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레는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1600년까지 베링 해협 주변에서 존재했던 이누이트의 선사 시대 조상이다. 툴레 문화는 올드 베링해, 푸누크, 비르니르크, 고전 툴레, 후기 고전 툴레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다. 이들은 고래 사냥, 개썰매, 우미악, 카약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서부 및 동부 북극으로 확장되었으며, 철과 구리를 사용하고 상업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툴레인들은 북극고래에 크게 의존하여 식량, 연료, 건축 자재를 얻었으며, 유적과 유전학 연구를 통해 툴레 문화의 발전과 도르셋 문화와의 차이점을 밝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하이다족
    하이다족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 콰이에 거주하며 토템 기둥과 포틀래치 문화를 발전시켰고, 18세기 유럽인과의 접촉, 인구 감소, 권리 회복 운동을 거쳐 2024년 하이다 콰이 전체에 대한 토지 소유권을 인정받은 원주민이다.
  • 이누이트 - 타냐 타가크
    타냐 타가크는 이누이트 전통 목 노래를 기반으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캐나다의 이누이트 예술가이자 권리 옹호가이다.
  • 이누이트 - 하겐베크 동물원
    하겐베크 동물원은 1863년 카를 하겐베크 시니어에 의해 설립된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한 동물원으로, 동물 거래와 인간 동물원 운영을 통해 성장했으며, 파노라마 전시 기법 도입과 현재 위치로의 이전을 거쳐 하겐베크 가문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툴레인
기본 정보
툴레 문화 지역
툴레 문화 지역
다른 이름툴레 문화
시기기원후 200년 ~ 1600년
선행도르셋 문화
시베리아의 해안 문화
후행현대 이누이트
지역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문화 지역북극
발견 장소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툴레
특징
특징고래 사냥
개썰매
정교한 도구
유물

아이보리
나무

2. 역사

빅토리아 섬 근처 케임브리지 베이의 툴레 유적


툴레 전통은 약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1600년까지 베링 해협 주변 지역에서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의 사람들은 현대 이누이트의 선사 시대 조상으로 여겨진다.[4] 툴레 문화는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진행된 제5차 덴마크 탐험대에 참여했던 고고학자 테르켈 마티아센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그는 배핀 섬과 북서부 허드슨 만 지역에서 유적을 발굴하고, 이를 약 1000년 전 알래스카에서 시작되어 캐나다 북극 지역으로 퍼져나간 고도로 발달된 에스키모 고래잡이 문화의 증거로 보았다.[5]

툴레 문화 이전에는 올드 베링 해(Old Bering Sea), 푸누크(Punuk), 비르니르크(Birnirk) 단계로 이어지는 발전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문화 집단들은 초기 노턴 전통과 구별되는 '신-에스키모(Neo-Eskimo)' 문화로 분류되기도 한다.[5]

툴레 전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했으며, 여러 단계를 거쳤다. 이들은 동부 북극 지역에서 기존의 도르셋 문화를 대체했다. 툴레인들은 카약우미악(가죽 배)을 사용했으며, 구리를 활용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진보된 작살 기술을 이용해 북극에서 가장 큰 동물인 북극고래를 사냥했다.[6] 툴레 문화는 래브라도 해안과 그린란드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신-에스키모' 문화로 간주된다.

2. 1. 올드 베링해 단계 (기원전 200년 ~ 서기 500년)

올드 베링해 단계(Old Bering Sea, OBS)는 고고학자 다이아몬드 제네스가 처음 정의한 시기이다. 그는 세인트 로렌스 섬과 디오미드 섬에서 원주민들이 발굴한, 깊은 녹청으로 덮인 장식된 상아 작살 머리와 다른 유물들을 근거로 삼았다.[5] 제네스는 이 문화를 고도로 발달한 북동 아시아 기원의 에스키모 문화이며, 툴레 시대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았다.

이 시기 사람들은 뛰어난 해양 적응 능력을 보였는데, 이는 고고학적 증거로도 확인된다. 카약우미악(대형 가죽 배)이 처음으로 고고학 기록에 등장한다.[6] 도구는 뗀석기보다 연마된 슬레이트 유물이 주를 이루었으며, 여기에는 잎 모양 칼, 투사체 머리, 울루 횡날 칼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조잡한 형태의 도자기를 만들었으며, 와 사슴 뿔을 이용해 작살 머리, 다트, 창, 눈 보호 안경, 고래 기름 긁개, 바늘, 송곳, 괭이, 바다코끼 어깨뼈로 만든 눈삽 등 다양한 도구를 제작했다.[6]

사냥 기술에서도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작살에 얼음 괭이를 달아 물개 사냥에 사용했으며, 작살에 연결된 부유물을 부풀리기 위한 상아 마개와 마우스피스를 사용하여 더 큰 해양 포유류를 잡은 뒤 회수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 이들은 생계를 위해 물개와 바다코끼에 크게 의존했다. 올드 베링해 단계의 유물은 도구 표면에 새겨진 예술적인 곡선 점, 원, 짧은 선 장식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6]

오크빅 문화와 올드 베링해 문화의 연대기적 관계는 주로 예술 양식 비교를 통해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 명확히 결론나지 않았다. 일부 학자들은 오크빅 문화를 올드 베링해 단계 이전의 별개 문화로 보기도 하지만, 두 문화 유물의 유사성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가 겹치는 점을 고려할 때, 오크빅과 올드 베링해는 대체로 동시대에 존재하며 지역적 차이를 보이는 문화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5]

2019년의 유전자 분석 연구에 따르면, 약 2,700년에서 4,900년 전 사이에 알래스카에서 고 에스키모와 오션 베이 전통(Ocean Bay traditioneng) 간의 혼혈을 통해 툴레인의 조상이 등장했다. 이 조상 집단이 이후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올드 베링해 문화를 형성했고, 결국 다시 알래스카로 돌아와 후기 문화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7]

2. 2. 푸누크 및 비르니르크 단계 (서기 800년 ~ 1400년)

푸누크 단계는 오래된 베링해 단계의 발전으로, 주요 해협 섬들과 추코트 반도 해안을 따라 분포했다. 푸누크 문화는 1928년 헨리 콜린스에 의해 푸누크 섬 중 한 곳의 약 4.88m 깊이 고분에서 처음 정의되었다. 이후 세인트로렌스 섬에서 진행된 발굴 조사를 통해, 오래된 베링해 문화에서 푸누크, 그리고 현대 에스키모 문화로 이어지는 섬의 지속적인 문화적 계보가 확인되었다.[5]

푸누크 문화는 유물 양식, 가옥 형태, 작살 양식, 고래 사냥 방식 등에서 오래된 베링해 문화와 구별된다. 푸누크 정착지는 이전 시기 마을보다 더 크고 흔하게 발견된다. 가옥은 나무 바닥을 가진 지하의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고래 턱뼈로 구조를 지탱하고 가죽, 흙, 눈으로 덮어 만들었다. 이러한 가옥은 단열 효과가 뛰어나 내부가 잘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8]

푸누크 단계에서는 고래 사냥의 비중이 더욱 커졌다. 사냥꾼들은 우미아크(가죽배)를 사용하여 좁은 얼음 수로뿐만 아니라 가을철의 넓은 바다에서도 고래를 사냥했다. 넓은 바다에서의 고래 사냥은 숙련된 지도력, 전문적인 뱃사공과 사냥꾼으로 구성된 팀, 그리고 여러 척의 배 사이의 협력이 필요했다. 고래 사냥 배의 선장인 우미알리크는 오늘날 북극 지역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지위를 가진다.[6] 도구 제작에서는 뗀석기 대신 갈아서 만든 슬레이트 석기가 주로 사용되었고, 상아로 만든 날개 모양 도구는 삼지창 형태로 바뀌었으며, 조각 작업에는 철제 도구가 사용되었다.[9] 작살 양식은 푸누크 예술과 마찬가지로 이전보다 더 단순하고 표준화된 형태를 보였다. 푸누크 사람들은 갑옷을 만드는 데 사용된 사냥 방식을 개발했으며, 활과 화살 기술도 발전시켰다. 또한 뼈로 만든 손목 보호대, 더욱 강화된 활, 새 사냥용 볼라(돌팔매), 무거운 상아 그물 추, 뭉툭한 형태의 새 사냥용 화살 등이 푸누크 단계에서 새롭게 등장했다.[5]

비르니르크 문화는 알래스카 북부 및 서부 해안 지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비르니르크 문화는 주로 작살 머리와 화살 양식의 점진적인 변화를 기준으로 초기, 중기, 후기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작살 머리는 상아보다 사슴 뿔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초기에는 중앙에 날이 있는 삼지창 형태, 중기에는 양쪽에 날이 있는 이지창 형태, 후기에는 한쪽에만 날이 있는 형태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5]

비르니르크 사람들은 푸누크 및 오래된 베링해 문화와 동일한 사냥 방법과 기술을 사용했지만, 예술 활동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도구나 무기를 장식한 증거는 매우 드물다. 비르니르크 단계에서 발견된 소수의 예술적 표현은 뼈로 만든 노를 이용해 찰흙 냄비 표면에 나선형이나 동심원 무늬를 새긴 정도였다.[6] 그들은 후대에 개 썰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본 디자인의 썰매를 사용했다. 비르니르크 사람들은 주로 해양 포유류를 사냥했으며, 어업과 고래 사냥에도 종사했다.[6] 비르니르크 가옥은 사각형 형태였으며, 벽은 수평으로 놓인 통나무로 만들고 각 모서리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을 세웠다. 침실 공간은 가옥 뒤쪽에 위치했으며, 바닥보다 높게 만들거나 바닥과 같은 높이로 만들었다. 가옥 유적에서는 실내 난로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심하게 부식되고 불에 그을린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야외에서 화로를 광범위하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2. 3. 고전 툴레 단계 (서기 1100년 ~ 1400년)

고고학자 앨런 맥카트니는 서기 1100년부터 1400년 사이에 존재했던 인구 집단을 지칭하기 위해 "고전 툴레(Classic Thul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 시기 동안 동부 툴레 문화는 하이 아틱 지역과 남쪽으로 확산되었다. 툴레인들은 허드슨 해협 해안, 허드슨 만 지역, 폭스 분지 해안을 비롯하여, 현재 캐나다 본토의 매켄지 삼각주에서 멜빌 반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거주했다.

툴레인들은 겨울에는 반지하 형태의 집에서 생활했지만, 여름에는 돌로 가장자리를 두른 가죽 텐트로 이동하여 지냈다. 그들은 유럽인들과 접촉하기 훨씬 이전부터 철을 사용했는데, 서쪽 지역에서는 조각 칼이나 다른 도구를 만드는 데 소량의 철을 활용했다. 철은 주로 운석에서 얻거나 노르드와의 무역을 통해 확보했으며, 툴레인들은 얻은 원철을 직접 가공하여 필요한 도구를 만들었다. 철의 사용은 툴레인들이 나무나 뼈와 같은 더 다양한 재료를 다루어 도구를 제작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안정적인 금속 공급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툴레인들은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전 툴레 유적지에서는 사냥에 사용된 다양한 도구 유물이 발견되었다.[6]

고전 툴레 시기에는 예술 활동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다. 빗과 같은 일상용품에서 약간의 장식을 찾아볼 수 있지만, 대부분 팔다리가 없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인간과 초자연 세계의 관계를 상징하는 매우 단순하고 선적인 디자인이 특징이었다.

2. 4. 후기 고전 툴레 단계 (서기 1400년 ~ 1600년)

후기 고전 툴레 전통은 1400년부터 유럽인과의 접촉 시점까지 이어졌으며, 주로 고래가 드문 지역에서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순록, 물개, 물고기와 같은 다른 생계 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늘어난다.[6] 이러한 정착지들은 고래 이용 빈도가 줄어들고 서쪽으로 이동하며 더 다양한 생계 전략을 사용하는 등 점진적으로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툴레인들의 재분배는 이전 시기의 인구 압박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기후 변화가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14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발생한 소빙기의 시작은 보트 사용을 어렵게 만들고 해당 지역의 고래 수를 감소시켰다. 이로 인해 개방 수역에서의 고래 사냥 기간이 단축되었고, 16세기에는 우미악카약을 이용한 고래 사냥이 북극 지역에서 중단되었다. 1600년 무렵에는 심각한 기후 변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북극을 떠나 그곳을 포기했다.[6] 다만, 개방 수역 근처에 살았던 툴레 에스키모는 기온 감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10] 이 시기에는 구리 이누이트, 네칠릭, 잉글루링무이트(이누이트의 이글루릭 지역 출신)와 같은 새로운 지역 집단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2. 5. 서부 및 동부 북극으로의 확장



서기 900년에서 1100년 사이에 툴레 전통은 서쪽으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거 효율성이 개선되었고, 개썰매, 우미악, 카약의 사용으로 사냥 방법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사냥꾼들은 더 먼 거리를 이동하며 대형 동물과 바다 포유류의 이동 경로를 따라갈 수 있게 되었다.[6] 서기 1000년 이후에는 도구 제작에 다듬은 점판암을 사용하는 방식이 알류샨 열도까지 확산되었고, 도자기 제작 기술 역시 퍼져나가며 남부 알래스카의 노턴 전통을 대체했다.[6]

툴레 전통이 퍼져나간 지역 간에는 차이점도 나타났다. 동쪽 지역의 가옥은 땅에 더 가깝고 둥근 형태였으며, 잠자는 공간으로 돌로 만든 단(platform)을 사용했다. 건물 구조와 지지대는 북극고래의 뼈로 만들어졌다. 동부 지역 사람들은 도자기 대신 연석으로 만든 도구를 선호했고, 썰매를 끌기 위해 를 활용하는 방식을 발전시켰다.[6]

서기 1000년경부터 툴레인들은 동쪽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6] 일부 툴레 집단이 알래스카 북부 및 서부 해안에 정착하는 동안, 다른 집단들은 캐나다 북극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이동하여 그린란드까지 도달했다. 1000년 이전 캐나다 중부 및 동부 북극 지역에는 도르셋 문화 사람들이 살고 있었으나, 몇 세기 안에 서쪽에서 온 툴레 이주민들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었다. 도르셋 문화와 툴레 문화 간의 접촉 증거는 드물며, 두 문화의 교체 과정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5]

툴레인들이 베링 해협 지역을 떠나 이주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고고학자 R. 맥기는 툴레인들이 중요한 식량, 연료, 재료 공급원이었던 북극고래 무리를 따라 이동했을 것이라는 문화 생태학적 모델을 제시했다.[8] 900년에서 1200년 사이 북반구에 나타난 중세 온난기로 인해 북알래스카 해안의 얼지 않은 바다 기간이 길어졌고, 북극고래의 여름 활동 범위가 보퍼트 해와 캐나다 군도까지 동쪽으로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기후 온난화로 유빙이 줄어들면서 북극고래와 이를 사냥하는 툴레인들이 동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을 수 있다.[8]

또 다른 이론으로는 알래스카 내에서의 전쟁이나, 칼과 같은 도구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자원을 찾아 동쪽으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8] 고고학자들은 초기 알래스카 양식의 작살 머리 분포를 통해 툴레인들의 이동 경로를 추적해왔다. 확인된 경로 중 하나는 보퍼트 해 해안과 아문센 만을 따라 이동하여 패리 해협과 스미스 해협을 통해 북극으로 들어가는 경로이며, 다른 하나는 허드슨 만 서쪽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는 경로이다.[8]

3. 문화

툴레인의 문화는 도르셋의 문화와는 상당히 달랐다. 이들은 큰수염고래 사냥에 성공했는데, 이는 대형 보트를 사용했기 때문이며, 개썰매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서 식량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1] 주요 포경 지역에 위치한 툴레 유적지에서는 보통 15채에서 20채의 집이 발견되었고, 한 곳에서는 60채에 달하는 집터가 확인되기도 했다.[12][13] 이렇게 집들이 모여 있는 모습은 이들이 확대 가족 형태로 살았음을 보여주며,[14] 의례를 치르기 위한 공동 구조물도 발견되었다.[11] 또한, 주거지의 크기, 형태, 내부에서 발견되는 유물(포경 장비, 다른 지역에서 온 물품 등)의 차이를 통해 어느 정도 계층화된 사회 구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가족이나 가구 간의 사회적 지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13] 서부 북극 지역에서 소량의 자연 구리가 발견되고, 북서 그린란드에서 온 운석 이 확인되는 점은 툴레 문화 내에 무역 네트워크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5]

4. 도구

툴레 전통의 여러 단계는 도구와 예술 제작의 서로 다른 스타일로 구분된다.[6] 후기 단계인 푸누크와 비르니르크는 고고학적 기록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전 단계보다 더 널리 퍼지고 오래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6] 툴레인은 운송 및 사냥 기술과 도구의 기술적 발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작살은 고래잡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툴레인은 여러 종류의 작살 촉을 고래 뼈로 만들었다. 그들은 또한 더 큰 먹이를 사냥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팽창식 작살 밧줄 부유물을 만들었다.[16]
철의 사용은 툴레 문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툴레인들은 유럽인들과 접촉하기 훨씬 전부터 철을 사용했는데, 서쪽 지역에서는 조각 칼과 다른 도구를 만드는 데 소량 사용되었다. 철은 케이프 요크 운석과 같은 운석 자원이나 노르드와의 무역을 통해 얻었으며,[17][18] 툴레인들은 이 원철을 가공하여 직접 도구를 만들었다. 철의 도입으로 더 다양한 재료를 다룰 수 있게 되어 나무와 뼈로 만든 도구 제작이 늘어났지만, 금속의 꾸준한 공급 부족은 문제점으로 남았다.[6]
단계별 도구 특징:


  • 푸누크 단계: 이 시기에는 뗀석기 도구가 갈린 슬레이트로 대체되었고, 상아 날개 도구는 삼지창으로 바뀌었으며, 조각에는 철제 도구가 사용되었다.[9] 작살 양식은 이전보다 더 단순하고 표준화되었다. 갑옷을 만드는 데 사용된 사냥 방식과 활과 화살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뼈로 만든 손목 보호대, 강화된 활, 새 사냥용 볼라, 무거운 상아 그물 추, 뭉툭한 새 화살 등이 새롭게 등장했다.[5]
  • 비르니르크 단계: 비르니르크 사람들은 푸누크 및 오래된 베링해 문화와 동일한 사냥 방법과 기술을 사용했지만, 도구나 무기 장식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6] 작살 머리는 상아보다 사슴 뿔로 더 자주 만들어졌으며, 시기에 따라 중앙에 날이 있는 삼지창 형태에서 이지창, 후기에는 단일 측면에 날이 있는 형태로 점차 변화했다.[5] 그들은 나중에 개 썰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본 디자인의 썰매를 사용했다.[6]
  • 고전 툴레 단계: 고전 툴레 유적지에서는 사냥에 사용된 수많은 유물이 발견되어 툴레인들의 높은 기술 숙련도를 보여준다.[6]

5. 생계

레졸루트, 누나부트의 고대 툴레 주택 건설에 사용된 고래뼈


툴레인의 문화는 도르셋 문화와 여러 면에서 달랐는데, 특히 생계 방식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들은 개썰매와 대형 보트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에서 식량을 구했으며, 특히 큰수염고래 사냥에 능숙했다.[11]

고전 툴레 전통 시기 사람들은 주로 북극고래에 의존하여 생활했다. 북극고래는 헤엄치는 속도가 느리고 물 표면 가까이에서 잠을 자는 습성이 있어 사냥하기에 비교적 용이했다. 툴레인들은 북극고래를 사냥하여 많은 양의 고기를 식량으로 얻었으며, 고래기름은 등불을 밝히고 음식을 조리하는 연료로 사용했다. 또한 고래의 뼈는 집과 같은 구조물을 짓거나 도구를 만드는 데 중요한 재료가 되었다.[12][13]

툴레인들은 고래를 잡을 때 공동체적인 협력을 중요하게 여겼다. 한 사람이 작살로 고래를 맞히면, 다른 사람들이 부표를 던져 고래가 가라앉지 않게 하고, 힘을 합쳐 고래를 육지로 끌어올렸다. 이후 고래를 해체하여 공동체 전체가 고기를 나누어 가졌다. 이러한 협동과 공유의 문화는 툴레인들이 혹독한 북극 환경에서 번성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주요 포경 지역 외에 살았던 툴레인들은 주로 물고기, 다른 대형 해양 포유류, 그리고 순록 등을 사냥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툴레인들은 발전된 운송 기술 덕분에 더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다양한 식량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툴레인들은 사냥한 동물의 거의 모든 부분을 버리지 않고 활용하는 데 뛰어난 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자원 활용 능력은 점차 발전하는 도구 제작 기술 및 운송 수단과 결합하여 툴레 사회가 번영하는 데 기여했다.

북극의 추운 기후 덕분에 툴레 유적지에서는 동물의 뼈와 같은 유물들이 매우 잘 보존되어 발견된다.[19] 이는 당시 툴레인들의 생활 모습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한편, 서부 북극 지역에서 소량의 자연 구리가 발견되고, 북서 그린란드에서 운석에서 유래한 이 발견되는 것은 툴레 문화 내에 교역 네트워크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5]

6. 유적 및 연구

툴레 문화에 대한 주요 고고학 연구 프로젝트는 토르가트 고고학 프로젝트, 서머셋 섬, 클라찬 유적, 대관식 만, 넬슨 강, 배핀 섬, 빅토리아 섬, 벨 유적, 데본 섬 – QkHn-12, 케이프 요크 등 여러 유적에서 진행되었다.

7. 유전학

2014년 8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는 서기 1050년경에서 1600년경 사이에 매장된 다수의 툴레인 유적을 조사했다. 조사된 툴레인들은 압도적으로 모계 A2a에 속했으며, A, A2b, D3a2a 하플로그룹도 일부 발견되었다.[23] 이 연구를 통해 툴레인이 시베리아의 비르니르크 문화에서 유래했으며, 캐나다 북부와 그린란드의 선주민이었던 도르셋 문화 사람들과는 유전적으로 매우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 도르셋 문화는 1300년경 툴레인에 의해 문화적으로나 유전적으로 완전히 대체되었다.[23] 또한, 이 연구에서는 툴레인과 그린란드 노르드인 사이의 유전적 혼합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23]

참조

[1] 웹사이트 Thule http://www.dictionar[...]
[2] 백과사전 Thule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1989-01-01
[3] 백과사전 Thule Culture http://www.thecanadi[...] Historica Canada 2015-04-03
[4] 웹사이트 Thule Tradition http://anthropology.[...]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Waterloo
[5] 서적 The Ruin Islanders: Early Thule Culture Pioneers in the Eastern High Arctic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1989-01-01
[6] 서적 Ancient North America: The Archaeology of a Continen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05-01-01
[7] 논문 Palaeo-Eskimo genetic ancestry and the peopling of Chukotka and North America 2019-01-01
[8] 웹사이트 Thule Whalebone House http://www.habicurio[...] 2008-01-01
[9] 학술지 Eskimo prehistory in the vicinity of Point Barrow, Alaska http://digitallibrar[...] 1959-01-01
[10] 학술지 Thule Eskimo Whaling in the Central Canadian Arcti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01-01
[1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rchaeolog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1
[12] 학술지 Demography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organization from Thule wintering sites in Arctic Canada 1999-01-01
[13] 서적 Beyond Foraging and Collecting: Evolutionary Change in Hunter-Gatherer Settlement Systems Springer US 2002-01-01
[14] 서적 Hunter-gatherers of the North Pacific Rim: papers presented at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nting and Gathering Societies (CHAGS 8), Aomori and Osaka, October 1998 https://muse.jhu.edu[...]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2003-01-01
[15] 서적 Metals in Society: Theory Beyond Analysis https://www.penn.mus[...] MASCA, The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1-01-01
[16] 웹사이트 Thule Culture | Museum | Museum of the North https://www.uaf.edu/[...]
[17] 보고서 The cultural history of the Innaanganeq/Cape York meteorite https://now.ku.dk/do[...] The Greenland National Museum & Archives
[18] 학술지 New Respect for Metal's Role in Ancient Arctic Cultures
[19] 학술지 Thule Eskimo Bowhead Whale Interception Strategies Taylor & Francis 1999-02-01
[20] 웹사이트 Thule http://www.dictionar[...]
[21] 백과사전 Thule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1989-01-01
[22] 백과사전 Thule Culture http://www.thecanadi[...] Historica Canada 2015-04-03
[23] 논문 The genetic prehistory of the New World Arcti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4-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