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단은 군대의 전술적 부대 단위로, 연대보다 크고 사단보다 작다. 어원은 프랑스어 "brigade"에서 유래되었으며, 17세기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각국의 군대 편제에 따라 여단의 규모와 구성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대대와 지원 부대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단이 존재하며, 보병, 기갑, 포병 등 병과에 따라 특화된 여단도 있다. 여단은 군사 작전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각국의 군사 조직에서 핵심적인 부대 단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단 - 혼성여단
혼성 여단은 스페인 내전 중 공화국 군대에서 기동성을 강조하여 설계된 부대 편성으로, 다양한 병과를 혼합하여 독립적인 작전 수행을 목표로 했지만, 자원과 장비 부족으로 인해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 군사에 관한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군사에 관한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여단 | |
---|---|
개요 | |
부대 종류 | 군사 편성 |
규모 | 3~6개 대대 / 3천~1만 명 |
명칭 | |
영어 | Brigade |
문화어 | 려단 |
군사 편제 | |
상위 부대 | 사단 또는 군단 |
하위 부대 | 연대 또는 대대 |
설명 | |
역할 | 대규모 작전 수행, 독립적인 작전 가능 |
특징 | 다양한 병과로 구성 기동력과 화력 보유 전투 임무 수행 |
대한민국 국군 | |
편제 | 보병 기계화보병 포병 공병 정보통신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 |
지휘관 | 준장 |
규모 | 3 ~ 4개 연대 또는 2 ~ 3개 전투단 |
주요 임무 | 특정 지역 방어 적 침투 저지 공격 작전 지원 |
참고 | 대한민국 국군에서 여단은 사단 예하 또는 독립적인 부대로 편성됨 |
일본 자위대 | |
편제 | 보통과연대를 주력으로 각종 지원 부대로 구성 |
지휘관 | 장보 |
규모 | 약 3,000 ~ 6,000명 |
주요 임무 | 특정 지역 방어 재해 발생 시 구호 활동 |
참고 | 일본 육상자위대에서 여단은 사단과 연대 사이의 부대 단위 해상자위대는 호위대군, 항공자위대는 항공단을 여단에 해당되는 규모의 부대로 운용함 |
기타 국가 | |
브라질 | 여단을 운용함 |
칠레 | 여단을 운용함 |
중화민국 | 여단을 운용함 |
기타 국가 | 여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표준 군사 편제 |
추가 정보 | |
여단장 | 대령 또는 준장이 보임 |
여단 전투단 | 전차, 보병, 포병 등 여러 병과로 구성된 기동 부대 |
2. 기원
여단은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창안한 전술 부대 단위이다. 프랑스어 'brigade'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brigatait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다시 이탈리아어 동사 brigareit(다투다 또는 싸우다)에서 파생되었다.[2] 여단은 17세기 영국에서 중대나 연대보다 큰 군사 부대를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여단 개념이 확대되어 사단과 함께 주요 전술제대로서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보병 여단은 3,000 ~ 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30년 전쟁 중 1631년 스웨덴군을 재편성하면서 여단을 전술 부대로 도입했다. 이전에는 보병 연대와 지원 병과(기병, 포병) 부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행동하여 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보병 대대, 기병 부대, 포병 중대를 '전투 집단', 즉 brigadasv(여단)으로 결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으며, 상급 대령이나 중령이 여단장으로 임명되어 지휘했다.
프랑스에서는 튀렌 원수(1611~1675)가 여단 조직을 모방하여 1667년 brigadier des armées du roi프랑스어(왕의 군대 여단장)라는 상설 계급을 만들었다. 당시 프랑스 여단은 스웨덴 여단과 달리 같은 병과의 2~5개 연대로 구성되었다(brigade de cavalerie, brigade d'infanterie프랑스어 등).
영어와 프랑스어의 'brigade'는 군대 부대 단위 외에도 '사람들의 무리'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2]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동사 'brigare'(싸우다, 전투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켈트어 'briga'(싸움)에서 유래한다.[2]
일본어의 '旅団(여단)'은 고대 중국의 군대 단위인 '旅(여)'에서 유래한다.[2] 주나라 시대 중국에서는 500명의 병력을 '一旅(일여)', 5旅(약 2,500명)을 '一師(일사)'라고 불렀다.[2]
3. 나라별 여단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여단은 대부분 군단 또는 사단에 속해 있다. 사단에 속한 여단을 사단 편성 여단이라고 하며, 예전 연대와 같은 단위의 부대이다. 비사단 편성 여단은 대부분 군단 또는 야전군에 편성되며, 작전 상황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예하 사단에 재배속되거나 다른 군단으로 전환 편성된다. 사단 편성 여단은 대부분 보병 여단, 포병 여단이며, 비사단 편성 여단은 기갑, 포병, 공병, 통신 등 병과가 다양하다.3. 2. 미국
미국 육군의 여단은 사단보다 작고, 연대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 규모이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보병 여단은 2,000명 규모로 2~5개 연대를 포함했으며,[10] 보통 준장 또는 고참 대령이 지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사단은 각각 2개 연대를 가진 2개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최근 미국 육군은 여단 전투단(BCT)으로 전환했으며, 각 여단에는 전투 요소와 지원 부대가 포함된다. 2013년 개혁 이후 BCT 인원은 보병 BCT의 경우 4,400명, 스트라이커 BCT의 경우 4,500명, 장갑 BCT의 경우 4,700명이다. 이 편제는 활동 중인 미국 육군, 미국 육군 예비군, 육군 주방위군에서 표준이다.
여단장은 일반적으로 대령이지만, 대령이 없을 경우 중령이 여단 지휘를 맡을 수 있다. 이 임무에 대한 일반적인 근무 기간은 24~36개월이다. 사단에 영구적으로 배속되지 않은 독립 여단은 준장이 지휘했다.[11]
여단장은 여단과 하급 부대를 지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본부와 참모를 두고 있다. 일반적인 참모는 다음과 같다.
또한, 본부에는 참모 부서의 병과에 속한 추가적인 하급 참모 장교, 부사관, 병 지원 인원이 포함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여단의 본부 및 본부 중대에 배속된다.
기능 여단은 전투 지원 또는 전투 서비스 지원 병과에 속한 여단이다.
미국 해병대에서 여단은 해병 원정 여단(MEB, Marine Expeditionary Brigade)으로 지정되며, 보통 준장이 지휘한다. MEB는 중간 규모의 해병 항공 지상 기동 부대(MAGTF, Marine Air-Ground Task Force)로, 최소 세 개의 연대급 부대와 지휘 요소(연대 전투팀, 복합 해병 항공단, 해병 물류 연대, MEB 본부대)로 구성된다. 각 해병 원정 부대(MEF, Marine Expeditionary Force)에는 원정 작전에 배치 가능한 MEB가 포함되어 있다. MEB는 MEF와 해병 원정 부대(MEU, Marine Expeditionary Unit) 사이의 중간 규모 MAGTF이다. MEB의 예로는 이라크 전쟁 중 타스크포스 타라와(제2 해병 원정 여단)가 있다.
3. 3. 일본
(공중기동) 제13여단 히로시마현 아키군 카이타정 3개 연대 (없음) 1개 중대 (1개 정찰전투대대) 지역배치여단 제14여단 가가와현 젠쓰지시 1개 연대 1개 연대 (없음) 1개 대 (없음) 기동여단 오키나와현 나하시 (없음) 1개 연대 (없음) 지역배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