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산시 선거구는 1996년 양산시 승격과 함께 신설되어 20대 총선을 앞두고 양산시 갑, 양산시 을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나오연, 김양수, 허범도, 박희태, 윤영석 등이 있다. 15대부터 19대까지의 국회의원 선거 및 2009년 재보궐선거 결과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정치 - 양산시 을
양산시 을은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인구 증가로 분구되어 신설되었으며 세 번의 선거를 거쳐 서형수, 김두관, 김태호 의원을 배출했다. - 양산시의 정치 - 양산군·김해군
양산군·김해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양산군과 김해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선거구이며, 이후 동래군 일부 편입 및 김해읍의 김해시 승격으로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졌다. -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양산시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양산시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96년 |
폐지 | 2016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양산군 |
이후 선거구 | 양산시 갑 양산시 을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6년 3월 1일을 기해 경상남도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산군 선거구가 양산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wikitable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산시의 인구 증가로 인해 양산시 선거구가 양산시 갑, 양산시 을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1996년 치러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양산시는 총 108,275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신한국당 나오연 후보가 31,249표(48.08%)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봉식 후보는 22,272표(34.26%)를 얻었다. 통합민주당 박수근 후보는 4,409표(6.78%), 새정치국민회의 이미애 후보는 4,199표(6.46%), 무소속 박인 후보는 2,861표(4.40%)를 각각 획득하였다. 총 투표수는 64,990표였다.4.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나오연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박봉식, 김정희, 정대근, 손경락, 박인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각각 10,700표(16.61%), 8,907표(13.82%), 5,769표(8.95%), 4,898표(7.60%), 3,335표(5.17%)를 득표하였다.4.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148,641명이었다. 한나라당 김양수 후보가 30,679표(35.87%)를 얻어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송인배 후보는 29,577표(34.58%)를 얻어 근소한 차이로 낙선했다. 이 외에도 김동주(무소속, 9,720표, 11.36%), 나오연(무소속, 5,951표, 6.95%), 김영진(민주노동당, 4,286표, 5.01%), 이성경(녹색사민당, 2,135표, 2.49%), 김정희(무소속, 2,004표, 2.34%), 전덕용(새천년민주당, 1,156표, 1.35%) 후보가 출마했다. 총 투표수는 85,508표였다.4.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허범도 후보가 38.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유재명 후보는 33.37%로 2위를 기록했다. 민주노동당 심경숙 후보는 10.41%, 무소속 송인배 후보는 6.97%, 무소속 정병문 후보는 5.21%, 창조한국당 김진명 후보는 3.27%, 평화통일가정당 김홍득 후보는 1.74%를 득표했다.4. 5. 2009년 재보궐선거
200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박희태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당 송인배 후보는 34.05%를 득표하여 38.13%를 득표한 박희태 후보에게 석패하였다.2009년 재보궐선거의 경상남도 양산시 선거구에는 총 184,691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후보는 총 8명으로, 정당별로는 한나라당 박희태 후보, 민주당 송인배 후보, 민주노동당 박승흡 후보, 무소속 김양수, 유재명, 김상걸, 김진명, 김용구 후보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 박희태 후보가 30,801표(38.13%)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당 송인배 후보는 27,502표(34.05%)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무소속 김양수 후보는 11,162표(13.82%), 무소속 유재명 후보는 5,033표(6.23%), 민주노동당 박승흡 후보는 2,836표(3.51%), 무소속 김상걸 후보는 2,436표(3.01%), 무소속 김진명 후보는 546표(0.67%), 무소속 김용구 후보는 443표(0.5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0,759표였다.
4. 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윤영석 후보가 52.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통합당 송인배 후보는 47.69%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송인배 후보는 3번 연속으로 낙선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