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광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광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광동과 광서를 관할하던 총독이다. 1644년 광동총독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분할과 통합을 거쳐 1734년 양광총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746년 총독부가 광저우로 이전되었으며, 1905년에는 광동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양광총독은 광동 무역 체제를 통해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관리했으며, 난징 조약 체결 이후 영국 홍콩 총독과의 대등한 교섭이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난성의 역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하이난성의 역사 - 하이난 특별행정구
    하이난 특별행정구는 중화민국 정부가 하이난 섬과 남해 제도를 관할하기 위해 1940년대에 설치하려 했던 행정 구역이었으나, 1950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하이난행정구로 개편되어 광둥 성에 편입되었고, 현재 중화민국은 둥사 군도와 타이핑 섬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하고 있다.
  • 청나라의 총독 -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며 황하 관리, 치수, 통상, 외국 교섭 등을 담당했고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던 최고위 지방관직이었다.
  • 청나라의 총독 - 호광총독
    호광총독은 청나라 때 호북성과 호남성을 관할하며 무창에 총독부가 위치했고, 여러 차례 폐지 및 재설치를 거쳐 호북순무를 겸임했으며, 신해혁명으로 인해 여러 인물이 임명되었으나 실제 취임하지는 못했다.
  • 광시의 역사 - 광시성
    광시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존재했던 성으로, 청나라 광서성의 관할 구역을 계승하여 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대부분과 광둥성 화이지현을 관할했으며, 신해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하고 국공내전 결과 중국 공산당에 점령되어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 광시의 역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양광총독
기본 정보
관할 지역광둥성, 광시 성
다른 명칭총독 양광 등처 지방 제독 군무, 양향 겸 순무사
만주어 명칭ᡤᡠᠸᠠᠩᡩᡠ᠋ᠩ ᡤᡠᠸᠠᠩᠰᡳ ᡠᡥᡝᡵᡳ ᡴᠠᡩ᠋ᠠᠯᠠᡵᠠ ᠠᠮᠪᠠᠨ (guwangdung guwangsi uheri kadalara amban)
상세 정보
유형총독
존속 기간1644년 ~ 1911년
임명청나라 황제
해체신해혁명 이후
역할
군사광둥성, 광시 성 지역 군사 통제
행정광둥성, 광시 성 지역 행정 관리
경제광둥성, 광시 성 지역 세금 징수 및 경제 관리

2. 연혁

순치 원년(1644년)에 '''광동총독'''이 설치되었고, 총독부는 광저우에 설치되어 광동과 광서를 관할했다. 순치 12년(1655년), 총독부를 광서성 오주로 옮겼다. 강희 2년(1663년), 광동총독과 광서총독으로 분할했기 때문에 총독부를 광저우로 옮겼다. 강희 3년(1664년), 광서총독 폐지에 따라 다시 광서도 광동총독의 관할이 되었고, 광동총독부를 광동성 조경부로 옮겼다.

옹정 원년(1723년), 다시 광동총독과 광서총독을 분할했다. 옹정 2년에 재통합했다. 옹정 7년(1729년), 묘족의 반란에 대응하여 서남 방면의 군사 지휘권을 통일하기 위해 광서성이 운귀총독의 관할 하에 편입되었다. 옹정 12년(1734년), 광서성이 광동총독의 관할에 편입되었다. 명칭이 '''양광총독'''으로 변경되었다. 건륭 11년(1746년), 양광총독부를 광저우로 옮겼다.

건륭 22년(1757년),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광저우로 제한하는 광동 무역 체제가 시작되었다. 도광 22년(1842년), 남경 조약 체결로 양광총독과 영국홍콩 총독과의 대등한 교섭이 인정되었다. 광서 31년(1905년), 양광총독이 광동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2. 1. 명나라 시기

경태 3년(1452년), 우겸이 양광총독(兩廣總督) 설립을 주청하였고, 왕오를 총독양광군무좌도어사(總督兩廣軍務左都御史)로 임명하여 최초의 양광총독이 되었으나, 정해진 부임지는 없었다.[3] 성화 원년(1465년), 한옹이 좌도어사겸제독양광군무(左都御史兼提督兩廣軍務)로 임명되어 오주에 주둔하였다.[4] 성화 5년(1469년), 오주에 양광총독부(兩廣總督府)가 설립되어, 한옹이 총독이 되었다. 이후 양광총독은 고정된 제도로 자리잡았다.

가정 15년(1536년), 양광총독 전여경이 조경에 행대(行臺, 임시 관아)를 설치하였다.[5] 가정 43년(1564년), 양광총독 오계방이 총독부를 조경으로 이전할 것을 주청하였다.

명나라 시기 역대 양광총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왕오
王翱
80px
14521453예부 상서로 승진
2한용
韓雍
1465좌부도어사 겸임
3진굉
秦紘
14891495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면직
4등정찬
鄧廷瓚
14951497순무 겸임; 이후 좌부도어사로 승진
5반번
潘蕃
15011506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좌부도어사로 승진
6웅수
熊繡
15061514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남경에서 어사대부로 승진
7주남
周南
15141515은퇴
8진금
陳金
15151519이후 어사대부로 승진
9장정
張嵿
15221525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남경에서 어사대부로 승진 및 공부상서
10요막
姚鏌
15251527우부도어사 겸임
11왕수인(양명)
王守仁
80px
15271529남경에서 병부상서 및 좌부도어사 겸임
12장경
張經
15371544병부 좌시랑으로 승진
13도해
陶諧
병부 우시랑 겸임
14포상현
鮑象賢
병부 우시랑 겸임
15장악
張岳
15441545우부도어사 겸임
16오계방
吳桂芳
15631566병부 우시랑 겸임
17담륜
譚綸
15671568
18장한
張瀚
15681569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19유도
劉燾
15691570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0이천
李遷
15701571병부 우시랑 및 어사대부 겸임
21은정무
殷正茂
15711575남경에서 병부상서 겸임
22능운익
凌雲翼
15751578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3유요회
劉堯誨
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4진예
陳瑞
15821583병부상서 및 우부도어사 겸임
25곽응빙
郭應聘
15831584병부상서 겸임
26오문화
吳文華
15841587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7오선
吳善
15871588병부 우시랑 겸임
28유계문
劉繼文
15881591병부 우시랑 겸임
29소언
蕭彥
15911592우부도어사 겸임
30진구
陳榘
15931594호부 우시랑 겸임
31진대과
陳大科
15951598병부 우시랑 겸임
32대요
戴耀
15981609병부상서 및 우부도어사 겸임
33장명강
張鳴岡
16101614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4주가모
周嘉謨
16151617운남순무 겸임
35허홍강
許宏鋼
16181620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6진방첨
陳邦瞻
16201621병부 우시랑 겸임
37호응태
胡應台
16211624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8하사진
何士晉
16241625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9상주좌
商周祚
16251626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0이봉절
李逢節
16271628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1왕준덕
王尊德
16281631병부 우시랑 겸임; 재임 중 사망
42왕업호
王業浩
16311632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3웅문찬
熊文燦
16321637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4장경심
張鏡心
16371641병부 우시랑 겸임
45심유룡
沈猶龍
80px
16411644병부 우시랑 겸임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46딩쿠이추(Ding Kuichu)
丁魁楚
16441644병부 우시랑 겸직
47왕화청(Wang Huacheng)
王化澄
16461646광동 순무 겸직
48린자딩(Lin Jiading)
林佳鼎
1646년 2월1647
49주즈젠(Zhu Zhijian)
朱治澗
16471647병부 시랑 겸직
50리청둥(Li Chengdong)
李成棟
16481649년 4월
51리치펑(Li Qipeng)
李棲鵬
1649년 4월1649년 4월
52옌커이(Yan Keyi)
閻可義
1649년 8월1649년 8월재임 중 사망
53리젠지에(Li Jianjie)
李建捷
1649년 9월1649년 9월
54뤄청야오(Luo Chengyao)
羅承耀
1649년 9월1649년 9월
55두윤허(Du Yunhe)
杜允和
1649년 10월1650상가희(Shang Kexi)와 경계모(Geng Jimao)가 이끄는 청나라 군대에 의해 광저우가 함락된 후 후퇴
56롄청비(Lian Chengbi)
連城璧
16501659


2. 2. 청나라 시기

청나라 시기 양광총독의 전신은 1644년(순치제 원년)에 설치된 광동총독(廣東總督)이며, 총독부는 광주(廣州)에 설치되어 광동과 광서를 관할했다. 1655년(순치 12년) 총독부를 광서성(廣西省) 오주(梧州)로 옮겼다. 1663년(강희제 2년), 광동총독과 광서총독(廣西總督)으로 분할되면서 총독부는 광주로 이전되었다. 1664년(강희 3년), 광서총독이 폐지됨에 따라 광서는 다시 광동총독의 관할이 되었고, 광동총독부는 조경(肇慶)으로 이전되었다.

1723년(옹정제 원년) 광동총독과 광서총독이 다시 분할되었다가 이듬해(옹정 2년) 다시 통합되었다. 1729년(옹정 7년), 묘족(苗族)의 반란으로 서남 방면의 군사 지휘권을 통일하기 위해 광서성을 운귀총독(雲貴總督) 관할에 편입시켰다. 1734년(옹정 12년), 광서성이 광동총독 관할로 편입되면서 칭호가 양광총독(兩廣總督)으로 바뀌었다. 1746년(건륭제 11년), 양광총독부를 광주로 이전하였다.

1757년(건륭 22년),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광주에 한정하는 광동 체제(廣東貿易體制)가 시작되었다. 1842년(도광제 22년), 난징 조약 체결로 양광총독과 영국 홍콩총독과의 대등한 협상이 인정되었다. 1905년(광서제 31년), 양광총독이 광동순무(廣東巡撫)를 겸임하게 되었다.

청나라 양광총독 지도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양광총독
(광시 포함)
(1644–1661)
16441647년 6월 15일공석
1퉁양자
佟養甲
1647년 6월 15일1651
16511653년 7월 12일공석
2리수아이타이
李率泰
80px
1653년 7월 12일1656년 3월 16일
3왕궈광
王國光
1656년 3월 16일1658년 7월 10일
4리치펑
李棲鳳
1658년 7월 10일1661년 11월 2일
광둥총독
(1661–1665)
5리치펑
李棲鳳
1661년 11월 2일1665년 4월 2일
6루싱주
盧興祖
1665년 4월 2일1665년 7월 4일
광시총독
(1661–1665)
위스유에
于時躍
16611663
취진메이
屈盡美
16631665
량광총독
(1665–1723)
7루싱주
盧興祖
1665년 7월 4일1667년 12월 30일
8저우유더
周有德
80px
1668년 1월 30일1670년 2월 6일
9진광주
金光祖
1668년 3월 6일1682년 2월 1일
10우싱쭤
吳興祚
1682년 2월 1일1689년 8월 8일
11스린
石琳
1682년 8월 19일1702년 12월 17일
12궈스롱
郭世隆
1702년 12월 17일1707년 1월 23일
13자오훙찬
趙弘燦
1707년 1월 30일1716년 11월 19일
14양린
楊琳
1716년 11월 25일1723년 9월 9일
광둥총독
(1723–1724)
15양린
楊琳
1723년 9월 9일1724년 4월 26일
광시총독
(1723–1724)
쿵위쉰
孔毓珣
17231724
량광총독
(1724–1728)
16쿵위쉰
孔毓珣
1724년 4월 26일1728년 11월 11일
광둥총독
(광시는 윈구이총독 관할)
(1728–1734)
17쿵위쉰
孔毓珣
1728년 11월 11일1729년 3월 29일
18하오위린
郝玉麟
1729년 3월 29일1732년 3월 21일
장푸
張溥
1731년 10월 14일1732년 2월 25일총독 대리
오미다
鄂彌達
1732년 3월 21일1732년 10월 17일총독 대리
19오미다
鄂彌達
1732년 3월 21일1735년 1월 5일
량광총독
(1734–1905)
20오미다
鄂彌達
1735년 1월 5일1738년 8월 30일
21마얼타이
馬爾泰
1738년 8월 30일1744년 8월 10일
칭푸
慶復
1741년 5월 28일1743년 1월 28일총독 대리
처렝
策楞
1743년 1월 28일1743년 7월 17일총독 대리
22나수투
那蘇圖
1744년 8월 10일1745년 5월 14일
23처렝
策楞
1745년 5월 14일1748년 10월 28일
24이건산
尹繼善
80px
1748년 10월 28일1748년 11월 24일
25숴서
碩色
1748년 11월 24일1750년 2월 9일
26천다셔우
陳大受
1750년 2월 9일1751년 11월 14일
27아리군
阿里袞
80px
1751년 11월 14일1753년 2월 24일
반디
班第
80px
1753년 10월 16일1754년 5월 3일총독 대리
28처렝
策楞
1753년 10월 16일1754년 5월 3일
29양잉쥐
楊應琚
1754년 5월 3일1757년 8월 31일
30허녠
鶴年
1757년 8월 31일1758년 1월 14일
리스야오
李侍堯
80px
총독 대리
31천훙머우
陳弘謀
80px
1758년 1월 14일1758년 5월 27일
32리스야오
李侍堯
1758년 5월 27일1761년 5월 27일
33쑤창
蘇昌
1761년 5월 27일1764년 7월 22일
34리스야오
李侍堯
1764년 7월 22일1777년 2월 25일
양팅장
楊廷璋
1765년 7월 22일1767년 4월 24일총독 대리
35양징쑤
楊景素
1777년 2월 25일1778년 3월 19일
36구이린
桂林
1778년 3월 19일1780년 1월 11일
37바얀산
巴延三
1780년 1월 11일1784년 2월 20일
38수창
舒常
1784년 2월 20일1785년 2월 26일
쑨스이
孫士毅
80px
1785년 2월 26일1785년 9월 1일총독 대리
39푸르훈
富勒渾
1785년 9월 1일1786년 5월 23일
40쑨스이
孫士毅
1786년 5월 23일1789년 2월 19일
41푸캉안
福康安
80px
1789년 2월 19일1793년 9월 14일
42창린
長麟
1793년 9월 14일1796년 7월 5일
43주구이
朱珪
80px
1796년 7월 5일1796년 9월 29일
44지칭
吉慶
1796년 9월 29일1802년 12월 17일
45창린
長麟
1802년 12월 17일1803년 1월 26일
후투리
瑚圖禮
총독 대리
46웨시부
倭什布
1803년 1월 26일1805년 1월 30일
47나옌청
那彥成
1805년 1월 30일1805년 12월 12일
48우슝광
吳熊光
1805년 12월 12일1809년 1월 6일
49융바오
永保
1809년 1월 6일1809년 2월 20일
50바일링
百齡
1809년 2월 20일1811년 2월 16일
51쑹윈
松筠
1811년 2월 16일1811년 11월 5일
52장유셴
蔣攸銛
1811년 11월 5일1817년 10월 22일
53루안위안
阮元
80px
1817년 10월 22일1826년 6월 22일
54리훙빈
李鴻賓
1826년 6월 22일1832년 9월 14일
55루쿤
盧坤
1832년 9월 14일1835년 10월 15일
56덩팅전
鄧廷楨
80px
1835년 10월 15일1840년 1월 21일
57린쩌쉬
林則徐
80px
1840년 1월 21일1840년 10월 3일
이량
怡良
1840년 9월 28일1840년 12월 4일총독 대리
58치산
琦善
1840년 12월 4일1841년 2월 26일
59치궁
祁𡎴
1841년 2월 26일1844년 3월 19일
60치잉
耆英
80px
1844년 3월 19일1848년 7월 4일
쉬광진
徐廣縉
1848년 2월 3일1848년 7월 4일총독 대리
61쉬광진
徐廣縉
1848년 7월 4일1852년 9월 7일
62예밍천
葉名琛
80px
1852년 9월 7일1858년 1월 26일[1]
63황종한
黃宗漢
1858년 1월 26일1859년 5월 4일
64왕칭윈
王慶雲
1859년 5월 4일1859년 10월 7일
보구이
柏貴
1859년 5월 4일1859년 5월 21일총독 대리
라오충광
勞崇光
80px
1859년 5월 21일1859년 10월 7일총독 대리
65라오충광
勞崇光
1859년 10월 7일1862년 10월 17일
66류창여우
劉長佑
1862년 10월 17일1863년 2월 14일
옌두안수
晏端書
1863년 2월 14일1863년 7월 6일총독 대리
67마오훙빈
毛鴻賓
1863년 7월 6일1865년 3월 7일
우탕
吳棠
1865년 3월 7일1865년 3월 13일총독 대리
68루이린
瑞麟
|80px]] || 1865년 3월 13일 || 1874년 10월 17일 ||
루이린
瑞麟
1865년 3월 13일1866년 9월 25일총독 대리
69잉한
英翰
1874년 10월 17일1875년 9월 2일
장자오둥
張兆棟
1874년 10월 17일1875년 3월 31일총독 대리
70류쿤이
劉坤一
|80px]] || 1875년 9월 2일 || 1879년 12월 27일 ||
위쿠안
裕寬
1878년 12월 18일1879년 12월 27일총독 대리
71장수성
張樹聲
1879년 12월 27일1882년 4월 19일
위쿠안
裕寬
1879년 12월 27일1880년 5월 20일총독 대리
위쿠안
裕寬
1882년 4월 19일1882년 5월 6일총독 대리
72쩡궈취안
曾國荃
|80px]] || 1882년 5월 6일 || 1883년 7월 13일 ||
73장수성
張樹聲
1883년 7월 13일1884년 5월 22일
74장즈둥
張之洞
|80px]] || 1884년 5월 22일 || 1889년 8월 8일 ||
75리한장
李瀚章
1889년 8월 8일1895년 4월 13일
76탄중린
譚鍾麟
1895년 4월 16일1899년 12월 19일1898년 8월 30일에서 11월 1일 사이에 관직명이 "량광총독 겸 광둥 순무"로 변경됨.
더서우
德壽
1899년 12월 19일1900년 5월 24일총독 대리
77리훙장
李鴻章
|80px]] || 1900년 5월 24일 || 1900년 7월 9일 ||
더서우
德壽
1900년 7월 9일1900년 9월 16일총독 대리
78루촨린
鹿傳霖
|80px]] || 1900년 9월 16일 || 1900년 9월 26일 ||
79타오모
陶模
1900년 9월 26일1902년 7월 2일
더서우
德壽
1902년 7월 3일1903년 4월 18일
80선춘쉬안
岑春煊
|80px]] || 1903년 4월 18일 || 1905년 7월 23일 ||
량광총독 겸 광둥 순무
(1905–1911)
81선춘쉬안
岑春煊
1905년 7월 23일1906년 9월 11일
82저우푸
周馥
|80px]] || 1906년 9월 11일 || 1907년 5월 28일 ||
83선춘쉬안
岑春煊
1907년 5월 28일1907년 8월 12일
84장런쥔
張人駿
|80px]] || 1907년 8월 12일 || 1909년 6월 28일 ||
위안수쉰
袁樹勛
1909년 6월 28일1910년 10월 29일총독 대리
쩡치
增祺
1910년 10월 29일1911년 4월 14일총독 대리
85장밍치
張鳴岐
|80px]] || 1911년 4월 4일 || 1911년 11월 8일 ||
86리준
李準
|80px]]|| 1911년 11월 26일 || || 취임하지 않음
루룽팅
陸榮廷
|80px]] || 1917년 7월 || 1917년 7월 || 만주 복고 시도 당시


3. 역대 양광총독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왕오
王翱
14521453예부 상서로 승진
2한용
韓雍
1465좌부도어사 겸임
3진굉
秦紘
14891495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면직
4등정찬
鄧廷瓚
14951497순무 겸임; 이후 좌부도어사로 승진
5반번
潘蕃
15011506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좌부도어사로 승진
6웅수
熊繡
15061514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남경에서 어사대부로 승진
7주남
周南
15141515은퇴
8진금
陳金
15151519이후 어사대부로 승진
9장정
張嵿
15221525우부도어사 겸임; 이후 남경에서 어사대부로 승진 및 공부상서
10요막
姚鏌
15251527우부도어사 겸임
11왕수인(양명)
王守仁
15271529남경에서 병부상서 및 좌부도어사 겸임
12장경
張經
15371544병부 좌시랑으로 승진
13도해
陶諧
병부 우시랑 겸임
14포상현
鮑象賢
병부 우시랑 겸임
15장악
張岳
15441545우부도어사 겸임
16오계방
吳桂芳
15631566병부 우시랑 겸임
17담륜
譚綸
15671568
18장한
張瀚
15681569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19유도
劉燾
15691570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0이천
李遷
15701571병부 우시랑 및 어사대부 겸임
21은정무
殷正茂
15711575남경에서 병부상서 겸임
22능운익
凌雲翼
15751578병부 좌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3유요회
劉堯誨
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4진예
陳瑞
15821583병부상서 및 우부도어사 겸임
25곽응빙
郭應聘
15831584병부상서 겸임
26오문화
吳文華
15841587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27오선
吳善
15871588병부 우시랑 겸임
28유계문
劉繼文
15881591병부 우시랑 겸임
29소언
蕭彥
15911592우부도어사 겸임
30진구
陳榘
15931594호부 우시랑 겸임
31진대과
陳大科
15951598병부 우시랑 겸임
32대요
戴耀
15981609병부상서 및 우부도어사 겸임
33장명강
張鳴岡
16101614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4주가모
周嘉謨
16151617운남순무 겸임
35허홍강
許宏鋼
16181620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6진방첨
陳邦瞻
16201621병부 우시랑 겸임
37호응태
胡應台
16211624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8하사진
何士晉
16241625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39상주좌
商周祚
16251626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0이봉절
李逢節
16271628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1왕준덕
王尊德
16281631병부 우시랑 겸임; 재임 중 사망
42왕업호
王業浩
16311632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3웅문찬
熊文燦
16321637병부 우시랑 및 우부도어사 겸임
44장경심
張鏡心
16371641병부 우시랑 겸임
45심유룡
沈猶龍
16411644병부 우시랑 겸임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46딩쿠이추(Ding Kuichu)
丁魁楚
16441644병부 우시랑 겸직
47왕화청(Wang Huacheng)
王化澄
16461646광동 순무 겸직
48린자딩(Lin Jiading)
林佳鼎
1646년 2월1647
49주즈젠(Zhu Zhijian)
朱治澗
16471647병부 시랑 겸직
50리청둥(Li Chengdong)
李成棟
16481649년 4월
51리치펑(Li Qipeng)
李棲鵬
1649년 4월1649년 4월
52옌커이(Yan Keyi)
閻可義
1649년 8월1649년 8월재임 중 사망
53리젠지에(Li Jianjie)
李建捷
1649년 9월1649년 9월
54뤄청야오(Luo Chengyao)
羅承耀
1649년 9월1649년 9월
55두윤허(Du Yunhe)
杜允和
1649년 10월1650상가희(Shang Kexi)와 경계모(Geng Jimao)가 이끄는 청나라 군대에 의해 광저우가 함락된 후 후퇴
56롄청비(Lian Chengbi)
連城璧
16501659



{| class="wikitable" width=70%

|-

! width=5%| # !! width=15%| 이름 !! width=10%| 초상화 !! width=5%| 임기 시작 !! width=5%| 임기 종료 !! width=30%| 비고

|-

| align=center colspan=7| '''양광총독'''
(광시 포함)
(1644–1661)

|-

| || || || 1644 || 1647년 6월 15일 || 공석

|-

| 1 || 퉁양자
佟養甲 || || 1647년 6월 15일 || 1651 ||

|-

| || || || 1651 || 1653년 7월 12일 || 공석

|-

| 2 || 리수아이타이
李率泰 || || 1653년 7월 12일 || 1656년 3월 16일 ||

|-

| 3 || 왕궈광
王國光 || || 1656년 3월 16일 || 1658년 7월 10일 ||

|-

| 4 || 리치펑
李棲鳳 || || 1658년 7월 10일 || 1661년 11월 2일 ||

|-

| align=center colspan=7| '''광둥총독'''
(1661–1665)

|-

| 5 || 리치펑
李棲鳳 || || 1661년 11월 2일 || 1665년 4월 2일 ||

|-

| 6 || 루싱주
盧興祖 || || 1665년 4월 2일 || 1665년 7월 4일 ||

|-

| align=center colspan=7| '''광시총독'''
(1661–1665)

|-

| || 위스유에
于時躍 || || 1661 || 1663 ||

|-

| || 취진메이
屈盡美 || || 1663 || 1665 ||

|-

| align=center colspan=7| '''량광총독'''
(1665–1723)

|-

| 7 || 루싱주
盧興祖 || || 1665년 7월 4일 || 1667년 12월 30일 ||

|-

| 8 || 저우유더
周有德 || || 1668년 1월 30일 || 1670년 2월 6일 ||

|-

| 9 || 진광주
金光祖 || || 1668년 3월 6일 || 1682년 2월 1일 ||

|-

| 10 || 우싱쭤
吳興祚 || || 1682년 2월 1일 || 1689년 8월 8일 ||

|-

| 11 || 스린
石琳 || || 1682년 8월 19일 || 1702년 12월 17일 ||

|-

| 12 || 궈스롱
郭世隆 || || 1702년 12월 17일 || 1707년 1월 23일 ||

|-

| 13 || 자오훙찬
趙弘燦 || || 1707년 1월 30일 || 1716년 11월 19일 ||

|-

| 14 || 양린
楊琳 || || 1716년 11월 25일 || 1723년 9월 9일 ||

|-

| align=center colspan=7| '''광둥총독'''
(1723–1724)

|-

| 15 || 양린
楊琳 || || 1723년 9월 9일 || 1724년 4월 26일 ||

|-

| align=center colspan=7| '''광시총독'''
(1723–1724)

|-

| || 쿵위쉰
孔毓珣 || || 1723 || 1724 ||

|-

| align=center colspan=7| '''량광총독'''
(1724–1728)

|-

| 16 || 쿵위쉰
孔毓珣 || || 1724년 4월 26일 || 1728년 11월 11일 ||

|-

| align=center colspan=7| '''광둥총독'''
(광시는 윈구이총독 관할)
(1728–1734)

|-

| 17 || 쿵위쉰
孔毓珣 || || 1728년 11월 11일 || 1729년 3월 29일 ||

|-

| 18 || 하오위린
郝玉麟 || || 1729년 3월 29일 || 1732년 3월 21일 ||

|-

| || 장푸
張溥 || || 1731년 10월 14일 || 1732년 2월 25일 || 총독 대리

|-

| || 오미다
鄂彌達 || || 1732년 3월 21일 || 1732년 10월 17일 || 총독 대리

|-

| 19 || 오미다
鄂彌達 || || 1732년 3월 21일 || 1735년 1월 5일 ||

|-

| align=center colspan=7| '''량광총독'''
(1734–1905)

|-

| 20 || 오미다
鄂彌達 || || 1735년 1월 5일 || 1738년 8월 30일 ||

|-

| 21 || 마얼타이
馬爾泰 || || 1738년 8월 30일 || 1744년 8월 10일 ||

|-

| || 칭푸
慶復 || || 1741년 5월 28일 || 1743년 1월 28일 || 총독 대리

|-

| || 처렝
策楞 || || 1743년 1월 28일 || 1743년 7월 17일 || 총독 대리

|-

| 22 || 나수투
那蘇圖 || || 1744년 8월 10일 || 1745년 5월 14일 ||

|-

| 23 || 처렝
策楞 || || 1745년 5월 14일 || 1748년 10월 28일 ||

|-

| 24 || 이건산
尹繼善 || || 1748년 10월 28일 || 1748년 11월 24일 ||

|-

| 25 || 숴서
碩色 || || 1748년 11월 24일 || 1750년 2월 9일 ||

|-

| 26 || 천다셔우
陳大受 || || 1750년 2월 9일 || 1751년 11월 14일 ||

|-

| 27 || 아리군
阿里袞 || || 1751년 11월 14일 || 1753년 2월 24일 ||

|-

| || 반디
班第 || |80px]] || 1753년 10월 16일 || 1754년 5월 3일 || 총독 대리

|-

| 28 || 처렝
策楞 || || 1753년 10월 16일 || 1754년 5월 3일 ||

|-

| 29 || 양잉쥐
楊應琚 || || 1754년 5월 3일 || 1757년 8월 31일 ||

|-

| 30 || 허녠
鶴年 || || 1757년 8월 31일 || 1758년 1월 14일 ||

|-

| || 리스야오
李侍堯 || || || || 총독 대리

|-

| 31 || 천훙머우
陳弘謀 || || 1758년 1월 14일 || 1758년 5월 27일 ||

|-

| 32 || 리스야오
李侍堯 || || 1758년 5월 27일 || 1761년 5월 27일 ||

|-

| 33 || 쑤창
蘇昌 || || 1761년 5월 27일 || 1764년 7월 22일 ||

|-

| 34 || 리스야오
李侍堯 || || 1764년 7월 22일 || 1777년 2월 25일 ||

|-

| || 양팅장
楊廷璋 || || 1765년 7월 22일 || 1767년 4월 24일 || 총독 대리

|-

| 35 || 양징쑤
楊景素 || || 1777년 2월 25일 || 1778년 3월 19일 ||

|-

| 36 || 구이린
桂林 || || 1778년 3월 19일 || 1780년 1월 11일 ||

|-

| 37 || 바얀산
巴延三 || || 1780년 1월 11일 || 1784년 2월 20일 ||

|-

| 38 || 수창
舒常 || || 1784년 2월 20일 || 1785년 2월 26일 ||

|-

| || 쑨스이
孫士毅 || |80px]] || 1785년 2월 26일 || 1785년 9월 1일 || 총독 대리

|-

| 39 || 푸르훈
富勒渾 || || 1785년 9월 1일 || 1786년 5월 23일 ||

|-

| 40 || 쑨스이
孫士毅 || || 1786년 5월 23일 || 1789년 2월 19일 ||

|-

| 41 || 푸캉안
福康安 || |80px]] || 1789년 2월 19일 || 1793년 9월 14일 ||

|-

| 42 || 창린
長麟 || || 1793년 9월 14일 || 1796년 7월 5일 ||

|-

| 43 || 주구이
朱珪 || |80px]] || 1796년 7월 5일 || 1796년 9월 29일 ||

|-

| 44 || 지칭
吉慶 || || 1796년 9월 29일 || 1802년 12월 17일 ||

|-

| 45 || 창린
長麟 || || 1802년 12월 17일 || 1803년 1월 26일 ||

|-

| || 후투리
瑚圖禮 || || || || 총독 대리

|-

| 46 || 웨시부
倭什布 || || 1803년 1월 26일 || 1805년 1월 30일 ||

|-

| 47 || 나옌청
那彥成 || || 1805년 1월 30일 || 1805년 12월 12일 ||

|-

| 48 || 우슝광
吳熊光 || || 1805년 12월 12일 || 1809년 1월 6일 ||

|-

| 49 || 융바오
永保 || || 1809년 1월 6일 || 1809년 2월 20일 ||

|-

| 50 || 바일링
百齡 || || 1809년 2월 20일 || 1811년 2월 16일 ||

|-

| 51 || 쑹윈
松筠 || || 1811년 2월 16일 || 1811년 11월 5일 ||

|-

| 52 || 장유셴
蔣攸銛 || || 1811년 11월 5일 || 1817년 10월 22일 ||

|-

| 53 || 루안위안
阮元 || |80px]] || 1817년 10월 22일 || 1826년 6월 22일 ||

|-

| 54 || 리훙빈
李鴻賓 || || 1826년 6월 22일 || 1832년 9월 14일 ||

|-

| 55 || 루쿤
盧坤 || || 1832년 9월 14일 || 1835년 10월 15일 ||

|-

| 56 || 덩팅전
鄧廷楨 || |80px]] || 1835년 10월 15일 || 1840년 1월 21일 ||

|-

| 57 || 린쩌쉬
林則徐 || |80px]] || 1840년 1월 21일 || 1840년 10월 3일 ||

|-

| || 이량
怡良 || || 1840년 9월 28일 || 1840년 12월 4일 || 총독 대리

|-

| 58 || 치산
琦善 || || 1840년 12월 4일 || 1841년 2월 26일 ||

|-

| 59 || 치궁
祁𡎴 || || 1841년 2월 26일 || 1844년 3월 19일 ||

|-

| 60 || 치잉
耆英 || |80px]] || 1844년 3월 19일 || 1848년 7월 4일 ||

|-

| || 쉬광진
徐廣縉 || || 1848년 2월 3일 || 1848년 7월 4일 || 총독 대리

|-

| 61 || 쉬광진
徐廣縉 || || 1848년 7월 4일 || 1852년 9월 7일 ||

|-

| 62 || 예밍천
葉名琛 || |80px]] || 1852년 9월 7일 || 1858년 1월 26일 || [1]

|-

| 63 || 황종한
黃宗漢 || || 1858년 1월 26일 || 1859년 5월 4일 ||

|-

| 64 || 왕칭윈
王慶雲 || || 1859년 5월 4일 || 1859년 10월 7일 ||

|-

| || 보구이
柏貴 || || 1859년 5월 4일 || 1859년 5월 21일 || 총독 대리

|-

| || 라오충광
勞崇光 || |80px]] || 1859년 5월 21일 || 1859년 10월 7일 || 총독 대리

|-

| 65 || 라오충광
勞崇光 || || 1859년 10월 7일 || 1862년 10월 17일 ||

|-

| 66 || 류창여우
劉長佑 || || 1862년 10월 17일 || 1863년 2월 14일 ||

|-

| || 옌두안수
晏端書 || || 1863년 2월 14일 || 1863년 7월 6일 || 총독 대리

|-

| 67 || 마오훙빈
毛鴻賓 || || 1863년 7월 6일 || 1865년 3월 7일 ||

|-

| || 우탕
吳棠 || || 1865년 3월 7일 || 1865년 3월 13일 || 총독 대리

|-

| 68 || 루이린
瑞麟 || |80px]] || 1865년 3월 13일 || 1874년 10월 17일 ||

|-

| || 루이린
瑞麟 || || 1865년 3월 13일 || 1866년 9월 25일 || 총독 대리

|-

| 69 || 잉한
英翰 || || 1874년 10월 17일 || 1875년 9월 2일 ||

|-

| || 장자오둥
張兆棟 || || 1874년 10월 17일 || 1875년 3

4. 총독부

1746년 이후 양광총독부는 광저우에 있었다. 제1차 아편 전쟁 중인 1857년에 영불 연합군에게 광저우가 점령당했을 때 총독부 건물은 파괴되었다. 1888년, 그곳을 철거하고 석실성심교당(石室聖心教堂)이라는 성당이 세워졌다.

5. 평가 및 영향

5. 1. 긍정적 측면

5. 2. 부정적 측면

5. 3. 한국에 대한 영향

참조

[1] 서적 Yeh Ming-ch'en: Viceroy of Liang Kuang 1852-8 CUP Archive
[2] 웹사이트 http://rbk-doc.npm.e[...]
[3] 서적 『明史』 卷177
[4] 서적 『明史』 卷73
[5] 서적 『明史』 卷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