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KTX-산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KTX-산천은 대한민국에서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1990년대 프랑스 TGV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96년 시작된 G7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 자립을 시도, 시속 300km급의 상용 열차를 개발하여 2010년 KTX-산천이라는 이름으로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 KTX-산천은 HSR-350x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성능과 편의성을 개선했으며, 110000호대, 120000호대, 130000호대, 140000호대 등 다양한 모델이 운행 중이다. 2010년 운행 초기 잦은 고장과 2011년 탈선 사고 등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한국 고속철도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도입 - 홍진기 창조인상
    홍진기 창조인상은 과학기술, 사회, 문화예술 분야 발전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를 선정하여 시상하며, 매년 과학기술, 사회, 문화예술 부문 외에 특별상과 공헌상을 시상하기도 한다.
  • 2010년 도입 - 어밀리아 셰퍼드
    《그레이 아나토미》와 《프라이빗 프랙티스》에 등장하는 신경외과 의사 어밀리아 셰퍼드는 데릭 셰퍼드의 여동생으로, 카테리나 스코르소네가 연기했으며, 알코올 및 약물 중독, 과거 트라우마, 가족 관계 등 복잡한 내면을 가진 인물로서 주요 등장인물로 활약하며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
  •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 KTX-청룡
    KTX-청룡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기술로 제작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이며, 2024년 5월 1일부터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최고 시속 320km로 운행하고 515석의 좌석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차량 - KTX (차량)
    KTX-I는 프랑스 TGV Réseau를 기반으로 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알스톰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일부는 프랑스에서, 일부는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최고 시속 305km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등에서 운행되고, 초기에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개선을 통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화물 열차 견인용 전기 기관차이며, 최고 속도 150km/h로 운행하고 IGBT-VVVF 제어 방식과 Co-Co 방식의 대차를 사용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87량이 도입되어 경부선 등에서 운행한다.
KTX-산천
기본 정보
KTX-산천 110000호대
이름KTX-산천
한글KTX-산천
한자KTX-山川
일본어 가타카나케이티에스=산초은
로마자 표기KTX-Sancheon
종류고속철도
개발 년도2008–2017년
운행 시작2010년
제작 회사현대로템
소속KTX
총 생산량71편성
실제 운행량70편성
편성량10량 편성 (동력차 + 8량 객차 + 동력차)
운행 노선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경부선
호남선
경전선
전라선
동해선
인천국제공항철도 (2018년까지)
운행 회사한국철도공사, 에스알
차량 기지고양, 오송
기술 사양
차체 재질동력차: 강철, 객차: 알루미늄
편성 길이201 m
동력차 길이22.69 m
끝 객차 길이21.845 m
중간 객차 길이18.7 m
동력차 폭2814 mm
객차 폭2970 mm
동력차 높이4062 mm
끝 객차 높이4.1 m
중간 객차 높이3.48 m
바닥 높이1125 mm
영업 최고 속도305 km/h
설계 최고 속도330 km/h
공차 중량403 t
만차 중량434 t
가속도0.45 m/s² (60 km/h까지), 0에서 300 km/h까지 316초, 16.4 km
감속도1.06 m/s² (허용오차 +5% -0%), 300 km/h에서 0 km/h까지 3.3 km
구동 방식8개의 3상 비동기 유도 전동기, 4개의 IGBT 기반 VVVF 인버터
총 출력8.8 MW (1100 kW x 8)
보조 전원2 x 1.0 MW, 670 V DC 공급, IGBT 기반
전기 방식25 kV/60 Hz AC
집전 방식가선, 단암식 SSS400+ 팬터그래프
UIC 분류Bo'Bo' + 2'(2)(2)(2)(2)(2)(2)(2)2' + Bo'Bo'
제동 방식와전류 제동, 회생 제동, 저항 제동, 디스크 제동
안전 장치ATS, ATP(안살도), TVM-430
연결 장치샤르펜베르크 연결기
중련 운전가능
궤간1,435 mm
좌석 정보
총 좌석 수 (110000호대)363석
특실 좌석 수 (110000호대)30석 (2+1 배열)
일반실 좌석 수 (110000호대)328석 (2+2 배열)
장애인 좌석 수 (110000호대)5석
총 좌석 수 (SRT 120000호대 이후)410석
특실 좌석 수 (SRT 120000호대 이후)33석 (2+1 배열)
일반실 좌석 수 (SRT 120000호대 이후)372석 (2+2 배열)
장애인 좌석 수 (SRT 120000호대 이후)5석
기타
제작 단가 (110000호대)330억 원
제작 단가 (120000~140000호대)335억 원

2. 역사

대한민국은 고속철도 사업을 시작할 당시 프랑스 TGV 제작사인 알스톰과 기술 이전 계약을 맺고 KTX-I 열차로 운영을 시작했다.[4] 그러나 기술 이전 계약이 완전하지 않아 국내 기술 개발을 위해 1996년 G7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실험열차 HSR-350x를 개발하여 2004년 시속 352.4km를 기록했다.[7]

2001년, 이용객이 적은 호남선의 요구에 맞춰 최고 속도를 시속 300km로 줄이고 추진 장치를 객차 중간에서 제거하여 더 짧은 구성이 가능한 모듈식 열차를 제안했다.[8] 2005년, 현대로템은 KTX-II(KTX-산천) 개발 및 제작사로 선정되었고,[11] 2006년 한국철도공사와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12]

KTX-산천 개발 및 상용화와 관련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2006년 6월 7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10편성 100량을 2940억에 수주[57]
2008년 1월 10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9편성 90량 수주[58] (이후 5편성 추가 수주)
2011년 2월 11일KTX-산천 3편성이 광명역에서 탈선 사고를 일으켜 운용 중단.
2012년 9월 5일운용 중단되었던 3편성이 재투입[59]


2. 1. 개발 배경

대한민국은 고속철도 사업을 시작할 당시, 차량과 인프라를 프랑스 TGV 고속열차 주요 제작사인 GEC-알스톰(현재 알스톰(Alstom))과 한국 기업 간의 기술 이전 계약을 통해 건설했다. 이에 따라 한국고속철도공사(KORAIL)의 KTX는 TGV 레조를 기반으로 알스톰과 현대로템이 공동 제작한 KTX-I 열차로 운영을 시작했다.[4] 그러나 이 기술 이전 계약은 완전한 기술 자립을 보장하지 못했고, 부품 수입에 의존해야 했다.[5]

국내 기술 개발을 위해 1996년 한국 정부 연구 기관, 대학, 민간 기업이 연합하여 국산 고속철도 기술 개발 프로젝트인 G7 프로젝트를 시작했다.[5] G7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는 7량 시제 고속열차 HSR-350x 개발이었다. HSR-350x는 2002년부터 시험 운행을 시작하여 2004년 12월 16일 시속 352.4km를 기록하며 한국 고속철도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7]

2. 2. KTX-산천 개발 및 상용화

HSR-350x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2000년대 초부터 상용 고속열차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초기에는 KTX-II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호남선 등 이용객이 적은 노선에 적합한 10량 편성 열차로 설계되었다.[8] 2005년, 현대로템은 경쟁 입찰을 통해 KTX-II 개발 및 제작사로 선정되었고,[11] 2006년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12]

2008년, 현대로템은 첫 번째 KTX-산천 열차를 공개했고,[17] 2010년 3월부터 경부선호남선에서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38] KTX-산천은 산천어(토종 물고기)를 모티브로 한 유선형 디자인과 향상된 성능, 넓어진 좌석 공간, 회전 가능한 좌석 등 개선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37]

KTX-산천의 개발 및 상용화와 관련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날짜사건
2006년 6월 7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10편성 100량을 2940억에 수주[57]
2008년 1월 10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9편성 90량 수주[58] (이후 5편성 추가 수주)
2008년 11월 25일현대로템, 첫 번째 KTX-산천 열차 공개[17]
2010년 3월 2일KTX-산천, 경부선호남선에서 상업 운행 시작[38]
2011년 2월 11일KTX-산천 3편성, 광명역 탈선 사고[49]
2012년 9월 5일운행 중단되었던 3편성 재투입[59]


3. 성능

KTX-산천은 HSR-350x와 KTX-I의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러 부분에서 성능이 개선되었다. KTX-II의 주행모터(traction motor), 변환장치, 주행제어 및 제동 시스템은 HSR-350x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국산 개발품이다.[24] 주행 모터는 HSR-350x와 같이 동기식 모터가 아닌 비동기식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이다.[33]

변환장치의 전력 전자 장치는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인 IXYS Corporation이 공급한 IGBT(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를 사용한다.[25] 각 주행 변환장치는 두 개의 병렬 스위칭 사분면 변환장치로 구성되며, 각각의 주 변압기 권선에서 단상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정류기(rectifier) 모듈, 2,800V DC 중간 회로, 그리고 DC 전원을 주행 모터의 삼상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 모듈로 작동한다.[27] 각 변환장치는 대차의 두 개의 차축에 있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개별 대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27]

오스트리아 회사인 Melecs MWW가 공급한 팬터그래프는 350km/h에 대해 인증된 표준형이며, 독일철도(Deutsche Bahn)의 ICE S 시험 열차, 지멘스 벨라로(Siemens Velaro) 고속열차 시리즈 및 중국철도 CRH2(China Railways CRH2)에도 사용된다.[28] 이후 이 팬터그래프는

KTX-산천은 정지 상태에서 0km/h까지 316초 만에 가속할 수 있는데, 이는 KTX-I의 365초보다 빠른 것이다.[19] 설계 속도는 330km/h이고,[23] 영업 속도는 305km/h로 KTX-I와 비슷하다.[19] 300km/h에서 제동 거리는 3m이다.[1]

HSR-350x와 마찬가지로,[6] 중간 객차의 차체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다.[23] KTX-I와 비교하여, 방음 및 가압 성능 향상을 위해 층을 하나 더 추가하여 창문 두께가 증가했다.[35] 객차의 전체 폭은 증가했다.[19]

3. 1. KTX-I과의 차이점


  • 주전동기는 동기전동기에서 현대로템이 제작한 1,100 kW급 유도전동기 8개로 변경되어 유지·보수가 간략화되었다.[4]
  • KTX는 마일드 스틸제 싱글 스킨 구조인 반면, KTX-산천은 알루미늄제 더블스킨 구조를 채용하여 기밀성 강화와 소음 저감을 도모했다. 현대로템 발표에 따르면 300 km/h 주행 시 64 dB의 소음치를 달성했는데, 이는 KTX에 비해 2 dB 정도 낮은 수치이다.[4]
  • 객차 차폭은 2,904 mm에서 2,970 mm으로 확대되었다.[4]
  • 대차는 1차 현가 장치에 코일 스프링, 2차 현가 장치에 코일 스프링, 공기 용수철, 안티 롤 바가 적용되었다.[4]
  •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몸체는 산천어를 본따 유선형으로 제작되었다.[4]

3. 2. HSR-350x와의 차이점

HSR-350x통합 게이트 정류 사이리스터(IGCT)를 전력제어소자로 사용했지만, 효율성 문제로 인해 KTX-산천에서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사용한다. 1996년 당시에는 IGBT 기술이 부족하여 IGCT가 채택되었으나, 이후 전력 전자공학 발달로 IGBT를 이용한 대전력 제어가 가능해졌다.[26] KTX-산천은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강제 냉각 방식의 IGBT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용하였다.[25] 또한, KTX-산천에서는 와전류제동이 제거되었다.

3. 3. 특이 사항

KTX-산천은 두 편성을 하나로 연결하여 운행하는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특히, 열차 양쪽 끝부분에 전공일체 자동연결장치를 적용하여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경부선, 동해선, 경전선, 호남선, 전라선 등에서 중련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중련 운행 시에는 9, 10호차 없이 남측 편성의 차량 번호가 11~18호차로 편성되며, 각 편성이 별도로 편성 후미가 되는 동력차의 집전장치를 사용하여 급전한다. 2011년 5월 16일부터 2012년 11월 4일까지는 중련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62]

KTX-산천은 정지 상태에서 300km/h까지 316초 만에 가속할 수 있는데, 이는 KTX-I의 365초보다 빠른 것이다.[19]

4. KTX-산천 110000호대

KTX-산천 110000호대는 2006년 현대로템한국철도공사와 납품 계약을 체결하여 총 24편성이 도입되었다. 2008년 첫 편성이 공개되었고,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2010년 3월 2일부터 KTX-산천이라는 이름으로 상업 운행을 시작하였다.[38]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한국철도공사 소유로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에스알에 임대되어 SRT로 운행 중이다. 정비는 호남철도차량정비단에서 담당한다. 차량 가격은 1편성 당 3350억이다.

시험 차량 HSR-350x의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KTX-II라고도 불렸다. 2008년 11월 25일 첫 양산차가 출고되었고, 2009년 2월 17일 고양차량사업소로 회송되었다. 이후 한국철도공사의 시운전을 거쳐 2009년 10월 13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첫 선을 보였다.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차체는 산천어를 본떠 유선형으로 디자인되었으며(생체모방의 일종), 2010년 2월 명칭 공모를 통해 "KTX-산천"이라는 이름이 확정되었다.

다음은 KTX-산천 110000호대의 주요 도입 일자이다.

날짜내용
2006년 6월 7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10편성 100량을 2.94조에 수주[57]
2008년 1월 10일현대로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9편성 90량 수주[58] (이후 5편성 추가 수주)
2011년 2월 11일KTX-산천 3편성이 광명역에서 탈선 사고를 일으켜 운용 중단.
2012년 9월 5일운용 중단되었던 3편성이 재투입[59]


4. 1. 실내 사양

KTX-산천의 실내 좌석은 일반실과 특실로 구분된다. 일반실 좌석 간 거리는 980mm로, 기존 KTX-I의 930mm보다 50mm 넓어져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KTX-I와 달리 모든 좌석이 회전 가능하도록 변경되어 편리성을 높였다.[33]

특실 좌석에는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최대 리클라이닝 각도는 기존 39도에서 43도로 개선되었다. 창유리는 기존 29mm 3중 유리에서 38mm 4중 유리로 두꺼워져 방음 효과와 안전성이 향상되었다.[35]

객실 내 조명은 간접 조명을 채택하여 개방감을 높였다. 특실 모든 좌석과 일반실 8곳에는 220V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 전자기기 사용이 편리하다.[35]

4호차에는 스낵바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용률 저조로 인해 현재는 일반실(12석)로 개조되었다.[53]

4. 2. 편성

KTX-산천은 양 끝에 동력차 2량과 중간 객차 8량으로 구성된 10량 편성(L-8T-L) 열차이다. 차량 구성은 동력차 - 특실 - 특실 - 특실 - 스낵카·가족실 합조차 - 특실 - 특실 - 특실 - 특실 - 동력차 순이다. 모든 선두차에는 전기공기 일체형 자동 분리 결합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열차를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운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전라선, 경전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고려된 것이다.[53]

4호차에 설치되었던 스낵바는 이용률이 낮아 일반실(12석)로 개조가 진행되었으나, 2017년 국토교통부에서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중단되었다.[53]

KTX-산천의 좌석 수는 410석[65]으로, KTX-I보다 많다. 모든 좌석에는 모바일용 전원 콘센트가 설치되었고, 객실 LED 조명 및 조도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 방음재를 추가하여 객실 소음을 줄이는 등 편의성을 높였다. 좌석 공간은 KTX-I보다 20mm 좁은 960mm이지만, 테이블을 위로 올려 무릎과 의자 사이 거리는 200mm로 KTX-I보다 57mm 넓어졌다.

KTX-산천은 단독창 방식을 채택하여 객실 창문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외부 노출 면적을 줄여 창문 파손을 최소화했다. 또한 2D 곡면 유리를 사용하여 상의 일그러짐을 개선하고 시야를 확보했다.

다음은 KTX-산천의 객차 구성 및 설비에 대한 표이다.

호차(중련시)구분1 (11)2 (12)3 (13)4 (14)5 (15)6 (16)7 (17)8 (18)
동력차일반실일반실특실일반실일반실일반실
(자유석)
동력차
차량 형식11xx51
PC
11xx01
T1
11xx02
T2
11xx03
T3
11xx04
T4
11xx05
T5
11xx06
T6
11xx07
T7
11xx08
T8
11xx52
PC
좌석-43523032
(동반석 4*4 포함)
52485243-
차내 설비-화장실, 보조석보조석,
화장실, 보조석화장실, 승무원, 매점,
동반석
화장실, 보조석화장실, 보조석, 보조석화장실, 보조석-


5. SRT 120000호대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소유 차량으로, 현재 (주)SR에 임대되어 운행 중이다. 2012년 국가철도공단(당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현대로템이 계약하여 22편성이 제작되었다. 객차별 사용 용도는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사용 용도
12XX51PC1 (동력차)
12XX01T1 (일반실·장애인석)
12XX02T2 (일반실)
12XX03T3 (특실)
12XX04T4 (일반실)
12XX05T5 (일반실)
12XX06T6 (일반실)
12XX07T7 (일반실)
12XX08T8 (자유석)
12XX52PC2 (동력차)


5. 1. 성능

KTX-II는 HSR-350x의 국산 기술을 바탕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300km까지 가속하는 데 316초가 걸려 KTX-I의 365초보다 빠르다. (KTX-산천 110000호대는 5분 16초, 즉 316초 소요)[19]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330km이며, 영업 최고 속도는 시속 305km로 KTX-I와 유사하다.[23][19] 시속 300km에서의 제동 거리는 3300m이다.[1]

주행 모터는 HSR-350x와 같이 동기식 모터가 아닌 비동기식 유도전동기를 사용한다.[33] 변환 장치의 전력 전자 장치는 IXYS Corporation이 공급한 IGBT를 사용하여, HSR-350x에서 신뢰성 문제가 있었던 IGCT를 대체했다.[25][26] 각 주행 변환 장치는 정류기 모듈, 2,800V DC 중간 회로, 인버터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27] 대차의 두 차축에 전력을 공급하여 개별 대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27]

5. 2. 특이 사항

KTX-산천은 KTX-I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창문: KTX-산천은 단독창 방식을 채택하고 2D 곡면 유리를 사용했다. 창문 두께는 KTX-I보다 두꺼워져(29mm에서 38mm) 방음 및 가압 성능이 향상되었다.[35]
  • 좌석: 좌석 간 거리는 960mm로, 110000호대보다 20mm 줄었지만, 테이블을 개선하여 여유 공간을 57mm 늘리고 무릎 공간은 200mm 확보했다. 모든 좌석에 모바일 기기 사용을 위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 객실: 객실 조명은 LED를 사용하며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방음재를 보강하여 객실 내부 소음을 줄였다. KTX-I에는 있던 스낵바는 사라졌고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었다. 비즈니스실은 별도로 없으며, 총 좌석 수는 410석이다.
  • 기타: 전두부 기적 커버 모양이 변경되었다.

5. 3. 편성

KTX-산천의 열차 편성은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사용 용도
13XX51PC1 (동력차)
13XX01T1 (일반실·장애인석)
13XX02T2 (일반실(장거리 고객용 객실))
13XX03T3 (특실)
13XX04T4 (일반실(사회적 약자 우선 객실))
13XX05T5 (일반실(유아동반실))
13XX06T6 (일반실)
13XX07T7 (일반실)
13XX08T8 (일반실)
13XX52PC2 (동력차)



KTX-산천은 양쪽 끝에 동력차 두 대와 그 사이에 연결된 8량의 무동력 객차로 구성되어 있다.[19] 3번째 객차는 특실이며, 나머지는 일반실이다.[31] KTX-I와 달리 1등석뿐만 아니라 일반석에도 회전식 좌석이 설치되어 있다.[33] 4번째 객차에는 스낵바와 마주 보는 좌석이 있는 가족 칸이 있다.[31]

6. SRT 130000호대

2014년 (주)SR현대로템SRT 개통을 위한 고속열차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12] 2016년 SRT 개통과 함께 KTX-산천 기반의 SRT 130000호대 고속열차가 도입되었으며, 총 10개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14]

6. 1. 특이 사항

국내 최초로 특실에 항공기형 선반이 적용되었다. 차량번호의 경우, 반입 당시에는 31~40호기로 구분하였으나 현재는 301~310호기로 구분한다.

6. 2. 편성

객차번호사용 용도
13XX51PC1 (동력차)
13XX01T1 (일반실·장애인석)
13XX02T2 (일반실(장거리 고객용 객실))
13XX03T3 (특실)
13XX04T4 (일반실(사회적 약자 우선 객실))
13XX05T5 (일반실(유아동반실))
13XX06T6 (일반실)
13XX07T7 (일반실)
13XX08T8 (일반실)
13XX52PC2 (동력차)


7. KTX_산천 140000호대 (KTX-원강)

2017년 12월 22일 강릉선 개통 및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입된 고속철도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전산에서는 기존 110000호대(KTX-산천)와 구분하기 위해 '''KTX-원강'''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 2014년 3월 19일 한국철도공사와 현대로템이 납품계약을 체결하여 총 15편성 150량이 도입되었으며, 완성된 첫 편성이 2016년 3월 10일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공개되었다. 401호기는 2016년 3월 11일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갑종회송되었고, 2016년 5월 27일부터 402호기를 시작으로 자력회송하였다. 현재 1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이 중 412호기는 11월 4일 강릉선 KTX 시승식에 쓰였다. 차량 가격은 1편성 당 329억이다.[1]

발차표 등에서는 110000호대 열차가 "KTX-산천/KTX-Sancheon"으로 하이픈(-)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KTX_산천/KTX_Sancheon"으로 언더스코어(_)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운전석 시야, 와이퍼, 연결면 등이 개선되었다. 색상은 청색 계열인 점을 제외하고는 SRT용 130000호대와 거의 동일한 디자인 및 사양이다. 제어 장치는 IXYS사 제품에서 현대로템 제품으로 변경되었다. 양산차 시운전 부족으로 초기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56]

현재 강릉선 KTX는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로 통일되었으며,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으로 배치 전환되었다.

 colspan="10" |
호차(중련시)동력1 (11)2 (12)3 (13)4 (14)5 (15)6 (16)7 (17)8 (18)동력
형식14xx51
PC
14xx01
T1
14xx02
T2
14xx03
T3
14xx04
T4
14xx05
T5
14xx06
T6
14xx07
T7
14xx08
T8
14xx52
PC
표기4xxstyle="width:5em;background:#cf9;"|4xx
좌석-일반실일반실특실일반실
일반실일반실
(자유석)
-
차내 설비-화장실, 보조석보조석, --화장실, 보조석화장실, 승무원실화장실, 보조석화장실, 보조석, --보조석화장실, 보조석-
정원-5156335648485660-



'''범례'''


  • 보조석: 보조석(데크에 있는 점프시트)
  • 화장실: 화장실
  • --: 자동판매기
  • : 배리어프리 시설(좌석 및 화장실)
  • 승무원실: 승무원실
  • 동력: 동력차

7. 1. 특이 사항

기존 KTX-산천의 HID 램프는 LED 램프로 교체되었고, 통유리는 120000호대와 같은 개별형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존 산천에 쓰이던 디스크타입 IGBT가 단종되어 모듈형 스텍을 사용하였다. 기존 110000호대 산천과는 다르게 객실 측면에 출입문 표시등이 추가되었다. 2021년 8월 1일 KTX-이음 열차가 운행함에 따라 강릉선 운행에서 철수하였다.[1]

7. 2. 편성

용산역에 대기중인 원강선 KTX-산천 402호기


2017년 12월 22일 강릉선 개통 및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입된 고속철도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전산에서는 기존 110000호대(KTX-산천)와 구분하기 위해 '''KTX-원강'''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2014년 3월 19일 한국철도공사와 현대로템이 납품계약을 체결하여 총 15편성 150량이 도입되었으며, 완성된 첫 편성이 2016년 3월 10일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공개되었다. 401호기는 2016년 3월 11일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갑종회송되었고, 2016년 5월 27일부터 402호기를 시작으로 자력회송하였다. 현재 15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이 중 412호기는 11월 4일 강릉선 KTX 시승식에 쓰였다. 차량 가격은 1편성 당 329억이다. 기존 KTX-산천의 HID 램프에서 LED 램프로 교체되었고, 통유리에서 120000호대의 개별형으로 변경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 산천에 쓰이던 디스크타입 IGBT가 단종되어 모듈형 스텍을 사용하였다. 기존 110000호대 산천과는 다르게 객실 측면에 출입문 표시등이 추가되었다. 2021년 8월 1일 KTX-이음 열차가 운행함에 따라 강릉선 운행에서 철수하였다.

객차번호사용 용도
14XX51PC1(동력차)
14XX01T1(일반실·장애인석)
14XX02T2(일반실)
14XX03T3(특실)
14XX04T4(일반실)
14XX05T5(일반실)
14XX06T6(일반실)
14XX07T7(일반실)
14XX08T8(일반실)
14XX52PC2(동력차)


8. 현황

현재 운행 중인 KTX-산천은 110000호대, 120000호대, 130000호대, 140000호대 등 총 71개 편성 710량이다.


  • 110000호대 (101~124호기):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일부 편성은 특별 동차(103호기, 109호기)로 지정되거나 사고 이력(103호기, 104호기, 113호기, 114호기, 115호기, 123호기)이 있다. 117호기는 가수 임영웅 데뷔 6주년 기념 랩핑(2022년 8월 1일~9월 5일), 118호기는 여수시 랩핑(2022년) 및 전국 체육대회 랩핑(2023년), 119호기는 영화 슈퍼배드4 홍보랩핑 (2024년)이 적용되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101 호기2009년운행 중2009년 1월 19일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회송, 1월 21일 공장 복귀. 2월 17일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도입.
102 호기운행 중2010년 3월 2일 KTX-산천 최초 영업운전.
103 호기운행 중특별 동차. 2011년 2월 11일 일직터널 열차 사고 후 수리 및 일반 객실 환원.
104 호기운행 중2009년 제작/반입. 2023년 천안아산역 사상 사고 차량.
105 호기운행 중2009년 10월 13일 KTX-산천 최초 시승 열차 (서울역-행신역). 2023년 멧돼지 충돌 사고 차량.
106 호기운행 중KTX-산천 개통식 운행 차량.
107 호기2010년운행 중2009년 제작, 2010년 반입.
108 호기운행 중
109 호기운행 중대통령 특별 동차. KTX 36호기 귀빈 객실 이전.
110 호기운행 중
111 호기운행 중
112 호기운행 중
113 호기운행 중2018년 영등포역 고장 이력.
114 호기운행 중고모역 인근 탈선사고 이력.
115 호기운행 중2021년 오송역 고장, 2023년 덕양역 사상 사고 차량.
116 호기운행 중
117 호기운행 중트롯트 가수 임영웅 데뷔 6주년 랩핑(2022년 8월 1일~9월 5일)
118 호기운행 중여수시 랩핑(2022년), 전국 체육대회 랩핑 (2023년)
119 호기운행 중영화 슈퍼배드4 홍보랩핑 (2024년)
120 호기2012년운행 중2012년 1월 30일 최초 상경, KTX-산천 리콜 사태로 2월 10일 공장 복귀. 4월 2일 재반입.
121 호기운행 중2011년 제작, 2012년 반입.
122 호기운행 중2011년 제작, 2012년 반입.
123 호기운행 중2024년 4월 18일 서울역 구내 추돌 사고차량
124 호기운행 중2011년 제작, 2012년 반입.


  • 120000호대 (201~222호기): 2013년부터 2015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일부 편성은 사고 이력(203호기, 206호기)이나 고장 이력(207호기, 209호기, 210호기, 216호기, 218호기)이 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201 호기2013년운행 중유일하게 2013년 반입.
202 호기2014년운행 중2013년 제작, 2014년 반입.
203 호기운행 중대전조차장역 부근 탈선. 수리 완료 후 2022년 12월 28일 운행 재개.
204 호기운행 중
205 호기운행 중
206 호기운행 중2020년 5월 2일 기지 내 시운전 중 차막이 충돌, 수리 후 2022년 1월 2일 복귀.
207 호기운행 중2022년 구미역 고장 이력.
208 호기운행 중
209 호기운행 중2023년 천안아산역 고장 이력.
210 호기운행 중2018년 대전역 고장 이력.
211 호기운행 중
212 호기운행 중
213 호기운행 중
214 호기운행 중
215 호기운행 중
216 호기운행 중2018년 대전역 고장 이력.
217 호기운행 중
218 호기운행 중2018년 오송역 고장 이력.
219 호기2015년운행 중2014년 제작, 2015년 반입.
220 호기운행 중
221 호기운행 중
222 호기운행 중


  • 130000호대 (301~310호기): 2015년부터 2016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304호기는 2015년에 제작되었으나 2016년에 반입되었고, 2018년 구미역에서 고장 이력이 있다. 309호기는 동력차 앞부분이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310호기는 수리 예정이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01 호기2015년운행 중
302 호기운행 중
303 호기운행 중
304 호기2016년운행 중2015년 제작, 2016년 반입. 2018년 구미역 고장 이력.
305 호기운행 중
306 호기운행 중
307 호기운행 중
308 호기운행 중
309 호기운행 중동력차 앞부분 KTX-산천 파란색 변경.
310 호기수리예정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401 호기2016년운행 중2016년 3월 11일 출고,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갑종회송.
402 호기운행 중2016년 5월 27일 출고, 마산역에서 기관차 분리 후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자력 회송.
403 호기운행 중남산IEC 인근 고장 이력.
404 호기운행 중
405 호기운행 중
406 호기운행 중
407 호기운행 중호남철도차량정비단 구내 시운전 출고 중 궤도이탈 이력.
408 호기2018년KTX 강릉선 탈선사고 사고 열차,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회송 후 수리 불가, 2023년 조기 폐차, 2024년 보관.
409 호기2017년운행 중2022년 1월 5일 영동터널 인근 탈선사고 발생, 2022년 7월 22일 운행 재개.[66] 2016년 제작, 2017년 반입.
410 호기운행 중
411 호기운행 중
412 호기운행 중2017년 11월 4일 강릉선(서울역~강릉역) 시승식 열차 투입.
413 호기운행 중
414 호기운행 중
415 호기운행 중



120000호대 열차는 SR에 임대되어 SRT 수서-부산/목포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51]

9. 논란 및 사건 사고

KTX-산천은 2010년 3월 운행 시작 이후 초기 1년 동안 40여 건의 크고 작은 고장이 발생했다.[67] 특히 용산역목포역행 401열차의 잔고장이 잦았다.[68] 한국철도공사현대로템은 초기 안정화 기간 동안 불가피한 문제라고 설명했지만,[69] 현장에서는 KTX-산천 자체 결함 주장이 제기되었다.[70]

2011년 5월 7일, 고양차량사업소에서 KTX-산천 102호기의 모터감속기에 균열이 발견되기도 했다.[73] 2010년 12월까지 KTX-산천 열차는 15번 고장을 일으켰는데, 대부분 신호 장치와 관련이 있었다.[45]

시험 운행 중 120000호대 차량의 변압기가 3차례나 터지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호남고속철도 개통 당일 용산역목포역행 #515 열차(120000호대 열차)가 주행 중 워셔액 주입구가 열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9. 1. 주요 사건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KTX의 길이, 중량, 편의시설은 어떻게 되나요? https://web.archive.[...] Korail 2010-11-07
[2] 간행물 최고시험속도 400km/h 동력분산식 차세대 고속열차 개발(HEMU-400X) https://web.archive.[...] 2009-01-01
[3] 웹사이트 KTX-II https://web.archive.[...] Rotem
[4] 웹사이트 KTX opens for commercial service https://web.archive.[...] Alstom 2004-04-01
[5] 간행물 Launch of Korean High-Speed Railway and Efforts to Innovate Future Korean Railway https://web.archive.[...] 2005-05-01
[6] 잡지 Korea Develops High-Speed Ambitions http://www.nxtbook.c[...] 2008-05-01
[7] 간행물 Trans-Korean Railway http://www.krri.re.k[...] 2005-05-01
[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KRRI
[9] 간행물 Effects of Korean Train Express (KTX) Operation on the National Transport System http://www.easts.inf[...]
[10] 뉴스 Korea to Build Own Bullet Trains http://english.chosu[...] 2005-07-28
[1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Korail 2005-12-03
[12] 간행물 HSR-350x to Launch Service in 2009 https://web.archive.[...] 2006-09-01
[13] 웹사이트 Additional Contract for 90 Cars of High Speed Train KTX-II http://www.hyundai-r[...] Hyundai Rotem 2008-03-01
[14] 잡지 We are making steady efforts to become a global leader https://web.archive.[...] 2008-09-05
[15] 웹사이트 Hyundai Rotem wins orders from KORAIL for commuter EMUs and further KTX-II http://www.hyundai-r[...] Hyundai Rotem 2009-01-01
[16] 웹사이트 Exhibited at Yongsan Station & Seodaejeon Station: KTX-II, A Pride of Korea! http://www.hyundai-r[...] Rotem 2007-07-01
[1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Korail 2008-11-25
[18] 뉴스 Korea consortium in bid for Brazil high-speed train https://web.archive.[...] 2010-03-30
[19] 웹사이트 KTX 개통 5주년 보도자료 https://web.archive.[...] Rail Safety Information System 2009-04-01
[20] 웹사이트 The first front ends of the new Korean High-speed train KTX II have already arrived in Korea. http://www.voith.com[...] Voith Turbo 2008-06-26
[21] 웹사이트 Star of the Observeur 08 https://web.archive.[...] agence pour la promotion de la création industrielle
[22] 뉴스 Korea's 1st Homemade Bullet Train on Track in March http://english.chosu[...] 2010-02-12
[23] 웹사이트 KTX-II https://web.archive.[...] Rotem 2009-01-20
[24] 잡지 First KTX-II unveiled in Korea http://www.railwayga[...] 2008-11-26
[25] 웹사이트 IXYS' High Power IGBTs Achieves Milestone for Performance in Fast Passenger Train... http://www.allbusine[...] AllBusiness.com, Business Wire 2007-08-21
[26] 웹사이트 http://www.kicttep.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CTEP) 2008-11-01
[27] 웹사이트 KTX-II 전기장치 일반 https://web.archive.[...] myktx.kr, Korail
[28] 웹사이트 Pantograph SSS 400+ https://web.archive.[...] Melecs MWW
[29] 웹사이트 High Speed - Faiveley Transport Czech a.s. https://www.ftczech.[...] 2020-08-03
[30] 웹사이트 (경제안테나) '3월 운행' 차세대 KTX-II 타보니 http://news.s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10-02-12
[31] 웹사이트 High Speed Trains https://web.archive.[...] Rotem 2010-10-01
[32] 간행물 http://www.krri.re.k[...] 2009-01-01
[33] 웹사이트 Hyundai Rotem Rolls-out World's 4th High Speed Train https://web.archive.[...] Hyundai Rotem 2008-11-25
[34] 웹사이트 Roll-Out Ceremony for KTX-II Held http://www.krri.re.k[...] KRRI 2008-12-22
[35] 웹사이트 RAIL 로 이 어 지 는 http://webzine.korai[...] Korail 2010-03-01
[36] 간행물 KTX-II ready to enter service http://www.railwayga[...] 2010-02-11
[37] 웹사이트 'KTX-산천'으로 불러주세요. http://info.korail.c[...] Korail 2010-02-26
[38] 웹사이트 'KTX-산천' 오늘(2일) 첫 운행 http://news.korail.c[...] Korail 2009-03-02
[39] 웹사이트 KTX Time Table 2010.11.01 http://info.korail.c[...] Korail
[40] 뉴스 Non-stop Seoul-Busan Bullet Train Service Starts http://english.chosu[...] 2010-12-01
[41] 웹사이트 KTX 운행 조정 알림 http://info.korail.c[...] Korail 2010-11-10
[42] 웹사이트 KTX Time Table 2010.12.01 http://info.korail.c[...] Korail
[43] 웹사이트 경전선 서울~마산간 KTX 예약ㆍ예매 알림 http://info.korail.c[...] Korail 2010-12-06
[44] 웹사이트 KTX Time Table 2010.12.15 http://info.korail.c[...] Korail
[45] 뉴스 KTX-산천 운행 1년간 최소 15건 차량장애 발생 http://news.chosun.c[...] 2010-10-28
[46] 뉴스 Korail under fire for frequent KTX breakdowns https://www.koreatim[...] 2010-10-28
[47] 웹사이트 One loose nut derailed KTX train http://joongangdaily[...] Joongang Ilbo 2011-02-15
[48] 뉴스 고속이었다면 KTX 참사 날 뻔 http://news.chosun.c[...] 2011-02-11
[49] 뉴스 KTX causes safety concern https://www.koreatim[...] 2011-02-14
[50] 뉴스 KTX Derailment Caused by Loose Nut http://english.chosu[...] 2011-02-14
[51] 뉴스 '수서발 KTX' 코레일 계열사로 민영화 종지부 https://newsis.com/v[...] 2013-12-05
[52] 간행물 Korea’s High Speed Rail Expansion Is Powered by IXYS High Power Westcode Team http://www.ixys.com/[...] IXYS 2010-07-20
[53] 웹사이트 KTX特室に続きKTX-山川も行き過ぎた改造…度を越したKORAILの安全不感症(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54]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55] 뉴스 현대로템 원주~강릉 고속열차 수주 http://www.fnnews.co[...] フィナンシャルニュース 2014-03-05
[56] 뉴스 영종대교서 멈췄던 KTX, 나사 풀린 채 2주간 달렸다 http://news.joins.co[...] 2017-04-11
[57]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58]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59] 웹사이트 http://news.korail.c[...]
[6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otem.co.[...] 2010-12-30
[61] 웹사이트 https://www.hyundai-[...]
[62] 뉴스 코레일 'KTX-산천' 운행감축.."정비후 정상운행"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5-12
[6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nfo.korail.c[...] 2016-03-01
[64] 웹사이트 http://www.kr.or.kr/[...]
[65] 기타
[66] 기타
[67] 뉴스 코레일, 잦은 고장 'KTX-산천' 첫 리콜 요청(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5-11
[68] 뉴스 KTX 401열차 왜 유독 고장 잦을까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8-04
[69] 뉴스 KTX산천, 차량안정화까지 2~3년..추가 사고 불가피(?) http://news.etomato.[...] 뉴스 토마토 2011-05-02
[70] 뉴스 사고뭉치 ‘KTX 산천’ 문제 없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3-24
[71] 뉴스 광명역 인근서 KTX 열차 탈선...우회 운행 http://www.ytn.co.kr[...] YTN 2011-02-11
[72] 뉴스 탈선 KTX에 대통령 전용칸 3량 있었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2-14
[73] 뉴스 첫 '리콜' 요청..KTX-산천 열차는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1-05-11
[74] 뉴스 코레일, 고장鐵 KTX-산천 `리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1-05-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