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은 20세기 초 미국의 발명가로, 라디오 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재생 회로,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광대역 주파수 변조(FM 라디오) 등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으며, 특히 FM 라디오는 잡음 제거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암스트롱은 여러 특허 분쟁과 RCA 등 기업과의 갈등을 겪으며 재정적 어려움과 정신적 고통 속에 1954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는 42개의 특허를 받았으며, 그의 발명품들은 오늘날까지도 라디오 기술의 핵심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다양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디오 선구자 - 굴리엘모 마르코니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무선 통신의 개척자로 실용적인 무선 전신 시스템 개발과 대서양 횡단 무선 통신 성공 등 20세기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하여 190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나, 특허 우선권 분쟁과 파시즘 정권 협력은 논란거리이다.
  • 라디오 선구자 - 레지널드 페센든
    레지널드 페센든은 캐나다 출신의 발명가로, 초기 라디오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세계 최초의 라디오 방송을 실시하고 소나 기술 개발에도 기여했으며 500개 이상의 특허를 획득했다.
  • IEEE 에디슨 메달 수상자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 IEEE 에디슨 메달 수상자 - 니시자와 준이치
    니시자와 준이치는 반도체 및 광통신 기술 분야의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일본의 공학자이며, PIN 다이오드, 정전 유도 트랜지스터, 광섬유 통신 등을 발명하고, 도호쿠 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
기본 정보
1954년경 암스트롱 스케치
출생일1890년 12월 18일
출생지뉴욕, 미국
사망일1954년 2월 1일
사망지뉴욕, 미국
국적미국
배우자에스더 매리언 맥기니스 (1922년 결혼)
직업공학자
발명가
학력컬럼비아 대학교
알려진 업적암스트롱 발진기
암스트롱 위상 변조기
암스트롱 타워
오토다인
주파수 변조
FM 방송
재생 회로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KE2XCC
W2XMN
주요 분야전기 공학
주요 발전변조
수상
수상 내역IRE 명예 훈장 (191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1919년)
홀리 메달 (1940년)
프랭클린 메달 (1941년)
AIEE 에디슨 메달 (1942년)
워싱턴 상 (1951년)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법Edeuwin Hawaendeu Amseuteurong
일본어 표기エドウィン・アームストロング

2. 생애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은 라디오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미국의 발명가이다. 그는 뉴욕주 뉴욕첼시에서 태어나[1]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다.[12]

대학 졸업 후 기업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연구소를 운영하며 자신의 발명 특허를 직접 관리하는 독특한 길을 걸었다.[13] 그는 기존의 통념에 얽매이지 않고 실험과 추론을 중시하는 연구 자세를 견지했으며,[11]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 신호 부대 장교로 복무하며 군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12][8] 전쟁 중 자신의 특허를 미군이 무료로 사용하도록 허가하기도 했다.

1923년, 암스트롱은 RCA데이비드 사르노프 비서였던 메리언 매키니스(Marion MacInnis)와 결혼했다.[9] 그는 결혼 선물로 직접 만든 세계 최초의 휴대용 슈퍼헤테로다인 라디오를 아내에게 선물했으며,[8] 히스파노-수이사 자동차를 구입하여 사망할 때까지 소유했다.[8] 암스트롱은 1940년 부상을 입기 전까지 테니스를 즐겼고, 저녁 식사에는 올드 패션드 칵테일을 즐겨 마셨다고 전해진다.[8] 정치적으로는 기술 분야의 혁신가였지만 보수적인 성향을 가졌던 것으로 평가된다.[65]

암스트롱의 재생 회로, 초재생 회로, 그리고 그의 가장 중요한 발명으로 꼽히는 FM 라디오 기술 등은 리 드 포레스트, RCA, AT&T 등 다른 발명가 및 거대 기업들과의 길고 지리한 특허 분쟁에 휘말렸다.[77][24][26] 특히 FM 기술은 기존 AM 라디오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RCA의 견제를 받아 상업화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1934년 모교인 컬럼비아 대학교의 전기공학 교수로 임명되어 평생 재직했지만,[14] 끊임없는 소송은 그를 재정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극심하게 피폐하게 만들었다. 오랜 법정 다툼에 지친 그는 결국 아내와의 관계마저 파탄에 이르렀고,[52][86] 1954년 1월 31일 밤, 자신이 살던 뉴욕의 아파트 13층에서 투신하여 생을 마감했다.[54][86]

암스트롱 사후, 그의 아내 메리언은 남편의 특허 소송을 이어받아 결국 RCA 등 기업들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합의를 이끌어냈다.[88][89] 또한 1955년에는 암스트롱 기념 연구 재단을 설립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는 활동을 이어갔다.[66]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75년경, 뉴욕주 용커스에 있는 허드슨강이 내려다보이는 암스트롱의 어린 시절 집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은 뉴욕주 뉴욕첼시 지역에서 존 암스트롱과 에밀리 스미스 암스트롱 부부의 세 자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미국 지사에서 일하며 부사장까지 승진했고,[53] 어머니의 가족은 첼시 지역사회와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교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4] 부모는 첼시에 있는 노스 장로교회에서 처음 만났다.[4] 1895년, 암스트롱 가족은 어퍼 웨스트 사이드(Upper West Side)로 이사했으며,[5] 비교적 유복한 중산층 가정에서 성장했다.

여덟 살 때 류머티즘성 열로 인한 신경 질환인 시데남 무도병(당시 '성 비투스 춤(St. Vitus' Dance)'으로 불림)을 앓았고, 이로 인해 평생 흥분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악화되는 신체적 증상을 겪게 되었다.[6] 건강 회복을 위해 1902년 가족은 뉴욕주 용커스의 허드슨 강변 주택으로 이사했다.[7] 이 무렵의 잦은 병치레와 결석은 그를 내성적인 성격으로 만들었다.[7]

어린 시절부터 전기 및 기계 장치, 특히 기차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8] 고소공포증이 없었던 그는 집 뒷마당에 직접 안테나 탑을 세우고 보선 의자(bosun's chair)를 이용해 오르내리곤 하여 이웃의 걱정을 사기도 했다.[9] 초기 연구의 상당 부분은 집 다락방에서 이루어졌다.[9]

1909년 컬럼비아 대학교에 입학하여 공학 학회인 세타 크사이(Theta Xi) 회원이 되었고, 하틀리 연구소에서 미하일로 푸핀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10] 당시 강사였던 존 H. 모어크로프트 교수는 암스트롱이 관심 있는 분야에는 몰두했지만 다른 과목에는 무관심했다고 회고했다.[10] 그는 기존 통념에 도전하기를 즐겼으며 교수나 동료들의 의견에도 거리낌 없이 의문을 제기하는 학생이었다.[11] 한 일화로, 자신이 싫어했던 코넬 대학교 방문 교수를 속여 심한 감전을 당하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11] 암스트롱은 이론보다는 실험과 추론을 통한 실용적인 접근을 중시했으며, 이것이 수학 공식보다 진보를 이끄는 더 확실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1913년 전기공학 학위를 받으며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했다.[12]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차 세계 대전 당시 신호 부대 제복을 입은 암스트롱


1917년 4월 미국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같은 해 암스트롱은 미국 육군 신호 부대 대위로 임관하여 프랑스 파리의 실험실에 배속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연합군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무선 통신 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이후 소령으로 진급했으며, 1919년 가을 미국으로 돌아왔다.[8] 암스트롱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자신의 특허를 미군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시기 암스트롱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초재생(Superheterodyne) 수신기 회로의 개발이었다.[53] 이 회로는 수신된 무선 신호를 라디오 수신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다른 주파수의 신호와 혼합하는 방식(믹서)을 사용한다. 그 결과, 고정된 중간 주파수(IF) 신호가 만들어지는데, 이 신호는 다음 단계의 회로에서 증폭하고 검출하기가 훨씬 용이하다. 초재생 방식은 라디오 수신기의 감도와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암스트롱은 1919년 초재생 회로에 대한 미국 특허를 신청했고, 이듬해 특허를 받아 웨스팅하우스에 매각했다.[23]

그러나 이 특허는 프랑스의 루시앵 레비(Lucien Lévy)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어 미국 특허청에서 또 다른 간섭 심리가 진행되었다.[24] 레비는 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무선 통신 개발에 참여했으며, 1917년과 1918년에 암스트롱의 초재생 수신기와 유사한 기본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프랑스 특허를 획득했다. 당시 무선 통신 기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AT&T는 레비의 특허에 대한 미국 내 권리를 사들여 암스트롱의 특허에 도전했다. 법적 분쟁은 1928년까지 이어졌고, 결국 콜롬비아 특별구 항소법원은 암스트롱 특허의 9개 청구항 모두를 기각하고, 7개 항에 대해서는 레비에게, 나머지 2개 항에 대해서는 각각 제너럴 일렉트릭의 에른스트 알렉산더슨(Ernst Alexanderson)과 벨 연구소의 버튼 W. 켄달(Burton W. Kendall)에게 우선권을 부여했다.[26] 암스트롱은 이 특허 분쟁에서 최종적으로 패소했지만, 그 결과는 이전에 있었던 재생 회로 관련 특허 분쟁보다는 논란이 적었다.[25]

초기 라디오 수신기는 대부분 재생 방식을 사용했지만, 암스트롱은 1913년 재생 수신기 시연 이후 알고 지낸 RCA데이비드 사르노프에게 초재생 방식이 더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27] 특허 분쟁이 진행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20년과 1921년에 RCA, 웨스팅하우스, AT&T 간에 체결된 광범위한 상호 라이선스 계약 덕분에 암스트롱은 레비의 특허 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초재생 수신기는 초기 설계에서 여러 개의 조정 손잡이가 필요하고 9개의 진공관을 사용하는 등 다소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하지만 암스트롱은 RCA 엔지니어들과 협력하여 더 간단하고 저렴한 설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RCA는 1924년 초, '라디오라'(Radiola)라는 이름의 초재생 수신기 세트를 미국 시장에 출시했고, 이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며 회사의 이익을 크게 증대시켰다. 이 초재생 기술은 매우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져, RCA는 1930년까지 다른 미국 회사에는 라이선스를 허용하지 않았다.[24]

2. 3. 기업과의 갈등, 그리고 죽음

암스트롱의 발명 중 상당수는 타인과의 특허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재생 회로는 1914년 암스트롱이 "wireless receiving system"이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취득했지만, 리 드 포레스트가 1916년에 유사한 특허를 취득하여 AT&T에 권리를 판매했다. 이로 인해 1922년부터 1934년까지 암스트롱의 특허를 사용한 RCA 및 웨스팅하우스와 드 포레스트의 특허를 사용한 AT&T 사이에 12년간의 긴 법정 다툼이 벌어졌고, 이는 당시 최장의 특허 분쟁이었다. 초기에는 암스트롱 측이 승소했으나, 2심에서는 패소했고 최종적으로 미국 연방 대법원은 드 포레스트의 특허를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 판결은 현재 기술적 오해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77]

이러한 법적 분쟁 과정에서 암스트롱은 1922년, 진공관 진동을 빠르게 소멸시켜 더 큰 증폭을 얻는 "초재생(super-regeneration)" 회로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는 이 초재생 회로 특허를 RCA에 20만달러와 회사 주식 6만 주(이후 컨설팅 서비스 대가로 8만 주로 증가)에 매각하여 RCA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 암스트롱은 이 매각이 재생 회로와 슈퍼헤테로다인 매각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주었다고 언급했다.[28] RCA는 이 기술을 활용한 수신기 판매를 계획했으나, 선택성 부족 문제로 방송 수신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했다.[28]

암스트롱의 가장 잘 알려진 발명인 FM 기술 역시 갈등의 씨앗이 되었다. 초기에는 RCA데이비드 사르노프의 요청으로 무선 수신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사르노프도 깊은 인상을 받았으나, 기존 AM 라디오와의 비호환성 때문에 RCA의 사업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지원을 중단했다. 이후 1946년, FCC가 텔레비전 음성 신호 표준으로 암스트롱의 FM 방식을 채택했지만, RCA는 특허료 지불을 거부했고 다른 기업들도 이를 따랐다.

수년간 이어진 RCA 및 다른 기업들과의 소송은 암스트롱을 재정적으로 파산시키고 정신적으로도 극도로 지치게 만들었다. 한 친구는 그의 시간 중 90%가 RCA와의 소송에 소모되었다고 추산했다.[53] 이러한 스트레스 속에서 암스트롱은 아내 마리온에게 벽난로 집게(또는 화롯대)로 폭력을 행사하는 지경에 이르렀고,[52][86] 위협을 느낀 마리온은 집을 나가 자매의 집으로 피신했다.[53]

결국 특허 분쟁과 개인적인 문제로 인해 깊은 절망에 빠진 암스트롱은 1954년 1월 31일과 2월 1일 사이의 밤, 뉴욕시 맨해튼의 리버 하우스(River House) 아파트 13층 창문에서 에어컨을 제거하고 투신하여 생을 마감했다.[54][86] 그의 시신은 다음날 아침 작업원에 의해 발견되었다. 아내에게 남긴 두 페이지 분량의 유서에는 "아내를 다시 볼 수 없다는 사실에 괴로워했고,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아내를 상처 입힌 것에 대해 깊은 후회를 표했다."는 내용과 함께 "하나님께서 당신을 지켜주시고, 주님께서 제 영혼을 불쌍히 여겨주시길" (또는 "당신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그리고 제 영혼에 자비를")이라는 마지막 말이 적혀 있었다.[53][55][87]

암스트롱의 죽음에 대해 데이비드 사르노프는 "내가 암스트롱을 죽이지 않았다"며 책임을 부인했다.[56][86] 한편, 조셉 매카시 미국 상원 의원은 암스트롱이 최근 자신의 조사관을 만났으며, 자신과 다른 과학자들의 비밀 레이더 발견이 "개발되는 즉시 공산주의자들에게 넘어가고 있다"는 사실에 "죽을 만큼 두려워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57]

암스트롱 사후, 그의 미망인 마리온은 남편의 법적 투쟁을 이어받아 RCA를 상대로 한 특허 소송을 계속 진행했고, 결국 승소하여 합의를 이끌어냈다.[88][89]

3. 주요 발명 및 업적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은 20세기 라디오 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미국의 발명가로, 그의 주요 발명품들은 현대 무선 통신 기술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학부생 시절부터 중요한 발명 활동을 시작했다.

암스트롱의 첫 번째 주요 발명은 재생 회로이다. 이는 양의 피드백 원리를 이용하여 초기 라디오 수신기의 감도를 획기적으로 증폭시킨 기술로, 미약한 무선 신호를 스피커로 들을 수 있을 만큼 키워주었다. 이 발명은 진공관 기술의 가능성을 크게 확장시켰으나, 이 드 포레스트와의 오랜 특허 분쟁에 휘말리기도 했다.[76][18][22]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서 복무하며 개발한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는 그의 또 다른 중요한 업적이다.[53] 이 기술은 수신된 무선 신호를 고정된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방식으로, 수신기의 선택도와 감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은 오늘날 거의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 수신기에 사용되는 표준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이 발명 역시 프랑스의 루시앵 레비 등과의 특허 분쟁을 겪었다.[23][26]

암스트롱의 발명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주파수 변조(FM) 방식이다. 기존의 진폭 변조(AM) 방식이 가진 정전기 잡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광대역 FM 기술은 훨씬 깨끗하고 충실도 높은 음질을 제공했다.[35] 그는 FM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보급하기 위해 사재를 털어 실험 방송국(W2XMN)을 설립하는 등[85]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AM 라디오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미국 라디오 회사(RCA)를 비롯한 기존 라디오 업계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특히 RCA와의 오랜 법적 다툼과 연방 통신 위원회(FCC)의 FM 주파수 대역 변경 결정[44] 등은 FM 기술의 상용화를 지연시키고 암스트롱 개인에게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이 외에도 암스트롱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속파 FM 레이더 연구에 기여했으며,[50] 그의 기술은 달 표면에 레이더 신호를 반사시키는 다이애나 프로젝트에 활용되기도 했다.[51]

암스트롱은 그의 혁신적인 발명들로 "라디오 역사상 가장 다작이고 영향력 있는 발명가"로 평가받는다.[61] 그의 발명품들은 단순한 기술 개선을 넘어 무선 통신과 방송의 패러다임을 바꾸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그의 발명 과정은 끊임없는 특허 분쟁과 거대 기업과의 힘겨운 싸움으로 점철되었으며, 이는 혁신 기술이 기득권의 저항에 부딪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그의 사후 부인 매리언 암스트롱의 노력으로 FM 기술에 대한 그의 권리가 인정받게 되었다.[58]

3. 1. 재생 회로 (Regenerative Circuit)

암스트롱의 "피드백" 회로도, ''Radio Broadcast'' 1권 1호(1922년)에서 발췌


암스트롱은 컬럼비아 대학교 학부생 시절 첫 번째 주요 발명품인 재생 회로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이 드 포레스트가 1906년 발명한 3극 진공관(오디온)은 작동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고 초기 제품은 진공도도 낮았다.[15] 그러나 1912년경 진공관 기술이 발전하고 작동 원리가 규명되면서 고진공관을 사용한 재생 회로의 가능성이 열렸다.

암스트롱은 초기의 불완전한 오디온으로 실험하며 진공관의 작동 원리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했고, 모어크로프트 교수와 함께 오실로그래프를 이용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했다.[16] 그는 양의 피드백(positive feedback, 또는 재생) 원리를 적용하면 기존보다 수백 배 더 강력한 증폭이 가능하다는 획기적인 사실을 발견했다. 이 덕분에 수신기는 더 이상 헤드폰에 의존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피드백을 특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면 진공관이 발진하여 연속파 무선 송신기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1913년부터 암스트롱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시연과 논문을 준비했고,[17] 같은 해 말 재생 회로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여 1914년 10월 6일 미국 특허 1,113,149를 획득했다.[18] 처음에는 암스트롱의 연구를 무시했던 드 포레스트는 1915년부터 뒤늦게 유사한 내용의 특허를 연달아 출원하며, 자신이 1912년 8월 6일에 이미 재생 원리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암스트롱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날짜(1913년 1월 31일)보다 앞선 시점이었기에, 특허청은 우선권 심판을 개시했다. 이 심판에는 암스트롱과 드 포레스트 외에도 제너럴 일렉트릭어빙 랭뮤어, 독일 국적의 알렉산더 마이스너(그의 출원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외국인 재산 관리국에 압류됨) 등 총 4명의 경쟁자가 참여했다.[19]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암스트롱은 법률 대리인을 고용하고 소송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소규모 무선 장비 회사들에게 재생 특허 사용 라이선스를 발급하기 시작했다. 1920년 11월까지 17개 회사가 매출액의 5%를 로열티로 지불하는 조건으로 라이선스를 받았으며, 이는 "아마추어와 실험가" 사용으로 제한되었다.[20] 동시에 암스트롱은 특허의 상업적 권리 판매를 모색했고, 미국 라디오 회사(RCA)가 유력 후보였으나 최종적으로는 1920년 10월 웨스팅하우스와 33.5만달러에 재생 및 슈퍼헤테로다인 특허 상업적 권리 옵션 계약을 맺었다. 웨스팅하우스는 같은 해 11월 4일 이 옵션을 행사했으며, 암스트롱이 재생 특허 분쟁에서 승소할 경우 추가로 20만달러를 지불하기로 했다.[21]

재생 회로 특허 분쟁은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1919년 암스트롱이 드 포레스트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특허 침해 소송으로, 1921년 법원은 암스트롱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러나 특허청 우선권 심판에서 비롯된 두 번째 소송은 다른 결과를 낳았다. 심판위원회는 암스트롱의 우선권을 인정했지만, 드 포레스트는 이에 불복하여 컬럼비아 특별구 지방 법원에 항소했다. 1924년, 법원은 드 포레스트를 재생 회로의 발명가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암스트롱과 당시 많은 기술자들은 이 결과에 충격을 받았고 항소했지만, 1928년과 1934년 두 차례에 걸친 미국 연방 대법원 상고에서도 판결을 뒤집는 데 실패했다.[22] 현재 이 대법원 판결은 기술적인 오해에 기반한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77]

대법원의 최종 판결에 실망한 암스트롱은 "진동 및 비진동 오디온 작동에 관한 그의 연구와 발표를 인정하여" 1917년에 받았던 무선공학연구소(IRE) 명예 메달을 반납하려 했으나, IRE 이사회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원래의 수상을 강력히 재확인한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그의 업적을 지지했다.

암스트롱이 개발한 재생 회로는 정귀환 원리를 이용한 증폭 회로로, 진공관이 매우 비쌌던 초창기 라디오 기술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비록 삼극관(오디온관)을 발명한 것은 드 포레스트였지만, 그는 자신의 발명품 작동 원리를 깊이 이해하지 못했고 귀환 현상을 발견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반면 암스트롱은 삼극관의 응용 가능성을 극대화하여 스피커를 울릴 만큼 강력한 신호 증폭을 실현했으며, 삼극관에 대한 상세한 기술 논문도 발표했다.[76]

이러한 특허 분쟁에도 불구하고, 암스트롱은 1923년 초 RCA 등에 제공한 특허 라이선스를 통해 상당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75] 재생 회로 특허를 둘러싼 법정 다툼은 RCA 및 웨스팅하우스와 AT&T(드 포레스트의 특허 권리 구매) 사이에서 12년 동안 이어졌으며, 이는 당시 최장기 특허 분쟁 기록으로 남았다.

3. 2.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Superheterodyne Receiver)



암스트롱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미국 육군 신호 부대 대위로 임관되어 프랑스 파리의 실험실에서 연합군의 무선 통신 개발을 지원했다. 그는 소령으로 진급한 후 1919년 가을 미국으로 돌아왔다.[8] 이 시기 암스트롱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수신기 회로의 개발이었다.[53] 처음에는 "초음속 헤테로다인"(supersonic heterodyneeng)으로 불렸으나 곧 줄여서 슈퍼헤테로다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슈퍼헤테로다인 회로는 들어오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다른 주파수의 신호와 혼합(mixing)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혼합 과정을 통해 고정된 중간 주파수(IF) 신호가 만들어지는데, 이 신호는 증폭과 검파가 용이하여 라디오 수신기의 감도와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오늘날 대부분의 라디오 수신기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암스트롱은 1919년 이 회로에 대한 미국 특허를 신청했고, 다음 해 특허를 취득하여 웨스팅하우스에 매각했다.[23]

그러나 이 특허는 프랑스의 공학자 루시앵 레비(Lucien Lévy)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어 또 다른 특허 분쟁에 휘말렸다.[24] 레비는 1차 세계 대전 중 암스트롱보다 먼저 슈퍼헤테로다인의 기본 아이디어가 포함된 프랑스 특허를 1917년과 1918년에 출원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무선 통신 기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AT&T는 레비의 미국 내 특허 권리를 사들여 암스트롱의 특허에 도전했다. 법정 다툼 끝에 1928년 콜롬비아 특별구 항소법원은 암스트롱 특허의 유효성을 인정하지 않고, 7개 항목에 대해 레비에게 우선권을 부여했다. 나머지 항목은 제너럴 일렉트릭의 에른스트 알렉산더슨(Ernst Alexanderson)과 벨 연구소의 버튼 W. 켄달(Burton W. Kendall)에게 각각 돌아갔다.[26] 암스트롱은 이 특허 분쟁에서 최종적으로 패소했지만, 재생 회로 관련 분쟁보다는 논란이 적었다.[25]

특허 분쟁에도 불구하고 슈퍼헤테로다인 기술의 상업화는 진행되었다. 암스트롱은 RCA데이비드 사르노프에게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이 기존 재생 회로보다 우수함을 알리고 상용화를 제안했다.[27] 마침 RCA, 웨스팅하우스, AT&T 간에 1920년과 1921년에 체결된 포괄적인 상호 특허 사용 계약 덕분에 RCA는 레비의 특허 문제와 상관없이 슈퍼헤테로다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었다.[24] 초기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는 여러 개의 조정 손잡이가 필요하고 9개의 진공관을 사용하는 등 복잡하고 비쌌다. 암스트롱은 RCA 기술자들과 협력하여 더 간단하고 저렴한 설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RCA는 1924년 '라디오라'(Radiola)라는 이름으로 슈퍼헤테로다인 라디오를 출시했고, 이는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며 RCA에 막대한 이익을 안겨주었다. RCA는 이 기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1930년까지 다른 미국 회사에 라이선스를 주지 않았다.[24]

암스트롱이 개발한 슈퍼헤테로다인 기술은 당시 최첨단 통신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이전 기술에 비해 혼신이 적고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는 능력(선국 능력)이 대폭 향상되었다.

3. 3. 광대역 주파수 변조 (Wide-band FM Radio)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관(Philosophy Hall). 암스트롱은 이 건물 지하 연구실에서 FM 라디오를 개발했다.


진폭 변조(AM)를 사용하는 초기 라디오 방송은 뇌우나 전기 장비 등에서 발생하는 정적(static) 간섭에 취약했다. 많은 발명가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20년대 중반, 암스트롱 역시 정적 제거 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AM 전송 방식 자체를 개선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8]

암스트롱은 대안으로 주파수 변조(FM) 방식에 주목했다. FM은 AM처럼 반송파의 세기(진폭)를 바꾸는 대신, 소리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1922년, AT&T의 존 렌쇼 카슨은 FM 전송이 AM보다 나을 것이 없다는 수학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29] 카슨의 분석은 오늘날 '협대역 FM'(Narrow-band FM)이라고 불리는 방식에만 국한되었기에 완전하지는 않았지만, 당시에는 FM 기술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28년부터 암스트롱은 FM의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당시 RCA에서도 단파(shortwave) 대역에서 FM 전송이 AM보다 페이딩(fading, 신호 세기 변화)에 강한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1931년 RCA 엔지니어들은 캘리포니아에서 하와이로 권투 경기를 FM 단파로 중계하는 데 성공했고, 이때 FM 신호가 정적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에 주목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더 이상 진전되지 않았다.[30]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관(Philosophy Hall) 지하 실험실에서 비밀리에 연구를 진행한 암스트롱은 기존의 협대역 FM과 다른 '광대역 FM'(Wide-band FM) 방식을 개발했다. 광대역 FM은 반송파의 주파수 변화 폭(편차)을 음성 신호의 주파수보다 훨씬 크게 만드는 방식으로, 이를 통해 잡음 제거 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1933년 12월 26일, 이 새로운 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대한 5개의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31][78] 처음에는 수신기 내부의 진공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이 주요 장점으로 부각되었다.[32]

암스트롱은 자신의 발명에 대한 우선 매수권을 RCA에 주기로 약속했었다. 1934년, 그는 RCA 사장 데이비드 사르노프에게 새로운 FM 시스템을 시연했다. 사르노프는 기존 AM 수신기에 간단한 장치를 추가해 정적을 제거하길 기대했으나, FM 시스템의 복잡성에 다소 실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RCA는 1934년 5월부터 1935년 10월까지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85층에 있는 자사 연구소에서 암스트롱의 FM 기술 현장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허락했다. 건물 꼭대기 첨탑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최대 약 128.75km 떨어진 곳까지 선명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다.[33] 이 실험을 통해 FM의 뛰어난 정적 감소 능력과 고음질(high-fidelity) 특성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당시 텔레비전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던 RCA는 FM 기술에 투자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암스트롱에게 실험 장비를 철수하라고 통보했다.[34][83]

거대 기업 RCA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된 암스트롱은 자신의 사재를 털고, 제니스 일렉트로닉스제너럴 일렉트릭 같은 중소 라디오 제조업체들과 협력하여 FM 기술을 직접 알리고 보급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FM이 5년 안에 AM 방송을 대체할 잠재력이 있으며, 이는 대공황으로 침체된 라디오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회라고 주장했다. 기존 AM 송수신기를 FM 방식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였다. 1936년, 그는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학술지 ''Proceedings of the IRE''에 광대역 FM의 우수성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35][80] (이 논문은 1984년 8월 ''Proceedings of the IEEE''에 재게재되었다.)[36][81] 이듬해에는 머레이 G. 크로스비(Murray G. Crosby, FM 스테레오의 크로스비 시스템 발명가)가 같은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광대역 FM의 특성을 더욱 상세히 분석하고, 신호가 특정 수준(임계값, threshold) 이상으로 강할 때 신호 대 잡음비(SNR)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는 '임계값 효과'(threshold effect)를 이론적으로 설명했다.[37][82]

250px


1936년 6월(또는 7월 17일[84]), 암스트롱은 연방 통신 위원회(FCC) 본부에서 FM 시스템 공개 시연회를 열었다. 그는 재즈 음반을 먼저 기존 AM 방식으로 재생한 뒤, 같은 음반을 FM으로 송출하여 음질 차이를 비교 시연했다. 당시 참석했던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UPI) 기자는 "500명의 엔지니어 청중이 눈을 감았다면 재즈 밴드가 바로 옆 방에서 연주한다고 믿었을 것"이라고 보도하며 FM의 뛰어난 음질과 잡음 없는 깨끗한 소리를 강조했다. 기사는 또한 "몇몇 엔지니어들은 암스트롱 박사의 발명이 최초의 이어폰 이후 가장 중요한 무선 통신 발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암스트롱 자신도 "머지않아 초고주파 대역(FM이 사용하는)이 모든 방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기사는 FM으로의 전환이 기존 방송 장비와 수신기를 쓸모없게 만들어 막대한 교체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함께 전했다.[38]

1937년, 암스트롱은 사재를 들여 뉴저지주 알파인에 세계 최초의 FM 라디오 방송국인 W2XMN(이후 KE2XCC)을 설립했다.[85] 이 방송국은 42.8MHz 주파수에서 40kW 출력으로 송출했으며, 당시 고주파 전파는 가시선 거리 정도까지만 도달할 것이라는 FCC 엔지니어들의 예상을 넘어 약 약 160.93km 떨어진 곳에서도 잡음 없이 깨끗하게 수신되었다. 이는 50kW 출력의 AM 방송국의 주간 수신 범위와 맞먹는 수준이었다.[41]

1930년대 후반, 기술 발달로 더 높은 주파수 활용이 가능해지자 FCC는 방송국 수를 늘리고 음질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1937년 FCC는 41.02MHz에서 43.98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75개의 채널로 구성된 에이펙스 방송 대역을 신설했다. 이 방송국들은 AM 방식을 사용했지만, 채널 간 간격을 기존 10kHz에서 40kHz로 넓혀 더 높은 음질(예: 주파수 응답 20Hz~17,000Hz)을 제공했다.[40] 암스트롱은 FCC에 FM 방식이 에이펙스 AM 방식보다 더 우수하다고 설득하려 노력했다. FCC는 두 시스템을 비교 연구한 끝에 암스트롱의 FM 방식이 더 뛰어나다는 결론을 내렸다.

1940년 초, FCC는 상업 FM 방송 서비스 도입을 위한 청문회를 열었고, 그 결과 1941년 1월 1일부터 42~50MHz 대역에 200kHz 폭의 40개 FM 채널을 할당하기로 결정했다. 이 중 처음 5개 채널은 교육 방송용으로 배정되었다.[42] 기존 에이펙스 방송국들은 FM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1941년 1월 1일 이후 운영을 중단해야 했다.[43]

새로운 FM 대역에 대한 방송 사업자들의 관심은 높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한 건설 제한 조치 때문에 FM 방송의 성장은 더뎌졌다. 전쟁이 끝난 후, FCC는 주파수 할당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결정을 내렸다. 대류권이나 스포라딕 E층에 의한 전파 반사로 원거리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고, 특히 RCA는 이를 이유로 FM 대역을 더 높은 주파수로 옮겨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암스트롱은 이러한 주파수 재할당이 불필요하며 FM 방송의 성장을 저해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격렬하게 반대했지만,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FCC는 1945년 6월 27일, FM 방송 대역을 현재와 같은 88~108MHz로 옮기기로 최종 결정했다.[44] 기존 42~50MHz 대역은 다른 용도(비정부 고정 및 이동 통신, 텔레비전 채널 1 등)에 할당되었다. 이 결정으로 인해 기존 저대역 FM 수신기 395,000대[45]가 하루아침에 쓸모없게 되었고, 저대역 수신기를 고대역으로 개조하는 변환기가 나왔지만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실효성이 없었다.[46] 암스트롱은 이 결정이 RCA를 비롯한 기존 AM 라디오 네트워크(NBC, CBS, ABC, Mutual)와 유선 중계망을 제공하던 AT&T의 이익을 보호하고 FM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문제가 많았던 44~50MHz 대역의 텔레비전 채널 1은 결국 전파 간섭 문제로 나중에 폐지되었다.

FM 대역 이동은 암스트롱에게 큰 경제적 타격을 주었지만, 그는 희망을 잃지 않았다. 1946년 출판된 찰스 A. 시프먼(Charles A. Siepmann)의 책은 FM 방송을 "라디오의 두 번째 기회"라고 평가했다.[47] 암스트롱은 홍보 전문가 존 오어 영(John Orr Young)과 계약하여 전국적인 FM 홍보 캠페인을 벌였고, 여러 유력 매체에 FM의 장점을 알리는 기사를 게재했다.[48]

하지만 RCA와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1940년 RCA는 암스트롱에게 FM 특허 사용료로 100만달러를 일시불로 제안했지만, 로열티를 지불하는 다른 회사들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암스트롱은 이를 거절했다. 이후 RCA는 자체적으로 FM 기술을 연구하여 암스트롱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며, 다른 회사들에게 암스트롱에게 로열티를 지불하지 말도록 부추겼다. 이에 격분한 암스트롱은 1948년 RCA와 NBC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고, 그들이 고의적으로 자신의 발명 가치를 폄하하고 훼손하려 했다며 3배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그는 소송에서 승리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 확신했지만, 길고 지루한 법정 싸움은 그의 재정을 계속해서 악화시켰다. 특히 그의 주요 특허들이 1950년 말에 만료되면서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49]

암스트롱 사후, 그의 부인 매리언 암스트롱(Marion Armstrong)이 소송을 이어받았다. 1954년 말, RCA는 매리언과 약 100만달러에 합의했다.[58] 이후 매리언은 다른 회사들을 상대로 한 특허 침해 소송에서도 연이어 승소하며, 최종적으로 1967년에 이르러 암스트롱이 FM 기술의 진정한 발명가임을 법적으로 인정받게 했다.[58]

미국에서 FM 방송이 AM 방송의 인기를 넘어서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이는 제너럴 일렉트릭의 FM 스테레오 기술 개발과, AM/FM 동시 방송 시간을 제한한 FCC의 규제(FM Non-Duplication Rule) 덕분이었다. 암스트롱의 FM 시스템은 NASA의 아폴로 계획에서 우주비행사와의 통신에도 사용되는 등 그 기술적 우수성을 입증했다.

비록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이나 HD 라디오 같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등장하면서 FM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지만,[62] FM 방송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 남아 있다.

4. 특허

암스트롱은 생애 동안 총 42개의 특허를 받았다.[73] 그의 발명 중 상당수는 특허 분쟁에 휘말렸다.

암스트롱이 개발한 재생 회로는 정귀환을 이용한 증폭 회로로, 진공관이 비쌌던 시기에 중요한 발명이었다. 이 회로를 통해 스피커를 울릴 정도의 증폭이 가능해졌다. 암스트롱은 삼극관(오디온관)의 작동 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상세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는 발명자인 리 드 포레스트조차 해내지 못한 일이었다.[76] 그러나 재생 회로 특허(1914년, "무선 수신 시스템")는 리 드 포레스트가 1916년에 유사 특허를 취득하고 이를 AT&T에 판매하면서 12년간의 긴 법적 분쟁으로 이어졌다. RCA와 웨스팅하우스는 암스트롱의 특허를, AT&T는 드 포레스트의 특허를 사용하며 다투었다. 초기에는 암스트롱 측이 승소했으나, 최종적으로 미국 연방 대법원은 드 포레스트의 특허를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현재 기술적 오해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77]

슈퍼헤테로다인 기술 역시 암스트롱이 개발하여 당시 최첨단 통신 기술이 되었으며, 무선 신호의 혼신 문제를 해결하고 선국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발명인 주파수 변조(FM)는 RCA데이비드 사르노프의 요청으로 무선 수신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사르노프는 FM의 우수성을 인정했지만, 기존 AM 라디오와의 비호환성 때문에 이를 위협으로 간주하고 지원을 중단했다. 이후 1946년 FCC가 텔레비전 NTSC 규격의 음성 신호 부분에 FM 방식을 채택했지만, RCA는 특허료 지불을 거부했고 다른 회사들도 이를 따르면서 암스트롱은 또다시 법적 다툼에 휘말렸다.

1923년 초, 암스트롱은 RCA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 제공으로 상당한 부를 축적했다.[75]

다음은 암스트롱의 주요 특허 목록이다.

주요 특허 목록 (생전)
특허 번호특허 명칭비고
1,113,149무선 수신 시스템재생 회로 관련
1,334,165전파 전송Mihajlo Pupin과 공동 특허
1,336,378분포형 양의 저항을 가진 안테나
1,342,885고주파 진동 수신 방법슈퍼헤테로다인 관련
1,388,441전파 전송용 다중 안테나
1,415,845수신된 전기 진동에 선택적으로 반대되는 임피던스Mihajlo Pupin과 공동 특허
1,416,061고선택성 무선 수신 시스템
1,424,065신호 전송 시스템슈퍼헤테로다인 관련
1,539,820파 신호 전송 시스템
1,539,821파 신호 전송 시스템
1,539,822파 신호 전송 시스템
1,541,780파 신호 전송 시스템
1,545,724파 신호 전송 시스템
1,611,848연속파 무선 수신 시스템초재생 회로 관련
1,675,323파 신호 전송 시스템
1,716,573파 신호 전송 시스템
1,941,066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1933년 광대역 FM 특허 중 하나
1,941,067무선 방송 및 수신 시스템
1,941,068무선 신호 전송1933년 광대역 FM 특허 중 하나
1,941,069무선 신호 전송1933년 광대역 FM 특허 중 하나
1,941,447무선 전화 신호 전송
2,024,138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
2,063,074무선 송신 시스템
2,082,935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
2,085,940위상 제어 시스템
2,098,698무선 송신 시스템
2,104,011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
2,104,012다중 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
2,116,501무선 수신 시스템
2,116,502무선 수신 시스템
2,122,401주파수 변경 시스템
2,130,172무선 송신 시스템
2,169,212무선 송신 시스템
2,203,712무선 송신 시스템
2,215,284주파수 변조 신호 전송 시스템
2,264,608주파수 변조 신호 중계 방법 및 수단
2,275,486주파수 변조 신호 중계 방법 및 수단
2,276,008무선 재방송 시스템
2,290,159주파수 변조 시스템
2,295,323전류 제한 장치
2,315,308주파수 변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수단
2,318,137무선 신호 수신 수단
2,323,698주파수 변조 신호 전송 시스템
2,540,643주파수 변조 반송파 신호 수신기
2,602,885무선 신호 전송
2,630,497주파수 변조 다중 시스템



암스트롱 사후 발행된 특허[74]
특허 번호특허 명칭발행 연도
2,738,502무선 탐지 및 거리 측정 시스템1956년
2,773,125다중 주파수 변조 송신기1956년
2,835,803부반송파 주파수 변조파용 선형 검파기1958년
2,871,292위상 편이 변조의 잡음 감소1959년
2,879,335안정화된 다중 주파수 변조 수신기1959년


5. 유산 및 평가

남편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의 사망 후, 그의 부인 마리온 암스트롱은 남편의 유산과 관련된 법적 다툼을 이어갔다. 1954년 12월 말, RCA와의 소송에서 미국의 중재를 통해 "약 100만달러"에 합의했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 소송은 뉴욕의 크래베스, 스웨인 & 무어 로펌 소속 다나 레이몬드 변호사가 담당했다. 마리온 암스트롱은 오랜 기간의 법정 싸움을 통해 암스트롱이 FM의 발명가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데 기여했다. 5개의 핵심 FM 특허에 대한 소송은 1967년까지 계속되었으며, 특허 침해로 유죄 판결을 받은 다른 회사들을 상대로 연이어 승소했다.[58]

미국에서 FM 방송이 AM 방송의 인기를 넘어서기 시작한 것은 암스트롱 사후 수십 년이 지난 196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여기에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이 개발한 FM 스테레오 방송 기술로, 1961년 FCC는 이를 표준으로 채택하여 미국 전역에 수백 개의 FM 스테레오 방송국이 생겨났다. 둘째는 1966년 FCC가 제정한 FM 비중복 규칙(FM Non-Duplication Rule)이다. 이 규칙은 같은 도시에서 AM과 FM 방송 허가를 모두 가진 방송국이 두 주파수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시간을 제한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FM 라디오는 더 이상 AM 라디오의 단순 동시 방송이 아닌 독자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게 되었고, 청취자층을 넓힐 수 있었다. 특히 스테레오 방송의 장점 덕분에 음악 방송은 FM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암스트롱의 FM 시스템은 NASA와 아폴로 계획 우주비행사 간의 통신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암스트롱은 "라디오 역사상 가장 다작이고 영향력 있는 발명가"로 평가받는다.[61] 그가 발명한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라디오 수신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FM 기술은 발명된 지 80년이 넘었지만, 최근에는 더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로 보완되거나 대체되는 추세이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도입으로 기존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던 FM 오디오 채널이 사라졌고, HD 라디오(HD Radio)는 FM 방송국에 디지털 부채널을 추가했으며,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대역이 기존 FM 방송을 완전히 대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62] 그럼에도 불구하고 FM 방송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주요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 남아있다.

암스트롱은 생전 및 사후에 걸쳐 수많은 상과 영예를 통해 그의 업적을 인정받았다.

연도수상 내역 및 명예
1917IEEE 명예훈장 (당시 IRE 명예훈장, 제1회 수상자)[67]
1919레지옹 도뇌르 훈장 (프랑스 정부, 제1차 세계 대전 공로)[12]
1929컬럼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68]
1941프랭클린 메달[12]
1941뮬렌버그 칼리지 명예 박사 학위[68]
1942에디슨 메달 (AIEE, 재생 회로, 슈퍼헤테로다인, 주파수 변조 공헌)[12]
1951워싱턴상
1955ITU 선정 위대한 전기 발명가
1980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1983기념 미국 우표 발행[60]
2000소비자 전자 제품 명예의 전당 헌액
2001무선 명예의 전당 헌액[69]
2005TECnology 명예의 전당 헌액 (재생 피드백, 슈퍼헤테로다인, FM 회로)[72]



암스트롱의 업적을 기리는 여러 장소가 있다. 그가 FM을 개발했던 컬럼비아 대학교의 철학관(Philosophy Hall)은 2003년 미국 국립역사기념물(NHL)로 지정되었다. 뉴욕주 용커스에 있던 암스트롱의 생가 역시 NHL과 미국 국가 사적지 등록부(NRHP)에 등재되었으나, 1983년 화재로 소실되고 철거되면서 지정이 해제되었다.[70][71][90][91]

컬럼비아 대학교에는 그의 이름을 딴 암스트롱 홀(Armstrong Hall)도 있다. 브로드웨이와 112번가 북동쪽 모퉁이에 위치한 이 건물은 원래 아파트 건물이었으나 대학이 매입하여 연구 공간으로 개조했다. 현재는 컬럼비아 대학교와 NASA가 공동 운영하는 대기 및 기후 과학 연구소인 고다드 우주연구소(GISS)가 자리 잡고 있다. 건물 1층 모퉁이에는 수잔 베가의 노래 "톰스 다이너(Tom's Diner)"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진 오랜 명소 톰스 레스토랑(Tom's Restaurant)이 있으며, 이 레스토랑은 텔레비전 시리즈 사인펠드에서 가상의 "몽크스 다이너(Monk's Diner)" 외부 장면 촬영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공과대학에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 교수직을 설립했다.[1]

메릴랜드주 애버딘 주둔지에 있는 미국 육군 통신전자사령부(CECOM) 본부 건물 역시 발명가의 이름을 따 암스트롱 홀로 명명되었다.

6. 한국에 미친 영향

1920년대 일본에서는 민간 무선 통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었다. 이 시기 일본의 무선 관련 잡지에서는 미국의 발명가 에드윈 하워드 암스트롱을 중요한 인물로 다루었다. 예를 들어, 잡지 『무선과 실험』에서는 암스트롱이 발명한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을 소개하는 번역 기사를 실었으며[1], 암스트롱의 신혼여행 사진이나 전기를 다룬 기사도 게재되었다.[1] 이는 당시 일본에서 암스트롱의 기술과 활동이 큰 관심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참조

[1] journal Edwin Armstrong: Pioneer of the Airwave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17-09-18
[2] 웹사이트 Edwin H. Armstrong https://www.britanni[...] 2018-12-17
[3] 웹사이트 Edwin Armstrong https://wirelesshist[...] 2024-07-27
[4] 서적 Man of High Fidelity https://archive.org/[...] 1956
[5] 서적 https://archive.org/[...] 1956
[6] 서적 https://archive.org/[...] 1956
[7] 서적 https://archive.org/[...] 1956
[8] 서적 https://archive.org/[...] 1956
[9] harvnb 2010
[10] 간행물 What Everyone Should Know About Radio History: Part II https://babel.hathit[...] 1922-08-01
[11] 서적 Empire of the Air 1991
[12]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n History – the Military Marquis Who's Who 1975
[13] 서적 The Legacies of Edwin Howard Armstrong 1990
[14] 뉴스 Major Armstrong Goes to Columbia 1934-08-07
[15] 법률문서 DeForest Radio Co. v. General Electric Co. https://law.resource[...] 1931-05-25
[16] 간행물 Operating Features of the Audion https://babel.hathit[...] 1914-12-12
[17] journal Operating Features of the Audion https://babel.hathit[...] 1917-08-02
[18] 서적 1991
[19] 서적
[20] 서적 Invention and Innovation in the Radio Industry 1949
[21] 서적 Radio Manufacturers of the 1920s: Volume 3 1991
[22] 서적 1991
[23] 서적 1949
[24] 간행물 Who Invented the Superheterodyne? http://antiqueradios[...] 1990-11-01
[25] 서적 1991
[26] 서적 The Continuous Wave: Technology and American Radio, 1900-1932 1985
[27] 서적 History of Radio to 1926 https://babel.hathit[...] 1938
[28] 서적 1949
[29] journal Notes on the theory of modulation https://babel.hathit[...] 1922-02-01
[30] 서적 Early FM Radio 2010
[31] 웹사이트 Air War: Legal Battles Over FM Radio http://www.fathom.co[...] Columbia University
[32] 서적 2010
[33] harvnb 2010
[34] 웹사이트 Beginning of Armstrong's FM station W2XMN at Alpine, NJ (1937) http://users.erols.c[...] 2011-12-19
[35] journal A method of reducing disturbances in radio signaling by a system of frequency modulation 1936-05-01
[36] 논문 A method of reducing disturbances in radio signaling by a system of frequency modulation 1984-08-00
[37] 논문 Frequency modulation noise characteristics 1937-04-00
[38] 뉴스 New Static-Less Radio Broadcast Eliminates All Extraneous Noises https://cdnc.ucr.edu[...] San Bernardino (California) Sun 1936-06-18
[39] 간행물 What are the facts about FM?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1940-11-00
[40] 웹사이트 America's Apex Broadcasting Stations of the 1930s http://www.theradioh[...]
[41] 논문 Armstrong, Edwin Howard The H. W. Wilson Company
[42] 간행물 FCC Order No. 67 https://babel.hathit[...] Federal Register 1940-05-25
[43] 간행물 FCC Order No. 69 https://babel.hathit[...]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1940-05-22
[44] 뉴스 Device to make FM Radios Work Under FCC Ruling https://www.newspape[...] The Miami News 2017-08-14
[45] 뉴스 395,000 FM Radio Sets Must Be Replaced https://www.newspape[...] Journal Gazette 2017-08-14
[46] 뉴스 Pre-War FM Radio Sets to Become Obsolete Saturday https://www.newspape[...] The Times 2017-08-14
[47] 서적 Radio's Second Chance 1946-00-00
[48] 논문 A Case study of Edwin Howard Armstrong's public relations campaign for FM https://scholarworks[...] 2012-12-14
[49] 서적 1991-00-00
[50] 서적 To the Moon and Back: Essays on the Life and Times of Project Diana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Print US
[51] 웹사이트 Project Diana: Radar Reaches the Moon https://www.projectd[...]
[52] 서적 The Boy Genius and the Mogul: the untold story of television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53] 뉴스 Armstrong, FM Inventor, Dies In Leap From East Side Suite 1954-02-02
[54] 뉴스 Maj. Edwin Armstrong, Father of FM, Other Radio Inventions, Dead at 63 https://archive.org/[...] Broadcasting-Telecasting 1954-02-08
[55] 뉴스 Stubborn genius 1956-12-09
[56] 서적 1976-00-00
[57] 뉴스 Major Armstrong Felt Reds Stole His Ideas—McCarthy https://archive.org/[...] Broadcasting-Telecasting 1954-02-08
[58] 뉴스 Fm Suit Settlement Ends Six-Year Fight https://archive.org/[...] 1955-01-10
[59] 서적 1991-00-00
[60] 웹사이트 American Inventors, September 21, 1983, Smithsonian Postal Museum https://postalmuseum[...]
[61] 서적 Media and Culture: An Introduction to Mass Communication, 8th Ed. https://books.google[...] MacMillan
[62] 뉴스 Norway to Become First Country to Switch Off FM Radio in 2017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15-04-20
[63] 서적 1976-00-00
[64] 서적 1991-00-00
[65] 서적 1976-00-00
[66] 뉴스 Esther Armstrong, 81, the Wife Of Inventor of FM Radio System 1979-08-10
[67] 웹사이트 IEEE Medal of Honor https://ethw.org/IEE[...] IEEE 2011-06-27
[68] 서적 Edwin Howard Armstrong Radio's 100 Men of Science 1944-00-00
[69] 웹사이트 Edwin Armstrong https://wirelesshist[...]
[70]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ventory/Nomination: Edwin H. Armstrong House https://web.archive.[...] 1975-07-00
[71] 웹사이트 Edwin H. Armstrong Hous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9-11-04
[72] 웹사이트 TECnology Hall of Fame, 2005 http://legacy.tecawa[...] 2005-12-12
[73] 웹사이트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Database Search: Edwin H. Armstrong https://web.archive.[...] 2017-07-16
[74] 서적 Radio Patent Lists and Index 1830-1980 2001
[75] 서적 Man Of High Fidelity J. B. Lippincott
[76] 학술지 Operating Features of the Audion http://www3.intersci[...] 1917-08-02
[77] 서적 Empire of the air: the men who made radio E. Burlingame Books
[78] 웹사이트 Dana M. Raymond: Air War: Legal Battles Over FM Radio http://www.fathom.co[...]
[79] 학술지 Notes on the theory of modulation http://ieeexplore.ie[...] 1922-02
[80] 학술지 A method of reducing disturbances in radio signaling by a system of frequency modulation http://www.qsl.net/n[...] 1936-05
[81] 학술지 A method of reducing disturbances in radio signaling by a system of frequency modulation http://ieeexplore.ie[...] 1984-08
[82] 학술지 Frequency modulation noise characteristics http://ieeexplore.ie[...] 1937-04
[83] 웹사이트 http://users.erols.c[...]
[84] 뉴스 Radio Set-up Eliminates All Noise Ogden Standard-Examiner 1936-06-18
[85] 서적 Current Biography 1940
[86] 뉴스 Edwin H. Armstrong, Inventor, Dies in Plunge http://pqasb.pqarchi[...] 1954-02-02
[87] 뉴스 Died http://www.time.com/[...] Time 1954-02-08
[88] 뉴스 Esther Armstrong, 81, the Wife Of Inventor of FM Radio System New York Times 1979-08-10
[89] 뉴스 Armstrong Suit Over FM Settled. R.C.A. and N.B.C. to Pay '$1,000,000' Ending Action Begun by Late Inventor.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1954-12-31
[90]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ventory/Nomination: Edwin H. Armstrong House http://www.oprhp.sta[...] 1975-07
[91] 웹사이트 Withdrawal of National Historic Landmark Designation: Edwin H. Armstrong House http://www.nps.gov/n[...] National Park Service
[92] 웹인용 Edwin Armstrong: Pioneer of the Airwave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