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로원은 거주 설비, 식사 제공, 간병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노인 요양 시설을 의미한다. 독립형 생활 시설, 연속 간병 은퇴 커뮤니티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치매 환자를 위한 설계는 안내 표지판, 건축적 단서 등을 통해 환자의 인지 능력 저하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한국의 요양원은 서비스 질 개선, 시설 환경 개선,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병 - 간병인
    간병인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 노인, 장애인 등을 돌보는 사람으로, 기본적인 생활 지원과 정서적 안정, 사회 활동 지원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종류와 자격 요건을 가진다.
  • 복지 시설 - 보육원
    보육원은 가정 양육이 어려운 아동을 보호 양육하는 시설로, 아동복지법에 따라 운영되며 영아원과 육아원으로 나뉘고, 시설 환경 개선, 아동 학대 방지, 자립 지원 강화 등의 과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대안적 양육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 복지 시설 - 육군사관학교 행정안내소
    육군사관학교 행정안내소는 방문객과 면회객의 편의를 위해 1998년에 준공된 2층 건물로, 방문증 발급, 택배 관리, 주말 면회 지원, 화랑푸드카페 운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된다.
  • 노인 - 국제 노인의 날
    국제 노인의 날은 UN이 고령화 문제 인식 개선과 노인 복지 증진을 위해 매년 10월 1일에 지정한 날로, 1998년부터 매년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고령화 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노력을 촉구한다.
  • 노인 - 황혼이혼
    황혼이혼은 노년기에 발생하는 이혼 현상으로, 주택 시장 변화, 사회 복지 서비스 수요 증가, 재정적 어려움 심화,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미국, 일본,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나타나고 있고 한국 사회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다.
양로원
개요
페어 오크스의 선라이즈 어시스티드 리빙
페어 오크스의 선라이즈 어시스티드 리빙
유형주거 시설
다른 이름요양원
요양 시설
노인 주택
은퇴 홈
시니어 레지던스
특징
목표노인에게 주거, 식사, 간호 서비스 제공
거주자노인
서비스식사 제공
간호 서비스
사회 활동
개인 관리 지원
일본
종류유료 노인 홈
경비 노인 홈
개호형 유료 노인 홈
법적 근거노인 복지법
주관 부처후생노동성
미국
규제 기관각 주 정부
서비스 내용주거
식사
간호
사회 활동
참고
관련 용어요양 보호사
케어 매니지먼트
에이지즘

2. 요양원의 형태 및 기능

시설에 따라 거주 설비만 제공하는 시설이나 식사를 제공하는 시설 등 차이가 있다[13]。 서비스도 시설에 따라 다양하며, Residential Care Communities, Active-Adult Community, Senior Housing, Supportive Senior Housing, Enriched Housing 등의 명칭도 있다[13]

자력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간병이 필요 없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공용 공간이나 각종 활동을 갖춘 집합 주택은 인디펜던트 리빙(인디펜던트 리빙/independent living영어, IL)이라고도 하며, 집합 세대의 것은 Retirement Community나 Active Adult Community로 분류되는 시설도 있다[15]

2. 1. 독립형 생활 시설 (Independent Living)

자력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간병이 필요 없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공용 공간이나 각종 활동을 갖춘 집합 주택은 인디펜던트 리빙(independent living, IL)이라고도 한다.[15] 시설에 따라 거주 설비만 제공하는 시설이나 식사를 제공하는 시설 등 차이가 있다.[13] 서비스도 시설에 따라 다양하며, Residential Care Communities, Active-Adult Community, Senior Housing, Supportive Senior Housing, Enriched Housing 등의 명칭도 있다.[13] 집합 주택 형태는 Retirement Community나 Active Adult Community로 분류되는 시설도 있다.[15]

2. 2. 연속 간병 은퇴 커뮤니티 (CCRC)

연속적 간병 은퇴 커뮤니티(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넓은 부지에서 입주자의 건강 상태 변화에 맞춰 지속적인 의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15] 건강이 악화되어도 다른 시설로 이동할 필요 없이 일관된 노후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15]

3. 치매 환자를 위한 요양원 설계

치매를 겪는 사람들은 길 찾기와 공간 지각 능력에 어려움을 겪어 혼란, 불안 및 신체적, 정신적 웰빙의 전반적인 저하를 유발한다.[9] 따라서, 양로원 설계는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를 고려하여 특별히 설계되어야 한다.
안내 표지판 (Signage)치매 환자들은 종종 간판 정보의 관련성을 구별하기 어려워하며, 이는 고정 행동과 차별 없는 독서 경향의 복합적인 결과일 수 있다.[10] 따라서 양로원에 적합한 간판을 제작할 때는 디자인과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직원, 방문객, 치매 환자 등 다양한 사람들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거주자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길 찾기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정보 요구는 과잉 자극 및 주의 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테츠야는 "필수적인 시각 정보는 비교적 초기 단계의 이동 경로에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11] 따라서, 시설 방향과 같이 즉시 관련된 정보는 환자실 입구 근처나 복도 끝에 배치해야 한다.

길 찾기 정보는 명확하고 수를 제한해야 하며, 다른 정보는 다른 곳에 배치해야 한다.[10] 로메디 파시니는 "공지, 초대장 및 홍보물을 게시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작은 벽감"을 만들 것을 제안하며,[10] 이러한 벽감은 자극이 낮은 영역(활동실 및 식당)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9]
건축적 단서 (Architectural cues)건축적 단서는 객체의 암묵적인 사용을 통해 목적을 전달하여 인지적 매핑 없이도 길 찾기를 지원한다.[10] 예를 들어, 환자가 초인종을 보고 즉시 누르는 것처럼, 건축 요소는 환자의 행동을 결정한다.[10]

방을 신중하게 계획하면 긍정적인 행동을 장려할 수 있다. 화장실을 눈에 띄게 배치하면 사용 빈도가 증가하여 간호 인력 부담이 줄고 거주자 건강이 증진된다.[9] 공용 거실에 독특한 가구와 바닥재를 사용하면 공간 기능성과 차별성을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시각적 랜드마크(복도 주요 부분의 시계, 식물 등)는 공간 차별화를 돕고,[12] 거주자 방의 문도 차별화된 특성을 가져야 한다.[11]

이동 보조기구 사용자를 고려하여 열린 명확한 이동 경로를 제공해야 하며,[12] 식당과 같은 시설을 환자실에 가깝게 배치하여 이동 경로를 단축해야 한다.[9] 열린 핵심 공간은 여러 방을 단일 개방형 컨셉 공간으로 통합하여 시각적 접근성을 제공한다.[10]

3. 1. 안내 표지판 (Signage)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은 종종 간판 내 정보의 관련성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고정 행동과 차별 없는 독서 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10] 따라서, 양로원에 적합한 간판을 제작할 때는 간판의 디자인과 배치에 대한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에 대해 먼저 고려해야 한다.

북미 요양 시설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 즉 직원을 포함한 방문객과 치매를 겪는 거주자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거주자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길 찾기가 가장 중요하다. 직원, 방문객 및 환자에게 중요한 정보는 매우 다양하며, 전체적으로 필요한 간판의 양은 양로원 내 사람들의 주의 분산, 과잉 자극 및 차별 없는 독서 감소라는 이상과 직접적으로 상충된다.

테츠야는 "필수적인 시각 정보는 비교적 초기 단계의 이동 경로에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11] 따라서, 이용 가능한 시설의 방향과 같이 즉시 관련된 정보는 환자실 입구 근처 또는 환자실이 있는 복도 끝에 배치해야 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길 찾기를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하려면 길을 찾는 동안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피해야 한다. 로메디 파시니는 "순환 경로를 따라 그래픽 길 찾기 정보 공지는 명확하고 그 수를 제한해야 하며, 다른 정보는 다른 곳에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0] 길 찾기와 관련 없는 간판은 근처에 배치되면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길 찾기 간판의 효과를 저하시킨다. 대신, 파시니는 "공지, 초대장 및 홍보물을 게시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작은 벽감을 만들" 것을 제안한다.[10] 이러한 벽감은 압도적이지 않은 맥락에서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극이 낮은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크리스틴 데이가 실시한 연구에서, 높은 자극이 발생하는 영역은 "엘리베이터, 복도, 간호 스테이션, 욕실 및 기타 거주자 방에서 발생하며, 낮은 자극은 활동실 및 식당에서 관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9] 따라서 활동실 및 식당이 이러한 벽감이 위치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라고 추정할 수 있다.

3. 2. 건축적 단서 (Architectural cues)

건축적 단서는 설정이나 객체의 암묵적인 사용을 통해 목적을 전달하고, 인지적 매핑 없이도 길 찾기를 지원한다.[10] 이는 이동성이 감소한 사람들에게 더 접근 가능하고 덜 고통스러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거주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환자는 병원에서 초인종(야간 사용)을 보고 즉시 벨을 누르기로 결정했다".[10] 이는 "건축 요소가... 어느 정도까지는 독립성이 떨어지는 환자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0]

방을 신중하게 계획함으로써 긍정적인 행동을 장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이 거주자에게 눈에 띄게 접근 가능해지자 화장실 사용 빈도가 급격히 증가했다".[9] 거주자의 시야 내에 화장실을 배치하면 더 자주 화장실을 방문하는 행동을 장려하여 간호 인력의 부담을 줄이고 거주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공용 거실에 책장과 같은 독특한 가구와 바닥재를 사용하면 공간의 기능성과 차별성을 거주자가 훨씬 쉽게 탐색할 수 있다.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 모두에 존재하는 시각적 랜드마크는 공간 간의 차별화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거주자는...랜드마크(복도의 주요 부분에 있는 시계와 식물과 같은 특징)가 길 찾기에 유용하다고 보고했다".[12] 뚜렷한 랜드마크를 사용하여 탐색하면 개별 거주자 방도 정의할 수 있다. Tetsuya는 "거주자 방의 문은 차별화된 특성을 가져야 한다"[11]고 제안하여 자신의 개인적인 방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동 보조기구 사용자를 고려하여 열린 명확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12] 식당과 같은 기본적인 시설을 환자실에 더 가깝게 이동시켜 이동 경로를 단축하는 것도 불안감과 고통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 공간 간의 이동이 간단해지고 엘리베이터와 같은 자극이 많은 지역을 피하면서, 더 단순하고 작은 레이아웃을 만들어 길 찾기를 돕는다. 열린 핵심 공간은 여러 방을 단일 개방형 컨셉 공간으로 통합하여 "시각적 접근성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인식되는 앙상블에 통합하지 않고도 공간에 대한 일정한 이해를 허용하며, 이는 인지적 매핑의 가장 어려운 측면이다".[10]

4. 한국의 요양원 현황과 과제

4. 1. 서비스 질 개선

4. 2. 시설 환경 개선

4. 3. 인력 부족 문제 해결

5.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old people's home -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t 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https://www.oxfordle[...] Oald8.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2013-01-12
[2] 웹사이트 Old folks' home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Publishers 2023-08-11
[3] 웹사이트 old people's home – Definition from Longman English Dictionary Online http://www.ldoceonli[...] Ldoceonline.com 2013-01-12
[4] 논문 What Is Nursing Home Quality and How Is It Measured?
[5] 웹사이트 What is a Retirement Home? http://www.seniors.g[...] 2014-02-09
[6] 웹사이트 What is a Retirement Community? {{!}} ARCO https://www.arcouk.o[...] 2020-05-07
[7] 웹사이트 How To Find Affordable Elderly Housing Near You https://senior-livin[...] 2020-05-11
[8] 뉴스 Retirement housing to grow 10% over next five years, property consultant predicts https://www.homecare[...] Home Care Insight 2021-08-03
[9] 논문 The Therapeutic Design of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2000-08-01
[10] 논문 Wayfinding and Dementia: Some Research Findings and a New Look at Design https://www.jstor.or[...] 1998
[11] 논문 Improving Environmental Safety and Legibilit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https://www.jstor.or[...] 2015
[12] 논문 Care-Home Environments and Well-Being: Identifying the Design Features That Most Affect Older Residents https://www.jstor.or[...] 2010
[13] 웹사이트 米国の介護施設にて提供されている 介護食品事情(概要)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0-05-06
[14] 웹사이트 第43類 https://www.jpo.go.j[...] 特許庁 2020-05-06
[15] 웹사이트 諸外国における介護施設の機能分化等に関する調査報告書 https://www.mhlw.go.[...] 医療経済研究機構、厚生労働省 2020-05-06
[16] 논문 What Is Nursing Home Quality and How Is It Measur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