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마나시 한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나시 한조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으며, 육군 대신과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육군 항공 본부 국장관, 육군 차관 등을 거쳐 1921년 육군 대신이 되었다. 육군 대신 재임 중 군축을 실행했으며, 관동 대지진 당시 관동 계엄 사령관을 맡았다. 1927년 조선 총독에 임명되었으나, 뇌물 수수 의혹으로 사임했다. 이후 194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총독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조선 총독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사가미국 사람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사가미국 사람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나구모 주이치
    나구모 주이치는 1887년 출생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진주만 공격을 지휘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며, 미드웨이 해전 패배 후 사이판 전투에서 자결하고 해군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아라키 사다오
    아라키 사다오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군국주의적 정책을 추진하고 국가주의 이념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군국주의적 사상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야마나시 한조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야마나시 한조
본명야마나시 한조 (山梨 半造)
출생1864년 4월 6일 (음력 1864년 3월 1일)
출생지일본,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 시모지마
사망1944년 7월 2일 (80세)
사망지일본,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출신 학교육군대학교 졸업
최종 계급[[파일:帝國陸軍の階級―肩章―大将.svg|50px]] 육군 대장
서훈정3위
훈장훈1등 욱일대수장
무공 훈장금치훈장 공2급
가족야마나시 야스베에 (아버지), 다무라 이요조 (장인), 혼마 마사하루 (처남)
군 경력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복무 기간1886년 ~ 1927년
참전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주요 보직
정치 경력
직책제15대 육군대신
재임 기간1921년 6월 9일 ~ 1923년 9월 2일
내각하라 내각, 다카하시 내각,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직책제4대 조선총독
재임 기간1927년 12월 10일 ~ 1929년 8월 17일

2. 생애

야마나시 한조는 사가미국오스미군시모지마촌 (현재의 가나가와현히라쓰카시시모지마)에서 야마나시 야스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경여숙을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청일 전쟁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독립 제18사단 참모장으로 칭다오에 출정하여 군공을 세웠다.

1921년 하라 내각의 육군 대신이 되었고, 다카하시 내각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에서도 유임되었다. 1922년에는 육군 사상 최초의 군축 ("야마나시 군축")을 실행했다. 관동 대지진 때는 관동 계엄 사령관과 도쿄 경비 사령관을 역임했다.

1927년 조선 총독이 되었으나, 조선총독부 의옥 사건에 연루되어 사임했다.[31]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모든 직책에서 물러났다. 1944년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자택에서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군 경력

야마나시 한조는 가나가와현 히라쓰카시에서 태어나 1886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1892년에는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1894년 청일 전쟁에 참전하여 보병 제4여단 부관, 보병 제5연대 중대장, 제2군 부관, 점령지 총독부 부관 등을 역임했다. 러일 전쟁 때에는 제2군 참모, 동군 참모 부장, 제3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911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 보병 제30여단장, 보병 제1여단장, 참모 본부 총무부장 등을 역임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일본 제국 육군 제18사단 참모장을 맡았다. 1916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였고, 1921년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다.[30]

다음은 야마나시 한조의 주요 군 경력이다.

기간내용
1886년육군사관학교 졸업, 보병 소위 임관, 보병 제5연대 부속
1892년 12월육군대학교 졸업
1894년청일 전쟁 참전 (보병 제4여단 부관, 보병 제5연대 중대장, 제2군 부관, 점령지 총독부 부관)
불명참모본부 제4부원, 겸 육군대학 교관, 독일 주재, 육군대학 교관
1904년-1905년러일 전쟁 참전 (제2군 참모, 동군 참모 부장, 제3사단 참모장)
불명오스트리아 공사관 부속, 독일 대사관, 육군대학 간사, 보병 제51연대장
1911년 9월육군 소장 진급, 보병 제30여단
불명보병 제1여단장, 참모본부 총무부장
제1차 세계 대전 기간독립 제18사단 참모장 (칭다오 출정)
불명교육총감부 본부장
1916년 5월육군 중장 진급, 육군 차관, 겸 항공국장관
1921년 10월하라 내각 육군 대신
1921년 12월육군 대장 진급
1923년관동 대지진 이후 관동 계엄 사령관, 도쿄 경비 사령관
1925년 5월 25일[11]예비역 편입


2. 2. 정치 경력

야마나시 한조는 1921년 하라 내각의 육군 대신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12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30] 이후 다카하시 내각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에서도 육군 대신을 역임했다.

육군대신으로서 야마나시는 일본 제국 육군의 장교 2200명과 병사 6만 명을 감축하는 개혁을 시작했다.[3] 이는 약 5개 사단에 해당하는 규모였지만, 육군 전체에 걸쳐 시행되었기 때문에 후임인 우가키 가즈시게가 4개 사단을 직접 폐지한 것만큼 눈에 띄는 효과는 없었다. 또한 야마나시는 현대 무기나 기술 부족을 "정신" (엘랑, 또는 ''야마토다마시'')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일본 제국 육군 내의 뿌리 깊은 개념에 도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의 재임 기간이 끝났을 때, 일본 제국 육군은 기계화와 항공력 측면에서 다른 주요 열강에 뒤쳐져 있었다.[4]

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 야마나시는 도쿄 지역의 계엄령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23년 11월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지만, 1924년 8월까지 도쿄 지역 경찰의 수장으로 계속 재임했다. 1925년에는 종3위라는 위계를 받았다.[5]

1925년 5월 25일, 예비역에 편입되었다.[11] 이후, 육군 기밀비 횡령 문제로 다나카 기이치와 함께 고발되었으나, 1926년 12월 27일에 불기소 처분되었다.[12]

2. 3. 말년

1927년 사이토 마코토의 후임으로 조선 총독이 되었다. 그 직후, 입헌 민정당에 의해 쌀 상인이 경성에 거래소를 개설하기 위해 야마나시의 측근을 통해 5만 엔(당시)을 뇌물로 제공했다는 조선총독부 의혹이 폭로되어 사임했다. 쌀 상인과 측근은 집행 유예부 유죄, 야마나시 본인은 무죄가 되었다.[31]

1934년 퇴역하였고, 1944년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자택에서 사망했다. 향년 81세. 묘소는 도쿄도 스기나미구에이후쿠의 쓰키지 혼간지 와다보리 묘소이다.

3. 평가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4. 훈장

수여 일자훈장
1901년 (메이지 34년) 11월 30일훈5등 수보장[24]
1905년 (메이지 38년) 5월 30일훈4등 수보장[25]
1915년 (다이쇼 4년) 2월 26일훈2등 수보장[26]
1915년 (다이쇼 4년) 11월 7일공2급 금계훈장・욱일중광장・다이쇼 3~4년 종군기장[27]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1일훈1등 욱일대수장・다이쇼 3년 내지 9년 전역 종군기장[28]
1921년 (다이쇼 10년) 7월 1일제1회 국세조사 기념장[29]


5.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2] 서적 The Siege of Tsingtau: The German-Japanese War 1914 Naval Institute Press 2017
[3] 서적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4] 서적 Provincial Life and the Military in Imperial Japan: The Phantom Samurai Routledge
[5] 간행물 官報 第3888号「叙任及辞令」 1925-08-08
[6] 웹사이트 Axis History Database
[7] 서적 Korean-American Relations: 1866–1997 https://archive.org/[...] SUNY Press
[8] 서적 Political Bribery in Jap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간행물 官報 第1067号「叙任及辞令」 1915-02-24
[10] 간행물 官報 第2612号「叙任及辞令」 1921-04-19
[11] 간행물 官報 第3825号「叙任及辞令」 1925-05-26
[12] 뉴스 機密費事件は証拠不十分で不起訴に決定 東京朝日新聞 1926-12-28
[13] 간행물 官報 第1034号「叙任」 1886-12-09
[14] 간행물 官報 第2571号「叙任及辞令」 1892-01-28
[15] 간행물 官報 第3671号「叙任及辞令」 1895-09-21
[16] 간행물 官報 第5304号「叙任及辞令」 1901-03-12
[17] 간행물 官報 第6422号「叙任及辞令」 1904-11-25
[18] 간행물 官報 第7352号「叙任及辞令」 1907-12-28
[19] 간행물 官報 第8502号「叙任及辞令」 1911-10-21
[20] 간행물 官報 第1158号「叙任及辞令」 1916-06-12
[21] 간행물 官報 第658号「叙任及辞令」 1921-06-11
[22] 간행물 官報 第3259号「叙任及辞令」 1923-06-12
[23] 간행물 官報 第3888号「叙任及辞令」 1925-08-08
[24] 간행물 官報 第5525号「叙任及辞令」 1901-12-02
[25] 간행물 官報 第6573号「叙任及辞令」 1905-05-31
[26] 간행물 官報 第770号「敍任及辞令」 1915-02-27
[27] 간행물 官報 第1067号「叙任及辞令」 1916-02-24
[28] 간행물 官報 第2612号「叙任及辞令」 1921-04-19
[29] 간행물 官報 第2858号・付録「辞令」 1922-02-14
[30] 문서 내일을 여는 역사 15호
[31] 문서 명당은 순환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