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코비는 2006년에 개발된 UTM-02를 기반으로 개발된 광역시급 지방자치단체 운행을 목표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이다. 2006년 건설교통부와 한국기계연구원의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2016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에 투입되어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3궤조 방식의 전력 공급, 무인 운전 시스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등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현재 101~104편성이 용유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용유역 구간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기부상열차 - HML-03
HML-03은 국립중앙과학관에 전시된 유일한 편성 전동차이며, 1개 편성만 제작되었다. - 자기부상열차 - DMV-92
DMV-92는 2023년 동해선 포항-부전 구간을 운행한 차량으로, 노선 변경, 이벤트 진행 등의 활동 후 현재 창고로 사용 중이며, 박물관 전시나 문화 공간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고, 캘리포니아 주립 철도 박물관에 보관되어 다양한 활용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에코비 | |
---|---|
개요 | |
![]() | |
차량 이름 | 에코비 (ECOBEE) |
글자 색상 | white |
용도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
운영 회사 | 인천국제공항공사 |
제작사 | 한국기계연구원 현대로템 |
제작 연도 | 2009년 ~ 2012년 |
차량 정보 | |
량수 | 2량 |
편성 당 량수 | 2량 4개 편성 8량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3궤조방식 |
구동 장치 | 삼상 리니어 유도 전동기 |
제어 장치 | IGBT소자VVVF 인버터 제어 |
보안 장치 | ATP/ATO 자동운전 |
성능 | |
기동 가속도 | 4.0 |
영업 최고 속도 | 80 |
설계 최고 속도 | 110 |
감속도 | 4.0 |
제원 | |
차량 정원 | 230 |
전체 길이 | 12,000 |
전체 폭 | 2,700 |
전체 높이 | 3,450 |
차량 중량 | (MC) 19 |
MT비 | 2MC |
궤간 | 1,850 |
2. 개발 과정
에코비 개발은 한국기계연구원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날짜 | 내용 |
---|---|
2006년 12월 21일 | 건설교통부와 한국기계연구원이 협약을 체결하였다. |
2007년 1월 31일 | 한국기계연구원에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단이 발족되었다. |
2007년 6월 26일 | 인천광역시에 시범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대구, 대전, 광주, 창원은 노선 후보에서 탈락하였다.[4] |
2009년 12월 | 현대로템에서 시험 차량 제작을 완료하였다. |
2013년 7월 | 차량의 이름이 에코비로 결정되었다.[5][6] |
2016년 2월 3일 | 시범 노선으로 이 차량을 활용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개통되었다. |
2. 1. 초기 개발
이 차량은 2006년에 개발된 UTM-02를 발전시켜 광역시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운행할 만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다.날짜 | 내용 |
---|---|
2006년 12월 21일 | 건설교통부, 한국기계연구원과 협약 체결 |
2007년 1월 31일 | 한국기계연구원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단 출범 |
2007년 6월 26일 | 인천광역시에 시범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 (대구, 대전, 광주, 창원은 노선 후보에서 탈락)[4] |
2009년 12월 | 현대로템에서 시험 차량 제작 완료 |
2013년 7월 이후 | 차량의 이름이 에코비로 결정[5][6] |
2016년 2월 3일 | 시범 노선으로 이 차량을 활용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개통 |
2. 2. 시범 노선 선정 및 건설
이 차량은 2006년에 개발된 UTM-02를 발전시켜 광역시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운행할 만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다.날짜 | 내용 |
---|---|
2006년 12월 21일 | 건설교통부와 한국기계연구원이 협약 체결 |
2007년 1월 31일 | 한국기계연구원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단 발족 |
2007년 6월 26일 | 인천광역시에 시험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 (대전, 대구, 광주, 창원시는 노선 후보에서 탈락)[4][1] |
2009년 12월 | 현대로템에서 제작하던 시험 차량 완성 |
2013년 7월 | 열차명을 에코비(ECOBEE)로 결정[5][6][2][3] |
2016년 2월 3일 |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철도 개통 |
2. 3. 상업 운행 시작
이 차량은 2006년에 개발된 UTM-02를 발전시켜 광역시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운행할 만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다. 2006년 12월 21일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와 한국기계연구원이 협약을 체결하고,[4] 2007년 1월 31일 한국기계연구원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단이 출범하였다.[4] 2007년 6월 26일에는 인천광역시에 시범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되었으며, 대구, 대전, 광주, 창원은 노선 후보에서 탈락하였다.[4] 2009년 12월 현대로템에서 시험 차량 제작을 완료하였다.[4] 2013년 7월 이후 차량의 이름이 '''에코비'''로 결정되었으며,[5][6] 2016년 2월 3일 시범 노선으로 이 차량을 활용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가 개통되었다.[4]3. 기술적 특징
에코비는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통근형 전차로, 4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하여 선로에서 전력을 공급받으며, 무인 운전으로 운영된다. 열차 앞뒤 창문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사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숙박 시설에 접근하는 장소에서는 싱가포르 LRT, 롯코 라이너의 1000형처럼 창문에 스모크가 자동으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3. 1. 제3궤조 방식
에코비는 의정부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과 같이 제3궤조 방식으로 선로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1]3. 2. 무인 운전 시스템
에코비는 무인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자동으로 운행된다. 의정부 경전철이나 부산-김해 경전철과 마찬가지로 선로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제3궤조 방식이 채택되었다.[1] 열차 앞뒤 창문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1]3. 3.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에코비는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통근형 전차로, 4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제3궤조 방식으로 무인 운전을 하며, 열차 앞뒤 창문을 통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사가 수동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1]숙박 시설 등 특정 장소에 접근할 때 사생활 보호를 위해, 싱가포르 LRT나 롯코 라이너의 1000형처럼 창문에 자동으로 스모크가 덮이는 기능이 있다.[1]
4. 배속 및 운행 정보
에코비는 용유차량사업소에 2량이 배속되어 있다.[1]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인천공항1터미널역~용유역 구간은 2016년 3월 26일 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4. 1. 배속
용유차량사업소에 2량이 배속되어 있다.[1]4. 2. 현재 운행 구간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인천공항1터미널역~용유역 구간은 2016년 3월 26일 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4. 3. 운행 현황
'''굵은 글씨'''는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이다.
5. 사진
참조
[1]
뉴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시범도시에 인천 선정(종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06-26
[2]
간행물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이름 공모 안내
http://www.materic.o[...]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학회소식
2013-07-09
[3]
뉴스
이 열차 지금 떠 있습니다…1cm
http://news.naver.co[...]
아시아경제
2014-03-21
[4]
뉴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시범도시에 인천 선정(종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06-26
[5]
간행물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이름 공모 안내
http://www.materic.o[...]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학회소식
2013-07-09
[6]
뉴스
이 열차 지금 떠 있습니다…1cm
http://news.naver.co[...]
아시아경제
2014-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