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펠로데스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펠로데스모스는 벼과 포아풀아과에 속하는 암펠로데스모스족의 유일한 속이다. 포아풀아과는 담상이삭풀족, 나르두스상족, 산기장족, 브릴키니아족, 쌀새족, 나래새족, 용수염족, 핵심 포아풀아과, 보리상족 등으로 분류된다. 나르두스상족은 리게움족과 나르두스족을 포함하며, 핵심 포아풀아과에는 숲개보리족, 포아풀족, 용수염족 등이 속한다. 보리상족에는 리틀레달레아족, 참새귀리족, 보리족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기재된 식물 - 복사나무아속
복사나무아속은 복사나무, 개복숭아, 아몬드, 풀또기 등을 포함하는 복사나무속의 하위 분류군으로, 러시아아몬드, arabica, argentea를 비롯한 다양한 종과 변종을 포함한다. - 1894년 기재된 식물 - 능소화
능소화는 중국 원산의 덩굴성 낙엽 관목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주황색 나팔 모양의 꽃을 피우며, 덩굴이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가는 특성을 가지는 식물이다. - 포아풀아과 - 맥류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로,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이 있으며 식용, 사료용, 목초, 잡초 등으로 활용된다. - 포아풀아과 - 참새귀리속
참새귀리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풀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약 100종의 식물군이다. - 리비아의 식물상 - 딜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리비아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암펠로데스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Ampelodesmos mauritanicus |
학명 명명 | (Poir.) T.Durand & Schinz, 1894 |
이명 | Ampelodesmos ampelodesmos (Cirillo) Kerguélen Ampelodesmos bicolor (Poir.) Kunth Ampelodesmos effusus Steud. Ampelodesmos festucoides (Desf.) Steud. Ampelodesmos mauritanicus var. bicolor (Poir.) Fiori Ampelodesmos tenax (Vahl) Link Ampelodonax bicolor (Poir.) Lojac. Arundo ampelodesmos Cirillo Arundo bicolor Poir. Arundo biflora Lam. Arundo festucoides Desf. Arundo festucoides f. grandiflora Pau Arundo mauritanica Poir. Arundo pliniana var. mauritanica (Poir.) Parl. Arundo tenax Vahl Avena festucoides (Desf.) Raspail Calamagrostis bicolor J.F.Gmel. Deyeuxia arundinacea P.Beauv. Donax ampelodesmos Schult. Donax bicolor (Poir.) P.Beauv. Donax festucoides (Desf.) P.Beauv. Donax mauritanicus (Poir.) P.Beauv. Donax tenax (Vahl) P.Beauv. Festuca elatior Ucria Stipa mauritanica (Poir.) Columbus & J.P.Sm.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암펠로데스모스족 Ampelodesmeae |
족 명명 | Tutin, 1978 |
속 | 암펠로데스모스속 Ampelodesmos |
속 명명 | Link, 1827 |
2. 계통 분류
암펠로데스모스 속이 속하는 암펠로데스모스족(Ampelodesmeae)은 벼과 포아풀아과 내의 한 분류군이다.[10]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암펠로데스모스족은 나래새족(Stipeae)과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지며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10] 이 분기군은 다시 브릴키니아족(Brylkinieae) 및 쌀새족(Meliceae) 그룹과 자매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10] 포아풀아과 전체 계통 내에서 이들 그룹은 산기장족(Diarrheneae) 보다는 나중에, 그리고 용수염족(Stipeae) 및 핵심 포아풀아과 그룹보다는 먼저 분기한 것으로 여겨진다.[10]
2. 1. 주요 분지군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여러 분기군으로 나뉜다.[10] 초기 분기군으로는 담상이삭풀족이 가장 먼저 갈라져 나온다.[10] 이후 나르두스상족이 분기하며, 여기에는 리게움족과 나르두스족이 속한다.[10]다음으로는 산기장족, 브릴키니아족, 쌀새족, 암펠로데스모스족, 나래새족 등이 순차적으로 분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0]
이후 분기하는 그룹부터는 핵심 포아풀아과로 묶이기도 하는데, 용수염족이 먼저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숲개보리족이 갈라져 나온다.[10] 핵심 포아풀아과 내에서 가장 큰 그룹 중 하나인 포아풀족이 다음으로 분기하며, 마지막으로 보리상족 그룹이 분기한다.[10] 보리상족에는 리틀레달레아족, 참새귀리족, 그리고 보리족 등이 포함된다.[10]
2. 1. 1. 나르두스상족
나르두스상족은 포아풀아과 내에서 담상이삭풀족 다음으로 분기하는 분류군이다.[10] 이 상족은 다음 두 족을 포함한다.[10]2. 1. 2. 핵심 포아풀아과
핵심 포아풀아과는 포아풀아과 내의 주요 분기군이다.[10] 계통학적으로 용수염족이 먼저 분기하고, 나머지 그룹 내에서 숲개보리족이 분기하며, 이후 포아풀족과 보리상족 그룹이 분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0] 이 분기군에 포함되는 주요 족과 대표적인 속은 다음과 같다.- 용수염족 (Stipeae): 용수염속(Stipa) 등을 포함한다.[10]
- 숲개보리족 (Brachypodieae): 숲개밀속(Brachypodium) 등을 포함한다.[10]
- 포아풀족 (Poeae): 포아풀속(Poa) 등을 포함한다.[10]
2. 1. 3. 보리상족
보리상족은 포아풀아과 내의 상족(supertribe) 분류군이다.[10] 계통학적으로 리틀레달레아족과 자매군 관계에 있으며, 이 둘은 다시 참새귀리족과 보리족을 포함하는 분기군과 자매군을 이룬다.[10]- 리틀레달레아족(Littledaleeae): 리틀레달레아속(*Littledalea*)을 포함한다.[10]
- 참새귀리족(Bromeae): 참새귀리속(*Bromus*) 등을 포함한다.[10]
- 보리족(Triticeae): 보리속(*Hordeum*), 밀속(*Triticum*), 호밀속(*Secale*), 귀리속(*Avena*) 등 인류에게 중요한 여러 곡물 속을 포함한다.[10] 특히 보리와 밀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주요 식량 자원으로 이용된다.
2. 2. 기타 분지군
포아풀아과 내에서 핵심 포아풀아과 그룹(포아풀족, 보리족 등)이 분기하기 이전에 갈라져 나온 주요 족들은 다음과 같다.[10]참조
[1]
간행물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978
[2]
서적
Hortus Regius Botanicus Berolinensis
1827
[3]
서적
Conspectus Florae Africae
1894
[4]
웹인용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including synonyms, morphology, anatomy, physiology, phytochemistry, cytology, classification, pathogens, world and local distribution, and references
http://delta-intkey.[...]
2009-08-19
[5]
간행물
Bulletin de la Société Botanique de France
1976
[6]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7]
웹사이트
Jepson Manual Treatment
http://ucjeps.berkel[...]
[8]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Profile
http://plants.usda.g[...]
[9]
웹사이트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Document Repository, The role of ''Ampelodesmos mauritanicus'' and fibre plants in central Italy
http://www.fao.org/d[...]
[10]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