감의 짠 풀 작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작나무 껍질, 바다오리 깃털, 수염판도 바구니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알류트어로 풀 바구니는 qiigam aygaaxsii이다. 알류트족 바구니 제작 교육과 부흥에 기여한 알류트족 지도자 안페시아 샾스니코프의 삶과 업적은 "Moments Rightly Placed"(1998)에 묘사되어 있다.
가면은 신화와 구전 역사의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아트카족은 그들 이전에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땅에 살았다고 믿었고, 고대인들을 묘사한 가면을 만들었다. 크누트 베르그슬란드는 그들의 단어가 "동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가면은 주로 나무로 조각되었고, 열매나 천연 제품으로 만든 페인트로 장식되었으며, 깃털을 삽입하기 위해 구멍을 뚫기도 했다. 가면은 춤, 찬사 등 다양한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각각 고유한 의미와 목적을 가졌다.[29]
5. 4. 1. 시각 예술
알류트족의 전통 예술에는 무기 제작, 바이달카(특수 사냥용 보트) 건조, 직조, 작은 조각상 제작, 의복 제작, 조각, 가면 제작 등이 포함된다. 남성과 여성 모두 상아와 나무를 조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장인들은 정교하고 다채로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바다사자 수염, 깃털, 바다코끼리 상아로 장식될 수 있는 화려한 나무 사냥 모자로 유명했다. 슈마긴 제도의 앤드류 그론홀트(Andrew Gronholdt)는 고대 차구닥스(chagudax) 또는 굽은 나무 사냥용 얼굴 가리개 제작 기술을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알류트족 여성들은 바다표범 창자로 정교하게 꿰맨 방수 파카를 만들고 바다 갯잔디로 고운 바구니를 짰다. 일부 알류트족 여성들은 호밀풀로 바구니를 계속 짜고 있다. 알류트족 예술은 알래스카 전역에서 실천되고 가르쳐지고 있다. 많은 알류트족이 섬에서 알래스카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그들의 예술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갔다. 또한 실크스크린, 비디오 아트, 설치 미술을 포함한 새로운 재료와 방법을 예술에 도입했다.

각 지역마다 독특한 알류트족 조각은 초기 유럽인과 다른 알래스카 원주민을 포함하여 수세기 동안 상인들을 끌어들였다. 역사적으로 조각은 남성의 예술이자 지도자의 속성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남녀 모두가 조각을 한다. 바다코끼리 상아와 표류목 조각은 대부분 사냥 무기 제작의 일부로 만들어졌다. 조각 조각상은 바다표범과 고래와 같은 지역 동물을 묘사한다. 알류트족 조각가들은 인물상도 조각했다.[29]
알류트족은 보석과 바늘과 같이 다른 용도로 바다코끼리 상아를 조각하기도 한다. 보석은 각 민족의 지역에 따라 특정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진다. 각 씨족은 그들의 기원을 나타내는 특정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보석 장식은 입술, 코, 귀를 뚫는 데 사용되었고 목걸이에도 사용되었다. 각 여성은 자신이 만든 고유의 바늘을 가지고 있었는데, 종종 동물 머리의 세부적인 끝 부분이 있었다.[29]
주요 알류트족 바구니 제작 방법은 가짜 자수(오버레이)였다. 풀이나 갈대 가닥을 기본적인 직조 표면 위에 겹쳐서 플라스틱 효과를 얻었다. 바구니 제작은 여성에게만 허용된 예술이었다.[29] 초기 알류트족 여성들은 엄지손톱만을 도구로 사용하여(엄지손톱을 길게 기르고 날카롭게 함) 뛰어난 기술적 수준의 바구니와 짠 매트를 만들었다. 오늘날 알류트족 직조공들은 고대 전통에 뿌리를 둔 현대 미술 작품인 놀라운 천 같은 질감의 짠 풀 작품을 계속 생산하고 있다. 자작나무 껍질, 바다오리 깃털, 수염판도 알류트족이 바구니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이다. 알류트어로 풀 바구니는 qiigam aygaaxsii이다. 알류트족 바구니 제작 교육과 부흥에 기여한 공로로 알래스카 주에서 인정받은 알류트족 지도자는 안페시아 샾스니코프(Anfesia Shapsnikoff)였다. 그녀의 삶과 업적은 "Moments Rightly Placed"(1998)에 묘사되어 있다.
가면은 그들의 신화와 구전 역사의 인물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아트카족은 그들 이전에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땅에 살았다고 믿었다. 그들은 그러한 고대인들을 그들의 언어로 명명된 인간 형태의 생물을 보여주는 가면에 묘사했다. 크누트 베르그슬란드(Knut Bergsland)는 그들의 단어가 "동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가면은 일반적으로 나무로 조각되었고 열매나 다른 천연 제품으로 만든 페인트로 장식되었다. 추가 장식을 위해 구멍을 파서 깃털을 삽입했다. 이러한 가면은 춤에서 찬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각각 고유한 의미와 목적이 있었다.[29]
5. 4. 2. 문신과 피어싱

알류트족의 문신과 피어싱은 그들의 업적뿐만 아니라 종교적 신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신체 예술이 동물의 영혼을 기쁘게 하고 악을 물리칠 것이라고 믿었다. 신체의 구멍은 악령이 들어오는 통로라고 여겨졌다. 코, 입, 귀와 같은 구멍에 피어싱을 함으로써 그들은 악령(khoughkhale)이 자신의 몸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신체 예술은 또한 그들의 아름다움, 사회적 지위, 그리고 영적 권위를 높였다.[30]
19세기 이전에 피어싱과 문신은 알류트족,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매우 흔했다. 코핀과 같은 피어싱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흔했고, 대개 출생 후 며칠 만에 시행되었다. 장식은 나무껍질이나 뼈, 독수리 깃털 샤프트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때때로 성인 여성들은 호박과 산호 조각을 실에 매달아 코핀을 장식했는데, 이 반귀한 물체들은 턱까지 늘어뜨려 장식했다.
귀를 뚫는 것도 흔했다. 알류트족은 조개껍데기(치아 조개 또는 엄니 조개), 뼈, 깃털, 말린 새 날개 또는 두개골 및/또는 호박으로 귀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었다. 새와 관련된 재료는 중요했는데, 새는 영계에서 동물을 보호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수컷은 사냥꾼으로서의 전문성을 과시하기 위해 사자 수염을 귀에 착용했다. 장식적인 이유로, 그리고 때로는 사회적 지위, 명성, 착용자의 나이를 나타내기 위해 알류트족은 아래 입술에 바다코끼리 상아를 뚫고 구슬이나 뼈를 착용했다. 피어싱이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존경받았다.
여성의 문신은 월경 후 신체적 성숙에 도달했을 때, 약 20세에 시작되었다. 역사적으로 남성들은 첫 번째 동물을 사냥한 후 첫 문신을 받았는데, 이는 중요한 통과 의례였다. 때때로 문신은 사회 계급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부유하고 유명한 조상이나 아버지의 딸은 그 조상이나 아버지의 업적을 보여주기 위해 문신에 열심히 매달렸다. 그들은 턱, 얼굴 옆, 코 아래에 다양한 디자인을 새기거나 찔렀다.
5. 4. 3. 의복
알류트족은 세계에서 가장 혹독한 기후 중 하나에서 생활하며 따뜻함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방법을 배웠다. 남성과 여성 모두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파카를 착용했다. 여성은 바다표범이나 해달 가죽으로, 남성은 새 가죽으로 파카를 만들었는데, 날씨에 따라 깃털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하게 했다. 남성들은 물에서 사냥할 때 바다표범이나 바다사자의 창자, 또는 곰, 바다코끼리, 고래의 내장으로 만든 방수 파카를 입었다. 파카에는 후드와 손목 부분을 조일 수 있는 끈이 있어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했다. 남성들은 바다표범의 식도 가죽으로 만든 바지를 입었다. 아이들은 솜털 같은 독수리 가죽으로 만든 파카와 무두질한 새 가죽으로 만든 모자를 착용했다. 알류트어로는 이러한 파카를 kameikas|카메이카스ale라고 불렀는데, 영어로는 '우비'를 의미한다.[32]
바다사자, 물개, 해달은 가장 풍부한 해양 포유류였다. 남성들은 가죽을 가져와 소변에 담가 늘여서 준비했고, 여성들은 바느질을 맡았다. 의류용 창자를 준비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쳤다. 준비된 창자는 안쪽으로 뒤집어졌다. 뼈로 만든 칼을 사용하여 창자 벽에서 근육 조직과 지방을 제거했다. 창자는 잘라서 늘이고 말뚝에 고정하여 말렸다. 그런 다음 잘라서 꿰매어 방수 파카, 가방 및 기타 용기를 만들었다. 어떤 사냥 여행에서는 남성들이 여성 여러 명을 데려가기도 했다. 그들은 새를 잡아 사체와 깃털을 미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그들은 퍼핀(검은머리물떼새, 뿔쇠오리)과 개도도류, 바다오리를 잡았다.
깃털이 달린 검은머리물떼새 40장과 뿔쇠오리 60장의 가죽이 파카 한 벌을 만드는 데 필요했다. 여성은 파카 한 벌을 만드는 데 1년이 걸렸다. 제대로 관리하면 각 파카는 2년 동안 사용할 수 있었다. 모든 파카는 새 깃털, 바다표범과 바다사자의 수염 털, 바다 앵무새의 부리, 새 발톱, 해달 모피, 염색한 가죽, 순록 털 등으로 장식되었다.
여성들은 바닷새의 날개뼈로 바늘을 만들었다. 그들은 다양한 동물의 힘줄과 생선 창자로 실을 만들었다. 얇은 바다표범 창자 조각을 꼬아서 실로 사용할 수도 있었다. 여성들은 손톱을 길게 기르고 날카롭게 갈았다. 그들은 실을 가늘게 쪼개어 머리카락처럼 가늘게 만들 수 있었다. 그들은 주홍색 페인트, 적철광, 문어의 잉크주머니, 그리고 일종의 풀이나 덩굴뿌리를 사용하여 실을 염색했다.
5. 5. 성 역할
러시아 여행객들이 알류트족과 일찍 접촉하면서 ayagigux̂|남성의 몸을 가진, '여성으로 변신한 남자'ale 및 tayagigux̂|여성의 몸을 가진, '남성으로 변신한 여자'ale로 알려진 두 영혼 인물 또는 제3의 성 및 제4의 성 사람들에 대한 전래 이야기를 언급하지만, 이러한 이야기가 역사적 인물에 대한 것인지 영혼에 대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33]5. 6. 사냥 기술
빙하기 이후 알류트족은 표류목과 해양 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생활하면서 해양 포유류 사냥 기술을 발전시켰다. 그들은 해양 포유류의 가죽과 소화 기관으로 만든 후드가 달린 방수복을 입고, 표류목과 해양 포유류 가죽으로 만든 카약을 타고, 표류목과 뼈로 만든 투창 등을 가지고 바다로 나가 해달, 바다표범,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 등을 사냥했다.[36] 사냥한 동물은 지느러미에서 뼈까지 모두 사용했다.5. 6. 1. 배

험준하고 산악 지형인 알류샨 열도의 내륙 지역은 알류트족에게 천연자원을 거의 제공하지 못했다. 바다 포유류를 사냥하고 섬들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알류트족은 항해와 탐색의 전문가가 되었다. 사냥할 때 그들은 바이다르카(baidarkas)라고 불리는 작은 선박을 사용했다. 정기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대형 baidara|바이다라ale를 사용했다.[34]

baidara|바이다라ale는 크고 열린, 바다코끼리 가죽으로 덮인 배였다. 알류트 가족들은 섬들 사이를 이동할 때 이것을 사용했다. 또한 무역을 위한 물품 운송에도 사용되었으며, 전사들은 전투에 이것을 가지고 갔다.[35]
baidarka|바이다르카ale(소형 가죽 배)는 바다사자 가죽으로 덮인 작은 배였다. 그 견고함과 조종성 때문에 사냥을 위해 개발되고 사용되었다. 알류트 baidarka|바이다르카ale는 유픽 카약과 유사하지만 유체역학적으로 더 매끄럽고 빠르다. 그들은 1명 또는 2명만을 위한 baidarka|바이다르카ale를 만들었다. 갑판은 견고한 방으로 만들어졌고, 선체의 측면은 거의 수직이었고 바닥은 둥글었다. 대부분의 1인용 baidarka|바이다르카ale는 길이가 약 약 4.88m이고 너비가 약 50.80cm였으며, 2인용은 평균 길이가 약 약 6.10m이고 너비가 약 60.96cm였다. 알류트 남성들은 바다에서 사냥하기 위해 baidarka|바이다르카ale에서 물 위에 서 있었다.[35]
5. 6. 2. 무기
알류트족은 작은 해양 포유류를 가시가 달린 작살과 투척판에서 던지는 작살을 사용하여 사냥했다. 투척판은 이러한 무기에 정확성과 추가적인 사거리를 제공했다.[36]작살은 뾰족한 머리가 앞쪽 샤프트의 소켓에 느슨하게 맞고 동물에 박히면 머리가 작살에서 분리되어 상처에 남았기 때문에 투척 화살이라고도 불렸다. 알류트족이 사용한 작살에는 세 가지 주요 종류가 있었다. 동물을 찌른 후 머리가 원래 위치를 유지하는 간단한 작살, 관통 후 머리가 동물 내에서 수평 위치를 취하는 복합(토글 헤드) 작살, 그리고 큰 동물을 죽이는 데 사용되는 투척창이었다.[36]
간단한 알류트족 작살은 나무 샤프트, 뼈 앞쪽 샤프트, 그리고 뒤쪽으로 향한 가시가 있는 뼈 머리(팁)의 네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가시가 있는 머리는 앞쪽 샤프트의 소켓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동물을 찌르면 작살의 나머지 부분에서 머리가 분리되었다. 날카로운 가시는 쉽게 관통했지만 뽑을 수 없었다. 뼈 팁은 한편으로 꼬인 끈에 고정되었고, 사냥꾼은 손에 끈의 다른 쪽 끝을 잡았다.[36]
복합 작살은 알류트족의 가장 흔한 무기였다. 토글 헤드 창으로도 알려진 이 작살은 간단한 작살과 크기가 거의 같았고 같은 동물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더 효율적이고 치명적인 무기를 제공했다. 이 작살은 네 부분으로 분리되었다. 가장 긴 부분은 작살 끝에 더 두꺼운 줄기가 있는 샤프트였다. 샤프트는 앞쪽 샤프트의 소켓에 장착되었고, 뼈 고리가 두 조각을 함께 고정하고 나무 샤프트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부에 놓였다. 작살의 앞쪽 샤프트에는 토글 헤드 창 팁이 연결되어 있었다. 이 팁은 동물과 충돌 시 분리되는 두 개의 하위 샤프트로 만들어졌다. 상부 하위 샤프트는 면도칼 돌 머리를 고정하고 작은 꼬인 끈 고리로 하부 하위 샤프트에 연결되었다. 팁이 동물을 관통하면 상부 하위 머리가 샤프트의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되었지만, 여전히 꼬인 고리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머리가 동물의 몸 안에서 수평 위치로 회전하여 사냥꾼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었다.[36]
투척창은 모든 부분이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다는 점에서 작살과 구별될 수 있다. 창은 전쟁 무기였으며, 이미 작살로 찔린 후 큰 해양 동물을 죽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투척창은 일반적으로 나무 샤프트, 뼈 고리 또는 벨트, 그리고 가시가 있는 뼈 머리와 돌 팁으로 만들어진 복합 머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복합 머리의 길이는 사람의 가슴 평면과 등의 거리와 같았다. 창은 가슴을 관통하여 가슴 안을 통과하여 등에서 빠져나왔다. 뼈 고리는 충격 후 부러지도록 설계되어 샤프트를 다른 사냥에 다시 사용할 수 있었다.[36]
5. 7. 매장 풍습
알류트족은 마을 근처에 조상들을 매장했다. 알류시아 열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친 다양한 유형의 매장 유적이 발굴되었다. 알류트족은 지역 환경에 적응하고 죽은 자를 기리는 매장 방식을 발전시켰다. 주요 매장 유형은 umqanale, 동굴 매장, 지상 석관 매장, 그리고 공동 주택과 관련된 매장, 이렇게 네 가지가 있다.Umqanale 매장은 알류시아 열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장례 방식이다. 절벽 가장자리에 주로 위치하는 매장 봉분을 만들었다. 봉분을 보호하고 표시하기 위해 돌과 흙을 덮었다. 이러한 봉분은 1972년 남서부 우나막 섬에서 처음 발굴되었으며 초기 접촉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umqanale 매장이 널리 퍼져 있음을 발견하고 지역적인 장례 방식이라고 결론지었다. 이는 범알류트족 장례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동굴 매장은 알류시아 열도 동부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인골은 동굴 후면의 얕은 무덤에 매장되어 있다. 이러한 동굴은 일반적으로 쓰레기 더미 옆과 마을 근처에 있다. 이러한 매장과 관련된 동굴에서 일부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카나가 섬의 매장 동굴에서는 해체된 배가 발견되었다. 그 주변에서는 다른 중요한 부장품이 발견되지 않았다.
알류시아 열도 전역에서 지상에 있는 석관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석관은 지상에 노출되어 있으며, 죽은 자를 땅에 매장하려는 시도가 없다. 이러한 매장은 성인 남성의 유해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의례 행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니어 제도에서는 유해와 석관이 지표면에 노출된 고립된 무덤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지상 석관 건설 방식은 umqanale 매장과 동굴 매장만큼 흔하지 않지만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
또 다른 방식은 정착지의 공동 주택 옆 지역에 유해를 매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적지에서는 인골이 풍부하게 발견된다. 이는 정착지의 주요 활동 지역 내에 죽은 자를 매장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이러한 매장은 집 옆과 주변에 산재한 작은 구덩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여성과 어린이의 경우 집단 매장이 흔하다. 이러한 장례 방식은 주로 니어 제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네 가지 주요 유형 외에도 알류시아 열도에서는 다른 종류의 매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더 고립된 예에는 미라, 개인 매장 주택, 버려진 주택 등이 포함된다. 현재까지 이러한 예는 더 크고 통합적인 문화적 관행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논의된 발견은 발굴된 유적지에만 해당된다.
다양한 장례 방식에는 다른 문화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광범위한 부장품을 포함하는 의례가 대부분 포함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발견된 유해는 주로 다른 인골과 동물 유해와 함께 발견되었다. 죽은 자를 "동행"하기 위한 물건의 추가는 드물다. 고고학자들은 부장품의 부재를 분석하려고 노력했지만, 그들의 발견은 모호하며 학계가 이러한 관행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죽은 자를 매장하는 의례적 부분에 대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고고학자와 인류학자들은 매장 의례와 관련된 증거를 많이 발견하지 못했다. 이러한 의례적 증거의 부족은 의례화된 의식이 없거나 고고학 기록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의식을 암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고학자들은 특정 경우에 특정 유형의 매장이 사용된 이유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맥락을 해독할 수 없다.
6. 현대 사회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지역 부흥을 위한 연구기관[44]인 후쿠시마 로봇 테스트 필드(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는 2019년 미국령 세인트폴섬의 알류트족 커뮤니티 정부와 드론 비행 시험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45]
6. 1. 일본과의 관계
1783년(덴메이 3년) 1월, 다이고쿠야 코타유 등 일본인 승무원이 탄 "신쇼마루"가 조난을 당해 같은 해 7월 알류샨 열도의 암치트카섬에 표착했다. 이들은 캄차카로 향하기 전까지 4년간 그곳에서 머물렀으며, 당시 상황은 『북차문략』에 기록되어 있다.[43]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지역 부흥을 위한 연구기관[44]인 후쿠시마 로봇 테스트 필드(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 소재)는 2019년 미국령 세인트폴섬의 알류트족 커뮤니티 정부와 드론 비행 시험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45]
7. 저명한 알류트인
- 존 후버 (1919–2011), 조각가
- 칼 E. 모세스 (1929–2014), 사업가, 주 의회 의원 (1965년부터 1973년까지 공화당원 및 민주당원으로 활동)
- 야곱 네츠베토프 (1802–1864), 러시아 정교회 성인이자 사제
- 세르기 소보로프 (1901–1989), 교육자, 알류트어로 iqya-x (모델 해상 카약) 제작자
- 이브 턱, 학자, 원주민 연구
- 올가 마이클 (1916–1979), 동방 정교회 성인이자 마투슈카
- 알류트인 베드로 (1800–1815), 동방 정교회 성인이자 순교자
참조
[1]
웹사이트
Aleut alone
https://archive.toda[...]
US Census Bureau
2018-02-20
[2]
웹사이트
ВПН-2010
https://web.archive.[...]
[3]
EPD
[4]
Youtube
We Are Unangax
https://www.youtube.[...]
2023-05-10
[5]
웹사이트
Unangax̂ (Aleut) & Alutiiq/Sugpiaq
https://www.anchorag[...]
2023-05-10
[6]
웹사이트
List of Federally Recognized Tribes in the Aleut Region
https://ancsaregiona[...]
ANCSA Regional Association
2024-01-11
[7]
웹사이트
Aleuts
https://raipon.info/[...]
Russian Association of Indigenous Peoples of the North
2023-06-20
[8]
웹사이트
Unangam Tunuu/Aleut
https://www.uaf.edu/[...]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9]
논문
The Aleuts and the Pacific Eskimo in the colonial economy of Russian Alaska in the mid 19th century
https://iacsi.hi.is/[...]
2022-11-14
[10]
웹사이트
Aleut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4-02-03
[11]
웹사이트
Unangam Language Pre-contact Tribes and Dialects
http://www.alaskool.[...]
[12]
백과사전
Aleut People
https://www.britanni[...]
2022-06-02
[13]
서적
Aleuts': Noted on their ethnological history (in Russian)
[14]
서적
The Aleuts of the Pribilof Islands, Alaska
Milton M.R. Freeman
2011-04-13
[15]
서적
Seals and Man: A Study of Interaction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6]
웹사이트
Alaskan People: Aleut Native Tribe
http://alaskannature[...]
2015-02-14
[17]
서적
Alaska's Native Peoples
Arctic Circle Enterprises
[18]
서적
Daikokuya Kodayu
Iwanami
[19]
논문
Murder, Massacre, and Mayhem on the California Coast, 1814 –1815: Newly Translated Russian American Company Documents Reveal Company Concern Over Violent Clashes
https://www.nps.gov/[...]
[20]
논문
Murder, Massacre, and Mayhem on the California Coast, 1814 –1815: Newly Translated Russian American Company Documents Reveal Company Concern Over Violent Clashes
https://www.nps.gov/[...]
[21]
웹사이트
Life in the Villag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Island of the Blue Dolphins
2020-02-25
[22]
뉴스
Descendant of last native leader of Alaska island demands Japanese reparations for 1942 invasion
https://www.msn.com/[...]
2024-12-12
[23]
논문
'The Government's Industry': Alaska Natives and Pribilof Sealing during World War II.
[24]
웹사이트
Evacuation and Internment, 1942–1945 – Aleutian World War II National Historic Area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17-06-17
[25]
뉴스
US apologizes for WWII internment of Alaska's Unangan people
https://web.archive.[...]
The Associated Press via Miami Herald
2017-06-17
[26]
웹사이트
The American Indian and Alaska Native Population: 2000 Table 5
https://www.census.g[...]
census.gov
[27]
서적
The Voyages of Captain James Cook
Wordsworth Editions
[28]
웹사이트
BRIT – Native American Ethnobotany Database
http://naeb.brit.org[...]
2021-09-06
[29]
서적
Aleut Art Unangam Aguqaadangin
Aleutian/Pribilof Islands Association
[30]
서적
The Peoples of the Arctic
Chelsea House Publishers
[31]
웹사이트
Kamleika
https://artsandcultu[...]
2019-01-16
[32]
웹사이트
Home
https://aleutcorp.co[...]
2022-12-18
[33]
서적
Pacific Homosexualities
Writers Club Press
[34]
서적
Alaska's Heritage
The Alaska Historical Commission
[35]
서적
Canoes and Kayaks of Western America
Copper Canoe Press
[36]
서적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the Aleutian Islands
University of Utah Press
[37]
웹사이트
Raven a.k.a. Dmitri Ravinoff in Snow Crash
https://www.shmoop.c[...]
2018-01-14
[38]
웹사이트
Aleut alone
https://archive.toda[...]
US Census Bureau
2018-02-20
[39]
웹사이트
ВПН-2010
https://web.archive.[...]
2023-01-30
[40]
서적
カムチャツカ発見とベーリング探検
龍吟社
[41]
서적
先住民族言語のために
草風館
[42]
문서
아류트어
[43]
서적
北槎聞略・大黒屋光太夫ロシア漂流記
岩波書店
[44]
뉴스
浜通り復活のカギ握る ロボットテストフィールド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11-17
[45]
웹사이트
米国セントポール島アレウト族コミュニティ政府と連携協定を締結しました!
https://www.fipo.or.[...]
201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