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궐위가 발생하여 2017년 5월 9일에 치러졌다. 선거 결과, 총 42,479,710명의 유권자 중 77.2%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24.03%,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1.41%를 득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기선거 - 2017년 영국 총선
    2017년 영국 총선은 브렉시트 국민투표 후 테리사 메이 총리의 조기 총선 결정으로 치러졌으며, 소선거구 다수대표제 방식으로 진행되어 보수당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 북아일랜드 민주연합당과 협력하여 소수 정부를 구성하고 브렉시트 협상 및 총리 리더십 논란, 젊은 유권자 투표율 변화 미반영, 러시아 선거 개입 의혹 등 여러 쟁점을 남겼다.
  • 조기선거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는 1981년에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중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병립하여 전두환 정권의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했다.
  • 2017년 5월 -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1차 투표에서 에마뉘엘 마크롱과 마린 르펜이 결선에 진출, 마크롱이 당선되었으며, '피용 사건' 등 논란과 TV 토론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
  • 2017년 5월 - 2017년 FIFA U-20 월드컵
    2017년 FIFA U-20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열린 국제 청소년 축구 대회로, 잉글랜드의 우승, 도미닉 솔란케의 최우수 선수 선정, 리카르도 오르솔리니의 득점왕 선정, 그리고 비디오 판독 심판 제도 도입이 특징이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도 정보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시군별 결과
시군별 선거 결과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도별 결과
도별 선거 결과
기본 정보
선거 이름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2012년
선거일2017년 5월 9일
다음 선거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22년
투표율77.23% (1.39%p)
후보자 정보
후보 1문재인
정당 1더불어민주당
득표수 113,423,800
득표율 141.09%
후보 2홍준표
정당 2자유한국당
득표수 27,852,849
득표율 224.04%
후보 3안철수
정당 3국민의당
득표수 36,998,342
득표율 321.42%
후보 4유승민
정당 4바른정당
득표수 42,208,771
득표율 46.76%
후보 5심상정
정당 5정의당
득표수 52,017,458
득표율 56.17%
대통령 정보
선거 전 대통령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선거 전 대통령 소속 정당무소속
선거 후 대통령문재인
선거 후 대통령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2. 배경

2012년 대선에서 새누리당(2017년 2월 대선 직전 자유한국당으로 당명 변경) 박근혜 후보가 승리하여, 같은 당 이명박 대통령의 뒤를 이었다.

2016년 4월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패배했고,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등 야당이 국회 과반 의석을 차지했다. 언론들은 대한민국 대통령의 중임이 금지되어 있어, 이 결과를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으로 해석했다.[5][6][7] 닛케이 아시안 리뷰는 박근혜 대통령의 "압도적인 패배" 이후 "경쟁자들이 2017년 12월 대선에서 권력 교체를 완료할 절호의 기회로 여기고 있다"고 보도했고,[5] 코리아 타임스는 "내년 대선을 위한 거래와 권력 투쟁이 이미 시작되었다"고 보도했다.[8]

대통령 탄핵 소추 절차를 거쳐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임기 도중 파면됨에 따라 제18대 대통령 선거 이후 치러지는 선거이다.[37]

현행 대한민국 헌법(제6공화국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5년 단임으로 규정하고 있어, 신인 대 신인의 경쟁이 된다. 이번 선거는 현직 대통령 부재 상황에서 실시되므로, 당선자 임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통령 선거 당선자를 확정한 날부터 5년이다.[43] 이는 현행 헌법 하에서 처음 있는 일이며, 이번에 선출되는 대통령은 당선 확정과 동시에 정권 이양을 위한 준비 기간 없이 대통령직에 취임하게 된다.[44] (이번 선거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통령 선거 당선자를 확정한 날이 2017년 5월 10일이므로, 임기는 2022년 5월 9일까지이다.)

2. 1. 조기 대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등의 사건으로 2016년 12월 9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면서 박근혜의 대통령 권한이 정지되었고,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에서 헌법재판관 8인의 만장일치로 파면이 결정되면서 대통령 궐위에 의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었다.[112]

헌법과 법률에 따르면, 현직 대통령이 사망·사퇴·탄핵·당선무효되는 경우 실시 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새 대통령 선거는 60일 이내에 실시하되,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대통령 또는 대통령 권한 대행자가 공고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68조 ②항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113] 이렇게 실시된 조기 대선의 당선인은 전임자의 남은 임기가 아닌, 당선된 날로부터 새로 5년간의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115][116]

2016년 10월 24일 지역 케이블 방송국 JTBC의 보도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의 오랜 지인 최순실의 국정농단(최순실 게이트)을 묵인했던 의혹이 드러났다. 이 국정농단 의혹에 대한 한국 국민의 비판을 받아 대한민국 국회는 5가지 헌법 위반과 8가지 법률 위반 사항[38]을 이유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12월 9일 가결했고, 박근혜는 헌법 규정에 따라 같은 날 19시 3분부터 직무 정지 상태가 되었다. 국회의 소추를 받아 헌법재판소는 쟁점을 4가지로 정리하여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심의했고,[39] 쟁점 중 하나인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 남용'''"을 이유로 박근혜의 탄핵이 타당하다고 하는 판결을 2017년 3월 10일 오전 11시 21분에 선고했다.[37] 이에 따라 박근혜는 즉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고, 대한민국은 대통령이 공석인 상태가 되었다.

대한민국 헌법 제68조는 대통령이 공석이 된 날(이번 경우는 3월 10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차기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3월 15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실시한다'고 결정·공포했고,[41][42] 아울러 대통령 선거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했다.[41]

2. 2. 투표 제도

1998년 5월 10일 이전에 출생한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118] 1977년 5월 10일 이전에 출생한 만 40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대한민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피선거권을 가진다.[122][120]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투표소는 선거일 오전 6시에 열고 오후 6시에 닫는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보궐선거 등에 있어서는 오후 8시로 한다'는 단서 조항이 있기에, 이번 19대 대선에서는 투표 마감 시간이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로 2시간 연장되었다. 또 오후 8시 전에 투표소에 도착하기만 하면 투표 대기로 인해 마감 시간을 넘기더라도 투표를 마칠 수 있도록 하였다.[121]

또한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제19대 대선부터 온라인상에서의 선거 운동이 가능해졌고,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기호를 손가락으로 표시하는 투표 인증샷도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오프라인 선거운동은 여전히 할 수 없으며, 투표소로부터 100m 안에서 투표 참여를 권유하는 행위, 기표소 안에서 기표 유무에 상관 없이 투표지를 촬영하는 행위, 투표지를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된다.[121]

담벼락에 붙어 있는 선거 벽보, 왼쪽부터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조원진, 오영국, 장성민, 이재오, 김선동, 남재준, 이경희, 김정선, 윤홍식, 김민찬

3. 후보자

국회 의석을 가진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새누리당 6개 정당은 각 당의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했다. 이들 정당 후보들의 투표용지 번호는 소속 정당의 국회 의석수에 따라 결정되었다. 무소속 및 소수 정당 후보들의 투표용지 번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무작위 추첨을 통해 결정되었다.[100]

4월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후보 등록이 진행되었으며, 16일 오후 6시 등록 마감 시점에 15명이 등록했다. 이는 2007년 대선의 12명을 넘어선 역대 최고 기록이다. 총 15명의 후보가 등록했는데, 그중 남재준, 김정선 2명은 선거일 이전에 후보직을 사퇴했다.[101][102]

15명의 후보들의 선거 포스터


기호후보자명성별연령소속정당직업경력비고
1문재인64더불어민주당정치인
2홍준표62자유한국당정치인
3안철수55국민의당정치인
4유승민59바른정당국회의원
5심상정58정의당국회의원
6조원진58새누리당국회의원
7오영국59경제애국당하하그룹 회장
8장성민53국민대통합당정치인
9이재오72늘푸른한국당정치인
10김선동49민중연합당플랜트 건설 노동자
11남재준72통일한국당무직4월 29일 후보직 사퇴, 홍준표 후보 지지 선언[101]
12이경희43한국국민당사업가
13김정선58한반도미래연합정치인4월 21일 후보직 사퇴[102]
14윤홍식43홍익당정치인
15김민찬59무소속월드마스터위원회 위원장


3. 1.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은 3월 22일부터 4월 3일까지 국민 참여 경선을 실시하여, 유효 투표수의 과반을 득표한 문재인 전 민정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장,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71]

2월 15일부터 3월 9일, 그리고 3월 12일부터 3월 21일 사이에 유권자로 등록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예비선거를 실시했다. 총 2,144,840명이 예비선거 유권자로 등록하여, 2017년 예비선거는 한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가 되었다.[9][10]

예비선거는 3월 22일부터 4월 3일까지 호남, 영남, 호서, 서울 수도권, 강원도, 제주도 지역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등록 유권자의 71.6%인 1,642,640명이 예비선거에 참여했다.[10][11]

경선 후보는 다음과 같다.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경선 결과
rowspan=2|선거인 수후보자후보자 득표
합계
이재명최성한국어문재인안희정
득표수2,144,840347,6474,943936,419353,6311,642,640
득표율(76.6%)21.2%0.3%57.0%21.5%100%
문재인 후보 확정


3. 2. 자유한국당

홍준표


자유한국당은 2017년 3월 30일부터 31일까지 여론조사(50%)와 3월 31일 당 대표대회 대의원 투표(50%)를 합산하여 대통령 후보를 결정했다. 그 결과 홍준표경상남도지사(2012년~현재)가 54.15%를 득표하여 후보로 선출되었다.[16]

당내 경선에는 홍준표 외에도 이인제경기도지사,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김진태 춘천 국회의원이 출마했다.[15]

자유한국당 경선 결과
후보자득표율결과
홍준표54.15%후보 확정
김진태19.30%
이인제14.85%
김관용11.70%
책임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50%씩 반영



새누리당은 박근혜 정부 출범 2년 후인 2014년 4월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으로 지지율이 하락했다. 당내 비주류 세력의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비주류(비박계)의 김무성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45] 그러나 2016년 총선에서 후보 공천권을 둘러싼 계파 갈등과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고조되면서, 당내 불만으로 비주류 의원들의 탈당이 잇따랐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는 의원들도 있었다.[46][47] 그 결과, 새누리당은 122석을 얻는 데 그쳐 123석을 얻은 더불어민주당에 이어 제2당으로 추락했다. 이정현(이정현_(정치인)) 신임 대표가 취임했으나, 박근혜 대통령을 둘러싼 일련의 스캔들로 당 지지율은 급격히 하락했고,[48] 2016년 12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가결되면서 당 지도부가 총사퇴했다.[49]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둘러싸고 주류와 갈등을 빚은 비주류는 탈당하여 신당 창당을 결정했고,[50] 2017년 1월 24일 바른정당이 창당되었다.[53] 새누리당은 이미지 쇄신을 위해 2017년 2월 8일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변경했다.[54][55] 한편,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친박계 단체는 2017년 4월 새누리당을 창당했다.

3. 3. 국민의당

2017년 국민의당 대선 후보 경선을 통해 안철수 후보가 선출되었다. 경선은 개방형 경선(80%)과 여론조사(20%)를 혼합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선 후보는 다음과 같다.

  •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2016), 전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2014년 3월~7월), 2012년 대선 후보 사퇴, 안랩 창업자, 노원구 국회의원(2013년~현재)
  • 손학규: 전 성남시 국회의원(2011~12), 전 경기도지사(2002~06), 전 광명시 의원(1993~98, 2000~02)
  • 박주선: 국회 부의장(2016년~현재), 국회의원(2000~2004, 2008년~현재)


경선은 3월 25일부터 4월 4일까지 7개 지역을 순회하며 현장 투표를 실시했고, 4월 4일 최종 결과가 발표되었다.

국민의당 대선 후보 경선 결과
colspan="2" rowspan="2" |후보자
안철수손학규박주선
순회 투표득표수133,97235,69614,561
득표율72.71%19.38%7.91%
여론 조사84.20%12.85%2.95%
최종 득표율75.01%18.07%6.92%
결과후보 확정



최종 결과, 안철수 후보가 75.01%의 득표율로 국민의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었다.

3. 4. 바른정당



바른정당 후보
유승민
200x200px
대한민국 국회의원



바른정당은 4차례의 토론회(40%), 평가위원단 투표, 당원 투표(30%), 여론조사(30%)를 종합하여 후보를 결정했다.



유승민은 3월 28일 바른정당 후보로 지명되었다.[20]

바른정당은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29명이 탈당 및 '개혁보수신당'(가칭) 창당을 선언하고 원내 교섭단체 등록을 마친 후, 2017년 1월 24일에 창당되었다.[51][52][53]

3월 13일부터 17일까지 후보 등록을 진행했다. 3월 19일 충청, 3월 21일 영남, 3월 23일 충청, 3월 24일 수도권에서 각각 정책 토론회 및 국민 정책 평가단 투표를 실시했다. 3월 25일과 26일에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3월 26일과 27일에는 당원 온라인 투표를 실시했다. 3월 28일에 대통령 후보 선출 대회를 통해 최종 후보를 확정했다.

예비선거 결과
후보자명득표수득표율확정
유승민36,59362.9%후보 확정
남경필21,62537.1%


3. 5. 정의당

심상정


정의당은 당원들의 비공개 투표를 통해 후보를 결정했다. 후보는 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강상구 정의당 교육원 부원장이었다.[21]

심상정은 2015년부터 정의당 대표를 맡고 있었으며, 고양시 국회의원(2004~2008, 2012~현재)을 역임했다.[21] 2017년 2월 16일, 심상정이 정의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22]

후보순위득표수득표율
심상정당선8,20980.7%
강상구2위1,96219.3%
합계10,239100%



2012년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 경선 부정 사건을 계기로 당내 갈등이 발생했고, 그 결과 노회찬, 심상정 등이 통합진보당을 탈당하여 “새로운 진보정당 추진회의”를 결성했다. 이들은 구 국민참여당 세력과 함께 ‘진보정의당’(약칭 정의당)을 창당했다. 2013년에는 당명을 정의당으로 변경했다.[64][65]

3. 6. 군소 후보

국회에 의석을 가진 6개 정당 외에 여러 군소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이 19대 대선에 참여했다. 이들의 투표용지 번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무작위 추첨을 통해 결정되었다. 총 15명의 후보가 등록했지만, 그중 2명은 선거일 이전에 후보직을 사퇴했다.

7891011 (사퇴)1213 (사퇴)1415

영국

성민

재오
김선동
재준

경희

정선

홍식

민찬
경제애국당국민대통합당늘푸른한국당민중연합당통일한국당한국국민당한반도미래연합홍익당무소속

3. 6. 1. 새누리당

친박 성향 시민단체들이 창당한 새누리당은 2017년 4월 11일 후보 등록을 받은 결과, 유일하게 입후보한 조원진 의원을 경선 없이 후보로 선출하였다.

3. 6. 2. 민중연합당

민중연합당은 당원 찬반투표를 통해 김선동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67]

3. 6. 3. 국민대통합당

국민대통합당은 2017년 3월 27일 창당대회를 열고 장성민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1] 장성민 후보는 당초 국민의당의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할 계획이었으나, 국민의당 측에서 장성민 후보의 과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폄훼 발언 논란을 문제 삼아 입당을 불허하자 신당 창당을 결정하였다.[1]

3. 6. 4. 늘푸른한국당

늘푸른한국당은 외부 인사를 대통령 후보로 영입하려 애썼으나 실패하자, 3월 12일 이재오 당 공동대표를 후보로 추대하였다.[1] 이재오국회의원 (1996~2008, 2010~2016)을 역임하였다.

3. 6. 5. 통일한국당

통일한국당은 남재준국정원장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 남재준 후보는 당초 무소속 대선 출마를 선언했으나, 정당 기반 없는 선거 운동의 어려움에 부딪혀 안홍준 통일한국당 대표의 러브콜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남재준 후보는 4월 29일 홍준표 한국당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후보직을 사퇴하였다.[1]

3. 6. 6. 기타


  • 더불어민주당은 2017년 3월 22일부터 4월 3일까지 국민 참여 경선을 실시하여 문재인 전 민정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장,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
  •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017년 4월 5일 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했으나, 일주일만인 4월 12일 불출마를 선언했다.
  • 홍익당은 2017년 3월 26일 윤홍식 당 대표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
  • 한국국민당은 2017년 3월 28일 이경희 당 대표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
  • 경제애국당 후보로는 오영국 하하그룹 회장이 결정되었다. 오영국 후보는 당초 경제애국당 창당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독자 신당 창당을 꾀했으나, 이후 국민희망당과 통합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경제애국당은 정식으로 창당되지 않은 상태라, 통합은 경제애국당 창준위가 자진 해산하고 국민희망당이 당명을 경제애국당으로 개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한반도미래연합은 김정선을 후보로 선출하였다. 그러나 김정선 후보는 기한 내에 선거 공보물을 제출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후보 등록이 무효화될 위기에 처하자 2017년 4월 2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사퇴서를 제출하였다. 다음날인 4월 21일 김정선 후보가 정식으로 사퇴 처리됨에 따라 김정선 후보는 19대 대선 후보 중 처음으로 사퇴한 후보가 되었다.
  • 김민찬 월드마스터위원회 위원장은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역시 무소속 후보였던 남재준 후보와 김종인 후보가 각각 통일한국당에 입당하거나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김민찬 후보는 19대 대선 후보 중 유일한 무소속 후보가 되었다.
  • '''조원진'''(새누리당) 국회의원 (2008~2020)
  • '''오영국'''(경제애국당) 하하그룹 대표이사
  • '''장성민'''(한나라당) 미디어 평론가 및 국회의원 (2000~2004)
  • '''이재오'''(녹색당) 국회의원 (1996~2008, 2010~2016)
  • '''김선동'''(민주통합당) 국회의원 (2011~2014)
  • '''남재준'''(통합한국당) 전 국정원 원장 (2013~2014)
  • '''이경희'''(한국국민당) 기업가 및 한국국민당 공동대표
  • '''김정선'''(미래한국반도) 미래한국반도당 대표
  • '''윤홍식'''(홍익당) 유튜버 및 홍익당 대표
  • '''김민찬'''(무소속) 세계명인회 회장

3. 7. 출마하지 않은 인물

반기문 전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대선 출마를 준비하며 한때 자유한국당바른정당 지지자들을 흡수하여 대선 주자 지지율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2017년 2월 1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25][26][5][8] 반기문유엔 사무총장 재임 중 부터 출마설이 제기되었고, 퇴임 후 귀국한 뒤에는 출마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여당 새누리당(당시)이나 신당 정의당 출마설이 제기되었으나, 2월 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96]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2017년 3월 15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 무소속이었지만,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출마 포기 선언 이후 여당 자유한국당(구 새누리당)에서 대선 출마를 기대하는 목소리[97]가 높았다. 그러나 박근혜 정권 하에서 법무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역임한 것에 대한 비판 여론 등도 있어, 3월 15일 국정 안정과 공정한 선거 관리를 위해 자신이 출마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하여 출마를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42]

김부겸 대구광역시 국회의원 (2016년–현재), 전 군포시 국회의원 (2000–12)은[5][23] 2017년 2월 7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4]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2011년–현재)는 2017년 1월 26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7]

오세훈서울특별시장 (2006–2011)는 2017년 1월 13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8]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2014–2016)는 2016년 11월 24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9]

정운찬 전 국무총리 역시 2017년 4월 14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은 2017년 4월 11일 대선 불출마를 표명하였다.[125]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017년 4월 5일 출마를 공식 선언[98]했으나, 같은 달 12일 출마를 포기했다.[99]

3. 8. 후보 등록과 마감


  • 반기문 전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대선 출마를 준비하며 한때 자유한국당바른정당 지지자들을 흡수하여 대선 주자 지지율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2월 1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 홍석현중앙일보 회장은 4월 11일 대선 불출마를 표명하였다.[125]
  • 4월 14일 정운찬 전 국무총리 역시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정당 후보들의 투표용지 번호는 후보 소속 정당의 국회 의석수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무소속 및 소수 정당 후보들의 투표용지 번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무작위 추첨을 통해 결정되었다.

4월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후보 등록이 진행되었으며, 16일 오후 6시 등록 마감 시점에 15명이 등록했다. 이 중 국회 의석을 가진 정당의 후보는 6명에 달했다. 이는 2007년 선거의 12명을 넘어선 역대 최고 기록이다. 후보에게 배정되는 번호(기호)는 국회 의석 수가 많은 순서대로(원내 정당), 가나다 순서대로(원외 정당), 무소속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추첨으로 결정되었다.[100]

총 15명의 후보가 등록했는데, 그중 남재준, 김정선 2명은 선거일 이전에 후보직을 사퇴했다.

기호후보자명성별연령소속정당직업경력비고
1문재인64더불어민주당정치인
2홍준표62자유한국당정치인
3안철수55국민의당정치인
4유승민59바른정당국회의원
5심상정58정의당국회의원
6조원진58새누리당국회의원
7오영국59경제애국당하하그룹 회장
8장성민53국민대통합당정치인
9이재오72늘푸른한국당정치인
10김선동49민중연합당플랜트 건설 노동자
11남재준72통일한국당무직4월 29일 후보직 사퇴, 홍준표 후보 지지 선언[101]
12이경희43한국국민당사업가
13김정선58한반도미래연합정치인4월 21일 후보직 사퇴[102]
14윤홍식43홍익당정치인
15김민찬59무소속월드마스터위원회 위원장


4. 선거 운동

4월 15일 후보 등록 첫날, 6개 원내 정당의 6인 후보가 등록했고, 원외정당 후보 6인과 무소속 1인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4월 16일 마감일에는 오영국 후보와 남재준 후보가 등록하여 최종 15인의 후보 등록이 확정되었다.

후보 등록 마감과 동시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공직선거법에 따라 기호배정 작업을 진행했다.[126]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명부'''
기호후보자정당직업비고
1문재인더불어민주당정당인
2홍준표자유한국당정당인
3안철수국민의당정치인
4유승민바른정당국회의원
5심상정정의당국회의원
6조원진새누리당국회의원
7오영국경제애국당하하그룹 회장
8장성민국민대통합당정당인
9이재오늘푸른한국당정당인
10김선동민중연합당정당인
11남재준통일한국당무직[127]
12이경희한국국민당사업가
13김정선한반도미래연합정당인사퇴[128]
14윤홍식홍익당정당인
15김민찬무소속월드마스터위원회 위원장



공식 선거 운동은 4월 17일부터 5월 8일 자정까지 진행되었다.[30]

4. 1. 포스터와 공보, TV 광고

선거운동 현수막(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선거 운동은 2017년 4월 17일 자정부터 투표일 전날인 5월 9일 자정까지 진행되었다. 조기 대선인 탓에 유세 기간은 총 22일로 가장 짧았으나, 소셜 미디어와 예능, 패러디를 통한 적극적이고 활발한 선거운동과 파격적인 시도가 이뤄지는 등의 특징이 돋보였던 것으로 평가받았다.[129]

선거운동 기간 토론회 등 공식 석상에서 각 후보들이 가장 많이 강조한 단어는 다음과 같았다.

5. 후보자 TV 토론회

10:00 KSTSBS
한국기자협회김성준[31][32][33][34]4월 19일
22:00 KSTKBS박영환[34]4월 23일
20:00 KST중앙선거관리위원회김진숙[34]4월 25일
21:00 KSTJTBC
한국정치학회손석희[34]4월 28일
20:00 KST중앙선거관리위원회박용찬[34]5월 2일
20:00 KST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정희[34]토론에서 가장 설득력 있었던 후보토론회여론조사 기관심상정문재인안철수유승민홍준표참고4월 14일리얼미터12.2%33.7%21.7%11.8%9.6%[35]중앙일보13.1%22.3%16.5%style="background:#D5FAFF" 25.0%5.4%한국리서치15.1%21.2%16.2%style="background:#D5FAFF" 28.1%7.5%4월 19일KSOIstyle="background:#FFFAD5" 21.9%15.0%11.1%21.5%6.5%4월 23일중앙일보22.0%17.4%9.0%style="background:#D5FAFF" 23.7%6.7%한국일보style="background:#FFFAD5" 27.2%12.6%5.1%22.1%5.9%4월 25일한국리서치style="background:#FFFAD5" 40.6%13.2%6.1%14.4%9.9%갤럽코리아style="background:#FFFAD5" 30%18%6%14%9%4월 28일더오피니언style="background:#FFFAD5" 35.8%13.5%5.9%14.6%11.5%중앙일보style="background:#FFFAD5" 38.1%11.5%4.5%16.6%10.0%갤럽코리아style="background:#FFFAD5" 34.8%14.4%4.4%12.7%13.3%리서치앤리서치style="background:#FFFAD5" 41.8%9.3%4.0%18.4%9.9%칸타르 공공조사style="background:#FFFAD5" 40.4%11.8%3.9%19.2%11.0%


6. 여론 조사

크기심상정문재인안철수유승민홍준표17.05.09선거일17.05.04- 17.05.05사전투표17.05.03- 17.05.09여론조사 금지 기간Embrain[1]17.05.027.2%40.6%17.8%4.2%19.6%Research Plus[2]17.05.01–17.05.025.6%39.7%18.9%4.6%13.7%Kantar[3]17.05.01–17.05.026.8%38.5%15.7%3.8%16.8%Hankook Research[4]17.05.01–17.05.0211.2%38.0%21.0%4.0%16.8%JoWon C&I[5]17.05.01–17.05.028.7%36.1%22.3%3.6%16.9%Research & Research[6]17.05.01–17.05.028.1%40.2%19.9%5.7%17.7%Gallup Korea[7]17.05.01–17.05.028%38%20%6%16%Yeouido[8]17.05.01–17.05.026.4%39.4%20.1%4.5%24.9%Realmeter[9]17.05.01–17.05.027.3%42.4%18.6%4.9%18.6%Hankook Research[10]17.05.01–17.05.028.4%40.2%19.7%5.1%16.2%ResearchView[11]17.04.30–17.05.028.0%43.2%21.1%4.8%20.1%MetriX[12]17.04.30–17.05.029.1%39.2%21.5%4.3%16.7%Embrain[13]17.05.019.0%38.6%22.6%3.7%18.3%JoWon C&I[14]17.04.30–17.05.018.7%39.5%23.9%3.5%18.4%R&Search[15]17.04.30–17.05.018.7%41.8%19.4%3.9%21.2%Research & Research[16]17.04.30–17.05.019.8%39.7%20.2%5.1%16.4%JoongAng Ilbo[17]17.04.30–17.05.019.2%39.3%21.8%4.9%16.5%Gallup Korea[18]17.04.30–17.05.018.4%37.7%19.1%3.6%14.9%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center"

|+ 2017년 4월 여론조사

|- style="height:55px; background:#e9e9e9;"

! style="width:90px;" rowspan="3"| 여론조사 기관/링크

! style="width:110px;" rowspan="3"| 조사 기간

! style="width:35px;" rowspan="3"| 표본
크기

! style="width:85px;"| 심상정

! style="width:85px;"| 문재인

! style="width:85px;"| 안철수

! style="width:85px;"| 유승민

! style="width:85px;"| 홍준표

|-

|

|

|

|

|

|-

!

!

!

!

!

|-

|Research & Research[19]

| 17.04.29–17.04.30

|

| 8.1%

| | '''39.4%'''

| 20.8%

| 4.8%

| 16.2%

|-

|Hankook Research[20]

| 17.04.29–17.04.30

|

| 11.4%

| | '''38.7%'''

| 23.4%

| 5.7%

| 14.4%

|-

|The Opinion[21]

| 17.04.29–17.04.30

|

| 6.9%

| | '''37.3%'''

| 20.5%

| 4.9%

| 15.8%

|-

|STI[22]

| 17.04.29–17.04.30

|

| 8.2%

| | '''46.0%'''

| 19.2%

| 4.8%

| 17.4%

|-

|Ace Research[23]

| 17.04.29

|

| 7.6%

| | '''41.1%'''

| 21.5%

| 4.3%

| 20.8%

|-

|MetriX[24]

| 17.04.28–17.04.29

|

| 7.2%

| | '''39.8%'''

| 21.0%

| 4.1%

| 15.4%

|-

|KSOI[25]

| 17.04.28–17.04.29

|

| 8.6%

| | '''41.4%'''

| 22.1%

| 6.3%

| 16.6%

|-

|Realmeter[26]

| 17.04.27–17.04.29

|

| 7.6%

| | '''42.6%'''

| 20.9%

| 5.2%

| 16.7%

|-

|

|17.04.28

|colspan="11" |'''제5차 대선후보 토론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

|Gallup Korea[27]

| 17.04.25–17.04.27

|

| 7%

| | '''40%'''

| 24%

| 4%

| 12%

|-

|ResearchView[28]

| 17.04.25–17.04.27

|

| 6.8%

| | '''45.5%'''

| 23.7%

| 3.9%

| 15.3%

|-

|Hankook Research[29]

| 17.04.25–17.04.26

|

| 7.5%

| | '''38.5%'''

| 25.2%

| 4.9%

| 12.3%

|-

|Realmeter[30]

| 17.04.24–17.04.26

|

| 7.5%

| | '''44.4%'''

| 22.8%

| 5.4%

| 13.0%

|-

|

|17.04.25

|colspan="11" |'''제4차 대선후보 토론회 (JTBC 주최)'''

|-

|Hankook Research[31]

| 17.04.24–17.04.25

|

| 8.0%

| | '''40.4%'''

| 26.4%

| 5.1%

| 10.8%

|-

| R&Search[32]

| 17.04.23–17.04.25

|

| 4.3%

| | '''44.3%'''

| 26.1%

| 4.6%

| 14.8%

|-

| MetriX[33]

| 17.04.23–17.04.24

|

| 4.7%

| | '''40.3%'''

| 29.6%

| 3.4%

| 9.7%

|-

| JoongAng Ilbo[34]

| 17.04.23–17.04.24

|

| 5.0%

| | '''39.8%'''

| 29.4%

| 4.4%

| 11.7%

|-

| JoWon C&I[35]

| 17.04.22–17.04.24

|

| 3.8%

| | '''39.4%'''

| 31.1%

| 4.2%

| 13.9%

|-

|

|17.04.23

|colspan="11" |'''제3차 대선후보 토론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

| Kantar[36]

| 17.04.21–17.04.22

|

| 3.3%

| | '''37.5%'''

| 26.4%

| 2.9%

| 7.6%

|-

| KSOI[37]

| 17.04.21–17.04.22

|

| 5.1%

| | '''42.5%'''

| 30.4%

| 5.7%

| 8.9%

|-

|

7. 출구 조사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출구 조사는 여러 여론조사 기관과 방송사에서 실시되었다.

4월 3일부터 5월 2일까지 다양한 여론조사 기관에서 대선 후보 지지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 기관 및 조사 기간, 응답 인원은 다음과 같다.

조사 기관조사 기간응답 인원더불어민주당 문재인자유한국당 홍준표국민의당 안철수바른정당 유승민정의당 심상정기타·무응답
알앤써치[132]4월 3일-4월 4일1,708명40.8%12.6%30.9%2.8%3.8%9.1%
한국리서치[133]4월 4일1,000명39.1%8.6%31.8%3.8%3.7%13.0%
리얼미터[134]4월 4일1,000명41.3%9.2%34.5%3.0%2.5%9.5%
엠브레인[135]4월 4일1,042명38.0%10.4%34.4%2.1%3.6%11.5%
중앙일보[136]4월 4일-4월 5일1,500명38.4%9.6%34.9%2.7%2.1%12.3%
한국갤럽[137]4월 4일-4월 6일1,005명38.0%7.0%35.0%4.0%3.0%13.0%
리서치뷰[138]4월 4일-4월 6일1,012명42.4%10.3%35.1%2.5%2.2%7.5%
리서치플러스[139]4월 7일-4월 8일1,023명37.7%6.6%37.7%2.1%2.0%13.9%
리서치앤리서치[140]4월 7일-4월 8일1,500명35.2%7.4%34.5%2.8%3.2%16.9%
칸타퍼블릭[141]4월 7일-4월 8일2,300명35.7%7.2%37.5%2.6%2.6%14.4%
한국리서치[142]4월 7일-4월 8일1,000명37.7%6.7%37.0%3.0%3.6%12.0%
코리아리서치[143]4월 8일-4월 9일2,011명32.7%6.5%36.8%1.5%2.8%19.7%
리얼미터[144]4월 8일-4월 9일1,018명41.1%8.6%34.8%2.2%4.2%9.1%
알앤써치[145]4월 9일-4월 11일1,997명42.3%9.1%37.0%2.0%3.6%6.0%
리얼미터[146]4월 10일-4월 12일1,525명44.8%8.1%36.5%2.8%1.7%6.1%
한국리서치[147]4월 11일-4월 12일1,000명38.0%6.5%38.3%2.1%2.7%12.4%
칸타퍼블릭[148]4월 11일-4월 12일1,023명37.5%7.0%37.2%2.6%3.2%12.5%
한국갤럽[149]4월 11일-4월 13일1,010명40.0%7.0%37.0%3.0%3.0%10.0%
리서치뷰[150]4월 12일-4월 13일1,253명46.0%8.8%36.5%2.4%3.0%3.3%
리얼미터[151]4월 13일-4월 14일1,021명44.8%10.3%31.3%3.2%3.5%6.9%
칸타코리아[152]4월 14일-4월 15일1,039명35.8%8.4%30.2%2.8%2.8%20.5%
칸타퍼블릭[153]4월 14일-4월 15일1,058명36.3%7.2%31.0%2.1%2.7%20.7%
한국사회여론연구소[154]4월 14일-4월 15일1,015명46.9%6.8%34.4%3.4%2.9%5.6%
중앙일보[155]4월 15일-4월 16일2,000명38.5%7.4%37.3%3.9%3.7%9.2%
한국리서치[156]4월 15일-4월 16일1,000명42.6%7.3%35.6%2.7%3.9%7.9%
마크로밀엠브레인[157]4월 17일1,049명37.7%8.5%34.6%3.4%4.5%11.3%
조원씨앤아이[158]4월 15일-4월 17일1,008명41.0%12.0%34.3%4.3%3.3%5.1%
알앤써치[159]4월 16일-4월 18일2,045명46.0%10.2%31.3%3.9%3.5%5.1%
리얼미터[160]4월 17일-4월 18일1,012명43.8%10.2%32.3%3.2%4.2%6.3%
한국리서치[161]4월 18일-4월 19일1,200명42.0%8.5%31.8%3.9%3.6%10.2%
엠브레인[162]4월 18일-4월 19일1,054명40.9%9.5%34.4%2.7%2.8%9.7%
리서치앤리서치[163]4월 18일-4월 19일1,009명40.0%10.2%30.1%4.7%2.5%12.5%
리서치뷰[164]4월 18일-4월 20일2,004명43.3%11.4%31.3%3.8%5.0%5.2%
한국갤럽[165]4월 18일-4월 20일1,004명41.0%9.0%30.0%3.0%4.0%12.2%
한국사회여론연구소[166]4월 21일-4월 22일1,021명44.4%8.4%32.5%5.0%5.3%4.4%
리서치앤리서치[167]4월 21일-4월 22일1,514명39.1%9.5%30.1%3.8%4.1%13.4%
칸타퍼블릭[168]4월 21일-4월 22일1,530명37.5%7.6%26.4%2.9%3.3%22.3%
중앙일보조사연구팀[169]4월 23일-4월 24일2,000명39.8%11.7%29.4%4.4%5.0%9.7%
메트릭스[170]4월 23일-4월 24일1,500명40.3%9.7%29.6%3.4%4.7%12.3%
한국리서치[171]4월 24일-4월 25일1,000명40.4%10.8%26.4%5.1%8.0%9.4%
알앤써치[172]4월 23일-4월 25일1,772명44.3%14.8%26.1%4.6%4.3%5.9%
한국리서치[173]4월 25일1,000명40.1%12.2%25.2%4.6%5.5%12.4%
리얼미터[174]4월 24일-4월 26일1,520명44.4%13.0%22.8%5.4%7.5%6.9%
한국리서치[175]4월 26일1,000명36.2%12.6%24.7%5.5%8.6%12.4%
한국갤럽[176]4월 25일-4월 27일1,006명40.0%12.0%24.0%4.0%7.0%12.0%
리서치뷰[177]4월 25일-4월 27일1,418명45.5%15.3%23.7%3.9%6.8%4.8%
리얼미터[178]4월 27일-4월 29일1,523명42.6%16.7%20.9%5.2%7.6%7.0%
한국사회여론연구소[179]4월 28일-4월 29일1,010명43.1%17.4%23.0%4.9%8.2%3.4%
알앤써치[180]4월 30일-5월 1일1,961명41.8%21.2%19.4%3.9%8.7%5.0%
조원씨앤아이[181]4월 30일-5월 1일1,046명39.5%18.4%23.9%3.5%8.7%6.0%
엠브레인[182]5월 1일1,018명38.6%18.3%22.6%3.7%9.0%7.8%
엠브레인[183]5월 2일2,058명40.6%19.6%17.8%4.2%7.2%10.6%



5월 9일, KBS, MBC, SBS 지상파 방송 3사는 공동으로 출구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후보예상 득표율
문재인41.4%
홍준표23.3%
안철수21.8%
유승민7.1%
심상정5.9%


8. 투표율

wikitext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
지역예측 1위예측 2위예측 3위예측 4위예측 5위
전국문재인 (41.4%)홍준표 (23.3%)안철수 (21.8%)유승민 (7.1%)심상정 (5.9%)
서울문재인 (43.9%)안철수 (22.8%)홍준표 (18.9%)유승민 (8.1%)심상정 (5.9%)
부산문재인 (38.3%)홍준표 (31.8%)안철수 (17.8%)유승민 (7.5%)심상정 (4.0%)
대구홍준표 (44.3%)문재인 (21.4%)안철수 (15.9%)유승민 (13.4%)심상정 (4.4%)
인천문재인 (42.7%)안철수 (24.6%)홍준표 (18.5%)유승민 (7.0%)심상정 (6.7%)
광주문재인 (59.8%)안철수 (30.8%)심상정 (4.6%)유승민 (3.3%)홍준표 (1.6%)
대전문재인 (42.7%)안철수 (24.1%)홍준표 (20.4%)유승민 (6.5%)심상정 (6.0%)
울산문재인 (37.1%)홍준표 (25.5%)안철수 (17.2%)심상정 (10.3%)유승민 (9.3%)
경기문재인 (42.7%)안철수 (23.3%)홍준표 (19.9%)유승민 (7.0%)심상정 (6.6%)
강원문재인 (32.4%)홍준표 (30.4%)안철수 (22.2%)유승민 (7.5%)심상정 (7.0%)
충북문재인 (38.9%)홍준표 (24.9%)안철수 (22.4%)심상정 (7.2%)유승민 (5.9%)
충남, 세종문재인 (40.2%)안철수 (23.7%)홍준표 (22.7%)심상정 (7.5%)유승민 (5.0%)
전북문재인 (65.0%)안철수 (23.3%)심상정 (5.4%)홍준표 (3.1%)유승민 (2.8%)
전남문재인 (62.6%)안철수 (29.0%)심상정 (3.9%)홍준표 (2.3%)유승민 (1.9%)
경북홍준표 (51.6%)문재인 (20.0%)안철수 (14.9%)유승민 (8.9%)심상정 (4.1%)
경남홍준표 (39.1%)문재인 (34.9%)안철수 (14.1%)유승민 (6.9%)심상정 (4.6%)
제주문재인 (48.1%)안철수 (21.5%)홍준표 (16.4%)심상정 (7.5%)유승민 (6.1%)

9. 선거 결과

2017년 5월 4일5월 5일 진행된 사전 투표율은 26.06%(11,072,310명)이었다.[184]

시간대별 제19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
구분일자7시8시9시10시11시12시13시14시15시16시17시18시19시20시
사전 투표5월 4일0.4%0.8%1.4%2.4%3.5%4.6%5.8%7.1%8.3%9.5%10.6%11.7%미실시미실시
5월 5일12.1%12.5%13.2%14.2%15.4%16.8%18.2%19.7%21.2%22.8%24.3%26.1%미실시미실시
본 투표5월 9일2.5%5.6%9.4%14.1%19.4%24.5%55.5%59.9%63.7%67.1%70.1%72.7%75.1%77.2%



지역별 제19대 대통령 선거 사전 투표율
구분전국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사전 투표26.06%26.09%23.19%22.28%24.38%33.67%27.52%26.69%34.48%24.92%25.35%25.45%24.18%31.64%34.04%27.25%26.83%22.43%



역대 대통령 선거와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구분전국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제19대77.2%78.6%76.7%77.4%75.5%82.0%77.5%79.2%80.7%77.1%74.3%74.8%72.4%79.0%78.8%76.1%77.8%72.3%
제18대75.8%75.1%76.2%79.7%74.0%80.4%76.5%78.4%74.1%75.0%73.8%75.0%72.9%77.0%76.5%78.2%77.0%73.3%
제17대63.0%62.9%62.1%66.8%60.3%64.3%61.9%64.6%미실시61.2%62.6%61.3%60.3%67.2%64.7%68.5%64.1%60.9%
제16대70.8%71.4%71.2%71.1%67.8%78.1%67.6%70.0%미실시69.6%68.4%68.0%66.0%74.6%76.4%71.6%72.4%68.6%
제15대80.7%80.5%78.9%78.9%80.0%89.9%78.6%81.1%미실시80.6%78.5%79.3%77.0%85.5%87.3%79.2%80.3%77.1%
제14대81.9%81.4%83.2%78.5%80.3%89.1%80.3%미실시미실시80.4%81.5%81.3%78.9%85.2%85.6%80.6%84.6%80.3%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24.03%를 득표했다. 문재인 후보의 17.05%p 득표율 차이는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진보 후보 중 가장 큰 격차이다.[36]

후보자 득표
후보자명소속정파명득표수득표율당락
문재인더불어민주당13,423,80041.08%
당선자
당선
홍준표자유한국당7,852,84924.03%rowspan=12|
안철수국민의당6,998,34221.41%
유승민바른정당2,208,7716.76%
심상정정의당2,017,4586.17%
조원진새누리당42,9490.13%
김민찬무소속33,9900.10%
김선동민중연합당27,2290.08%
장성민국민대통합당21,7090.06%
윤홍식홍익당18,5430.05%
이경희한국국민당11,3550.03%
이재오늘푸른한국당9,1400.02%
오영국경제애국당6,0400.01%
합계32,672,175colspan=2 rowspan=3|
무효표 수135,733
기권자 수9,671,802



문재인서울특별시에서 모든 구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에게 뒤졌던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도(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제주, 강원도, 부산, 울산에서도 승리했다. 특히 강원도에서 민주당계 후보가 1위를 한 것은 1963년 윤보선 이후 54년 만이다. 부산과 울산에서 민주당계 후보가 1위를 한 것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사상 처음이다.

홍준표경상남도에서 근소한 차이로 1위를 차지했지만, 문재인거제시, 김해시, 양산시, 창원시 성산구·의창구·진해구에서 승리하며 경남 전체에서 0.5%p 차이로 추격했다. 부산, 울산, 경남(PK 지역) 총득표에서는 문재인홍준표를 앞서, 사상 최초로 민주당계 후보가 PK 지역 총득표 1위를 기록했다.

대구경북(TK 지역)에서는 홍준표가 1위를 했지만, 득표율은 50%를 밑돌아 역대 보수 정당 후보 중 TK 지역에서 최악의 결과를 기록했다.

심상정은 2,017,458표·득표율 6.17%를 얻어, 진보 정당 대통령 후보로서 역대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9. 1. 지역별 결과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지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066CC;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E61919;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0B050;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085C7;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FD400; color: black"|
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
서울2,781,34542.31,365,28520.81,492,76722.7476,9737.3425,4596.5
부산872,12738.7720,48432.0378,90716.8162,4807.2109,3294.9
대구342,62021.8714,20545.4235,75715.0198,45912.674,4404.7
인천747,09041.2379,19120.9428,88823.7118,6916.5129,9257.2
광주583,84761.114,8821.6287,22230.120,8622.243,7194.6
대전404,54542.9191,37620.3218,76923.259,8206.363,6696.8
울산282,79438.1203,60227.5128,52017.360,2898.162,1878.4
세종77,76751.123,21115.232,01021.09,1926.09,3536.1
경기3,319,81242.11,637,34520.81,807,30822.9540,0236.8546,3736.9
강원324,76834.2284,90930.0206,84021.865,2786.962,3896.6
충북374,80638.6255,50226.3211,45421.857,2825.965,0956.7
충남476,66138.6306,61424.8290,21623.568,5215.683,8686.8
전북778,74764.840,2313.3285,46723.830,8022.659,2964.9
전남737,92159.930,2212.5378,17930.725,8192.149,5094.0
경북369,72621.7827,23748.6253,90514.9149,0178.888,0805.2
경남779,73136.7790,49137.2284,27213.4142,4796.7113,0515.3
제주169,49345.568,06318.377,86120.922,7846.131,7168.5
합계13,423,80041.17,852,84924.06,998,34221.42,208,7716.82,017,4586.2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 미만 득표 후보별 지역별 득표 내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조원진김민찬김선동장성민윤홍식이경희이재오오영국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CC0000;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808080;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55858; color: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FA500; color: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800080;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FFF66; color: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85c81; color: white"|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F6600; color: black"|
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
서울9,9870.23,9500.13,4160.13,5540.12,1770.01,2770.01,9380.07890.0
부산2,6510.12,1560.19810.01,3160.11,0410.04960.04650.02760.0
대구4,0570.31,5010.18040.15630.09860.14010.03240.02590.0
인천2,6460.11,6810.11,2300.11,6180.16250.05940.04100.03740.0
광주1520.06140.12,2650.26550.12640.01360.01030.01110.0
대전1,0690.17580.16110.16200.14060.02560.02340.01680.0
울산8290.19260.16410.15750.14410.12200.02400.01280.0
세종1530.11350.11260.1880.0760.0500.0420.0340.0
경기10,7780.16,5530.16,1390.15,0580.12,8830.02,2130.01,8580.01,3020.0
강원1,4260.11,3500.18760.17870.18700.15700.13210.02520.0
충북1,1530.11,3470.18400.17220.19430.16860.14210.03080.0
충남1,4150.11,6620.11,2600.11,1480.11,0250.18030.14290.03240.0
전북4510.02,0700.11,1860.11,0800.15890.04990.03450.02400.0
전남4540.02,9550.23,8170.31,3190.17820.18390.13150.02720.0
경북3,0530.22,4990.11,3080.11,0540.12,9420.21,0680.18610.14760.0
경남2,2900.13,2670.21,3940.11,2400.12,2340.11,0110.07210.04580.0
제주3850.15560.13350.13120.12890.12360.11130.02690.1
합계42,9490.133,9900.127,2290.121,7090.118,5430.111,3550.09,1400.06,0400.0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번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는 역대 최다인 15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나, 선거 과정에서 2명이 사퇴하였다. 주요 5당 중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당 3당이 후보 단일화를 위한 협상을 벌였으나 실패했다.[103] 이에 반발한 바른정당 소속 의원 20명이 탈당하여 자유한국당 복당을 요청했고, 자유한국당은 13명의 복당과 징계 해제를 결정하였다.[104]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압승했다. 밤 8시 발표된 지상파 3사(KBS, SBS, MBC) 공동 출구조사에서 문재인 후보는 40%가 넘는 지지율로 2위 이하 후보들을 크게 앞섰다.[105] 문재인 후보는 같은 날 자정에 당선을 선언했고,[106]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패배를 인정했다.[107] 이로써 더불어민주당이 9년 만에 집권 여당이 되었고, 자유한국당은 9년간의 여당 자리를 내주고 야당이 되었다.

투표율은 77.2%로,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이후 20년 만에 80%를 넘지는 못했지만, 2012년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보다 1.4%p 상승하였다.[108]

개표 다음 날인 5월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문재인 후보의 당선을 확정하며 임기가 시작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같은 날 국회에서 취임식을 갖고 제19대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시작하였다.[109][110]

참조

[1] 뉴스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forced from office by constitutional court https://www.theguard[...] 2017-03-10
[2] 웹사이트 황교안 대선 불출마 선언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7-03-15
[3] 뉴스 PM not to run for presidency https://www.koreatim[...] 2017-05-17
[4] 뉴스 South Korea to Elect New President in May, Government Says https://www.nytimes.[...] 2017-05-17
[5] 뉴스 South Korean politicians jostle to succeed lamest of ducks http://asia.nikkei.c[...] 2016-04-17
[6] 뉴스 Vote defeat for South Korea's Park raises 'lame duck' prospect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4-17
[7] 뉴스 Conservative rout leaves South Korea's Park Geun-hye a lame duck http://www.theaustra[...] 2016-04-17
[8] 뉴스 Attention to shift to 2017 presidential race https://www.koreatim[...] 2016-04-17
[9] 웹사이트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인단 200만 명 돌파 http://news.naver.co[...] Naver 2017-04-03
[10] 웹사이트 민주당 선거인단 214만명 마감…"정당사 전무후무한 일" http://news.naver.co[...] Naver 2017-04-03
[11] 웹사이트 [종합]민주당 최종 누적집계…文 57%> 安 21.5%> 李 21.2% http://news.naver.co[...] Naver 2017-04-03
[12] 웹사이트 안희정, 대선 예비후보 등록…"미완의 역사 완성하겠다"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13] 웹사이트 기사본문-최성 고양시장, 더민주 예비 후보 등록 대선 레이스 돌입 – 수도권 종합일간지 경기일보, 경기닷컴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연예, 포토, 경기TV, 뉴스, 기사 제공 http://www.kyeonggi.[...] Kyeonggi.com 2017-03-10
[14] 웹사이트 이재명, 민주 예비후보 등록…YS·DJ 참배 후 광주行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15] 웹사이트 경인일보 : 새누리당 이인제 前의원 "대선 출마"… 네번째 도전 http://www.kyeongin.[...] Kyeongin.com 2017-03-10
[16] 웹사이트 원유철 대선 출마 선언… 안상수도 출사표 채비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17] 웹사이트 손학규·박주선, 安 경선 승리에 축하 "대선승리 위해 함께 하겠다" http://news.naver.co[...] Naver 2017-04-05
[18] 웹사이트 손학규, 국민의당... :: 네이버 뉴스 http://m.news.naver.[...] M.news.naver.com 2017-03-10
[19] 웹사이트 유승민, 대선 출마 공식 선언…'재벌 총수·공직자 부정부패 손본다' – 스페셜경제 http://www.speconomy[...] Speconomy.com 2017-03-10
[20] 웹사이트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로 선출…62.9% 득표(3보) http://news.naver.co[...] Naver 2017-03-29
[21] 웹사이트 심상정 첫 대선공약 "출산휴가 120일로 늘리겠다"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22] 웹사이트 심상정 대표 '승리의 V' http://news.naver.co[...] Naver 2017-03-29
[23] 뉴스 Split voting could boost fate of People's Party http://koreajoongang[...] 2016-04-24
[24] 웹사이트 김부겸, 대선불출마 선언…"정권교체 밀알될 것"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25] 웹사이트 Ban Ki-moon rules out presidential run in South Korea – World – CBC News http://www.cbc.ca/ne[...] Cbc.ca 2017-03-10
[26] 뉴스 Ban looms large in S. Korea's opinion polls http://www.koreahera[...] 2016-04-17
[27] 웹사이트 박원순, 대선 불출마 선언…"국민 마음 사지 못해"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28] 웹사이트 오세훈 전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하겠다"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29] 웹사이트 김무성 대선 불출마 선언…"보수의 썩은 환부 도려내겠다"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17-03-10
[30] 웹사이트 공식 선거전 내일 시작…후보 15명 역대 최다 http://news.naver.co[...] Naver 2017-04-16
[31] 기타
[32] 웹사이트 기자협회, 대선후보 첫 합동토론회 - 한국기자협회 http://journalist.or[...]
[33] 뉴스 'TV토론 승자=차기 대통령'…TV토론, 선거 막판 변수로 http://news.naver.co[...] 2017-04-14
[34] 뉴스 대선 토론회 방송, 오늘부터 시작…일정과 주제는? http://entertain.nav[...] Maeil Broadcasting Network 2017-04-14
[35] 웹사이트 [리얼미터] TV토론 후 '문재인45% >안철수31% >홍준표9%' http://www.polinews.[...] 2017-04-15
[36] 뉴스 South Korea's Moon Jae-in sworn in vowing to address North https://www.bbc.com/[...] 2017-05-17
[37] 뉴스 朴大統領を罷免、5月にも大統領選 韓国憲法裁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7-03-10
[38] 뉴스 韓国憲法裁判所「大統領弾劾の事由すべて審理」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6-12-12
[39] 뉴스 「チェ・スンシルの利益のために大統領の権限を乱用」…それだけで十分だっ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7-03-11
[40] 뉴스 朴槿恵氏逮捕 大統領経験者では3人目=韓国 http://japanese.yonh[...] 2017-03-31
[41] 보도자료 제19대 대통령 선거일은 5월 9일 (화요일) http://www.moi.go.kr[...] 대한민국행정자치부 2017-03-15
[42] 뉴스 5月9日に大統領選=黄首相は不出馬-選挙運動本格化・韓国 http://www.jiji.com/[...] 2017-03-15
[43] 뉴스 韓国大統領選 当選認定して即任期開始…異例づくめの移行手続き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5-09
[44] 뉴스 韓経:【社説】韓国、先進化法・公聴会法の改正なければ次の大統領も失敗する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7-03-17
[45] 뉴스 セヌリ党新代表に非主流派の座長 金武星氏 http://world.kbs.co.[...] 2014-07-15
[46] 뉴스 이재오 주호영 류성걸 의원도 탈당(イ・ジェオ、チュ・ホヨン、リュ・ソンゴル議員も脱党) http://www.hani.co.k[...] 2016-03-23
[47] 뉴스 「속보」새누리당 탈당한 진영 의원, 오늘 더불어민주당 입당(「速報」セヌリ党を脱党したチン・ヨン議員、今日「共に民主党」入党) http://news.khan.co.[...] 2016-03-20
[48] 뉴스 朴大統領支持率 3週連続で5% http://world.kbs.co.[...] 2016-11-18
[49] 뉴스 朴大統領側近の与党代表ら電撃辞任 弾劾可決で引責 http://japanese.yonh[...] 2016-12-16
[50] 뉴스 韓国与党の非主流派「集団離党」へ 27日に31人 http://japanese.yonh[...] 2016-12-21
[51] 뉴스 与党非主流派29人が離党と新党結成宣言 4党体制に=韓国 http://japanese.yonh[...] 2016-12-27
[52] 뉴스 与党離党議員が総会開催 新党の院内代表選出=韓国 http://japanese.yonh[...] 2016-12-27
[53] 뉴스 「正しい政党」が結党大会 4党体制がスタート http://world.kbs.co.[...] 2017-01-24
[54] 뉴스 与党セヌリ党が党名変更へ 来月初めにも決定=韓国 http://japanese.yonh[...] 2017-01-17
[55] 뉴스 韓国与党 13日に党名変更=刷新アピール http://japanese.yonh[...] 2017-02-11
[56] 뉴스 韓国与党「自由韓国党」に党名変更 http://japanese.yonh[...] 2017-02-13
[57] 뉴스 巨大野党誕生 安哲秀氏が共同代表に=韓国 http://japanese.yonh[...] 2014-03-26
[58] 뉴스 韓国最大野党 党名を「共に民主党」に変更 http://japanese.yonh[...] 2016-08-13
[59] 뉴스 反与党勢力 総選挙前の新党結成掲げ合併=韓国 http://japanese.yonh[...] 2016-01-15
[60] 뉴스 安哲秀氏が離党表明 韓国最大野党が分裂する可能性 http://www.asahi.com[...] 2015-12-13
[61] 뉴스 総選挙で躍進の最大野党「政権交代にまい進」=韓国 http://japanese.yonh[...] 2016-08-28
[62] 뉴스 韓国総選挙 与党が惨敗=最大野党が第1党に http://japanese.yonh[...] 2016-08-28
[63] 뉴스 민주 지지율 40%로 역대최고…새누리 15%·국민의당 12% http://m.news.naver.[...] 2017-01-04
[64] 뉴스 ‘정의당’ 천호선 체제로…“연대 모색”(‘正義党'チョン・ホソン体制へ・・・・”連帯模索”) http://www.hani.co.k[...] 2013-07-22
[65] 뉴스 進歩正義党は「正義党」、進歩新党は「労働党」…各自の道へ http://www.labornetj[...] 2013-07-23
[66] 뉴스 韓国の親北左派政党を強制解散 「北朝鮮式社会主義を実現しようとした」と憲法裁判所 https://web.archive.[...] 2014-12-19
[67] 뉴스 통합진보당 재건되나…핵심인사들 민중연합당行(統合進歩党再建され・・・・核心人物達民衆連合党行き) http://www.newsis.co[...] 2016-10-18
[68] 뉴스 文新大統領 軍統帥権者としてまず前線の態勢を確認 http://japanese.yonh[...] 2017-05-10
[69] 뉴스 韓国大統領選、投票進む 深夜以降に大勢判明 http://www.asahi.com[...] 2017-05-09
[70] 뉴스 韓国大統領選 支持率トップの文在寅氏が出馬正式表明 http://japanese.yonh[...] 2017-03-26
[71] 뉴스 韓国最大野党 大統領選候補に文在寅氏選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7-04-03
[72] 뉴스 안희정 "내가 민주당 적자…시대교체·정권교체하겠다" 출마선언(安熙正”私が民主党の嫡子・・・時代交代・政権交代する”出馬宣言) http://www.yonhapnew[...] 2017-01-22
[73] 뉴스 '소년공' 이재명, 돌풍 되살리기…"대선후보 되면 적수 없다"('少年工'李在明、突風復活させること…"大統領選挙候補になると、敵ない") http://www.yonhapnew[...] 2017-01-23
[74] 뉴스 최성 고양시장,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출마 선언(崔星高陽市長、民主党の大統領選挙候補予備選挙出馬) http://www.yonhapnew[...] 2017-01-05
[75] 웹사이트 제19대 대통령 후보자 선출을 위한 후보자 소개(第19代大統領候補者選出するための候補者紹介) http://win.minjoo201[...] 함께민주당
[76] 뉴스 홍준표, 대구 서문시장서 대선 출마선언 "이 시대 요구는 리더십 교체…서민 대통령 되겠다"(洪準杓、大邱ソムン市場で大統領選出馬宣言"この時代の要求はリーダーシップ交代…庶民大統領になる") 2017-03-18
[77] 뉴스 韓国保守党の大統領候補「正しい政党は戻ってくるべき」 https://web.archive.[...] 2017-04-01
[78] 뉴스 김관용 경북지사 대선출마 선언…"행정 경험으로 위기극복"(金寛容慶尚北道知事、大統領選出馬宣言…"行政経験で危機克服") http://www.yonhapnew[...] 2017-03-14
[79] 뉴스 김진태, 대선출마 선언…"대통령 탄핵 상처 어루만질 것"(金鎮太、大統領選出馬宣言…"大統領弾劾傷撫でだろう") http://www.yonhapnew[...] 2017-03-14
[80] 뉴스 이인제, 네 번째 대선 도전…"집권시 6개월내 개헌"(李仁済、4度目の大統領選出馬挑戦・・・”政権獲得すれば6カ月以内の改憲”) http://www.yonhapnew[...] 2017-01-15
[81] 뉴스 韓国保守系与党の大統領選候補 慶尚南道知事ら4人に http://japanese.yonh[...] 2017-03-18
[82] 뉴스 안철수·손학규 동시 대선출마 선언(安哲秀・孫鶴圭同時大統領選出馬宣言) http://www.hani.co.k[...] 2017-03-19
[83] 뉴스 韓国大統領選 「国民の党」公認候補に安哲秀氏 http://japanese.yonh[...] 2017-04-04
[84] 뉴스 박주선 "합리적 개혁세력 대연합하겠다"…대선 출마선언(朴柱宣"合理的な改革勢力大連合する"…大統領選出馬宣言) http://www.yonhapnew[...] 2017-03-15
[85] 뉴스 유승민 대선출마 선언…"정의로운 민주공화국 이뤄낼 것"(劉承旼大統領選出馬宣言…"正義の民主共和国して引き出すつもり http://www.yonhapnew[...] 2017-01-26
[86] 뉴스 바른정당 대선후보 유승민 확정(正しい政党大統領選候補 劉承旼確定) http://www.hani.co.k[...] 2017-03-28
[87] 뉴스 「전문」남경필 경기지사 대선 출마 선언···“혁신으로 일자리대통령 되겠다 (「全文」南景弼京畿道知事、大統領選出馬宣言・・・"革新を通じて、雇用の大統領になる) http://news.khan.co.[...] 2017-01-25
[88] 웹사이트 2017대선후보 경선(2017大統領選予備選) http://bareun.party/[...] 바른정당
[89] 뉴스 심상정 대선출마 선언…"재벌3세 경영세습 금지하겠다"(シム・サンジョン、大統領選出馬宣言…"財閥3世経営世襲禁止する") http://www.yonhapnew[...] 2017-01-19
[90] 웹사이트 「선거」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선거 결과 및 공고「수정」(「選挙」第19代大統領選挙候補者選出選挙結果及び公告「修正」) http://www.justice21[...] 정의당 2017-02-16
[91] 뉴스 {{ko|"언젠간 朴 전 대통령을 당수로" 친박단체, '새누리당' 창당…대선 후보에 변희재·정미홍·정광용 거론}}("いつかは朴元大統領を党首として"親朴団体、'セヌリ党'創党…大統領選候補にピョン・ヒジェ、チョン・ミホン、チョン・グァンヨン取り上げ) http://news.chosun.c[...] 2017-04-05
[92] 뉴스 親朴槿恵派核心の趙源震議員が自由韓国党離党、大統領選出馬を示唆 https://web.archive.[...] 2017-04-09
[93] 뉴스 {{ko|조원진, 새누리당 입당 “보수우파 승리 마중물 되겠다” 대선 출마 시사}}(趙源震、セヌリ党入党"保守右派の勝利誘い水になりそう"大統領選出馬示唆) http://biz.heraldcor[...] 2017-04-09
[94] 뉴스 {{ko|조원진,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확정…"보수의 가치 지킬 것"}}(趙源震、セヌリ党大統領選候補に確定…"保守の価値守ること") http://www.yonhapnew[...] 2017-04-11
[95] 뉴스 민중연합당, ‘국회 최루탄’ 김선동 전 의원 대선후보로 선출(民衆連合党、‘国会催涙弾’金先東前議員大統領選候補に選出) http://www.hankookil[...] 2017-03-26
[96] 뉴스 潘前国連事務総長が立候補断念=帰国後3週間で挫折-韓国大統領選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7-02-01
[97] 뉴스 대통령선거 후보 潘基文씨 대신 황교안 총리에 구애하는 한국여당 http://www.chosunonl[...] Chosun Online 2017-02-01
[98] 뉴스 韓国大統領選 最大野党の元トップが出馬宣言=候補6人に http://japanese.yonh[...] 2017-04-05
[99] 뉴스 最大野党の元トップが出馬を断念 韓国大統領選 http://japanese.yonh[...] 2017-04-15
[100] 뉴스 대선후보 등록자 15명 역대 최다…투표용지 길이 28.5㎝(大統領選挙候補登録者15人の歴代最多…投票用紙の長さ28.5センチ) http://www.yonhapnew[...] 2017-04-16
[101] 뉴스 「단독」남재준, 대선후보직 사퇴…"홍준표 지지한다"(종합)(「単独」南在俊、大統領選候補辞退・・・”洪準杓候補支持する”(総合)) http://www.yonhapnew[...] 2017-04-29
[102] 뉴스 제19대 대선 기호 13번 김정선 후보 사퇴…후보수 1명 줄어 14명(第19代大統領選挙 記号13番金正善候補辞退…候補数1人減少し、14人) http://news.donga.co[...] 2017-04-21
[103] 뉴스 安哲秀氏の支持急落 さらに差をつける文在寅氏 「反文」での一本化困難、時間もなし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4-27
[104] 뉴스 한국당, 바른정당 탈당파 복당·친박 징계해제…"洪 특별지시"(韓国党、正しい政党脱党派の復党・親朴懲戒解除・・・”洪特別支持”) http://www.yonhapnew[...] 2017-05-06
[105] 뉴스 韓国大統領選、文氏リード 出口調査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5-09
[106] 뉴스 【韓国大統領選】文候補が事実上の勝利宣言 http://www.news24.jp[...] 日本テレビ 2017-05-09
[107] 뉴스 韓国大統領選、文在寅氏が勝利宣言 http://news.tbs.co.j[...] TBS 2017-05-10
[108] 뉴스 文在寅氏が第19代韓国大統領に当選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05-10
[109] 뉴스 「統合大統領になる」文在寅新大統領 国民融和訴え http://news.tv-asahi[...] テレビ朝日 2017-05-10
[110] 뉴스 韓国・文在寅大統領 任期スタート http://www.fnn-news.[...] フジテレビ 2017-05-10
[111] 뉴스인용 새 대통령 임기 시작은 언제? http://news.tvchosun[...] 2017-04-30
[112] 뉴스인용 일반인 박근혜, 구속 시점은 언제 http://www.mediatoda[...] 2016-12-09
[113] 웹인용 대한민국헌법 http://www.law.go.kr[...] n.d.
[114] 웹인용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제35조 http://www.law.go.kr[...] n.d.
[115] 웹인용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제35조 http://www.law.go.kr[...] n.d.
[116] 뉴스인용 대통령 궐위 시 차기 당선자 임기는 '무조건 5년' http://www.newsis.co[...] 2016-11-04
[117] 뉴스인용 대선 5월 9일 확정...검찰, 박근혜 전 대통령 '21일 소환' 통보 http://www.voakorea.[...] 2017-03-15
[118] 뉴스인용 [리포트+] 19대 대선 D-1, 투표 당일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 http://news.sbs.co.k[...] 2017-05-08
[119] 웹인용 민법 http://www.law.go.kr[...] n.d.
[120] 뉴스인용 [마부작침] 평균 환갑의 나이에 고향은 영남이 많았다…역대 대선후보 분석 http://news.sbs.co.k[...] 2017-04-01
[121] 뉴스인용 오전 6시~오후 8시까지 투표…`손가락 인증샷` 가능 https://news.naver.c[...] 2017-05-08
[122] 웹인용 공직선거법 16조 http://www.law.go.kr[...] 1997-01-13
[123] 웹인용 공직선거법 49조 http://www.law.go.kr[...] 2011-07-28
[124] 뉴스인용 19대 대선 후보등록 마감…기호 1번 文, 2번 洪, 3번 安(종합) https://news.naver.c[...] 2017-04-16
[125] 웹인용 김종인ㆍ홍석현 "대선 불출마"… 제3지대 빅텐트 중단 - 전남일보 https://www.jnilbo.c[...] 전남일보 2017-04-13
[126] 웹사이트 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명부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info.nec.go.k[...]
[127] 뉴스인용 [단독]남재준, 대선후보직 사퇴…"홍준표 지지한다"(종합) http://www.yonhapnew[...] 2017-04-29
[128] 뉴스인용 김정선 대선후보직 사퇴…후보수 1명 줄어 14명 http://www.yonhapnew[...] 2017-04-21
[129] 뉴스인용 22일간의 선거운동회…반짝 아이디어로 '볼거리 풍성' https://news.naver.c[...] 2017-05-08
[130] 뉴스인용 선거운동 내내 쓴 단어, 文 '교체'·洪 '북한'·安 '미래' https://news.naver.c[...] 2017-05-07
[131] 뉴스인용 19대 대선 벽보 역대 '최장' "붙일 데도 없어요" https://news.naver.c[...] 2017-04-20
[132] 웹인용 [데일리안 여론조사] "꼭 투표하겠다" 적극적 투표층 절반은 문재인 지지 http://news.naver.co[...] 데일리안 2017-04-05
[133] 웹인용 [대선 여론조사] 안철수, '5자 대결'서 31.8%로 2위 http://news.naver.co[...] JTBC 2017-04-04
[134] 웹인용 다자구도서도 安 30%대 첫 돌파…文과 한자릿수 접전 http://news.naver.co[...] 매일경제 2017-04-05
[135] 웹인용 文 38% 安 34.4% ‘대세론 흔들’ http://news.naver.co[...] 서울신문 2017-04-05
[136] 웹인용 [단독] 홍준표로 보수 단일화 땐 문재인 1위, 유승민 단일화 땐 안철수 1위 http://news.naver.co[...] 중앙일보 2017-04-06
[137] 웹인용 데일리 오피니언 제253호(2017년 4월 1주) - 대선 후보 지지도, 인물 호감도 http://www.gallup.co[...] 한국갤럽 2017-04-06
[138] 웹인용 문재인 42.4%, 안철수 35.1% http://news.naver.co[...] 프레시안 2017-04-07
[139] 웹인용 문재인·안철수, 다자대결서 37.7% 첫 ‘동률’ http://news.naver.co[...] 한겨례 2017-04-09
[140] 웹인용 문재인 35.2% vs 안철수 34.5% '소수점 싸움' http://news.naver.co[...] 한국경제 2017-04-09
[141] 뉴스 [조선일보 여론조사] 安, 가상 양자 대결서 文에 13.1%P 앞서 http://news.naver.co[...] 조선일보 2017-04-09
[142] 뉴스 40% 천장에 갇힌 문재인-치고 올라간 안철수… ‘골든 크로스’ 하나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2017-04-10
[143] 뉴스 안철수, 5자 대결서도 문재인 첫 역전…安 36.8%, 文 32.7%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7-04-09
[144] 뉴스 [이데일리 여론조사] 다자구도, 문재인 41.1% vs 안철수 34.8% http://news.naver.co[...] 이데일리 2017-04-10
[145] 뉴스 [데일리안 여론조사] 6자 대결, 문재인-안철수 지지율 격차 '5%p'로 좁혀 http://news.naver.co[...] 데일리안 2017-04-12
[146] 뉴스 안철수 숨 고르기 속 문재인 독주…문 44.8%, 안 36.5%, 홍 8.1% http://news.naver.co[...] MBN 2017-04-13
[147] 뉴스 [대선 여론조사] 문 38%-안 38.3%…'오차범위 접전' 지속 http://news.naver.co[...] JTBC 2017-04-12
[148] 뉴스 여론조사 속 문재인-안철수의 강점과 약점 http://www.sisain.co[...] 시사IN 2017-04-17
[149] 뉴스 데일리 오피니언 제254호(2017년 4월 2주) - 대선 후보 지지도, 후보 이미지 http://www.gallup.co[...] 한국갤럽 2017-04-14
[150] 뉴스 문재인 46%, 안철수 36.5%…격차 확대 http://news.naver.co[...] 프레시안 2017-04-14
[151] 뉴스 CBS-리얼미터 TV토론 당일과 익일 여론조사 보도자료 http://www.realmeter[...] 리얼미터 2017-04-14
[152] 뉴스 대선 지지도 여론조사…문재인 35.8%·안철수 30.2% https://news.sbs.co.[...] SBS 2017-04-16
[153] 뉴스 문재인-안철수, 다자·가상양자 대결서 모두 초접전 http://news.naver.co[...] 조선일보 2017-04-16
[154] 뉴스 2017년 4월 3주차 정례조사 1 - 5자대결 지지도 등 http://ksoi.org/news[...]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2017-04-16
[155] 뉴스 [단독] 문재인 38.5%, 안철수 37.3%···지지층 결집하며 양강구도 심화 http://news.naver.co[...] 중앙일보 2017-04-16
[156] 뉴스 [후보등록 후 첫 여론조사] 文 42.6%·安 35.6%...양강구도 흔들 http://news.naver.co[...] 서울경제 2017-04-16
[157] 뉴스 [서울신문-YTN 공동 여론조사] 문재인 37.7%, 안철수 34.6%...3.1%p 격차 초박빙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7-04-18
[158] 뉴스 [쿠키뉴스 여론조사] 5자대결 ‘문재인 41%, 안철수 34.3%, 홍준표 12%’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17-04-18
[159] 뉴스 [데일리안 여론조사] 안철수 하락...문재인과 지지율 격차 더 벌어져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7-04-18
[160] 뉴스 文 43.8% 安 32.3%…'벌어지는' 양강구도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7-04-19
[161] 뉴스 [대선 여론조사] 일주일 새 10%p 이상 격차 벌어진 문-안 http://news.naver.co[...] JTBC 2017-04-19
[162] 뉴스 대선 D-19… 문재인 40.9% - 안철수 34.4% http://news.naver.co[...] 문화일보 2017-04-20
[163] 뉴스 문재인 40.0% vs 안철수 30.1% ..동아일보-R&R 5자대결 여론조사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04-21
[164] 뉴스 6자 대결, 문재인 43.3%, 안철수 31.3%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7-04-22
[165] 뉴스 데일리 오피니언 제255호(2017년 4월 3주) - 대선 후보 지지도, 지지 이유, 인물 호감도 http://www.gallup.co[...] 한국갤럽 2017-04-20
[166] 뉴스 [KSOI] 5자대결 文 44.4% vs 安 32.5%…유승민 5% 진입 http://news.naver.co[...] 이데일리 2017-04-23
[167] 뉴스 [한경·MBC공동 조사] 문재인 39.1% vs 안철수 30.1% http://news.naver.co[...] 한국경제 2017-04-23
[168] 뉴스 [조선일보 조사] 다자대결서 文 37.5% 安 26.4%…11.1%P 격차로 벌어져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04-23
[169] 뉴스 [단독] 문재인 39.8% 안철수 29.4%,이념공방으로 오히려 격차 확대 https://news.v.daum.[...] 중앙일보 2017-04-24
[170] 뉴스 5자 대결 文 40.3% 安 29.6%..양강구도 흔들 https://news.v.daum.[...] 매일경제신문 2017-04-25
[171] 뉴스 [단독] 文 40.4%, 安 26.4% 격차 커졌다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17-04-25
[172] 뉴스 [데일리안 여론조사] 5자 대결시 안철수 하락세, 홍준표 상승세 뚜렷 https://news.v.daum.[...] 데일리안 2017-04-25
[173] 뉴스 [대선 여론조사] 'TV토론 효과' 반영, 지지율 변화 보니.. https://news.v.daum.[...] JTBC 2017-04-26
[174] 뉴스 문재인 44.4% VS 안철수 22.8%..더블스코어 근접 https://news.v.daum.[...] JTBC 2017-04-26
[175] 뉴스 [대선 여론조사] 'TV토론 효과' 반영, 지지율 변화 보니.. https://news.v.daum.[...] JTBC 2017-04-26
[176] 웹인용 "문재인 40%, 안철수 24%, 홍준표 12%"<갤럽> https://news.v.daum.[...] 2017-04-28
[177] 웹인용 문재인 45.5%, 안철수 23.7%, 홍준표 15.3% http://www.pressian.[...] 2017-04-28
[178] 웹인용 안철수‧홍준표 오차범위내 2위 접전..文은 안정적 1위 https://news.v.daum.[...] 2017-04-30
[179] 웹인용 文 43.1%, 安 23.0%, 洪 17.4%..오차범위 내 2위 싸움 https://news.v.daum.[...] 2017-04-30
[180] 웹인용 [데일리안 여론조사] 홍준표, 2위로 '급등'…문재인 소폭 하락 http://www.dailian.c[...] 2017-05-02
[181] 웹인용 [쿠키뉴스 여론조사] 문재인 39.5%, 안철수 23.9%, 홍준표 18.4%…‘1강 2중’ 구도 형성 http://www.kukinews.[...] 2017-05-02
[182] 웹인용 문재인 38.6% - 안철수 22.6% - 홍준표 18.3% http://www.munhwa.co[...] 2017-05-02
[183] 웹인용 문재인 40% 확고한 1위..2위 다툼 치열 https://news.v.daum.[...] 2017-05-03
[184] 뉴스 19대 대선 사전투표율 26.06% 최고치 기록 http://www.hani.co.k[...] 2017-05-06
[185] 뉴스 투스크·융커, 문재인 대통령에 축하 서한…"EU와 한국은 파트너" https://news.naver.c[...] 2017-05-11
[186] 뉴스 트럼프 "문 대통령 공식 초청"…한미 정상회담 급물살 https://news.naver.c[...] 2017-05-11
[187] 뉴스 시진핑 “韓·中, 중요한 이웃… 갈등해결 바라” https://news.naver.c[...] 2017-05-10
[188] 뉴스 https://news.naver.c[...]
[189] 뉴스 푸틴, 문 대통령에 축전…"양자협력 강화, 국제현안 공조 기대" https://news.naver.c[...] 2017-05-10
[190] 뉴스 메르켈 "文 대통령 G20 회의서 만나길 기대" https://news.naver.c[...] 2017-05-10
[191] 뉴스 모디 인도 총리 "문재인 당선,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https://news.naver.c[...] 2017-05-10
[192] 뉴스 캐나다 트뤼도 총리 "문 대통령과 양국 관계 심화 협력 기대" http://www.yonhapnew[...] 2017-05-10
[193] 뉴스 대만 차이잉원 총통, 문재인 대통령에게 축전…"협력 확대 기대" https://news.naver.c[...] 2017-05-10
[194] 뉴스 멕시코 대통령 "우리는 문재인 대통령 동료"…쿠바, 이례적 보도(종합) https://news.naver.c[...] 2017-05-11
[195] 뉴스 베트남 당서기장, 文대통령에 축전 "협력관계 발전" https://news.naver.c[...] 2017-05-11
[196] 뉴스 두테르테, 文대통령 당선 축하…"긴밀한 협력 기대" https://news.naver.c[...] 2017-05-10
[197] 뉴스 카자흐 대통령, 文대통령에 축전보내…"양자관계 발전 기대" https://news.naver.c[...] 2017-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