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콰토리아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콰토리아 지방은 현재 남수단의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에콰토리아주, 동 에콰토리아주, 서 에콰토리아주로 나뉜다. 19세기 이집트령으로 시작하여 영국-이집트령 수단, 수단 독립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주민들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 에콰토리아 문화는 내전으로 인해 주변 국가의 영향을 받았으며, 음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인물로는 찰스 고든, 새뮤얼 베이커 등이 있으며, 제1차 수단 내전과 제2차 수단 내전의 역사를 거쳐 2011년 남수단 독립 이후 정치적, 사회적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수단의 지역 - 상나일 지방
상나일 지방은 2011년 남수단 독립 시 함께 분리된 지역으로, 바르 엘 가잘, 에콰토리아와 함께 남수단을 구성하며 에티오피아, 수단과 국경을 접하고 현재 종글레이 주, 유니티 주, 상나일 주, 피보르 행정 구역, 루웽 행정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 남수단의 지역 - 바르알가잘 지방
바르알가잘 지방은 남수단 북서부에 위치하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딩카족, 루워, 파르티트 부족이 주로 거주하며, 역사적으로 다르푸르와 이집트의 지배를 거쳐 내전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는 여러 주로 구성되어 있다. - 에콰토리아 지방 - 예이
남수단 남서부에 위치한 예이는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수단 내전 피난민들의 주요 정착지였으며, 현재는 교육 시설과 은행이 위치하고 커피와 카사바를 생산하는 도시이다. - 에콰토리아 지방 - 카포에타
카포에타는 남수단 싱가이타 강 동쪽에 위치한 읍으로, 2013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로키초기오와 주바를 잇는 주요 도로가 통과하고 카포에타 공항이 있으며, 토포사족이 주로 거주한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에콰토리아 지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모토 | 신은 우리의 힘 |
지역 유형 | 지역 |
국가 | 남수단 |
수도 | 주바 |
행정 구역 | |
군 (카운티) 수 | 알 수 없음 |
지리 | |
면적 | 195,847.67 km² |
좌표 | 북위 4° 52′ 0″ 동경 31° 35′ 0″ |
인구 | |
2014년 추정 | 3,399,40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2008년 국세조사 | 2,628,747명 |
2017년 추정 | 3,771,800명 |
시간대 | |
시간대 | CAT |
UTC 오프셋 | +2 |
기타 정보 | |
우편 코드 유형 | 알 수 없음 |
우편 코드 | 알 수 없음 |
지역 번호 | 211 |
역사 | |
설립 | 1870년 |
이전 명칭 | 적도주 (赤道州) |
이전 적도주 (赤道州) 정보 | |
소속 국가 | 수단 |
폐지 연도 | 1994년 |
폐지 사유 | 재분할 |
분할 | 1976년 |
재설치 | 1991년 |
면적 (1956년) | 198,121 km² |
인구 (1956년) | 903,503명 |
2. 지리
에콰토리아는 남수단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나타낸다. 특히, 백나일강이 이 지역을 흐르는 중요한 지리적 요소 중 하나이다.
2. 1. 행정 구역
에콰토리아 지방은 역사적으로 행정 구역에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남수단을 구성하는 3개의 주로 이루어져 있다. 이 3개 주는 중앙 에콰토리아주, 동 에콰토리아주, 서 에콰토리아주이다.과거 2015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는 잠시 동안 더 세분화된 행정 구역 체계를 따르기도 했으나, 남수단 평화 협정에 따라 현재의 3개 주 체제로 재편되었다. 자세한 행정 구역 변천 과정과 현재 및 과거의 주 목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역사적 행정 구역 변천
19세기 오스만 제국 산하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가 수단 지역을 정복하던 시기(투르키야)에 에콰토리아 지방이 형성되었다. 1874년 찰스 고든이 초대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1878년에는 에민 파샤가 뒤를 이었다. 에민 파샤는 현재의 우간다에 해당하는 부뇨로 지역 정복을 시도하여 서나일 지방과 라도 등을 점령했으나, 마흐디 전쟁의 영향으로 고립되기도 했다. 이 시기 에콰토리아는 이집트의 행정 구역 역할을 했다. 역사적으로 바르 알 가잘은 다른 지역이었으나, 에콰토리아 주 설치 당시 함께 편입되었다가 영국-이집트령 수단 시대인 1948년에 분리되었다. 분리 후 에콰토리아 주의 인구는 1956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약 90만 명이었다.[11]제1차 수단 내전 이후인 1976년, 에콰토리아 주는 동에콰토리아 주와 서에콰토리아 주로 분할되었는데, 이는 제2차 수단 내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91년에는 다시 하나의 에콰토리아 주로 통합되었으나[12], 1994년 수단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26개의 윌라야(주)가 설치되면서 에콰토리아는 다시 3개의 주로 나뉘었다.
주 이름 (1994년 분할) | 비고 |
---|---|
서에콰토리아 주 | |
동에콰토리아 주 | |
바르 엘 자발 주 | 백나일강 상류 지역의 아랍어 명칭에서 유래. 2005년 남수단 자치 정부에 의해 중앙에콰토리아 주로 개명됨. |
2015년 10월,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대통령은 기존의 3개 주를 8개 주로 분할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이후 2017년에는 그부드웨 주에서 탐부라 주가 분리되어 총 9개 주가 되었다. 이 행정 구역 체계는 2020년 2월까지 유지되었다.
2015년 ~ 2020년 사이의 주 | 구 소속 주 (1994년 기준) | 비고 |
---|---|---|
주베크 주 | 중앙에콰토리아 주 | |
테레케카 주 | 중앙에콰토리아 주 | |
예이 리버 주 | 중앙에콰토리아 주 | |
이마통 주 | 동에콰토리아 주 | |
토리트 주 | 동에콰토리아 주 | |
카포에타 주 | 동에콰토리아 주 | 구칭 나몰냑 주 |
아마디 주 | 서에콰토리아 주 | |
그부드웨 주 | 서에콰토리아 주 | 2017년 탐부라 주 분리 |
마리디 주 | 서에콰토리아 주 | |
탐부라 주 | 서에콰토리아 주 (그부드웨 주에서 분리) | 2017년 신설 |
2020년 2월, 남수단 평화 협정에 따라 에콰토리아 지방은 다시 3개의 주, 즉 중앙에콰토리아 주, 동에콰토리아 주, 서에콰토리아 주로 재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2. 현재의 행정 구역
에콰토리아는 다음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에콰토리아주
- 동 에콰토리아주
- 서 에콰토리아주
2015년 10월과 2020년 2월 사이 에콰토리아는 다음의 주로 구성되었다.
3. 주민
에콰토리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농업이나 유목 생활을 하는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여러 카운티에 걸쳐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3. 1. 민족 구성

에콰토리아 지방의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여러 민족에 속하는 농부나 유목민이다. 이들은 부디, 에조, 주바, 카조-케지, 카포에타, 마그위, 마리디, 라냐, 문드리, 테레케카, 툼부라, 토리트, 얌비오, 그리고 예이 등의 카운티에 거주한다.
에콰토리아에는 다양한 언어 민족 집단이 살고 있으며, 주요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아촐리, 아부카야, 바카, 발란다, 바리, 디딩가, 카크와, 켈리코, 쿠쿠, 랑고, 로코야, 나림, 로핏, 루그브와라, 룰루보, 마디, 마카라카(아디오), 모루, 문다리, 문두, 냥과라, 오투호, 파리, 포줄루, 테네트, 토포사, 아잔데.
이들 중 일부 부족들은 서로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바리, 포줄루, 쿠쿠, 카크와, 문다리, 냥과라 부족들은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지만, 억양이나 일부 형용사, 명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켈리코, 모루, 마디 부족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언어적 유사성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4. 언어
에콰토리아 지방에서는 주바 아랍어와 영어가 주요하게 사용된다. 이 외에도 언어학 연구 자료인 ''Ethnologue''에 따르면 다양한 토착 언어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2]
4. 1. 주요 언어
에콰토리아 지방에서는 주바 아랍어와 영어가 주요하게 사용된다. 이 외에도 언어학 연구 자료인 Ethnologue에 따르면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언어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2]에콰토리아 지방의 언어 (Ethnologue 기준)
언어족 | 어군/어족 | 언어 |
---|---|---|
나일어족 | 동부 | 아촐리어 |
랑고어 | ||
로코야어 | ||
로피트어 | ||
오투호어 | ||
토포사어 | ||
수르어족 | 디딩가어 | |
카치포-발레시어 | ||
나림어 | ||
테네트어 | ||
패리어 | ||
서부 | 바리어 | |
발란다 봉고어 | ||
문다리어 | ||
동고토노어 | ||
주르어 | ||
카크와어 | ||
모루-마디어족 | 해당 없음 | 마디어 |
벨리어 | ||
켈리코어 | ||
모루어 | ||
루그바라어 | ||
올루보어 | ||
봉고-바기르미어족 | 해당 없음 | 주르 모도어 |
모다어 | ||
모로코도어 | ||
냐무사-몰로어 | ||
아다마와-우방기어족 (반투어족의 한 갈래) | 해당 없음 | 마카라카어 또는 아디오어 |
잔데어 | ||
아부카야어 | ||
바카어 | ||
보구루어 | ||
응도고어 |
4. 2. 토착 언어
아랍어 (주바 아랍어)와 영어를 제외하고, ''Ethnologue''에 따르면 에콰토리아 지방에서는 다음과 같은 토착 언어들이 사용된다.[2]동부**
- ** 아촐리어
- ** 랑고어
- ** 로코야어
- ** 로피트어
- ** 오투호어
- ** 토포사어
서부**
- 수르어족
- * 디딩가어
- * 카치포-발레시어
- * 나림어
- * 테네트어
- * 패리어
- 모루-마디어족
- * 마디어
- * 벨리어
- * 켈리코어
- * 모루어
- * 루그바라어
- * 올루보어
- 봉고-바기르미어족
- * 주르 모도어
- * 모다어
- * 모로코도어
- * 냐무사-몰로어
- 아다마와-우방기어족 (반투어족의 한 갈래)
- * 마카라카어 또는 아디오어
- * 잔데어
- * 아부카야어
- * 바카어
- * 보구루어
- * 응도고어
5. 문화
오랜 내전을 겪으면서 에콰토리아의 문화는 주변 국가들과 에콰토리아인을 받아들인 여러 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많은 난민이 발생하여 다른 문화권과 교류하게 되었고, 이는 에콰토리아 문화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쳤다.
5. 1. 문화적 특징
오랜 내전의 영향으로 에콰토리아 문화는 주변 국가들과 에콰토리아인을 받아들인 여러 나라의 문화가 혼합되는 양상을 보인다. 많은 에콰토리아인들이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등 인접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유럽 등지로 피난하면서 해당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고 교류했다. 반면, 에콰토리아에 남거나 수단, 이집트 등 북쪽으로 이주한 이들은 아랍 문화에 상당 부분 동화되기도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에콰토리아인들은 망명이나 디아스포라 상황 속에서도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전통적으로 에콰토리아 사회에서는 문화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개인의 기원과 사용하는 방언을 아는 것을 강조한다. 에콰토리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는 주바 아랍어(아라비 주바)와 영어이다. 최근에는 동아프리카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을 위해 링갈라어와 스와힐리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음악은 에콰토리아 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에콰토리아 음악가들은 영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아라비 주바(아랍 크리올어), 자신의 모국어 또는 방언, 혹은 이 언어들을 섞어 음악 활동을 한다.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음악 장르로는 아프로 비트, R&B, 주크 등이 있다. Dynamiq와 같은 음악가는 레게 장르에서 인지도를 얻고 있다.
6. 역사
수단 역사에서 1820년대부터 수단 영토가 정복될 때까지의 시기를 무함마드 알리가 오스만 제국 산하에 있던 시기로 보아 '투르키야'라고 부른다. 1874년 찰스 고든이 에콰토리아의 초대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1878년에는 에민 파샤가 뒤를 이었다. 에민 파샤는 현재의 우간다 지역인 부뇨로 정복을 시도하여 서나일 지방과 라도 등을 점령했으나, 마흐디 전쟁의 영향으로 고립되기도 했다. 이 시기 에콰토리아는 이집트의 출장 기관과 같은 역할을 했다.
역사적으로 다른 지역이었던 바르 알 가잘은 에콰토리아 주 설치 시 포함되었으나, 영국-이집트 공동 통치 시대인 1948년에 분리되었다. 분리 후 에콰토리아 주의 인구는 약 90만 명이었다(1956년 인구 조사[11]).
제1차 수단 내전 이후, 1976년 에콰토리아 주는 동에콰토리아 주와 서에콰토리아 주로 나뉘었으며, 이는 제2차 수단 내전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1991년 과거의 에콰토리아 주가 잠시 부활하여 2명의 지사가 다스렸으나[12], 1994년 수단의 행정 구역이 26개 주로 재편되면서 동에콰토리아 주, 서에콰토리아 주, 그리고 백나일강 상류 지역의 아랍어 명칭을 딴 바르 엘 자발 주로 다시 나뉘었다. 바르 엘 자발 주는 2005년 남수단 자치 정부(현 남수단 정부)에 의해 중앙 에콰토리아 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6. 1. 초기 역사 (19세기)
19세기 이집트는 수단을 통치하며 나일강 유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에콰토리아 지방을 설치했다. 이집트 당국은 영국의 탐험가 새뮤얼 베이커 경을 책임자로 임명하여 1870년부터 에콰토리아 설립 임무를 맡겼다.[1] 그는 백나일강 유역과 곤도코로(바리족 언어로 '파기 어렵다'는 의미의 ''곤두 쿠루'')를 따라 무역 기지를 건설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곤도코로는 하르툼에서 나일강 항해가 불가능해지는 지점 근처에 위치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으며, 현재의 주바 시 인근에 해당한다.그러나 베이커가 추가적인 무역 기지를 건설하고 에콰토리아를 완전히 통제하려는 시도는 현지 부족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당시 에콰토리아 서부를 다스리던 아잔데 왕국의 구부드웨 왕은 외부 세력의 문화와 생활 방식 강요에 반대하며 부족들에게 저항을 독려했다.[2] 이로 인해 이집트 세력은 아잔데, 바리, 로코야족, 오투호, 파리족 등 여러 부족의 완강한 저항에 직면했다.[3]
베이커의 임기가 끝난 후, 영국의 장군 찰스 조지 고든이 1874년 총독으로 부임하여 1876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베이커보다 무역 기지 건설에 있어 더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1876년 하르툼의 이집트 총독과의 의견 충돌로 사임하고 런던으로 돌아갔다.[4]
1878년, 고든의 후임으로 에콰토리아 지방의 수석 의료 책임자였던 메흐메트 에민(통칭 에민 파샤)가 임명되었다.[5] 에민 파샤는 라도(현재 남수단)에 본부를 두었으나, 하르툼 총독부가 에콰토리아 지역 개발에 무관심했기 때문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했다.[6] 에민 파샤는 이후 우간다의 부뇨로 왕국 정복을 시도하여 서나일 지방과 라도 등을 점령하기도 했다.[7]
1881년, 이슬람 종교 지도자 무함마드 아마드가 스스로를 마흐디("구세주")라 칭하며 마흐디 혁명을 일으켰다. 그는 서부 및 중부 수단의 부족들을 규합하여 이집트의 지배에 대항하는 성전을 선포했다.[8] 마흐디 군은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여 1883년경에는 에콰토리아와 외부 세계와의 통신을 차단했다. 고립된 에민 파샤는 부간다를 통해 영국에 지원을 요청하는 데 성공했다.[9]
이에 영국은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를 파견하여 1887년 2월부터 에민 파샤 구출 작전(에민 파샤 구출 원정)을 개시했다. 스탠리의 원정대는 콩고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험난한 지역 중 하나인 이투리 숲을 통과하는 어려운 여정을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원정대원의 3분의 2를 잃었다. 스탠리는 1888년 2월 에민 파샤에게 도달했지만, 이미 마흐디 군이 에콰토리아 대부분을 장악한 상태였고 에민 파샤는 1887년 8월 부하들에 의해 총독직에서 축출된 뒤였다.[10] 스탠리는 그해 말 에민 파샤와 함께 해안으로 탈출했으며, 이때 에콰토리아는 마흐디 세력의 완전한 통제 하에 들어갔다.
1898년, 키치너 경이 이끄는 영국-이집트 연합군이 옴두르만 전투에서 승리하며 마흐디 국가를 멸망시켰다. 이후 수단은 영국과 이집트가 공동으로 통치하는 영국-이집트 수단이 되었고, 에콰토리아 지방은 사실상 영국의 관리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 에콰토리아에는 역사적으로 다른 지역이었던 바르알가잘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영국-이집트령 시대인 1948년에 분리되었다.
6. 2. 영국 통치 시기 (20세기 초)
에콰토리아 지방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영국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지역은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차단된 채 토착적인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그 결과 고립되고 개발이 더딘 상태에 머물렀다. 제한적인 사회 서비스는 주로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제공되었는데, 이들은 학교와 진료소를 설립하여 운영했다. 선교사들이 제공한 교육은 주로 영어와 산술 학습에 초점을 맞추었다.6. 3. 수단 독립과 내전 (20세기 중후반)
1953년 2월, 영국과 이집트는 수단의 자치와 자기 결정권을 인정하는 협정에 도달했고, 1956년 1월 1일 수단은 공식적으로 독립했다. 그러나 독립 이후 수단은 아랍계가 주도하는 하르툼 정부의 통제하에 놓였다. 하르툼 정부는 남부인들에게 완전한 정치 참여를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남부인들은 자유 선거 참여에서 배제되었고 정치 권력에서 소외되면서 불만이 커져갔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남부 에콰토리아인들의 반란으로 이어져 20년 넘게 이어진 제1차 수단 내전(1955–1972)과 이후 제2차 수단 내전(1983–2005)의 계기가 되었다.
에콰토리아인들은 남수단의 자치권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수단 내전의 씨앗은 독립 1년 전인 1955년에 이미 뿌려졌는데, 이는 아랍계가 하르툼의 중앙 정부 권력을 독점하려는 의도가 명백해졌기 때문이다. '에콰토리아 군단'은 영국-이집트 수단 시절 영국 수단 방위군의 최남단 부대에 붙여진 이름이었다.
1955년 8월 18일, 에콰토리아 군단 제2중대는 동에콰토리아의 토리트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토리트 반란을 일으켰다.[3] 이 반란은 곧 주바, 예이, 얌비오, 마리디 등 남부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하르툼 정부는 다른 수단 방위군 부대를 동원해 반란 진압에 나섰고, 진압 과정에서 많은 에콰토리아 군단 병사들은 항복 대신 은신하며 저항을 이어갔다. 이것이 수단 남부에서 벌어진 제1차 수단 내전의 시작이었다. 에콰토리아 군단에서 시작된 이 저항 운동은 이후 아냐냐로 불리게 되었으며, 지도자들은 아랍 지배로부터 벗어나 독립된 남수단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분리주의자들이었다. 아냐냐 운동의 주요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신 부족 | 비고 |
---|---|---|
사투르니노 로후레 신부 | 로투호 | 아냐냐 창시자 중 한 명, 토리트 반란 관련 |
애그리 제이든 | 포줄루 | |
조셉 오두호 | 로투호 | |
마르코 루메 | 쿠쿠 | |
에즈보니 몬디리 | 모루 | |
알비노 톰베 | 로코야 | |
타펭 로동기 | 로투호 | |
라자루 무테크 | 로투호 | |
벤자민 로키 | 포줄루 | |
엘리아 루페 | 카크와 | |
엘리아 쿠제 | 잔데 | |
티몬 보로 | 모루 | |
도미닉 다비 마낭고 | 잔데 | |
앨리슨 모나니 마가야 | 잔데 | |
아이사야 폴 | 잔데 | |
도미닉 카시아노 돔보 | 잔데 |
하르툼 정부는 반군과 지지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1960년대 초, 아냐냐 동조자로 의심되는 민간인들은 코도크 강제 수용소로 보내져 고문과 살해를 당했다.
1969년까지 아냐냐 반군은 이스라엘 등 외국 정부로부터 무기와 물자를 지원받으며 세력을 유지했다. 이스라엘은 아냐냐 신병 훈련과 무기 제공에 관여했으며, 중동, 서유럽, 북미의 남수단 망명자들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50만 명에 달했고, 수십만 명의 남부인들이 고향을 떠나 숲 속에 숨거나 인접 국가의 난민 캠프로 피신했다. 아냐냐는 남부 농촌 지역을 장악했지만, 정부군은 주요 도시를 통제하는 양상이 지속되었다. 아냐냐 반군의 규모는 약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로 추정되었으며, 병력이 분산되어 있어 효율적인 작전 수행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1969년 5월 25일, 자파르 니메이리 대령이 군사 쿠데타를 통해 이브라힘 아브부드 정권을 무너뜨렸다. 1971년, 마디족 출신의 조셉 라구가 하르툼 정부에 맞서는 남부 세력의 지도자로 부상하며 남수단 해방 운동(SSLM)을 창설했다. 분열되어 있던 아냐냐 지도자들은 라구를 중심으로 단결했으며, 망명 중이던 남부 정치인들도 라구를 지지했다. 라구의 지도 아래 SSLM은 남수단 전역에 걸쳐 통치 기반을 구축해 나갔다.
1972년, 니메리 정부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아냐냐와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아냐냐는 협상에서 별도의 남부 정부 수립과 남부를 방어할 독자적인 군대를 요구했다.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의 중재로 양측은 아디스아바바 협정에 합의했다. 이 협정은 에콰토리아, 바르 알 가잘, 상나일의 세 개 주로 구성된 남부 자치 지역 설립을 주요 내용으로 했다. 남부 자치 정부는 국가 대통령이 임명하는 지역 대통령이 이끌며, 국방, 외교, 통화, 재정, 경제 및 사회 계획 등은 중앙 정부의 권한으로 남겨두었다. 아냐냐 병력은 수단 정규군에 편입되어 북부 군대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받았다. 또한, 아랍어가 수단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고, 영어는 남부 지역의 행정 및 학교 교육 언어로 인정되었다. 일부 SSLM 지도자들은 협정 조건에 반대했지만, 조셉 라구는 협정을 승인했고 양측은 휴전에 합의했다. 1972년 3월 27일 서명된 아디스아바바 협정은 1983년까지 약 11년간 수단 내전을 일시적으로 종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제1차 수단 내전 이후인 1976년, 에콰토리아 주는 동에콰토리아 주와 서에콰토리아 주로 분할되었는데, 이는 훗날 제2차 수단 내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6. 4. 남수단 독립 이후 (21세기)
2020년 1월, 민주주의와 자유 행동을 위한 전국 연합(NADAFA)은 남수단 내부의 정치적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 로마에서 열리는 회담에 참여하려 했다.[4] NADAFA는 2018년 살바 키르 대통령의 남수단 정부가 서명한 평화 협정에 참여하지 않은 인민민주운동(PDM)을 포함한 여러 정치 단체들의 연합체이다. 이들은 새로운 국가 정부 구성에서 권력 분담 협정을 모색했으며, 에콰토리아, 상나일, 바르 알 가잘 지역에서 "인민 헌법 회의"를 개최했다.[5] 같은 해 9월, NADAFA의 지도자인 하킴 다리오 박사는 국가 명칭이 "남수단"으로 정해진 것에 우려를 표하며, 국가명을 "에콰토리아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6]2022년 2월 9일, 얌비오의 아잔데 공동체는 아토로바 페니 리키토를 그부두에 왕으로 추대하는 대관식을 거행했다. 이 전통적인 왕실 칭호는 1905년에 사망한 리키토 왕의 증조부인 그부두에 왕 이후 처음으로 복원된 것이다.[7] 그러나 마리디족과 발란다족 등 일부 인접 부족들은 새로운 왕에게 서한을 보내 복원된 왕국의 신민이 되지 않을 것임을 경고했다. 특히 마리디족은 서한에서 특정 민족 중심의 정치적 분열을 거부하며 "우리는 특정 집단의 문화가 아닌 남수단 공화국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8] 이에 대해 왕의 형제인 바다그부 다니엘 림바사는 새로운 왕이 정치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며, 왕위 복원은 "순전히 우리 문화의 증진과 보존, 유산을 위한 것이지 정치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9]
7. 주요 인물
- 새뮤얼 베이커: 에콰토리아 초대 총독 (1870년–1874년)
- 찰스 고든: 에콰토리아 2대 총독 (1874년–1876년)
- 그부드: 즈란데 왕 (1800년대–1905년)
- 아토로바 페니 리키토 그부드: 즈란데 왕 (2022년 2월 9일 ~ 현재)
- 사투르니노 오후레: 제1차 수단 내전에서 처음으로 총을 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조셉 오두호
- 조셉 라구
- 엘리아 쿠제
- 조셉 제임스 툼부라
- 애그리 제이든
- 앨리슨 모나니 마가야
- 피터 시릴로
- 이사 파울
- 올리버 바탈리 알비노
- 샘슨 L. 콰제
- 치리노 히텡 오푸호
- 베아트리스 와니-노아
- 엘리아스 타반: 주교, 수단 복음주의 장로교회 창립자
- 하킴 다리오: 에콰토리아 인민 동맹(EPA) 창립자
참조
[1]
서적
The White Nile
Harper Perennial
2000
[2]
웹사이트
Languages of South Sudan
https://www.ethnolog[...]
[3]
서적
The First Sudanese Civil War: Africans, Arabs, and Israelis in the Southern Sudan, 1955-1972
Palgrave MacMillan
2008
[4]
웹사이트
Holdout opposition coalition seeks to join Rome talks
https://radiotamazuj[...]
2022-05-09
[5]
웹사이트
South Sudan holdout opposition alliance welcomes EU sanctions threat
https://www.sudanspo[...]
2022-05-09
[6]
웹사이트
Equatoria Federal Republic not South Sudan
https://www.sudanspo[...]
2022-05-09
[7]
웹사이트
Azande community installs new King, pledges to preserve culture
https://www.radiotam[...]
2022-05-09
[8]
웹사이트
Other Western Equatoria communities say they cannot be subjects of restored Azande Kingdom
https://radiotamazuj[...]
2022-05-09
[9]
웹사이트
South Sudan kingdom restored after 117 years
https://www.the-star[...]
2022-05-09
[10]
웹사이트
Republic of South Sudan/Stat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017-06-03"
[11]
웹사이트
States of Sudan
http://statoids.com/[...]
Statoids.com
2015-11-28
[12]
웹사이트
States of the Sudan since 1991
http://www.worldstat[...]
worldstatesmen.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