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차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린이 차지는 클로드 드뷔시가 1906년에서 1908년 사이에 작곡한 6개의 피아노 소품 모음곡이다. 딸 클로드-엠마에게 헌정되었으며, 각 곡은 영어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은 '박사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 '짐보의 자장가',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눈은 춤춘다', '작은 양치기',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다양한 스타일과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는 특히 유명하며, 바그너의 작품을 인용하고 흑인 음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모음곡은 오케스트라 편곡을 거쳐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로드 드뷔시의 작품 -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오페라)
클로드 드뷔시가 작곡하고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상징주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는 알르몽 왕국에서 펠레아스, 멜리장드, 골로 세 사람의 비극적인 삼각관계를 그리고 있으며, 드뷔시의 인상주의 음악적 특징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클로드 드뷔시의 작품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클로드 드뷔시가 스테판 말라르메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1894년에 작곡한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은 몽환적이고 관능적인 분위기로 인상주의 음악의 대표작이자 서양 음악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 관현악곡이다. - 모음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모음곡 -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
가브리엘 포레가 폴 베를렌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고 르네 포쇼아가 시나리오를 제공한 디베르티스망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는 1918년 초연 후 모음곡으로 편곡되어 포레의 대표작이 되었으며, 서곡, 미뉴에트, 가보트, 목가 등 8악장으로 구성되고 기존 곡들을 재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 피아노 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피아노 곡 - 쿠프랭의 무덤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친구들을 기리기 위해 바로크 시대 춤곡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6악장 피아노 모음곡으로, 전쟁의 참상과 상실감을 표현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20세기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어린이 차지 | |
---|---|
작품 정보 | |
제목 | 어린이의 세계 |
원제 | Children's Corner |
종류 | 피아노 음악 |
작곡가 | 클로드 드뷔시 |
![]() | |
헌정 | 클로드 엠마 드뷔시 |
작곡 시기 | 1906년–1908년 |
초연 | 1908년 12월 18일 |
악장 | 6개 |
출판 | 1908년 |
목록 번호 | L. 113 |
2. 역사
드뷔시는 1905년에 엠마 발다크와 재혼하여 딸 클로드-엠마를 얻었고,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딸을 위해 '어린이 차지'를 작곡했다.[2] 1908년 뒤랑 출판사에서 출판되었고, 같은 해 12월 18일 파리에서 해럴드 바우어에 의해 초연되었다.[2] 1911년, 드뷔시의 친구 앙드레 카프레가 관현악 버전으로 편곡하여 초연 및 출판되었다.
이 모음곡은 6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영어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이는 드뷔시가 슈슈의 영국인 가정교사에게 존경을 표한 것일 수 있다.[2] 각 악장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3. 구성
번호 제목 1 박사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 2 짐보의 자장가 3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4 눈은 춤춘다 5 작은 양치기 6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일반적으로 연주 시간은 약 15분이다.
3. 1. 제1곡: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박사 (Doctor Gradus ad Parnassum)
이 곡의 제목은 무치오 클레멘티와 카를 체르니 등의 작품이 포함된 피아노 연습곡 세트 ''파르나소스로 가는 길''을 암시한다. 거칠고 기계적인 느낌은 체르니와 클레멘티의 과도한 연습에 대한 농담으로 보인다. 이 곡은 20세기 어법을 사용한, 손가락 독립성에 대한 상당히 독창적인 연습곡이다. 중간 부분에서 피아니스트는 속도를 늦추고 연습을 위해 다른 조(key)로 연주한다. 드뷔시의 "닥터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은 중간 난이도이며, 더 빠르고 격렬하게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피아니스트는 마지막 부분으로 갈수록 더욱 격렬해지며, 강렬하게 곡을 마무리한다. 드뷔시는 자신의 출판업자에게 이 악장을 "아주 이른 아침"에 연주해야 한다고 말했다.[2]
무치오 클레멘티의 연습곡집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파르나소스산으로의 계단)의 패러디이며, 연습곡에 도전하는 아이(슈슈)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5] 지루한 연습에 질린 아이의 심리를 표현한 곡으로, 드뷔시는 모데라토로 시작해 스피리토소로 끝나는 이 곡을 "매일 아침 식사 전에 쳐야 하는 곡"이라고 말했다.[5]
3. 2. 제2곡: 코끼리 자장가 (Jimbo's Lullaby)
오음음계 선율과 2도 화음을 사용하여 이국적인 정서를 표현한다. 원래 드뷔시가 붙인 제목은 "Jumbo's Lullaby"였으나, 프랑스어에서는 Jumbo와 Jimbo의 발음이 같아 출판사에서 ''Jimbo's Lullaby''로 오기하는 실수가 있었다. 이 오타가 널리 알려졌으나, 현재 듀랑사에서 출판하는 새로운 개정판에서는 원래 제목으로 돌아갔다.[5]
3. 3. 제3곡: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Serenade for the Doll)
이 곡은 3박자이며, '알레그레토 마 논 트로포'(적당히 빠르게, 너무 빠르지 않게)로 표시되어 있다. 드뷔시는 이 곡 전체를 소프트 페달을 사용하여 연주해야 한다고 적었다. 도자기 인형을 가리키는 곡의 제목과 섬세함, 두드러진 5도 음정, 오음 음계, 병진 4도 음정의 특징은 시노와즈리의 한 예로 나타낸다.[1] "인형의 세레나데"라고도 불린다. 이 곡은 모음곡에서 가장 먼저 작곡되었으며, 1906년에는 단곡 악보도 출판되었다. "코끼리 자장가"와 마찬가지로, 오음음계 주제에 기초하고 있다. 알프레드 코르토는 프랑스인인 드뷔시가 표제의 영어 표기를 "Serenade '''for''' the Doll"로 해야 할 부분을, '''of'''로 잘못 표기한 것이 아닌가 지적하고 있다.[6]
3. 4. 제4곡: 눈은 춤춘다 (The Snow is Dancing)
조용히 내리는 눈을, 창가에서 질리지 않고 가만히 바라보는 아이들을 묘사한다. 천천히 춤추며 내려온 눈의 요정이 지표면을 하얀 벨벳으로 덮는 모습을 표현한 토카타이다.[5] 드뷔시는 영국의 요정을 소재로 한 아서 래컴의 삽화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7]
3. 5. 제5곡: 작은 양치기 (The Little Shepherd)
세도막 형식으로, 점 리듬의 단선율이 조용히 연주되는 곡이다.
3. 6. 제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Golliwogg's Cakewalk)
플로렌스 케이트 업턴의 소설이 인기를 얻으면서 골리워그가 유행하였다. 골리워그는 빨간 바지, 빨간 나비 넥타이와 헝클어진 머리를 한 검은색 인형으로, 당시 유행하던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를 연상시켰다. 케이크 워크는 가장 화려한 춤을 춘 사람이 케이크를 얻는 흑인 댄스 또는 과시적 보행이었다. 이 곡은 싱코페이션과 밴조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 래그타임이다.
이 곡에서 드뷔시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풍자적으로 암시한다. 시작 부분의 마디는 트리스탄 화음을 경쾌한 싱코페이션된 아르페지오로 바꾸었으며, 이 춤의 중간 'B' 섹션은 사랑의 죽음 라이트모티프로 여러 번 중단되며, "avec une grande émotion"(큰 감정으로)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각 인용구는 밴조 흉내로 이어진다.[10]
4. 영향 및 평가
《어린이 차지》는 드뷔시가 1905년 외동딸 클로드 엠마를 위해 작곡한 6개의 소품으로 구성된 모음곡으로, 영어 제목이 붙어 있다. 이는 드뷔시가 전 부인과 이혼하고 재혼한 엠마 발다크의 영국 취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8년 뒤랑사에서 출판되었고, 같은 해 12월 18일 파리에서 해럴드 바우어에 의해 초연되었다. 1911년에는 앙드레 카프레에 의해 오케스트레이션이 이루어졌고, 같은 해 3월 25일에 초연되었다.
6번 곡 '골리워그의 케이크 워크'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풍자적으로 암시한다. 시작 부분은 트리스탄 화음을 경쾌하게 바꾸었으며, 중간 부분은 사랑의 죽음 라이트모티프로 중단되며, "avec une grande émotion"(큰 감정으로)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각 인용구는 밴조 흉내로 이어진다.
작곡 당시, 골리워그는 플로렌스 케이트 업턴의 소설이 인기를 얻으면서 유행했다. 골리워그는 빨간 바지, 빨간 나비 넥타이와 헝클어진 머리를 한 검은색 인형으로,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를 연상시켰다. 케이크 워크는 춤 또는 과시적 보행이었으며, 가장 화려한 춤을 춘 사람이 케이크를 얻었다. 이 곡은 싱코페이션과 밴조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 래그타임이다.
드뷔시는 1년 후 피아노 교본의 일부로 같은 스타일의 곡인 "작은 흑인"을 작곡했다.
5. 다른 예술 작품에 사용된 사례
토미타 이사오는 앨범 《달빛》에서 4번 곡 '눈은 춤춘다'와 6번 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를 무그 신디사이저로 연주하여 수록했다.[2] 한스 아브라함센, 폴 갤브레이스, 레이 호워드 스티븐스 등은 이 곡을 다른 악기로 편곡했다.[3]
TV 프로그램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 루팡 3세 (TV 제2 시리즈) 제130화 "루팡 대 기인 이면상"에서 '골리워그의 케이크 워크'를 오케스트라 편곡한 것이 등장한다. 극중 악역인 《무슈 다레》의 테마송처럼 사용되었다.
- 울트라 Q 다크 판타지 제24화 "인형"에서 제2곡 '코끼리 자장가', 제3곡 '인형에게 바치는 세레나데', 제4곡 '눈은 춤추고 있다', 제5곡 '작은 양치기'가 BGM으로 사용되었다. (단, 엔딩에서는 '어린이의 정경'이라고 표기되었다) 제25화 "어둠"에서도 제2곡 '코끼리 자장가'와 제5곡 '작은 양치기'가 사용되었다 (단, 엔딩에서의 기술은 없다).
- YKK AP 2005년에 방송된 텔레비전 CM에서 제1곡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 박사'가 사용되었다.
- 일본 화장 텔레비전 CM에서 제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 워크'가 사용되었다.
게임에서는 악마성 스페셜 나는 드라큘라 군 (코나미)의 게임보이판 스테이지 2 BGM, 두근두근 메모리얼 2 (코나미) 유년기 낮 장면, 마작 패왕전 카이저즈 퀘스트 (UPL) 노멀 모드 대국 시 BGM에 드뷔시의 어린이 차지 6번 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가 사용되었다.[10]
5. 1. 음악
토미타 이사오는 앨범 《달빛》에서 4번 곡 '눈은 춤춘다'와 6번 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를 무그 신디사이저로 연주하여 수록했다.[2] 한스 아브라함센, 폴 갤브레이스, 레이 호워드 스티븐스 등은 이 곡을 다른 악기로 편곡했다.[3]5. 2. TV 프로그램
- 루팡 3세 (TV 제2 시리즈) - 제130화 "루팡 대 기인 이면상"에서 '골리워그의 케이크 워크'를 오케스트라 편곡한 것이 등장한다. 극중 악역인 《무슈 다레》의 테마송처럼 사용되었다.
- 울트라 Q 다크 판타지 - 제24화 "인형"에서 제2곡 '코끼리 자장가', 제3곡 '인형에게 바치는 세레나데', 제4곡 '눈은 춤추고 있다', 제5곡 '작은 양치기'가 BGM으로 사용되었다. (단, 엔딩에서는 '어린이의 정경'이라고 표기되었다) 제25화 "어둠"에서도 제2곡 '코끼리 자장가'와 제5곡 '작은 양치기'가 사용되었다 (단, 엔딩에서의 기술은 없다).
- YKK AP - 2005년에 방송된 텔레비전 CM에서 제1곡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 박사'가 사용되었다.
- 일본 화장 - 텔레비전 CM에서 제6곡 '골리워그의 케이크 워크'가 사용되었다.
5. 3. 게임
악마성 스페셜 나는 드라큘라 군 (코나미)의 게임보이판 스테이지 2 BGM, 두근두근 메모리얼 2 (코나미) 유년기 낮 장면, 마작 패왕전 카이저즈 퀘스트 (UPL) 노멀 모드 대국 시 BGM에 드뷔시의 어린이 차지 6번 곡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가 사용되었다.[10]6.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는 다양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배경음악으로 활용되며 한국 대중들에게 친숙한 클래식 곡 중 하나가 되었다. 여러 TV 프로그램, 광고, 게임 등에서 이 곡의 선율을 차용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From the Erotic to the Demonic: On Critical Musi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5-15
[2]
웹사이트
"''Children's Corner'', L. 113"
https://www.hyperion[...]
Naxos Records
2018-08-21
[3]
웹사이트
Radio 3 in Concert
http://www.bbc.co.uk[...]
2016-04-28
[4]
문서
Maurice
[5]
문서
Maurice
[6]
문서
Cortot
[7]
문서
Maurice
[8]
위키백과
ゴリウォーグ(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
[9]
위키백과
フローレンス・アップトン(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
[10]
문서
Maur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