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단은 군대의 전술적 부대 단위로, 연대보다 크고 사단보다 작다. 어원은 프랑스어 "brigade"에서 유래되었으며, 17세기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각국의 군대 편제에 따라 여단의 규모와 구성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대대와 지원 부대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단이 존재하며, 보병, 기갑, 포병 등 병과에 따라 특화된 여단도 있다. 여단은 군사 작전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각국의 군사 조직에서 핵심적인 부대 단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단 - 혼성여단
    혼성 여단은 스페인 내전 중 공화국 군대에서 기동성을 강조하여 설계된 부대 편성으로, 다양한 병과를 혼합하여 독립적인 작전 수행을 목표로 했지만, 자원과 장비 부족으로 인해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 군사에 관한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군사에 관한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여단
개요
부대 종류군사 편성
규모3~6개 대대 / 3천~1만 명
명칭
영어Brigade
문화어려단
군사 편제
상위 부대사단 또는 군단
하위 부대연대 또는 대대
설명
역할대규모 작전 수행, 독립적인 작전 가능
특징다양한 병과로 구성
기동력과 화력 보유
전투 임무 수행
대한민국 국군
편제보병 기계화보병 포병 공병 정보통신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
지휘관준장
규모3 ~ 4개 연대 또는 2 ~ 3개 전투단
주요 임무특정 지역 방어
적 침투 저지
공격 작전 지원
참고대한민국 국군에서 여단은 사단 예하 또는 독립적인 부대로 편성됨
일본 자위대
편제보통과연대를 주력으로 각종 지원 부대로 구성
지휘관장보
규모약 3,000 ~ 6,000명
주요 임무특정 지역 방어
재해 발생 시 구호 활동
참고일본 육상자위대에서 여단은 사단과 연대 사이의 부대 단위
해상자위대는 호위대군, 항공자위대는 항공단을 여단에 해당되는 규모의 부대로 운용함
기타 국가
브라질여단을 운용함
칠레여단을 운용함
중화민국여단을 운용함
기타 국가여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표준 군사 편제
추가 정보
여단장대령 또는 준장이 보임
여단 전투단전차, 보병, 포병 등 여러 병과로 구성된 기동 부대

2. 기원

여단은 스웨덴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창안한 전술 부대 단위이다. 프랑스어 'brigade'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brigatait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다시 이탈리아어 동사 brigareit(다투다 또는 싸우다)에서 파생되었다.[2] 여단은 17세기 영국에서 중대나 연대보다 큰 군사 부대를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30년 전쟁 중 1631년 스웨덴군을 재편성하면서 여단을 전술 부대로 도입했다. 이전에는 보병 연대와 지원 병과(기병, 포병) 부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행동하여 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보병 대대, 기병 부대, 포병 중대를 '전투 집단', 즉 brigadasv(여단)으로 결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으며, 상급 대령이나 중령이 여단장으로 임명되어 지휘했다.

프랑스에서는 튀렌 원수(1611~1675)가 여단 조직을 모방하여 1667년 brigadier des armées du roi프랑스어(왕의 군대 여단장)라는 상설 계급을 만들었다. 당시 프랑스 여단은 스웨덴 여단과 달리 같은 병과의 2~5개 연대로 구성되었다(brigade de cavalerie, brigade d'infanterie프랑스어 등).

영어와 프랑스어의 'brigade'는 군대 부대 단위 외에도 '사람들의 무리'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2]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동사 'brigare'(싸우다, 전투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켈트어 'briga'(싸움)에서 유래한다.[2]

일본어의 '旅団(여단)'은 고대 중국의 군대 단위인 '旅(여)'에서 유래한다.[2] 주나라 시대 중국에서는 500명의 병력을 '一旅(일여)', 5旅(약 2,500명)을 '一師(일사)'라고 불렀다.[2]

3. 나라별 여단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여단 개념이 확대되어 사단과 함께 주요 전술제대로서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보병 여단은 3,000 ~ 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다.


  • '''아르헨티나''' 육군에서 일반적인 여단은 여단 본부 중대, 주력 병과(보병 또는 기갑 기병) 2~3개 대대(역사적 이유로 "연대"라고 함), 다른 병과의 대대 1개, 포병 중대 1~2개, 공병 대대 또는 중대, 통신 중대, 정보 중대, 육군 항공대, 그리고 지원 대대를 포함한다. 산악 여단에는 특수부대(산악 레인저) 중대도 있다. 여단은 보통 준장 또는 고참 대령이 지휘하며, 여단장 재임 중 장군으로 진급할 수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에서 여단은 가장 작은 전술적 편제이다. 연대는 보병에서는 대대의 행정적 그룹이거나 기병에서는 대대 규모의 부대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여단은 기계화 보병 대대 2개, 기갑 연대, 기갑 포병 연대 및 기타 군수 및 공병 부대 등 약 5,5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단은 일반적으로 준장 계급의 장교가 지휘하며, "여단장"이라고 한다.

  • '''캐나다 육군'''은 세 개의 정규군 여단 그룹(CMBG)을 보유하고 있다. 제1 CMBG, 제2 CMBG, 제5 CMBG가 있으며, 각 CMBG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부 및 통신 연대 1개
  • 기계화 보병 대대 2개
  • 경보병 대대 1개
  • 기갑 연대 1개
  • 기계화 포병 연대 1개
  • 공병 연대 1개
  • 전투지원(CSS) 대대 1개
  • 각 CMBG에는 야전 구급대, 전술 헬리콥터 중대, 군사 경찰 소대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정규군 CMBG의 병력은 5,000명이다.[3] 캐나다는 10개의 예비군 여단(CBG)도 보유하고 있다.

  • '''프랑스'''는 1999년 사단을 여단으로 대체했지만, 2016년에는 다시 두 개의 사단을 편성하기로 결정했다. 총 7개 여단(프랑스-독일 여단 포함)과 육군 항공 사령부에 예속된 공수여단으로 구성된다. 평시에는 여단이 주로 병력 제공 부대로 활동한다.

  • '''인도 육군'''에서 여단은 사령부(HQ), 3개의 대대 및 지원부대들로 구성된다. 여단장(별 하나 계급의 장교)이 지휘한다.[5]

  • '''노르웨이 육군'''의 핵심은 북부 여단(Brigade Nord)이다.[6] 8개 대대(전투 대대 4개와 지원 대대)로 구성되며, 항상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 '''육상자위대(JGSDF)'''의 여단은 합동군(combined arms)으로, 사단과 유사하다. 8개의 여단이 있으며, 일부는 기존 사단에서 개편되었다. 3,000~4,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소장이 지휘한다.
  • 제1공수여단
  • 제5여단
  • 제11여단
  • 제12여단
  • 제13여단
  • 제14여단
  • 제15여단
  • 수륙양용 신속 배치 여단

  • '''미얀마'''의 전술작전사령부(Tactical Operation Command)는 여단에 해당하지만, 3개의 보병대대를 지휘하며 여단급 부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원 부대는 대대(때로는 연대)에 직할되어 있다.

  • '''유럽'''의 군제는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여단 개념의 싹이 보였는데, 부군단장 지휘 하에 군단의 절반 정도 규모의 부대가 조직되었다.

  • '''소비에트 연방군'''은 연대-사단-군(집단군)-군관구 지휘 체계를 채택하여 독립 여단을 제외하고는 여단이 편성되지 않았다. 2007년 아나톨리 세르디우코프 국방장관 취임 후, 신속 대응성 개선과 조직·인원 합리화를 위해 작전 기본 부대가 사단에서 여단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쿠릴 열도 주둔 제18 기관총·포병 사단을 제외한 모든 사단이 해체되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여단은 대부분 군단 또는 사단에 속해 있다. 사단에 속한 여단을 사단 편성 여단이라고 하며, 예전 연대와 같은 단위의 부대이다. 비사단 편성 여단은 대부분 군단 또는 야전군에 편성되며, 작전 상황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예하 사단에 재배속되거나 다른 군단으로 전환 편성된다. 사단 편성 여단은 대부분 보병 여단, 포병 여단이며, 비사단 편성 여단은 기갑, 포병, 공병, 통신 등 병과가 다양하다.

  • 보병여단
  • 사단 편성 보병여단 (보병사단 예하 3개 여단 편성)
  • 비사단 편성 보병여단 (야전군 직할 또는 군단 직할)
  • 기갑여단 (전차 중심 편제)
  • 기계화보병여단 (장갑차 중심 편제)
  • 포병여단
  • 사단 편성 포병여단 (보병사단 예하 3개 보병여단 전투 지원)
  • 비사단 편성 포병여단 (야전군 직할 또는 군단 직할 독립여단)
  • 화력여단
  • 공수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공병여단
  • 통신여단
  • 경비여단
  • 신속대응여단
  • 해병여단

3. 2. 미국

미국 육군의 여단은 사단보다 작고, 연대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 규모이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보병 여단은 2,000명 규모로 2~5개 연대를 포함했으며,[10] 보통 준장 또는 고참 대령이 지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사단은 각각 2개 연대를 가진 2개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최근 미국 육군은 여단 전투단(BCT)으로 전환했으며, 각 여단에는 전투 요소와 지원 부대가 포함된다. 2013년 개혁 이후 BCT 인원은 보병 BCT의 경우 4,400명, 스트라이커 BCT의 경우 4,500명, 장갑 BCT의 경우 4,700명이다. 이 편제는 활동 중인 미국 육군, 미국 육군 예비군, 육군 주방위군에서 표준이다.

여단장은 일반적으로 대령이지만, 대령이 없을 경우 중령이 여단 지휘를 맡을 수 있다. 이 임무에 대한 일반적인 근무 기간은 24~36개월이다. 사단에 영구적으로 배속되지 않은 독립 여단은 준장이 지휘했다.[11]

여단장은 여단과 하급 부대를 지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본부와 참모를 두고 있다. 일반적인 참모는 다음과 같다.

  • 여단 참모장, 보통 소령
  • 여단 지휘상사
  • 인사 장교(S1), 보통 소령
  • 정보 장교(S2), 보통 소령
  • 작전 장교(S3), 보통 소령
  • 보급 장교(S4), 보통 소령
  • 계획 장교(S5), 보통 소령
  • 통신 장교(S6), 보통 소령
  • 의무 장교, 보통 소령
  • 법무 장교(JAG), 보통 소령
  • 여단 군목, 보통 소령


또한, 본부에는 참모 부서의 병과에 속한 추가적인 하급 참모 장교, 부사관, 지원 인원이 포함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여단의 본부 및 본부 중대에 배속된다.

기능 여단은 전투 지원 또는 전투 서비스 지원 병과에 속한 여단이다.

약 3,200명의 미군 보병 여단(8개 대대 규모)


미국 해병대에서 여단은 해병 원정 여단(MEB, Marine Expeditionary Brigade)으로 지정되며, 보통 준장이 지휘한다. MEB는 중간 규모의 해병 항공 지상 기동 부대(MAGTF, Marine Air-Ground Task Force)로, 최소 세 개의 연대급 부대와 지휘 요소(연대 전투팀, 복합 해병 항공단, 해병 물류 연대, MEB 본부대)로 구성된다. 각 해병 원정 부대(MEF, Marine Expeditionary Force)에는 원정 작전에 배치 가능한 MEB가 포함되어 있다. MEB는 MEF와 해병 원정 부대(MEU, Marine Expeditionary Unit) 사이의 중간 규모 MAGTF이다. MEB의 예로는 이라크 전쟁 중 타스크포스 타라와(제2 해병 원정 여단)가 있다.

3. 3. 일본

(공중기동) 제13여단
중부히로시마현 아키군 카이타정3개 연대(없음)1개 중대(1개 정찰전투대대)지역배치여단 제14여단가가와현 젠쓰지시1개 연대1개 연대(없음)1개 대(없음)기동여단
제15여단
서부오키나와현 나하시(없음)1개 연대(없음)지역배치여단


3. 3. 1.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진대 시대에 전시 상황에 여단을 임시로 편성하여 전투 지역에 파견하였다. 이후 사단 편제가 도입되면서, 여단은 사단 예하의 부대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여단은 대부분 사단 소속의 보병 여단이었으며, 여단장에는 소장이 임명되었다. 사단장과 달리 참모장이나 참모는 없었고, 부관이 사단장의 보좌 및 실무를 담당했다. 사단에는 2개의 보병 여단이 있었고, 각 여단은 2개의 보병 연대로 구성되었다. 사단 규모의 전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병, 공병 등의 부대를 배속하여 혼성여단을 편성하여 파견하기도 했다. 중일전쟁 후기에는 사단 예하의 연대가 4개(2개 여단, 4개 연대)에서 3개(여단 없이 3개 연대)로 축소되었다.

보병 연대의 상위 부대로는 여단이 아닌 보병단이 존재하였다. 보병단 역시 여단과 유사한 조직으로, 보병단장에는 소장이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차 사단에도 사단 예하에 2개의 전차 연대로 구성된 전차 여단이 편성되었다.

소규모 사단에 해당하는 독립 혼성 여단은 1934년에 창설되었으며, 중일전쟁 이후에는 점령지 치안 유지를 주 목적으로 100여 개가 편성되었다. 이 독립 혼성 여단은 예하 부대가 독립 보병 대대로 구성되었다. 중국에 주둔한 독립 혼성 여단 중 24개 여단처럼, 이후 사단으로 증편되는 경우도 많았다. 전차 사단의 축소 형태인 독립 전차 여단도 존재했다.

사단 예하 여단과 독립 혼성 여단의 중간 형태의 여단도 태평양 전쟁에서 나타났다. 예를 들어, 102사단은 독립 혼성 여단을 개편하여 사단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사단 예하에 2개의 보병 여단이 편성되어 있었지만, 각 여단에는 예하에 연대가 없고 독립 보병 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여단은 치안 임무가 주 임무였으며, 다수의 독립 보병 대대를 관리하거나 여단 단위로 독립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 편성되었다.

단일 병과로 구성된 독립 여단은 청일전쟁 이후 군비 확장의 일환으로 포병 여단과 기병 여단(소규모 기병 사단으로 볼 수 있음)이 2개씩 편성된 것이 최초였다. 이후, 야전 중포병 여단 등이 다수 창설되었다. 독립 전차 여단 중에도 예하에 보병을 두지 않고 다른 부대와의 협력을 전제로 한 여단이 있었다.

3. 3. 2.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는 1996년 중기 방위력 정비계획에 따라 여단 편제를 도입하였다. 1999년 이후 여러 사단과 혼성단이 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종합근대화 여단 2개와 즉응근대화 여단 4개로 편성되었다. 동부방면대의 제12여단은 공중기동력을 강화했고, 서부방면대의 제15여단은 열도 방위에 대응하도록 편제를 개조했다.

육상자위대의 여단은 사단보다 작은 규모로, 정원은 2,000~4,000명이다. 여단 예하의 보병 연대는 경보병 연대로, 1등 육좌가 지휘하며 정원은 650명이다.

여단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여단사령부
  • 보병연대(2개)
  • * 연대본부
  • * 대대(3개)
  • ** 대대본부
  • ** 중대(4개)
  • ** 기관총중대
  • ** 보병포소대(대대포소대)
  • * 보병포중대(연대포중대)
  • * 속사포중대


현재 육상자위대에는 6개의 여단이 설치되어 있다. 여단장 봉급은 모두 지정직 1호봉이다.

육상자위대의 여단 (2019년 3월 현재)
여단방면대사령부 소재지예하 주요 전투부대특징
즉응기동연대보통과야전특과고사특과전차
제5여단
23x23픽셀
북부
홋카이도 오비히로시1개 연대2개 연대1개 1개 1개 대기동여단
제11여단홋카이도 삿포로시1개 연대2개 연대1개 대1개 대1개 대기동여단
제12여단-- 동부군마현 하시토우촌3개 연대(없음)1개 대(1개 정찰전투대대)기동여단
(공중기동)
제13여단 중부히로시마현 아키군 카이다정3개 연대(없음)1개 중대(1개 정찰전투대대)지역배치여단
제14여단가가와현 젠츠지시1개 연대1개 연대(없음)1개 대(없음)기동여단
제15여단 서부오키나와현 나하시(없음)1개 연대(없음)지역배치여단


3. 4. 프랑스

16세기 피렌체 공화국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전술론』에서는 로마 군단을 참고하면서 10개 대대(battaglioneit|약 450명)로 구성된 여단(brigatait|약 6,000명) 편제를 제안했다.[4]

30년 전쟁에서 스웨덴과 동맹 관계에 있던 프랑스 왕국도 스웨덴의 소규모 부대 편제의 합리적이고 목적적인 정비 방식을 도입했지만, 명칭은 종래 사용해 온 것을 계승하여 전대 대신 대대(bataillon프랑스어), 여단 대신 연대(regiment프랑스어)라고 불렀다.[6] 그러나 프랑스의 명장으로 알려진 튀렌느 백작은 보병 또는 기병의 동일 병종 2개 연대로 구성된 단위로서 여단을 구상했고,[6] 18세기삭스 원수는 이러한 여단을 편성하여 2개 여단으로 부대를 편성했다.[7]

7년 전쟁 무렵에는 각국 모두 이러한 여단 편성을 도입했으며,[6] 1793년 프랑스에서는 사단 아래에 연대를 둘 수 없게 되자, 반여단 혹은 준여단(Demi-brigade프랑스어) 편제로 대체되었다. 이 여단 아래에는 3개 대대를 두었기에 연대와 다를 게 없었으나, 1803년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명령으로 연대를 편성할 수 있게 되면서 사라졌다. 전통을 위해 이름만 남은 것으로는 제13외인반여단이 있다.

3. 5. 기타 국가

2007년 아나톨리 세르디우코프 국방장관 취임 후, 러시아군은 신속 대응성 개선과 조직 및 인원 합리화를 목표로 대규모 개편을 단행했다.[1] 이 과정에서 작전 기본 부대가 사단에서 여단으로 변경되었고, 2009년에는 쿠릴 열도에 주둔하는 제18 기관총·포병 사단을 제외한 모든 사단이 해체되었다.[1][2]

남오세티야 전쟁과 체첸 전쟁 경험을 통해, 러시아 육군 사단은 각 연대에서 1개 대대 전투단을 편성하는 것이 고작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2] 이에 따라 연대급 규모이지만 완결된 전투단으로 기능하는 여단을 주력 부대로 삼아, 실질적인 전투 능력은 유지하면서 조직 합리화를 추구하게 되었다.[2]

약 4,000명 규모의 신형 여단 84개가 편성되었으나, 이 중 전차 여단은 4개에 불과했고, 자동차화 저격 여단과 산악 여단이 주축을 이루었다. 이는 대규모 전쟁보다는 소규모 분쟁 대응에 초점을 맞춘 변화였다.[2]

그러나 사단에서 여단으로 개편되면서 병력이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담당 전선 폭은 사단 시절과 같은 20km로 유지되어 전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었다.[2] 또한, 여단화로 전략 기동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실제로는 중장비 수송 문제 등으로 인해 사단 시절과 큰 차이가 없었고, 미국 육군 여단 전투단과 같은 강력한 병참 지원 능력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

결국 2012년 세르디우코프 국방장관 경질 후, 2013년 제2 친위 자동차화 저격 사단과 제4 친위 전차 사단이 부활하는 등, 일부 부대는 다시 사단 편제로 복귀했다.[2]

4. 특화

육상자위대냉전 종식 등 국내외 정세 변화에 따라 부대 규모를 축소하면서, 일부 사단을 여단으로 개편하였다. 1995년 방위계획의 대강(07대강)에 따른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 의해 4개 사단이 여단으로 축소되었고, 제2혼성단은 여단으로 증강되었다.[1] 여단 예하 보통과연대는 "보통과연대(경)"으로 불리며, 보통과중대 수가 감소하고 중(重)박격포중대가 폐지되는 등 정원이 600~700명으로 줄었다.[2]

2004년 방위계획의 대강(16대강)에 기반한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서는 제1혼성단의 여단화 개편과 함께, 작전 기본 부대를 즉응현대화여단 및 종합현대화여단으로 개편하였다.[3] 즉응현대화여단은 전차나 포 등의 중장비를 효율화하고 즉응성과 기동성을 중시하여 혼슈 이남에 배치되었고, 종합현대화여단은 모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균형을 중시하여 홋카이도에 배치되었다.[4]

4. 1. 포병 여단

포병에 의한 화력 지원에 특화된 여단이다. 특히 공격 시 포병 여단은 독립적으로 보병, 전차 등 부대에 대한 작전 지원을 위해 포격한다. 초기에 여단은 공격 또는 방어를 위해 창설되었지만, 20세기에 들어서 전쟁이 좀 더 기동화되고 고정된 요새화가 유용하지 않게 되면서, 포병 여단은 주로 예외적으로 해안 방어와 같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보통 3~4천 명의 병력과 24~70여 문의 포를 보유한 포병 여단은 필요에 따라 사단에 배속되며, 작전상 필요에 따라 사단에서 분리되거나 군단, 사단에 재배속되었다. 현대의 포병 여단은 과거보다 좀 더 특화되어 한두 가지 종류의 대포만을 다루도록 훈련받기도 한다. 포병 여단의 특화된 형태로 방공 포병 여단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방공 포병 여단의 장갑 차량이 대공 공격 방어와 공격 부대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독일의 88mm 대포가 효과적이었다.

현재 미국 육군의 경우, MLRS(다련장포) 등의 대규모 화력을 지원할 수 있는 일부 포병 부대를 '''화력 여단'''(Fires Brigade영어)이라고 부른다. 2014년 중순에 야전포병여단들과 같은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4. 2. 항공 여단

원본 문서에서 항공 여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찾을 수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01
[2] 서적 New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01-01
[3] 웹사이트 Committees https://sencanada.ca[...] 2016-04-11
[4] 서적 Napoleon's Line Infantry (Men at Arms Series, 141) Osprey Publishing 1983-07-28
[5] 웹사이트 STRUCTURE OF ARMY https://www.indianar[...] indianarmy.nic.in 2020-01-22
[6] 웹사이트 Brigade Nord – Forsvaret.no https://web.archive.[...] 2020-09-17
[7] 서적 Army Techniques Publication (ATP) 7–100.3 Chinese Tactics https://armypubs.arm[...]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8] 서적 History of The Sino-Japanese War (1937–1945) Chung Wu Publishing
[9] 서적 The History of the Royal Artillery Royal Artillery Institution
[10] 서적 The Brigade: A History-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04-01-01
[11] 웹사이트 The Brigade: A History: 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http://usacac.army.m[...] 2016-12-21
[12] 웹사이트 စစ်ကောင်စီရဲ့ အမာခံတပ်အင်အားတွေ ပြုန်းတီးလာနေပြီလို့ NUG ထုတ်ပြန် https://www.rfa.org/[...]
[13] 서적 Building the Tatmadaw http://dx.doi.org/10[...] ISEAS Publishing 2009-12-31
[14] 웹사이트 ဖွဲ့စည်းပုံဘာသာရပ် by Burma Military Secrets - Issuu https://issuu.com/bu[...] 2022-01-25
[15] 백과사전 bri·gade https://ahdictionary[...]
[16] 간행물 防衛力整備計画について https://www.kantei.g[...] 2022-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