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는 1918년 2월 24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볼셰비키 군대와 독일군의 대립 속에서 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 선언은 에스토니아의 독립 민주 공화국 수립을 선포하며, 민주주의 원칙에 기반한 정부 구성과 국민의 자유와 권리 보장을 명시했다. 독일은 이 선언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1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이 패배한 후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에 권력을 이양했다. 이후 에스토니아는 독립 전쟁을 거쳐 타르투 조약을 통해 독립을 국제적으로 승인받고 국제 연맹에 가입하여 국제 사회의 일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해체 - 리투아니아 독립법
리투아니아 독립법은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가 리투아니아를 민주 국가로 재건하고 이전 국가 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한 법안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의 법적 근거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계승을 선언하여 현재 리투아니아의 법적 토대가 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해체 - 러시아 2월 혁명
러시아 2월 혁명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부담, 차르 체제의 모순, 라스푸틴의 영향력으로 인한 민심 이반으로 시작되어 노동자, 군인, 시민들의 봉기로 확산되었고, 임시 정부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이중 권력 체제를 형성했으나 10월 혁명으로 붕괴된 러시아의 민주주의 혁명 시도 사건이다. - 1918년 국제 관계 - 리투아니아 독립법
리투아니아 독립법은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가 리투아니아를 민주 국가로 재건하고 이전 국가 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한 법안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의 법적 근거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계승을 선언하여 현재 리투아니아의 법적 토대가 되었다. - 1918년 국제 관계 - 14개조 평화 원칙
14개조 평화 원칙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이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평화 구상으로 발표한 원칙으로, 비밀 외교 폐지, 공해 자유, 민족 자결주의 등 이상주의적 국제 관계 원칙을 담고 국제 연맹 창설을 통한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목표로 했으나, 베르사유 조약 체결 과정에서 내용이 수정되거나 무시되었다.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 | |
---|---|
선언 정보 | |
이름 |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 |
로마자 표기 | Eesti iseseisvusmanifest |
별칭 | 에스토니아 국민에게 보내는 선언문 |
로마자 표기 | Manifest Eestimaa rahvastele |
날짜 | 1918년 2월 24일 |
장소 | 탈린 |
내용 | |
주요 내용 | 에스토니아는 독립된 민주 공화국으로 선포됨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 |
관련 문서 | 에스토니아 주권 선언 |
2. 역사적 맥락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이라는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 속에서 에스토니아는 독립을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선언문은 에스토니아 임시 의회 원로들에 의해 선출된 구국 위원회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콘스탄틴 패츠, 위리 빌름스, 콘스탄틴 코니크가 위원이었다.[1] 원래 1918년 2월 21일에 선포될 예정이었으나, 2월 23일 저녁까지 연기되어 페르누에서 공개적으로 낭독되었다. 다음 날인 1918년 2월 24일, 수도 탈린에서 선언문이 인쇄되어 배포되었다.[1][2]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군이 퇴각하고 독일군이 진군하는 가운데 독일 제국의 점령이 임박한 1918년 2월 24일, 마패에브(에스토니아 국가 의회의 구제 위원회)가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11] 독일 제국은 새로이 선포된 에스토니아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이 패배하자 독일은 에스토니아에서 군대를 철수하고, 11월 19일에 에스토니아에 대한 권력을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에 공식 이양하였다.[11] 이후 러시아 볼셰비키의 침공과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이 이어졌다. 1920년 2월 2일, 에스토니아 공화국과 러시아 볼셰비키 간에 타르투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2] 에스토니아 공화국은 국제적 인정을 받았고, 1921년 국제 연맹의 회원이 되었다.[13]1918년 2월 24일, 수도 탈린에서 후퇴하는 러시아 볼셰비키 군대와 진격하는 독일군 사이에서 (그리고 독일 제국에 의한 점령이 임박한 상황), 민주적으로 선출된 임시 의회 (''마아페에브'')의 행정 기관인 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는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은 이전 제정 러시아 국립 은행의 현지 지점 본관에서 이루어졌다.[3][4]
2. 2. 독일군의 진격과 에스토니아의 위기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8년 2월 24일, 수도 탈린에서 후퇴하는 러시아 볼셰비키 군대와 진격하는 독일군 사이에서, 그리고 독일 제국에 의한 점령이 임박한 상황에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임시 의회(''마아페에브'')의 행정 기관인 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는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선언했다.[3] 선언은 이전 제정 러시아 국립 은행의 현지 지점 본관에서 이루어졌다.[4]그러나 독일 제국은 새로 선언된 "에스토니아 민주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다.
2. 3.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과 국제적 승인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군이 퇴각하고 독일군이 진군하는 가운데, 1918년 2월 24일 에스토니아 국가 의회의 구제 위원회(마패에브)는 독일 제국의 점령이 임박하자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독일 제국은 새로이 선포된 에스토니아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다.[11] 1918년 11월, 동맹국의 패배로 독일은 에스토니아에서 군대를 철수했고, 11월 19일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에 공식적으로 권력을 이양하였다.[11] 이후 러시아 볼셰비키의 침공과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이 이어졌다. 1920년 2월 2일, 에스토니아 공화국과 러시아 볼셰비키는 타르투 평화 조약을 체결하였다.[12] 에스토니아 공화국은 국제적인 승인을 얻어 1921년 국제 연맹에 가입하였다.[13]3. 독립 선언서
'''에스토니아 전 국민을 위한 선언서'''
에스토니아인들은 수 세기 동안 독립에 대한 열망을 잃지 않고, 다른 나라들의 노예화와 압제에도 불구하고 독립의 희망을 품고 살아왔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러시아 차르 제국이 붕괴되고 독일군이 접근해 오는 상황에서, 에스토니아 지방 의회는 국민의 자결권에 따라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14][8]
'''에스토니아는 역사적, 민족적 경계 내에서 독립 민주 공화국임을 선언한다.'''
에스토니아 독립 공화국은 하리우주, 래네주, 얘르바주, 비루마, 나르바와 그 주변 지역, 타르투주, 버루주, 빌리안디주, 패르누주, 발트해의 사레마 섬, 히우마 섬, 무후 섬 등을 포함하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국민 투표로 국경을 확정하기로 하였다.[14][8]
에스토니아는 모든 인접 국가와 국민에 대하여 중립을 유지하고, 에스토니아 제헌 의회가 구성될 때까지 임시 정부가 다음 원칙에 따르도록 하였다.[14][8]
원칙 |
---|
모든 국민은 종교, 민족, 정치적 견해에 관계없이 법의 평등한 보호를 받는다. |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등 소수민족은 문화적 자치권을 보장받는다. |
표현, 언론, 종교, 집회, 결사의 자유, 파업의 자유, 개인과 가정의 불가침 등의 자유가 보장된다. |
임시 정부는 법원을 조직하고 정치범을 석방한다. |
지방자치단체는 업무를 재개하고, 민병대와 시민자위대를 조직한다. |
임시 정부는 농업, 노동, 식량 공급,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을 마련한다. |
선언서는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조국 건설에 단결할 것을 촉구하고, 에스토니아 독립 민주 공화국과 국가 간의 평화를 기원하며 마무리된다.[14][8]
3. 1. 선언서의 선포 과정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에스토니아 임시 지방 의회(Maapäev)가 구성되었다. 볼셰비키의 10월 혁명 이후, 에스토니아 임시 지방 의회는 1917년 11월 28일 회의를 열고 스스로를 에스토니아의 유일한 합법적 권력 기관으로 선포했다.[14] 그러나 곧 볼셰비키 세력에 의해 해산되었다.[14]이후 에스토니아 임시 지방 의회 원로 위원회는 지하 활동에 들어갔고, 1918년 2월 19일, 독립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 위원회는 콘스탄틴 패츠, 위리 빌름스, 콘스탄틴 코니크 3인으로 구성된 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를 조직하고, 독립 선언서 초안을 작성하였다.[14]
당초 초안에는 러시아와 독일 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으나, 독일과의 협상을 고려하여 독일 관련 내용은 삭제되었다.[14] 1918년 2월 21일, 구국 위원회는 합살루에서 독립 선언서 초안을 최종 검토하고, 에스토니아를 독립 민주 공화국으로 선포하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킬 것을 선언하였다.[14]
선언서는 원래 2월 23일 패르누에서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독일군이 패르누를 점령하면서 발표가 연기되었다.[14] 2월 23일 저녁, 구국 위원회 위원 빌름스는 빌리안디에서 선언서를 발표하고, 2월 24일에는 패츠와 코니크가 탈린에서 선언서를 발표하였다.[14] 2월 25일, 선언서는 에스토니아 전역에 배포되었다.[14]
3. 2. 선언서의 주요 내용
선언서는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선언하게 된 배경과 목적, 그리고 새로운 국가가 추구할 가치와 원칙들을 담고 있다.
선언서는 우선 에스토니아인들이 수 세기 동안 독립에 대한 열망을 잃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외세의 억압 속에서도 언젠가 독립을 쟁취할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살아왔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제 그 시간이 되었다"라는 문장을 통해, 오랜 기다림 끝에 드디어 독립을 선언할 때가 왔음을 선포한다.
선언문에는 에스토니아 제헌 의회가 구성되기 전까지 임시 정부가 따를 원칙들이 다음과 같이 나열되어 있다.
원칙 |
---|
모든 국민은 종교, 민족, 정치적 견해에 관계없이 법의 평등한 보호를 받는다. |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등 소수민족은 문화적 자치권을 보장받는다. |
표현, 언론, 종교, 집회, 결사의 자유, 파업의 자유, 개인과 가정의 불가침 등의 자유가 보장된다. |
임시 정부는 법원을 조직하고 정치범을 석방한다. |
지방자치단체는 업무를 재개하고, 민병대와 시민자위대를 조직한다. |
임시 정부는 농업, 노동, 식량 공급,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을 마련한다. |
마지막으로, 선언서는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조국 건설이라는 과업에 단결할 것을 촉구하고, 에스토니아 독립 민주 공화국과 국가 간의 평화를 기원하며 마무리된다.
3. 2. 1. 에스토니아 독립 민주 공화국 선포
전례 없는 국가 간의 투쟁으로 러시아 차르 제국의 부패한 토대가 파괴되고, 사르마티아 평원 전역에 파멸적인 무정부 상태가 확산되면서, 서방에서는 승리한 독일군이 러시아의 유산에 대한 자신들의 몫을 주장하고 발트해 연안 지역을 차지하기 위하여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었다.[14][8]이 운명적인 시간에 에스토니아 지방 의회는 영토와 인민의 법적 대표자로서, 국민의 자결권에 따라 에스토니아의 영토와 국민의 운명을 결정짓기 위하여 에스토니아의 정당 및 조직과 함께 만장일치로 합의하여, 에스토니아는 역사적, 민족적 경계 내에서 독립 민주 공화국임을 선언하였다.[14][8]
에스토니아 독립 공화국은 하리우주, 래네주, 얘르바주, 비루마, 나르바와 그 주변 지역, 타르투주, 버루주, 빌리안디주, 패르누주, 발트해의 사레마섬, 히우마섬, 무후섬, 기타 에스토니아인이 오랫동안 큰 규모로 터를 잡은 지역을 포함하며, 라트비아와 러시아에 접경한 지역의 공화국의 국경에 대한 최종 결정은 세계 대전이 끝난 뒤 국민 투표로 정하기로 하였다.[14][8]
앞서 언급한 지역에서 유일한 최고 조직 기관은 에스토니아 지방 의회가 조직한 민주적인 지원을 받는 에스토니아 구제 위원회였다.[14][8] 에스토니아는 모든 인접 국가와 국민에 대하여 절대적인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기를 희망하며, 이들이 완전한 중립으로 동등하게 대응할 것을 기대하였다.[14][8]
에스토니아 군대는 내부 질서 유지에 필요한 범위 내로 감축하고, 러시아군에 복무 중인 에스토니아인은 고향으로 돌아와 제대하도록 하였다.[14][8] 보통선거, 직접선거, 비밀선거, 비례선거로 선출된 에스토니아 제헌 의회가 국가의 헌법 구조를 결정할 때까지 모든 행정권과 입법권은 에스토니아 지방 의회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에 귀속되며, 다음 원칙에 따르도록 하였다.[14][8]
1.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모든 국민은 종교, 민족, 정치적 견해에 관계없이 공화국의 법률과 법원의 동등한 보호를 받는다.
2.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등 모든 소수민족은 문화적 자치권을 보장받는다.
3.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 결사의 자유, 파업의 자유, 개인과 가정의 불가침과 같은 모든 국민의 자유는 에스토니아 공화국 영토 내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유효하며, 정부가 즉시 제정하는 법률에 근거한다.
4. 임시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즉각적인 법원 조직의 책임을 맡는다. 모든 정치범은 즉시 석방된다.
5. 시, 주, 마을 지자체가 그동안 불법으로 중단되었던 업무를 재개하도록 촉구한다.
6. 치안 유지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예하 민병대를 즉시 조직하고 도시 및 농촌에 시민자위대를 설치한다.
7. 임시 정부는 농업 문제, 노동 문제, 식량공급 문제, 재정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법안을 민주적 차원에서 지체 없이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3. 2. 2. 국민의 자유와 권리 보장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는 종교, 민족, 정치적 견해에 관계없이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모든 국민이 법의 동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14][8]또한,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등 소수 민족에게는 문화적 자치권을 보장하였다.[14][8]
선언서는 표현, 언론, 종교, 집회, 결사의 자유, 파업의 자유, 그리고 개인과 가정의 불가침과 같은 모든 국민의 자유가 에스토니아 공화국 영토 내에서 유효함을 강조하였다.[14][8] 이러한 자유는 정부가 제정하는 법률에 근거한다.[14][8]
3. 2. 3. 소수 민족의 문화적 자치권 보장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는 에스토니아 공화국 내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의 권리 보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선언서는 2항에서 공화국 경계 내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및 기타 소수 민족에게 문화적 자치에 대한 권리를 보장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4][8]3. 2. 4. 민주적 정부 수립
보통, 직접, 비밀, 비례 선거로 선출된 에스토니아 제헌 의회가 국가의 헌법 구조를 결정할 때까지 모든 행정 및 입법 권한은 에스토니아 지방 의회와 에스토니아 임시 정부에 귀속되며, 이들의 활동은 다음 원칙에 따라야 한다.[14][8]#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모든 국민은 종교, 민족, 정치적 견해에 관계없이 공화국의 법률과 법원의 동등한 보호를 받는다.
#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 독일인, 스웨덴인, 유대인 등 모든 소수민족은 문화적 자치권을 보장받는다.
#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 결사의 자유, 파업의 자유, 개인과 가정의 불가침과 같은 모든 국민의 자유는 에스토니아 공화국 영토 내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유효하며, 정부가 즉시 제정하는 법률에 근거한다.
# 임시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즉각적인 법원 조직의 책임을 맡는다. 모든 정치범은 즉시 석방된다.
# 시, 주, 마을 지자체가 그동안 불법으로 중단되었던 업무를 재개하도록 촉구한다.
# 치안 유지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예하 민병대를 즉시 조직하고 도시 및 농촌에 시민자위대를 설치한다.
# 임시 정부는 농업 문제, 노동 문제, 식량공급 문제, 재정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법안을 민주적 차원에서 지체 없이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4. 독립 선언의 의의와 영향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은 에스토니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여러 가지 의의와 영향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 의의
- 최초의 독립 선언: 에스토니아는 1918년 2월 24일 독립을 선언함으로써 역사상 처음으로 독립 국가를 수립했다. 이는 수 세기 동안 외세의 지배를 받아온 에스토니아인들에게 민족 자결주의에 입각한 자주독립 국가를 세우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기틀 마련: 독립 선언은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법적, 정치적 기초를 놓았다. 이후 에스토니아는 민주적인 헌법을 제정하고 의회를 구성하는 등 독립 국가로서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정치적 의의
- 민주주의 국가 수립: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은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국가 수립을 천명했다. 이는 당시 유럽에서 확산되던 민주주의 혁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에스토니아는 민주적인 정치 체제를 구축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국가를 지향했다.
- 국제적 승인: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은 국제 사회에서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인정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독립 직후 소련의 침공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에스토니아는 끈질긴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냈고, 결국 1920년 타르투 조약을 통해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았다.
사회적 의의
- 민족 정체성 확립: 독립 선언은 에스토니아인들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에스토니아인들은 독립을 통해 자신들의 언어, 문화, 역사를 지키고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에스토니아 사회의 통합과 발전에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 사회 개혁: 독립 이후 에스토니아는 토지 개혁, 교육 개혁 등 다양한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에스토니아는 봉건적인 잔재를 청산하고 근대적인 사회로 나아갈 수 있었다.
영향
- 독립 전쟁: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은 곧바로 소련의 침공으로 이어져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1918-1920)이 발발했다. 에스토니아는 국민들의 끈질긴 저항과 국제 사회의 지원에 힘입어 독립을 지켜냈고, 이는 에스토니아인들에게 큰 자부심과 용기를 심어주었다.
- 발트 3국 독립의 촉매제: 에스토니아의 독립은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다른 발트 3국에게도 영향을 미쳐 이들 국가의 독립 운동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소련 붕괴 이후 독립 회복: 에스토니아는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었지만, 독립 선언을 통해 확립된 독립 정신은 에스토니아인들에게 끊임없이 자유를 갈망하게 만들었다. 결국 에스토니아는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독립을 회복했고, 이는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이처럼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은 에스토니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었으며, 에스토니아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뉴스
23. ja 24. veebruar 1918: kuidas iseseisvust kuulutati
https://web.archive.[...]
Postimees
2008-02-24
[2]
뉴스
89 aastapäeva – sinimustvalgega ja ilma
https://web.archive.[...]
Postimees
2008-02-24
[3]
웹사이트
The buildings of Eesti Pank
https://www.eestipan[...]
2012-09-28
[4]
웹사이트
The Artist Nikolai Kalmakov and the Twists and Turns of his Creative Legacy
https://www.ra.ee/tu[...]
2017-01-01
[5]
웹사이트
World War I
http://www.estonica.[...]
2017-02-24
[6]
웹사이트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http://www.estonica.[...]
2017-02-24
[7]
웹사이트
Years of parliamentarian democracy
http://www.estonica.[...]
2017-02-24
[8]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www.presiden[...]
Office of the President of Estonia
2020-02-18
[9]
뉴스
23. ja 24. veebruar 1918: kuidas iseseisvust kuulutati
http://www.postimees[...]
Postimees
2008-02-24
[10]
뉴스
89 aastapäeva – sinimustvalgega ja ilma
http://www.postimees[...]
Postimees
2008-02-24
[11]
웹인용
World War I
http://www.estonica.[...]
2017-02-24
[12]
웹인용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http://www.estonica.[...]
2017-02-24
[13]
웹인용
Years of parliamentarian democracy
http://www.estonica.[...]
2017-02-24
[14]
웹인용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www.presiden[...]
Office of the President of Estonia
2020-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