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압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승은 선거에서 특정 후보나 정당이 경쟁자를 큰 표 차이로 이기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총선이나 지방선거에서 한 정당의 승리가 두드러질 때 압승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는 선거인단 과반수를 확보할 경우 압승으로 간주하며, 영국에서는 원내 과반 의석을 크게 확보하거나, 유권자들의 지지 정당 변화가 클 경우 압승으로 표현한다. 압승은 다양한 국가에서 발생하며,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거 - 연립정부
    연립 정부는 여러 정당이 연합하여 정부를 구성하고 정책 목표를 설정하며, 정치적 안정성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책임 소재 불명확성, 정책 결정 지연 등의 단점을 갖는 형태이다.
  • 선거 - 예비선거
    예비선거는 유권자들이 각 정당의 후보를 지명하는 절차로, 당원만 참여하는 폐쇄형, 모든 유권자가 참여하는 개방형, 그리고 준폐쇄형/준개방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미국에서는 대통령 예비선거, 유럽에서는 정당 자체의 주도로 진행된다.
  • 정치 용어 - 킹메이커
    킹메이커는 직접 권력을 행사하지 않고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정치 지도자를 등극시키는 인물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게임 이론에서는 다른 플레이어의 승패를 결정하고, 현대 정치에서는 정부 수반의 인사권을 통해 권력을 행사한다.
  • 정치 용어 - 단일쟁점정치
    단일쟁점정치는 낙태, 세금, 환경, 총기 등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 선거 제도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압승
지도
개요
정의선거에서 특정 후보나 정당이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하는 결과
특징일반적으로 투표자 대다수가 특정 후보나 정당에 지지를 보내는 현상을 반영
발생 원인특정 이슈에 대한 유권자의 강력한 지지
특정 후보나 정당에 대한 높은 인기
경쟁 후보나 정당의 약점이나 실책
유권자들의 특정 정치 성향
정치적 의미선거 승리 정당이나 후보에게 강력한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
정책 추진에 대한 지지 기반을 강화
기존 정치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 표출
역사적 사례
미국1936년 대통령 선거: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523 대 8로 압승
1964년 대통령 선거: 린든 B. 존슨이 486 대 52로 압승
1972년 대통령 선거: 리처드 닉슨이 520 대 17로 압승
1984년 대통령 선거: 로널드 레이건이 525 대 13으로 압승
영국1945년 총선: 노동당이 압승
1997년 총선: 노동당이 압승
2019년 총선: 보수당이 압승
캐나다1984년 총선: 진보보수당이 압승
대한민국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이승만 대통령이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
2020년 대한민국 총선: 더불어민주당이 압승
기타 국가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니콜라 사르코지가 압승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에마뉘엘 마크롱이 압승
2023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압승
효과 및 결과
정치적 안정강력한 지지를 받은 정부는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 가능
정책 변화압승은 급진적인 정책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야당 약화야당은 영향력을 잃고 정치적 입지가 축소될 수 있음
유권자 영향유권자는 자신의 선택이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는 데 만족감을 느끼거나, 소외감을 느낄 수 있음
사회적 영향사회적 분열을 심화시킬 수 있음
관련 용어
선거 승리선거에서 승리하는 일반적인 의미
박빙 승리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는 경우
과반수 득표전체 투표 수의 절반 이상을 얻는 것
과반수 의석전체 의석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
추가 정보
분석선거 압승을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과 결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

2. 각국의 사례


  • 2008 브리즈번 시의회 선거 – 자유당이 노동당을 상대로 압승을 거두었다. 캠벨 뉴먼은 브리즈번 시장에 66.1%의 결선 투표 득표율로 재선되었다.[7] 자유당은 26개 선거구 중 16개를 차지했다.
  • 2021 맨두라 시의회 선거 – 라이스 윌리엄스는 85%의 득표율로 맨두라 시장에 재선되었다.[8]


'''주 및 준주 선거:'''

  • 2021 서호주 주 선거 – 마크 맥고완이 이끄는 노동당이 하원 59석 중 53석을 차지했다. 노동당은 59.92%의 1차 득표율과 69.68%의 결선 투표율을 기록했다. 국가당은 4석, 자유당은 2석을 차지하여 국가당이 제1야당이 되었다.[9][10]

노동당의 2021 서호주 주 선거 압승을 보여주는 지도. 노동당이 차지한 의석은 빨간색, 자유당이 차지한 의석은 파란색, 국가당이 차지한 의석은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 2011 뉴사우스웨일스 주 선거 – 배리 오패럴이 이끄는 자유-국민 연합이 크리스티나 케널리가 이끄는 노동당 정부를 꺾고 결선 투표 득표율 64.22%로 압승을 거두었다. 새 정부는 뉴사우스웨일스 주의회 93석 중 69석을 차지했다.
  • 1978 뉴사우스웨일스 주 선거 – 네빌 워랜이 이끄는 노동당이 57.77%의 1차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바베이도스'''

  • 1986년 바베이도스 총선 – 에롤 배로가 이끄는 민주노동당이 하원 27석 중 24석(59.45%)을 획득했다.
  • 1999년 바베이도스 총선 – 오웬 아서 총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중 28석(64.87%)을 획득했다.
  • 2018년 바베이도스 총선 – 미아 모틀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전석(74.6%)을 획득했다.
  • 2022년 바베이도스 총선 – 미아 모틀리 총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전석(69.0%)을 획득했다.


'''브라질'''

1998년 FHC의 압승을 보여주는 지자체별 지도

  • 199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 PSDB 후보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가 5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9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 PSDB 후보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가 53%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2010년 페르남부쿠 주지사 선거 – 후보 에두아르두 캄푸스가 82.8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캐나다'''

1940년 연방 선거에서 주별 투표 결과 지도는 자유당의 압승 규모를 보여준다.


1984년 연방 선거에서 주별 투표 결과 지도는 진보보수당의 압승 규모를 보여준다.

  • 1935년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총선 – 월터 리가 이끄는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자유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1987년 뉴브런즈윅 총선 – 프랭크 맥케나가 이끄는 뉴브런즈윅 자유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2001년 브리티시컬럼비아 총선 – 고든 캠벨이 이끄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유당이 두 의석을 제외한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1973년 퀘벡 총선 – 로베르 부라사가 이끄는 퀘벡 자유당이 110석 중 102석을 차지했다.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전역의 결과: 파란색 군은 투지만에게, 이스트리아 군(노란색 표시)은 고토바츠에게 투표했다.

  • 1997년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 – 프라뇨 투지만이 61%가 넘는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도미니카'''

  • 1980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자유당(Dominica Freedom Party)이 21석 중 17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51.34%를 기록했다.
  • 2009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8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61.13%를 기록했다.
  • 2019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8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61.34%를 기록했다.
  • 2022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9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58.95%를 기록했다.


'''피지'''

  • 1999년 – 마헨드라 차우드리가 이끄는 피지 노동당이 의회 71석 중 37석을 차지했다.[12]
  • 2014년 – 프랭크 바이니마라마가 이끄는 피지퍼스트가 압승을 거두었다.[13][14]


'''핀란드'''

  • 1978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 우르호 케코넨이 득표율 82.41%, 선거인단 300명 중 260명의 지지를 얻어 승리했다.
  • 2018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 사울리 니니스퇴 현 대통령이 62.6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프랑스'''

  • 1968년 – 공화당 연합(UDR)이 487석 중 354석을 차지했다.
  • 1981년사회당(PS)이 481석 중 269석을 차지했다.
  • 1993년 – 공화를 위한 집회(RPR)와 프랑스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UDF)이 577석 중 485석(84%)을 차지했다.
  • 2002년자크 시라크가 82.1%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2017년에마뉘엘 마크롱이 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2023년 – 야당 타비니 후이라아티라(Tāvini Huiraʻatira)가 38석을 획득했다.


'''그레나다'''

  • 1999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62.5%를 기록했다.
  • 2013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58.7%를 기록했다.
  • 2018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58.9%를 기록했다.


'''홍콩'''

  • 1991년 – 민주 진영이 직선으로 선출되는 18개의 지역구 의석 중 16석을 차지했다.
  • 1995년 – 민주 진영이 직선으로 선출되는 20개의 지역구 의석 중 16석을 휩쓸었다.
  • 2021년 – 친중 진영이 입법회 90석 중 89석을 차지했다.
  • 2019년 – 민주 진영이 18개의 지역위원회 중 17개를 장악하며, 의석 수가 약 124석에서 389석으로 3배 증가했다.


'''헝가리'''

  • 2010년 – 피데스-크리스티안민주연합(Fidesz–KDNP)이 386석 중 262석을 차지했다.
  • 2022년 – 피데스-크리스티안민주연합(Fidesz–KDNP)이 199석 중 135석을 차지했다.


'''아일랜드'''

1977년 아일랜드 총선에서 피아나 파일은 148석 중 84석을 차지하여 전체 1순위 선호 투표의 50.6%를 획득했다.

'''이탈리아'''

  • 2005년 이탈리아 지방 선거 – 중도좌파 연합인 연합이 해당 연도 선거를 치른 14개 지역 중 12개 지역에서 대통령직을 획득했다.
  • 2020년 베네토주 지방 선거 – 루카 자이아(Lega)가 76.7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자메이카'''

  • 1983년 자메이카 총선 – 에드워드 시가 총리가 이끄는 자메이카 노동당이 자메이카 의회 하원의 60석을 모두 차지하고 득표율 89.7%를 기록했다.
  • 2011년 자메이카 총선 – 포샤 심프슨-밀러가 이끄는 국민당(PNP)이 42석을 확보했다.[15]
  • 2020년 자메이카 총선 – 앤드루 홀니스가 이끄는 자메이카 노동당이 의회에서 압도적 다수당을 차지하며 재선에 성공했다.[16]


'''말레이시아'''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 결과. 파란색 지역은 국민전선(Barisan Nasional)이 승리한 선거구임.

  •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 – 국민전선(BN)이 하원 219석 중 198석(득표율 63.8%)을 차지했다.


'''멕시코'''

'''모나코'''

  • 1968년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에서 18석을 차지했다.
  • 1978년부터 1988년까지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 1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98년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 18석을 모두 차지했다.
  • 2023년 – 모나코 국민연합(Monegasque National Union)이 국민의회 24석을 모두 차지했다.


'''뉴질랜드'''

  • 1893년 – 자유당이 51석과 득표율 57.8%를 얻었다.[18]
  • 1899년 – 자유당이 49석과 득표율 52.7%를 얻었다.[18]
  • 1905년 – 자유당이 58석과 득표율 53.1%를 얻었다.[18]
  • 1925년 – 개혁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35년 – 노동당이 53석을 얻었다.[18]
  • 1938년 – 노동당이 53석을 얻었다.[18]
  • 1972년 – 노동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75년 – 국민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84년 – 노동당이 56석을 얻었다.[18]
  • 1990년 – 국민당이 67석을 얻었다.[18]
  • 2002년 – 노동당이 52석을 얻었다.[19]
  • 2011년 – 국민당이 59석을 얻었다.
  • 2014년 – 국민당이 60석을 얻었다.[20]
  • 2020년 – 노동당이 65석을 얻었다.[21]


'''파푸아뉴기니'''

  • 2007년 – 국가동맹당이 국회 109석 중 27석을 차지했다.
  • 2022년 – 팡구 파티(Pangu Pati)가 국회 113석 중 39석을 차지했다.


'''파라과이'''

'''필리핀'''

라몬 마그사이사이(연한 녹색)의 1953년 압승

  • 1897년 –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57%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35년 – 마누엘 케손이 68%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86%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41년 – 마누엘 케손이 8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9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53년 – 라몬 마그사이사이가 6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63%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81년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8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98년 – 조셉 에스트라다가 4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주요 상대 후보인 호세 데 베네시아는 16%를 득표했다. 데 베네시아의 러닝메이트인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거의 5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2022년 – 봉봉 마르코스가 5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사라 두테르테는 62%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상원'''

  • 194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상원 의석 24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49년 – 자유당이 경쟁한 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5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경쟁한 9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55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경쟁한 9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87년 – 라카스 낭 바얀이 24석 중 22석을 차지했다.
  • 2019년 – 여당인 후궁 낭 파바고가 경쟁한 12석 중 9석을 차지했다.


'''하원'''

  • 1907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0석 중 59석을 차지했다.
  • 1938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9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4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95석을 차지했다.
  • 1957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2석을 차지했다.
  • 1969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8석을 차지했다.
  • 1978년 – 킬루상 바궁 리푸난이 150석을 차지했다.


'''포르투갈'''

;입법부 선거

1991년 사회민주당의 압승을 보여주는 지역구 지도


2022년 사회당의 압승을 보여주는 지역구 지도

  • 1979년 – 프란시스쿠 사 카르네이루가 이끄는 민주동맹(AD)은 250석 중 128석(득표율 45.3%)을 차지했다.
  • 1980년 – 프란시스쿠 사 카르네이루가 이끄는 민주동맹(AD)은 250석 중 134석(득표율 47.6%)을 차지했다.
  • 1987년 – 카바쿠 실바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250석 중 148석(득표율 50.2%)을 차지했다.
  • 1991년 – 카바쿠 실바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230석 중 135석(득표율 50.6%)을 차지했다.
  • 2005년 – 주제 소크라테스가 이끄는 사회당은 230석 중 121석(득표율 45%)을 차지했다.
  • 2022년 – 안토니우 코스타가 이끄는 사회당은 230석 중 120석(득표율 41.4%)을 얻었다.


;대통령 선거

  • 1976년 – 안토니우 람알료 에아니스가 전체 득표율의 61.6%를 얻었다.
  • 1991년 – 마리우 소아리스는 전체 득표율의 70.3%를 얻었다.
  • 2006년 – 아니발 카바쿠 실바는 1차 투표에서 50.5%의 득표율을 얻었다.
  • 2011년 – 아니발 카바쿠 실바는 전체 득표율의 53%를 얻었다.
  • 2016년 – 마르셀루 레벨루 드 소우자는 1차 투표에서 52%의 득표율을 얻었다.
  • 2021년 – 마르셀루 레벨루 드 소우자는 전체 득표율의 60.6%를 얻어 재선되었다.


;아소르스 제도 지역 선거

  • 1980년 – 모타 아마랄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43석 중 30석(득표율 57.4%)을 차지했다.
  • 1984년 – 모타 아마랄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43석 중 28석(득표율 56.4%)을 차지했다.


;마데이라 지역 선거

알베르투 주앙 자르딤은 사회민주당(PSD) 소속으로 1978년부터 2015년까지 마데이라 자치 지역의 대표를 역임했다.

마데이라에서 사회민주당의 압승
년도PSD 득표율
두 번째로 많은 표를 얻은 정당
정당명득표율득표율 차이
1976년59.6%사회당22.3%37.3%
1980년65.3%사회당15.0%50.3%
1984년67.8%사회당15.3%52.5%
1988년62.3%사회당16.8%45.5%
1992년56.9%사회당22.6%34.3%
1996년56.9%사회당24.8%32.1%
2000년56.0%사회당21.0%35.0%
2004년53.7%사회당27.4%26.3%
2007년64.2%사회당15.4%48.8%
2011년48.6%민주사회중앙당17.6%31.0%
2015년44.4%민주사회중앙당13.7%30.7%



'''사모아'''

2006년 사모아 총선 결과(선거구별)

  • 2006년 – 인권보호당이 33석을 차지했다.[22]
  • 2016년 – 인권보호당이 사모아 입법회 49석 중 35석을 차지했다.[23]


'''슬로바키아'''

2012년 슬로바키아 의회 선거에서 방향-사회민주주의당의 압승

  • 2012년 – 방향-사회민주주의당(Smer-SD)이 150석 중 83석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스페인'''

2. 1. 대한민국

대통령제 국가인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 선거에서 어느 한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를 보인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압승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으며, 그 대신 총선이나 지방선거에서 한 정당의 승리가 압도적일 때 압승이라는 표현을 쓴다.

2. 2. 미국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압승은 특정 후보가 선거인단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할 때 발생한다.

다음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압승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압승을 거두었다.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린든 B. 존슨이 압승을 거두었다.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리처드 닉슨이 압승을 거두었다.


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로널드 레이건이 압승을 거두었다.

2. 3. 영국

의원내각제 국가인 영국에서는 원내 과반 의석수를 넉넉히 달성한 경우와, 한 정당에서 다른 정당으로 표심이 크게 선회한 경우를 압승이라고 표현한다. 보통 한쪽 정당의 정부가 오랫동안 집권해 온 뒤 유권자들의 피로감이 발생하여 정권 교체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일 때 선거 결과가 압승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보통선거 도입 이후 영국 의회에서 단일 정당이 거둔 최대 압승은 1997년 영국 총선에서 토니 블레어의 영국 노동당이 거둔 179석의 다수당이다.

'''주목할 만한 압승 선거 결과'''

  • 1841년 영국 총선 - 로버트 필이 윌리엄 램을 누르고 원내 의석수에서 압승을 거뒀다.
  • 1906년 영국 총선 - 헨리 캠벨배너먼이 이끄는 영국 자유당이 아서 밸푸어의 보수당을 누르고 압승을 거뒀다. 보수당은 지난 선거보다 의석수가 절반으로 준 것은 물론 밸푸어 대표 본인도 맨체스터이스트 선거구에서 패배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해 총선은 전국적으로 자유당으로의 표심 선회가 두드러졌으며, 보수당에서 자유당으로 넘어간 선회 득표율 5.4%는 당시까지만 해도 유례없는 기록으로 남았다. 결과적으로 자유당은 214석이 늘어나 397석을 얻었으며 보수당은 246석을 잃어 156석에 머물렀다.[38][39]
  • 1945년 영국 총선 - 클레멘트 애틀리가 이끄는 영국 노동당이 윈스턴 처칠의 보수당을 누르고 압승을 거뒀다. 보수당에서 노동당으로 넘어간 선회 득표율은 12.0%이었으며, 노동당은 239석이 증가한 393석을, 보수당은 190석이 감소한 197석을 확보했다.[40]
  • 1983년 영국 총선 - 마거렛 대처가 이끄는 영국 보수당이 38석 증가한 397석 (전국 득표율 42.4%)을 확보하며 과반 165석의 압승을 거뒀다. 반면 야당인 마이클 풋의 노동당은 209석에 그쳤다.
  • 1997년 영국 총선 - 토니 블레어가 이끄는 노동당이 145석 증가한 418석을 확보하며 과반 179석의 압승을 거뒀다. 보수당은 178석 감소한 165석에 그쳤다. 보수당에서 노동당으로 넘어간 선회 득표율은 10.2%였으며, 20세기에 치러진 선거 중에서는 1931년 총선 이후 가장 큰 승리로 기록되었다.[41]
  • 2019년 영국 총선 - 보리스 존슨이 이끄는 보수당이 48석 증가한 365석을 확보하며 1987년 총선 이래 가장 큰 승리를 거뒀다. 제레미 코빈이 이끄는 노동당은 60석 감소한 202석을 얻어 1935년 총선 이래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이번 선거는 특히 노동당의 텃밭이었던 미들랜즈와 노던잉글랜드에서 보수당이 54석을 획득했다는 점이 화제가 되었는데 일부 선거구에서는 수십년 만에 보수당 당선자가 나오기도 했다.[42]

2. 4. 기타 국가


  • 2008 브리즈번 시의회 선거 – 자유당이 노동당을 상대로 압승을 거두었다. 캠벨 뉴먼은 브리즈번 시장에 66.1%의 결선 투표 득표율로 재선되었다.[7] 자유당은 26개 선거구 중 16개를 차지했다.
  • 2021 맨두라 시의회 선거 – 라이스 윌리엄스는 85%의 득표율로 맨두라 시장에 재선되었다.[8]


'''주 및 준주 선거:'''

  • 2021 서호주 주 선거 – 마크 맥고완이 이끄는 노동당이 하원 59석 중 53석을 차지했다. 노동당은 59.92%의 1차 득표율과 69.68%의 결선 투표율을 기록했다. 국가당은 4석, 자유당은 2석을 차지하여 국가당이 제1야당이 되었다.[9][10]

  • 2011 뉴사우스웨일스 주 선거 – 배리 오패럴이 이끄는 자유-국민 연합이 크리스티나 케널리가 이끄는 노동당 정부를 꺾고 결선 투표 득표율 64.22%로 압승을 거두었다. 새 정부는 뉴사우스웨일스 주의회 93석 중 69석을 차지했다.
  • 1978 뉴사우스웨일스 주 선거 – 네빌 워랜이 이끄는 노동당이 57.77%의 1차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바베이도스'''

  • 1986년 바베이도스 총선 – 에롤 배로가 이끄는 민주노동당이 하원 27석 중 24석(59.45%)을 획득했다.
  • 1999년 바베이도스 총선 – 오웬 아서 총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중 28석(64.87%)을 획득했다.
  • 2018년 바베이도스 총선 – 미아 모틀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전석(74.6%)을 획득했다.
  • 2022년 바베이도스 총선 – 미아 모틀리 총리가 이끄는 바베이도스 노동당이 하원 30석 전석(69.0%)을 획득했다.


'''브라질'''

  • 199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 PSDB 후보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가 5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9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 PSDB 후보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가 53%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2010년 페르남부쿠 주지사 선거 – 후보 에두아르두 캄푸스가 82.8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캐나다'''

  • 1935년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총선 – 월터 리가 이끄는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자유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1987년 뉴브런즈윅 총선 – 프랭크 맥케나가 이끄는 뉴브런즈윅 자유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2001년 브리티시컬럼비아 총선 – 고든 캠벨이 이끄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자유당이 두 의석을 제외한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 1973년 퀘벡 총선 – 로베르 부라사가 이끄는 퀘벡 자유당이 110석 중 102석을 차지했다.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 1997년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 – 프라뇨 투지만이 61%가 넘는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도미니카'''

  • 1980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자유당(Dominica Freedom Party)이 21석 중 17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51.34%를 기록했다.
  • 2009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8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61.13%를 기록했다.
  • 2019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8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61.34%를 기록했다.
  • 2022년 도미니카 총선 – 도미니카 노동당(Dominica Labour Party)이 21석 중 19석을 차지하며 득표율 58.95%를 기록했다.


'''피지'''

  • 1999년 – 마헨드라 차우드리가 이끄는 피지 노동당이 의회 71석 중 37석을 차지했다.[12]
  • 2014년 – 프랭크 바이니마라마가 이끄는 피지퍼스트가 압승을 거두었다.[13][14]


'''핀란드'''

  • 1978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 우르호 케코넨이 득표율 82.41%, 선거인단 300명 중 260명의 지지를 얻어 승리했다.
  • 2018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 사울리 니니스퇴 현 대통령이 62.64%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프랑스'''

  • 1968년 – 공화당 연합(UDR)이 487석 중 354석을 차지했다.
  • 1981년사회당(PS)이 481석 중 269석을 차지했다.
  • 1993년 – 공화를 위한 집회(RPR)와 프랑스 민주주의를 위한 연합(UDF)이 577석 중 485석(84%)을 차지했다.
  • 2002년자크 시라크가 82.1%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2017년에마뉘엘 마크롱이 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2023년 – 야당 타비니 후이라아티라(Tāvini Huiraʻatira)가 38석을 획득했다.


'''그레나다'''

  • 1999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62.5%를 기록했다.
  • 2013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58.7%를 기록했다.
  • 2018년 – 신국민당이 하원 15석을 모두 차지하며 득표율 58.9%를 기록했다.


'''홍콩'''

  • 1991년 – 민주 진영이 직선으로 선출되는 18개의 지역구 의석 중 16석을 차지했다.
  • 1995년 – 민주 진영이 직선으로 선출되는 20개의 지역구 의석 중 16석을 휩쓸었다.
  • 2021년 – 친중 진영이 입법회 90석 중 89석을 차지했다.
  • 2019년 – 민주 진영이 18개의 지역위원회 중 17개를 장악하며, 의석 수가 약 124석에서 389석으로 3배 증가했다.


'''헝가리'''

  • 2010년 – 피데스-크리스티안민주연합(Fidesz–KDNP)이 386석 중 262석을 차지했다.
  • 2022년 – 피데스-크리스티안민주연합(Fidesz–KDNP)이 199석 중 135석을 차지했다.


'''아일랜드'''

1977년 아일랜드 총선에서 피아나 파일은 148석 중 84석을 차지하여 전체 1순위 선호 투표의 50.6%를 획득했다.

'''이탈리아'''

  • 2005년 이탈리아 지방 선거 – 중도좌파 연합인 연합이 해당 연도 선거를 치른 14개 지역 중 12개 지역에서 대통령직을 획득했다.
  • 2020년 베네토주 지방 선거 – 루카 자이아(Lega)가 76.7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자메이카'''

  • 1983년 자메이카 총선 – 에드워드 시가 총리가 이끄는 자메이카 노동당이 자메이카 의회 하원의 60석을 모두 차지하고 득표율 89.7%를 기록했다.
  • 2011년 자메이카 총선 – 포샤 심프슨-밀러가 이끄는 국민당(PNP)이 42석을 확보했다.[15]
  • 2020년 자메이카 총선 – 앤드루 홀니스가 이끄는 자메이카 노동당이 의회에서 압도적 다수당을 차지하며 재선에 성공했다.[16]


'''말레이시아'''

  •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 – 국민전선(BN)이 하원 219석 중 198석(득표율 63.8%)을 차지했다.


'''멕시코'''

'''모나코'''

  • 1968년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에서 18석을 차지했다.
  • 1978년부터 1988년까지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 1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98년 – 국민민주연합(National and Democratic Union)이 국민의회 18석을 모두 차지했다.
  • 2023년 – 모나코 국민연합(Monegasque National Union)이 국민의회 24석을 모두 차지했다.


'''뉴질랜드'''

  • 1893년 – 자유당이 51석과 득표율 57.8%를 얻었다.[18]
  • 1899년 – 자유당이 49석과 득표율 52.7%를 얻었다.[18]
  • 1905년 – 자유당이 58석과 득표율 53.1%를 얻었다.[18]
  • 1925년 – 개혁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35년 – 노동당이 53석을 얻었다.[18]
  • 1938년 – 노동당이 53석을 얻었다.[18]
  • 1972년 – 노동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75년 – 국민당이 55석을 얻었다.[18]
  • 1984년 – 노동당이 56석을 얻었다.[18]
  • 1990년 – 국민당이 67석을 얻었다.[18]
  • 2002년 – 노동당이 52석을 얻었다.[19]
  • 2011년 – 국민당이 59석을 얻었다.
  • 2014년 – 국민당이 60석을 얻었다.[20]
  • 2020년 – 노동당이 65석을 얻었다.[21]


'''파푸아뉴기니'''

  • 2007년 – 국가동맹당이 국회 109석 중 27석을 차지했다.
  • 2022년 – 팡구 파티(Pangu Pati)가 국회 113석 중 39석을 차지했다.


'''파라과이'''

'''필리핀'''

  • 1897년 –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57%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35년 – 마누엘 케손이 68%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86%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41년 – 마누엘 케손이 8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9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53년 – 라몬 마그사이사이가 6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카를로스 가르시아는 63%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81년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8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1998년 – 조셉 에스트라다가 4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주요 상대 후보인 호세 데 베네시아는 16%를 득표했다. 데 베네시아의 러닝메이트인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거의 50%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 2022년 – 봉봉 마르코스가 59%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인 사라 두테르테는 62%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상원'''

  • 194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상원 의석 24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49년 – 자유당이 경쟁한 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5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경쟁한 9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55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경쟁한 9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87년 – 라카스 낭 바얀이 24석 중 22석을 차지했다.
  • 2019년 – 여당인 후궁 낭 파바고가 경쟁한 12석 중 9석을 차지했다.


'''하원'''

  • 1907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0석 중 59석을 차지했다.
  • 1938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98석을 모두 차지했다.
  • 1941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95석을 차지했다.
  • 1957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2석을 차지했다.
  • 1969년 – 나시오날리스트당이 88석을 차지했다.
  • 1978년 – 킬루상 바궁 리푸난이 150석을 차지했다.


'''포르투갈'''

;입법부 선거

  • 1979년 – 프란시스쿠 사 카르네이루가 이끄는 민주동맹(AD)은 250석 중 128석(득표율 45.3%)을 차지했다.
  • 1980년 – 프란시스쿠 사 카르네이루가 이끄는 민주동맹(AD)은 250석 중 134석(득표율 47.6%)을 차지했다.
  • 1987년 – 카바쿠 실바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250석 중 148석(득표율 50.2%)을 차지했다.
  • 1991년 – 카바쿠 실바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230석 중 135석(득표율 50.6%)을 차지했다.
  • 2005년 – 주제 소크라테스가 이끄는 사회당은 230석 중 121석(득표율 45%)을 차지했다.
  • 2022년 – 안토니우 코스타가 이끄는 사회당은 230석 중 120석(득표율 41.4%)을 얻었다.


;대통령 선거

  • 1976년 – 안토니우 람알료 에아니스가 전체 득표율의 61.6%를 얻었다.
  • 1991년 – 마리우 소아리스는 전체 득표율의 70.3%를 얻었다.
  • 2006년 – 아니발 카바쿠 실바는 1차 투표에서 50.5%의 득표율을 얻었다.
  • 2011년 – 아니발 카바쿠 실바는 전체 득표율의 53%를 얻었다.
  • 2016년 – 마르셀루 레벨루 드 소우자는 1차 투표에서 52%의 득표율을 얻었다.
  • 2021년 – 마르셀루 레벨루 드 소우자는 전체 득표율의 60.6%를 얻어 재선되었다.


;아소르스 제도 지역 선거

  • 1980년 – 모타 아마랄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43석 중 30석(득표율 57.4%)을 차지했다.
  • 1984년 – 모타 아마랄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은 43석 중 28석(득표율 56.4%)을 차지했다.


;마데이라 지역 선거

알베르투 주앙 자르딤은 사회민주당(PSD) 소속으로 1978년부터 2015년까지 마데이라 자치 지역의 대표를 역임했다.

마데이라에서 사회민주당의 압승
년도PSD 득표율
두 번째로 많은 표를 얻은 정당
정당명득표율득표율 차이
1976년59.6%사회당22.3%37.3%
1980년65.3%사회당15.0%50.3%
1984년67.8%사회당15.3%52.5%
1988년62.3%사회당16.8%45.5%
1992년56.9%사회당22.6%34.3%
1996년56.9%사회당24.8%32.1%
2000년56.0%사회당21.0%35.0%
2004년53.7%사회당27.4%26.3%
2007년64.2%사회당15.4%48.8%
2011년48.6%민주사회중앙당17.6%31.0%
2015년44.4%민주사회중앙당13.7%30.7%



'''사모아'''


  • 2006년 – 인권보호당이 33석을 차지했다.[22]
  • 2016년 – 인권보호당이 사모아 입법회 49석 중 35석을 차지했다.[23]


'''슬로바키아'''

  • 2012년 – 방향-사회민주주의당(Smer-SD)이 150석 중 83석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스페인'''

  • 1982년과

3. 압승의 원인과 결과

(이전 출력이 빈칸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Landslide Victory: Definition in Elections https://www.thoughtc[...] 2020-10-08
[2] 웹사이트 Landslide 2024-11-07
[3] 웹사이트 Landslide 2024-11-07
[4] 웹사이트 Landslide 2024-11-07
[5] 논문 Mandates, Parties, and Voters: How Elections Shape the Future
[6] 서적 Confrontation and Compromise: Presidential and Congressional Leadership, 2001-2006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7] 뉴스 Newman wins Brisbane election landslide https://www.abc.net.[...] 2008-03-15
[8] 웹사이트 The Mayor that was re-elected in a landslide, collecting 85 per cent of the votes https://www.6pr.com.[...] 2021-10-20
[9] 웹사이트 Biggest State Election Landslides https://armariuminte[...] 2021-04-07
[10] 웹사이트 Mark McGowan claims WA election victory as Liberals all but wiped out https://thenewdaily.[...] 2021-03-14
[11] 웹사이트 Party Standings in the House of Commons (1867-date) http://www.lop.parl.[...] Library of Parliament 2016-03-24
[12] 웹사이트 Fiji's military strongman voted out in landslide to the Labour Party https://www.wsws.org[...] 1999-05-19
[13] 뉴스 Fiji coup leader sworn in as PM https://www.heraldsu[...] Herald Sun 2014-09-22
[14] 웹사이트 Fiji's Military Ruler Wins Landslide Election Victory (2014) https://youtube.com/[...] 2016-09-13
[15] 뉴스 Dominating victory in Jamaica elections even surprises winning opposition side https://www.washingt[...] 2011-12-30
[16] 웹사이트 Political Tsunami turns Jamaica green with massive JLP victory https://www.myvuenew[...] 2020-11-20
[17] 비디오 미디어 Mixed 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New Zealand https://www.youtube.[...] 2014-07-17
[18] 웹사이트 1890–1993 general elections https://elections.nz[...] Electoral Commission New Zealand
[19] 웹사이트 Official Count Results -- Overall Status http://www.electionr[...] Electoral Commission 2002-10-08
[20] 웹사이트 Official Count Results -- Overall Status http://www.electionr[...] Electoral Commission 2014-10-10
[21] 뉴스 New Zealand election: Jacinda Ardern's Labour Party scores landslide win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0-17
[22] 웹사이트 Elections in 2006 http://archive.ipu.o[...] Inter-Parliamentary Union 2023-09-26
[23] 웹사이트 Legislative Assembly (Fono) http://archive.ipu.o[...] Inter-Parliamentary Union 2023-09-26
[24] 웹사이트 Despite all reports, the election wasn't a landslide – and Johnson may be about to discover that reality https://www.newstate[...] 2022-12-19
[25] 뉴스 Election results 2019: Boris Johnson returns to power with big majority https://www.bbc.com/[...] 2022-12-19
[26] 뉴스 How did Boris Johnson achieve his landslide victory? A visual guide https://www.theguard[...] 2022-12-19
[27] 웹사이트 Inside the landslide: Thatcher's personal papers for 1983 opened to the public https://www.cam.ac.u[...] 2022-12-19
[28] 뉴스 1906: The Liberal landslide http://news.bbc.co.u[...] 2006-02-09
[29] 서적 Liberal Landslide: The General Election of 1906
[30] 서적 Labour Landslide, July 5-19, 1945
[31] 서적 Labour's Landslide: The British General Election 1997
[32] 뉴스 The rise and fall of New Labour https://www.bbc.com/[...] 2021-12-30
[33] 웹사이트 Boris Johnson must fulfil his One Nation pledge https://www.ft.com/c[...] 2019-12-14
[34] 웹사이트 UK election results 2024 https://www.bbc.co.u[...] 2024-07-06
[35] 웹인용 Landslide Victory: Definition in Elections https://www.thoughtc[...] 2020-10-18
[36]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37] 웹사이트 https://news.sbs.co.[...]
[38] 웹인용 1906: The Liberal landslide http://news.bbc.co.u[...] 2006-02-09
[39] 서적 Liberal Landslide: The General Election of 1906
[40] 서적 Labour Landslide, July 5-19, 1945
[41] 서적 Labour's Landslide: The British General Election 1997
[42] 웹인용 Boris Johnson must fulfil his One Nation pledge https://www.ft.com/c[...] 2019-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