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거 F. 커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거 F. 커드는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선구자이다. 그는 관계형 모델을 개발하여 데이터베이스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1981년 튜링상을 수상했다. 커드는 IBM에서 근무하며 관계형 모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1970년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 모델을 세상에 알렸다. 그의 아이디어는 IBM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SQL 언어의 탄생에도 기여했다. 또한, 커드는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이론과 온라인 분석 처리(OLAP) 개념을 제시했으며, 12가지 규칙을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내렸다. 그의 업적을 기려 SIGMOD는 최고상을 SIGMOD 에드거 F. 커드 혁신상으로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터베이스 연구자 - 마이클 스톤브레이커
    마이클 스톤브레이커는 잉그레스, 포스트그레스 등 획기적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을 주도하고 Vertica, VoltDB를 비롯한 여러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업을 설립하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야에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 데이터베이스 연구자 - 짐 그레이
    짐 그레이는 데이터베이스와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로서, ACID 트랜잭션 개념 정립과 다중 입도 잠금 방식 확립에 공헌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상들이 제정되었다.
  •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 -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 연구를 통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는 베르누이 수 계산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해석기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이다.
  •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 - 모리스 윌크스
    모리스 윌크스는 EDSAC 설계 및 제작에 기여하고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개념을 제시했으며, 튜링 상을 수상하고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개념을 개발한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에드거 F. 커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드거 F. 커드
본명에드거 프랭크 커드
출생1923년 8월 19일
출생지포틀랜드섬, 도싯 주, 잉글랜드
사망2003년 4월 18일 (향년 79세)
사망지윌리엄스 아일랜드, 애번투라, 플로리다 주, 미국
국적영국
미국
학력
모교엑서터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Propagation, Computation, and Construction in Two-dimensional cellular spaces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링크
박사 학위 년도1965년
박사 학위 지도교수존 헨리 홀랜드
경력
직장옥스퍼드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IBM
업적
주요 업적알파 언어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OLAP
관계형 모델
커드의 셀룰러 오토마톤
커드의 정리
커드의 12 규칙
보이스-커드 정규형
수상
수상튜링상 (1981년)
기타
DBLPDBLP 링크
ACM PortalACM Portal 링크

2. 생애

에드거 프랭크 커드는 잉글랜드 포틀랜드섬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화학을 공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 조종사로 복무했다.[7] 1948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IBM에서 프로그래머로 경력을 시작했으며,[8] 1953년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의 활동에 반발하여 잠시 캐나다로 이주하기도 했다.[8]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미시간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1965),[9][10] IBM의 산호세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1970년 데이터베이스 분야에 혁신을 가져온 관계형 모델을 제안하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43][18]

그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보이스-커드 정규형과 커드의 12 규칙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로 1981년 컴퓨터 과학 분야의 최고 영예인 튜링상을 수상했다.[12] 1980년대 이후에는 IBM을 나와 독자적인 컨설팅 활동을 하기도 했으며,[43] OLAP 개념을 제시하는 등[26] 연구를 계속했다.

1994년 ACM 펠로우로 선정되었으며,[44][13] 2003년 4월 18일 플로리다주 윌리엄스 아일랜드의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향년 79세에 사망했다.[45][14] 2004년 SIGMOD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최고 혁신상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4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에드거 프랭크 커드는 잉글랜드 도싯주 포틀랜드 섬의 포춘스웰에서 태어났다.[6] 그는 풀 문법 학교를 졸업한 후[7] 옥스퍼드 대학교의 엑스터 칼리지에서 수학화학을 공부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 해안 사령부 소속 조종사로 복무하며 선더랜드 비행기를 조종했다.[7]

1948년, IBM에서 수학 프로그래머로 일하기 위해 미국 뉴욕으로 이주했다.[8] 커드는 초기에 IBM의 선택 시퀀스 전자 계산기(SSEC)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이후 IBM 701 및 702 개발에도 기여했다.[8]

1953년, 당시 미국 상원에서 활동하던 조지프 매카시 의원에 대한 반감으로[8]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로 이주했다. 1957년 미국으로 돌아와 다시 IBM에서 근무했으며,[8]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미시간 대학교 앤아버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9][10] 이후 테네시 대학교 수학과에서 강사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2. 2. IBM 경력 및 관계형 모델 개발

1948년 IBM에서 수학 프로그래머로 근무하기 위해 뉴욕으로 이주했다.[8] 그는 초기에 회사의 선택적 순차 제어 계산기(Selective Sequence Electronic Calculator, SSEC)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이후 IBM 701 및 IBM 702 개발에도 기여했다.[8] 1953년,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의 활동에 반발하여 캐나다 오타와로 이주했으나,[6] 10년 후인 1963년(또는 1957년[8]) 미국으로 돌아와 다시 IBM에 합류했다.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미시간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2][15][16] 그의 박사 논문은 셀룰러 오토마타에서의 자기 복제에 관한 것이었다.[17][33] 1967년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로 옮겨 IBM의 산호세 연구소(Almaden Research Center)에서 근무를 시작했고,[9][10] 1980년대까지 이곳에서 연구를 계속했다.[12][11] 1976년에는 IBM 펠로우로 임명되었다.

1960년대1970년대에 걸쳐 커드는 데이터 배열(data arrangement)에 관한 자신의 이론을 연구했으며, 1970년 "대규모 공유 데이터뱅크를 위한 데이터 관계형 모델(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이라는 제목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43][18] 이 논문은 IBM 내부에서 1년 먼저 발표된 후 외부에 공개된 것이었다.[19]

초기에 IBM은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수익을 내고 있던 IMS/DB와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보호하기 위해 커드의 관계형 모델 구현을 주저했다.[21] 커드는 경쟁사들이 자신의 모델을 구현하려 할 때까지 IBM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에 실망했다.[20] 이에 커드는 IBM 고객들에게 자신의 모델이 가진 잠재력을 설명하며 IBM에 압력을 가하도록 유도했다. 결국 IBM은 미래 시스템(Future Systems)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로 시스템 R(System R)을 포함시켜 관계형 모델 구현을 시작했다.[22][23] 그러나 IBM은 개발 책임자로 커드의 아이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인물을 임명하고 개발팀을 커드로부터 의도적으로 분리시켰다.[22][23] 그 결과 개발팀은 커드가 제안한 알파(Alpha) 언어 대신, SEQUEL이라는 새로운 언어를 개발하게 되었다. 커드는 이를 관계형 모델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언어로 간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EQUEL은 이전 시스템보다는 발전된 형태였으며, 래리 앨리슨은 학회에 발표된 SEQUEL 관련 사전 논문을 바탕으로 오라클 DBMS를 개발하여 SQL/DS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하기도 했다. SEQUEL이라는 이름에 대한 상표권 문제로 인해 이후 SQL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커드는 관계형 모델을 계속 발전시키고 확장했으며, 이 과정에서 종종 크리스토퍼 데이트(Christopher Date)와 협력했다.[2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한 형태인 보이스-코드 정규형(Boyce-Codd normal form)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5] 또한,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의 표현 능력이 동등함을 증명한 코드의 정리(Codd's theoremeng)는 그의 관계형 모델 연구에서 중요한 결과이다.[18]

1980년대 초 관계형 모델이 점차 주류 기술로 부상하자, 커드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공급업체들이 기존 기술에 '관계형'이라는 이름만 덧붙여 용어를 오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이 캠페인의 일환으로 그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조건을 정의하는 커드의 12 규칙을 발표했다. 그의 비판은 SQL로까지 이어졌는데, 그는 SQL이 자신의 이론을 잘못 구현한 것이라고 여겼다. 이러한 활동은 IBM 내에서 그의 입지를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그는 크리스토퍼 데이트 등 동료들과 함께 IBM을 떠나 자신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관계형 모델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81년 튜링상을 수상했으며,[12] 1994년에는 계산기 학회(ACM)의 펠로우로 선정되었다.[44][13] 커드는 이후 온라인 분석 처리(OLAP)라는 용어를 만들고 관련 법칙을 제시하기도 했다.[26]

2. 3. 관계형 모델의 확산과 갈등

1960년대1970년대 동안 커드는 데이터 정렬(data arrangement)에 관한 자신의 이론을 연구하여, 1970년에 〈대규모 공유 데이터뱅크를 위한 데이터 관계형 모델〉[43][18]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IBM 내부에서 1년 먼저 발표된 것이었다.[19] 커드는 IBM이 그의 제안을 즉시 활용하지 않고, 경쟁사들이 먼저 구현을 시도할 때까지 기다리는 모습을 보고 실망했다.[20]

처음에 IBM은 당시 주력으로 홍보하던 IMS/DB와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수익을 지키기 위해 관계형 모델 구현을 거부했다.[21] 이에 커드는 IBM 고객들에게 직접 관계형 모델의 잠재력을 설명하며 IBM을 압박하도록 유도했다.[22][23] 결국 IBM은 퓨처 시스템(Future Systems)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로 시스템 R(System R)을 포함시켜 관계형 모델 구현을 시작했다. 그러나 개발팀에는 커드의 아이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들이 배치되었고, 팀은 커드로부터 의도적으로 격리되었다.[22][23]

그 결과, 개발팀은 커드가 제안한 알파(Alpha) 언어 대신, 비관계형 언어인 SEQUEL을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EQUEL은 이전 시스템보다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래리 앨리슨은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SEQUEL 관련 사전 논문을 바탕으로 오라클 DBMS를 개발하여 IBM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했다.[21] 이후 SEQUEL이라는 이름에 대한 상표권 문제로 인해 SQL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IBM은 SQL/DS를 출시했다.

커드는 관계형 모델을 계속 발전시키고 확장했으며, 이 과정에서 종종 크리스토퍼 데이트와 협력했다.[2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한 형태인 보이스-커드 정규형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25] 또한, 관계 대수와 관계 미적분의 표현력이 동일함을 증명한 커드의 정리(Codd's theorem)[18]는 관계형 모델 분야에서 그의 중요한 이론적 기여로 평가받는다.

1980년대 초 관계형 모델이 점차 인기를 얻자, 커드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벤더들이 기존 기술에 단순히 '관계형'이라는 이름만 붙여 용어를 오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이 캠페인의 일환으로 그는 진정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만족해야 할 요건을 정의하는 12가지 규칙을 발표했다. 그의 비판은 SQL로까지 이어졌는데, 그는 SQL이 자신의 관계형 모델 이론을 잘못 구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활동은 IBM 내에서 그의 입지를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그는 크리스토퍼 데이트 등 동료들과 함께 IBM을 나와 자신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이후 커드는 ''온라인 분석 처리(OLAP)''라는 용어를 만들고, OLAP 시스템이 갖춰야 할 12가지 법칙을 제시했다.[26] 그러나 이 연구가 특정 소프트웨어 벤더(Arbor Software, 이후 Hyperion을 거쳐 오라클에 인수됨)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해 상충 논란이 일었고, IT 전문지 ''Computerworld''는 관련 논문을 철회하기도 했다.[27] 그는 또한 관계형 모델을 데이터베이스 설계 문제까지 확장한 RM/T(Relational Model/Tasmania)를 발표했다.

2004년 SIGMOD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최고상인 혁신상(Innovations Award)의 명칭을 SIGMOD 에드거 F. 커드 혁신상으로 변경했다.

2. 4. 말년

1980년대 초 관계형 모델이 유행하기 시작하자, 커드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벤더들이 기존 기술에 관계형이라는 이름만 덧붙여 자신의 용어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43] 이 과정에서 그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준을 정의하는 커드의 12 규칙을 발표했다.[43] 또한 SQL을 자신의 이론이 잘못 구현된 것이라 여기며 비판했는데,[43] 이는 IBM 내에서의 그의 입지를 어렵게 만들었다.[43]

1981년 커드는 튜링상을 수상했다.[12][45] 이후 그는 크리스토퍼 데이트 등 동료들과 함께 IBM을 나와 자신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43]

커드는 이후에도 연구를 계속하여 OLAP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관련 12가지 법칙을 작성했으나, 이는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45] 또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문제를 다루기 위해 자신의 관계형 모델을 확장한 RM/T를 제시했으며,[45] 세포 자동자 분야에도 기여했다.[45]

1990년대에 들어 건강이 악화되면서 점차 활동을 줄였다.[15][11] 1994년에는 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의 펠로우로 선정되었다.[44][13]

에드거 커드는 2003년 4월 18일 플로리다주 윌리엄스 아일랜드의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인해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5][14] 2004년 SIGMOD는 그를 기리기 위해 최고상인 SIGMOD 혁신상(Innovations Award)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45]

3. 업적 및 영향

에드거 F. 커드는 현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관계형 모델의 창시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8][19][35] 그의 연구는 데이터 구성, 저장, 검색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SQL과 같은 표준 질의 언어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관계형 모델 외에도 셀룰러 오토마타에서의 자기 복제 연구[17][33], 온라인 분석 처리(OLAP) 개념 제시[26][36] 등 컴퓨터 과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남겼다.

3. 1. 관계형 모델의 정립

1960년대1970년대에 걸쳐 커드는 데이터 배열에 관한 자신의 이론을 연구했고, 1970년에는 IBM 내부 보고서 발표 1년 후 "대규모 공유 데이터뱅크를 위한 데이터의 관계 모델"(en)이라는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18][19][35] 그러나 당시 IBM은 주력 제품이었던 IMS/DB와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수익을 지키기 위해 관계형 모델 구현을 주저했다.[21] 커드는 IBM이 자신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실망했고, 경쟁사들이 먼저 관계형 모델을 구현하기 시작하는 상황을 지켜봐야 했다.[20]

커드는 IBM 고객들에게 직접 관계형 모델의 잠재력을 설명하며 IBM에 압력을 넣도록 유도했다. 결국 IBM은 퓨처 시스템(Future Systems)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로 관계형 모델을 연구하는 System R 프로젝트를 시작했다.[22][23] 하지만 IBM은 이 프로젝트팀에 커드의 아이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들을 배치하고 커드를 프로젝트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했다.[22][23] 그 결과, 개발팀은 커드가 제안한 Alpha 언어 대신 비관계형 언어인 SEQUEL을 개발했다.

SEQUEL은 비록 커드의 원래 구상과는 달랐지만 기존 시스템보다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래리 엘리슨은 SEQUEL에 관한 사전 발표 논문을 보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여 IBM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했다. 이후 SEQUEL은 상표권 문제로 SQL로 이름을 변경했고, IBM도 SQL/DS를 출시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커드는 이후 크리스 데이트와 협력하며 관계형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확장했다.[2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중요한 형태 중 하나인 보이스-커드 정규형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또한, 그의 획기적인 연구에서 증명된 커드의 정리는 관계 대수와 관계 미적분의 표현력이 동일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이다.[18]

1980년대 들어 관계형 모델이 큰 인기를 얻자, 커드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공급업체들이 기존 기술에 단순히 관계형이라는 이름만 붙여 판매하는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진정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지 정의하기 위해 커드의 12가지 규칙을 발표하며 용어 오용을 막기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 이러한 활동은 SQL 언어에 대한 비판으로도 이어졌는데, 커드는 SQL이 자신의 이론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IBM 내에서 그의 입지는 점점 더 어려워졌고, 결국 회사를 떠나 크리스 데이트 등과 함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커드는 이후 온라인 분석 처리(OLAP)라는 용어를 만들고 관련 원칙을 정리한 "en"를 1993년 발표했다.[26][36] 이 개념은 데이터 웨어하우스데이터 마이닝 분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OLAP''라는 용어는 커드가 만든 것이며, 온라인 분석 처리에 관한 12가지 법칙도 공표했다. 하지만 이 논문이 특정 소프트웨어 기업(Arbor Software, 이후 Hyperion을 거쳐 Oracle에 인수됨)의 후원을 받아 작성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해 상충 논란이 일었고, IT 전문지 ''Computerworld''는 해당 논문을 철회하기도 했다.[27][37] 그는 데이터베이스 설계까지 관계형 모델을 확장한 RM/T (en)도 발표했다.

2004년, SIGMOD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최고 상의 이름을 SIGMOD 에드거 F. 커드 혁신상으로 변경했다.

3. 2. SQL의 탄생 배경

커드는 1970년 "대규모 공유 데이터뱅크의 데이터 관계 모델"(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eng)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관계형 모델을 제안했다.[18][19][35] 이는 데이터베이스 분야에 혁신적인 아이디어였지만, 당시 IBM은 기존의 IMS/DB와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통해 얻는 수익을 지키기 위해 커드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21] IBM이 머뭇거리는 사이 경쟁 기업들이 먼저 관계형 모델을 구현하기 시작하자 커드는 실망감을 느꼈다.[20]

커드는 IBM 고객들에게 직접 관계형 모델의 장점과 구현 가능성을 설명하며 IBM을 압박하도록 유도했다.[22][23] 결국 IBM은 고객들의 요구에 밀려 퓨처 시스템(Future Systems) 프로젝트의 일부로 System R이라는 하위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IBM은 이 프로젝트 책임자로 커드의 아이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인물을 앉혔고, 개발팀을 커드로부터 의도적으로 격리했다.[22][23]

그 결과, 개발팀은 커드가 제안한 Alpha 언어 대신 비관계형 언어인 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eng(SEQUEL)을 개발했다.[22][23] 그럼에도 SEQUEL은 기존 시스템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이 가능성을 간파한 래리 엘리슨은 SEQUEL에 관한 출시 전 논문을 보고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여 IBM보다 먼저 시장에 출시했다.[22][23] 이후 SEQUEL은 상표권 문제로 인해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로 이름을 변경했고[22][23], IBM도 SQL/DS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출시했다. 이처럼 SQL은 커드의 관계형 모델 이론에 기반했지만, IBM의 내부적인 문제와 경쟁 상황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3. 3.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이론

커드는 크리스토퍼 J. 데이트와 협력하여 관계형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확장해 나갔다.[24] 이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선하고 데이터 중복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이론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중요한 형태 중 하나인 보이스-커드 정규형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3. 4. 기타 업적

커드는 1965년 미시간 대학교 앤아버에서 존 헨리 홀랜드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15][16] 그의 논문은 셀룰러 오토마타에서의 자기 복제에 관한 것으로, 폰 노이만의 연구를 확장하여 8개의 상태 집합만으로도 보편적 계산과 폰 노이만 보편적 구성자 구현에 충분함을 보였다.[17] 그의 자기 복제 컴퓨터 설계는 2009년에 실제로 구현되었다.[34]

관계형 모델 연구 외에도 커드는 크리스토퍼 J. 데이트와 협력하며 관계형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확장했다.[2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방법 중 하나인 보이스-커드 정규형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또한, 관계형 모델 연구 과정에서 증명된 커드의 정리는 관계 대수와 관계 미적분(관계 논리)의 표현력이 동일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이다.[18][35]

1980년대에 관계형 모델이 널리 퍼지자, 커드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공급업체들이 기존 기술에 관계형이라는 이름만 붙여 판매하는 행태를 비판하며 용어 오용을 막기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진정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만족해야 할 조건을 정의한 커드의 12가지 규칙을 발표했다. 그는 SQL 역시 자신의 이론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다고 비판했으며,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IBM 내에서의 입지가 어려워지자 회사를 나와 크리스 데이트 등과 함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1993년 커드는 ''Providing OLAP to User-Analysts: An IT Mandate''라는 논문을 발표하며[36] ''온라인 분석 처리(OLAP)''라는 용어를 만들고 관련 개념을 정립했으며, 이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데이터 마이닝 분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OLAP의 12가지 법칙'도 발표했으나,[26] 이 연구가 특정 소프트웨어 기업(Arbor Software, 이후 Hyperion이 되었고 현재는 Oracle에 인수됨)의 후원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해 상충 논란이 일었고, ''Computerworld''는 해당 논문을 철회했다.[27][37]

2004년,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인 SIGMOD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최고 상의 이름을 SIGMOD 에드거 F. 커드 혁신상으로 변경했다.

3. 5. 수상 경력

커드는 1981년 튜링상을 받았으며,[12] 1994년에는 컴퓨팅 기계 협회의 펠로우로 선정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12 simple rules: How Ted Codd transformed the humble database https://www.theregis[...] 2013-08-19
[2] 간행물 MathGenealogy
[3] 논문 Relational database: A practical foundation for productivity
[4] 간행물 DBLP
[5] 간행물 ACMPortal
[6] 웹사이트 Edgar Frank Codd {{!}}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18
[7] 웹사이트 Edgar F. ("Ted") Codd http://amturing.acm.[...] A. M. Turing award
[8] 서적 Giants of Computing: A Compendium of Select, Pivotal Pioneer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 웹사이트 Edgar F. Codd, 79, Dies; Key Theorist of Databases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24-08-15
[10] 웹사이트 Edgar F. Codd -- computer pioneer in databases https://www.sfgate.c[...] 2022-08-13
[11] 문서 Edgar F. Codd – computer pioneer in databases San Francisco Chronicle 2003-04-24
[12] 웹사이트 A. M. Turing Award – Edgar F. ("Ted") Codd http://amturing.acm.[...] ACM
[13] 웹사이트 ACM Fellows http://fellows.acm.o[...]
[14] 웹사이트 Edgar F Codd Passes Away http://www.research.[...] IBM Research 2003-04-23
[15] 뉴스 Edgar Codd https://www.independ[...] 2003-05-01
[16] 논문 Propagation, Computation, and Construction in Two-dimensional cellular spaces University of Michigan 1965
[17] 서적 Cellular Automata Academic Pr
[18] 논문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https://www.seas.upe[...] 1970-06
[19] 서적 The Definitive Guide to SQLite Apress (Springer-Verlag)
[20] 뉴스 Edgar F. Codd, 79, Dies; Key theorist of database https://www.nytimes.[...] 2003-04-23
[21]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omputing: A Computing History Primer https://books.google[...] Springer
[22] 웹사이트 Oral history interview with Donald D. Chamberlin https://conservancy.[...] Charles Babbage Institute 2011-06-08
[23] 웹사이트 Edgar F. Codd https://www.ibm.com/[...]
[24] 서적 Joe Celko's Data and Databases: Concepts in Practice Morgan Kaufmann Publishers
[25] 문서 Recent Investigations into Relational Data Base North-Holland
[26] 문서 Providing OLAP to User-Analysts: An IT Mandate ComputerWorld 1993-07-26
[27] 웹사이트 OLAP and the need for Speed https://www.theregis[...] 2007-01-26
[28] 웹사이트 Turing Award citation http://awards.acm.or[...]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9] 문서 Edgar F. Codd -- computer pioneer in databases San Francisco Chronicle 2003-04-24
[30] 웹사이트 ACM Fellows http://fellows.acm.o[...]
[31] 웹사이트 Edgar F Codd Passes Away http://www.research.[...] IBM Research 2003-04-23
[32] 뉴스 Edgar Codd http://www.independe[...] 2003-05-01
[33] 서적 Cellular Automata Academic Press, New York
[34] 논문 Codd's self-replicating computer http://www.sq3.org.u[...]
[35] 서적 The Definitive Guide to SQLite Apress (Springer-Verlag)
[36] 간행물 Providing OLAP to User-Analysts: An IT Mandate ComputerWorld 1993-07-26
[37] 웹사이트 OLAP and the need for speed http://www.theregist[...] 2012-05-16
[38] 웹인용 A. M. Turing Award – Edgar F. ("Ted") Codd http://amturing.acm.[...] ACM 2013-09-02
[39] 웹인용 12 simple rules: How Ted Codd transformed the humble database http://www.theregist[...] 2013-08-19
[40] 기타 MathGenealogy
[41] 저널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http://www.seas.upen[...]
[42] 저널 Relational database: A practical foundation for productivity
[43] 문서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44] 웹인용 ACM Fellows http://fellows.acm.o[...] 2009-10-26
[45] 웹인용 IBM Research News http://www.research.[...] 2007-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