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도르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도르핀은 뇌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로, 통증 완화,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조절, 스트레스 반응, 생식 행동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과 작용 기전을 가진다. 1975년 뇌에서 발견되었으며, α-엔도르핀, β-엔도르핀, γ-엔도르핀의 세 종류가 있다. 엔도르핀은 침술, 러너스 하이, 플라시보 효과, 운동 중독, 섭식 장애, 사회적 유대감 등 여러 현상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피오이드 펩타이드 - 엔케팔린
엔케팔린은 델타-오피오이드 및 뮤-오피오이드 수용체에 작용하는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의 일종으로, 뇌와 부신속질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되며 통증, 스트레스 반응 및 뇌 기능과 관련이 있다. - 뉴로펩타이드 - 오렉신
오렉신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신경 펩타이드로, 각성, 식욕 조절, 에너지 소비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며, 오렉신-A와 오렉신-B 두 종류가 OX1, OX2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면-각성 주기를 안정화하는 데 기여하고, 기능 장애 시 기면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약물 조절을 통해 불면증 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뉴로펩타이드 - 옥시토신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자궁 수축 유도, 유즙 분비 촉진, 사회적 유대감 형성, 불안 감소, 뇌 기능 보호 등 생리적, 정신의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 오피오이드 - 진통제
진통제는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오피오이드, COX-2 억제제 등 종류가 다양하며, 통증 종류와 강도에 따라 적절한 선택과 전문가의 처방이 중요하고, 알코올, 의료용 대마, 침술 등의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 - 오피오이드 - 아편제
아편제는 양귀비에서 추출되는 벤질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계열 약물로, 모르핀과 유사한 약리 작용을 하며 진통 효과가 강력하지만 중독,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약물이다.
엔도르핀 | |
---|---|
기본 정보 | |
종류 | 내인성 아편 유사 펩타이드 |
발견 | 1975년 |
발견자 | 존 휴즈 |
약리학 | |
표적 | 오피오이드 수용체 |
효능 | 진통, 행복감, 스트레스 감소 |
구조 | |
분자식 | C159H251N41O46S |
분자량 | 3465.8 g/mol |
2. 역사
1970년대 여러 연구 그룹에 의해 엔도르핀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1975년 스코틀랜드의 존 휴즈와 한스 코스터리츠는 돼지의 뇌에서 도파민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두 종류의 펩타이드를 분리하였다.[51] 이들은 C-말단의 아미노산이 각각 메티오닌과 류신인 것을 제외하고 아미노산 서열이 같았으며, 각각 Met-엔케팔린, Leu-엔케팔린이라 불렸다. 이들은 뇌에서 진통에 관여하는 아편유사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0][52][53][54] 이후 이와 비슷한 아편유사제들을 엔도르핀이라 부르게 되었다.
2. 1. 발견 과정
1973년, 애버딘 대학교의 존 휴즈와 한스 코스터리츠는 돼지 뇌에서 "엔케팔린"을 분리하여 Met-엔케팔린과 Leu-엔케팔린을 확인했다.[8][9][10][11] 이들은 뇌에서 진통 작용을 하는 아편유사수용체를 발견하고, 내인성 오피오이드 리간드를 찾던 중 엔케팔린을 발견하게 되었다.[11] 같은 시기, 미국의 라비 시만토프와 솔로몬 H. 스나이더는 송아지 뇌에서 모르핀 유사 펩타이드를 분리했다.[13] 1975년, 스코틀랜드의 존 휴즈와 한스 코스터리츠는 돼지 뇌에서 엔케팔린을 발견하였고,[51] 이는 미국 연구진에 의해 확인되어 엔도르핀이라 명명되었다. 로저 질레민 등도 돼지의 시상하부, 뇌하수체 등에서 모르핀 유사 물질을 추출하여 엔도르핀이라고 명명했다. 1976년, 초 하오 리와 데이비드 충은 낙타 뇌하수체에서 α-, β-, γ-엔도르핀의 서열을 확인하고 오피오이드 활성을 확인했다.[16][17] 빌헬름 펠드베르크와 데릭 조지 스미스는 1977년에 β-엔도르핀이 모르핀보다 더 강력한 진통 효과를 가지며, 날록손이라는 오피오이드 길항제에 의해 그 효과가 반전된다는 것을 확인했다.[19]2. 2. 어원
엔도르핀(endorphin)이라는 명칭은 "내인성 모르핀(endogenous morphine)"의 줄임말로, "체내에서 생성되는 모르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54] 'endo(genous) (mo)rphin' (morphin은 모르핀의 옛 철자)의 축약형이다. "내부의"를 의미하는 ἔνδον|éndongrc (ἐνδογενής|endogenesgrc, "내부로부터 발생하는")와 그리스 신화에서 꿈의 신인 모르페우스(Μορφεύς|Morpheúsgrc)에서 유래된 모르핀의 합성어이다.3. 종류
엔도르핀은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의 일종으로, α-엔도르핀, β-엔도르핀, γ-엔도르핀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23] 이들은 모두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이라는 전구 단백질에서 유래하며, N-말단에 Met-엔케팔린 모티프(Tyr-Gly-Gly-Phe-Met)를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12] α-엔도르핀은 가장 짧고, β-엔도르핀은 가장 긴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α-엔도르핀과 γ-엔도르핀은 β-엔도르핀의 단백질 분해 절단으로 생성된다.[24]
α-엔도르핀과 γ-엔도르핀은 주로 전두엽과 중간 뇌하수체에서 발견된다.[25] 이들은 아편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β-엔도르핀과 같은 방식으로 신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연구에서는 α-엔도르핀이 정신 자극제와, γ-엔도르핀이 신경 이완제와 유사한 활성을 보인다고 보고했다.[25]
β-엔도르핀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과 함께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에서 유래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시상하부에서 CRF가 분비되면, 뇌하수체 전엽에서 POMC가 절단되어 ACTH와 β-엔도르핀이 1:1 비율로 방출된다. β-엔도르핀은 오피오이드 μ 수용체에 작용하여 모르핀과 유사한 진통, 진정 작용을 한다. 또한, 중뇌 복측피개야의 μ 수용체에 작용하여 GABA뉴런을 억제하고, 도파민 신경계의 도파민 유리를 촉진시켜 다행감을 유발한다. β-엔도르핀은 가려움을 증강시키기도 한다.[47]
Jaak Panksepp의 연구에 따르면, 엔도르핀은 사회적 안정감과 관련이 있다. 어린 강아지나 기니피그에게 모르핀을 투여하면 어미와 떨어졌을 때 울음소리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고, 날록손을 투여하면 우는 빈도가 증가했다. 병아리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모르핀 유사 펩타이드에는 엔도르핀 외에도 엔케팔린과 다이노르핀이 있다.
3. 1. 각 엔도르핀의 아미노산 서열
4. 생합성 및 조절
엔도르핀은 주로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며,[28][29][30] 세 종류의 엔도르핀 모두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 (POMC)이라는 전구체 단백질로부터 합성된다. POMC는 골지체에서 카르복시펩티데이스 E (CPE)와 결합하여 미성숙 소포로 운반된다.[31][32] 이후 프로펩티드 전환효소 1 (PC1)에 의해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CTH)과 베타-리포트로핀 (β-LPH)으로 분해된다.[31] β-LPH는 펩티드 전환효소 2 (PC2)에 의해 β-엔도르핀과 γ-리포트로핀으로 분해된다.[12] α-엔도르핀과 γ-엔도르핀은 β-엔도르핀의 단백질 분해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24]
노르아드레날린은 염증 조직 내에서 엔도르핀 생성을 증가시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36]
5. 생리적 역할 및 작용 기전
엔도르핀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모두에서 작용하며, 고통 전달, 호흡, 운동,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감정에 관련된 뇌 영역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된다.
엔도르핀은 몇몇 신경섬유의 시냅스전 뉴런에 존재하는 아편유사수용체에 작용하여 도파민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한다.[57] 아편유사수용체는 δ, κ, μ 세 종류로 나뉘며, 수용체 종류에 따라 다른 생리적 기능을 가진다.[58] μ 수용체는 진통 작용을, δ 수용체는 감정적인 행동을 조절한다. μ와 δ 수용체는 각각 Met-엔케팔린과 Leu-엔케팔린에 의해 조절되며, κ 수용체는 다이노르핀에 의해 조절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엔도르핀은 중추신경계 (CNS)와 말초신경계 (PNS) 모두에서 작용한다. 말초신경계에서 β-엔도르핀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주요 엔도르핀으로, 말초 신경의 μ-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 물질 P의 방출을 차단함으로써 통증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 중추신경계에서는 감마-아미노뷰티르산 (GABA)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보상 학습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생산과 방출을 증가시킨다.[27][38]
이 외에도 엔도르핀은 신체의 통증 억제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명상[39]이나 웃음[40]은 엔도르핀 생성을 자극하고 통증 역치를 높일 수 있다. 격렬한 유산소 운동 또한 엔도르핀 생성을 유발하여 "러너스 하이" 현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1][42]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러너스 하이가 엔도르핀보다는 내인성 칸나비노이드의 방출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43]
β-엔도르핀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등과 동일한 전구체인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에서 유래한다. 스트레스 시에 시상하부에서 CRF가 분비되면, 뇌하수체 전엽에서 POMC로부터 ACTH와 β-엔도르핀이 1:1 비율로 방출된다. β-엔도르핀은 오피오이드 μ 수용체에 작용하여 모르핀과 유사한 작용을 하며, 진통, 진정 작용을 하고 다행감을 유발한다.
Jaak Panksepp에 의해 엔도르핀은 사회적 안정감에 관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어린 강아지와 기니피그에게 모르핀을 투여하면 어미에게서 격리되었을 때 울음소리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날록손을 투여하면 우는 빈도가 증가했다. 병아리에서도 모르핀 투여 시 우는 빈도가 감소했으며, 사람 손 안에 있을 때 반응 속도가 빨라졌다.
5. 1. 통증 완화
엔도르핀은 척수로 통증 정보를 전달하는 말단 감각신경에 작용하여 P물질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통증을 완화한다.[50] 감각 전달 일차구심뉴런(primary afferent neuron)은 P물질을 포함하는데, 이는 배근신경절의 고통감각섬유(sensory pain fiber)에 위치한다. 배근에서 P물질이 분비되면 고통감각단위의 반응을 활성화시켜 고통을 느끼게 된다. 엔도르핀의 일종인 Met-엔케팔린은 고통감각섬유의 P물질 분비를 저해한다. 엔도르핀의 이러한 효과는 모르핀 길항물질인 날록손에 의해 저해된다.[50]포유동물의 부신 크롬친화조직(Chromaffin tissue, 크롬친화세포 참고)에는 다량의 엔케팔린 함유 펩타이드가 존재한다. 스트레스로 인해 부신이 자극되면, 크롬친화성 과립에 저장되어 있던 엔케팔린 함유 펩타이드가 카테콜아민과 함께 분비된다. 쥐의 부신의 신경을 제거하면 프로엔케팔린의 분해로 생성된 엔케팔린과 엔케팔린 함유 폴리펩타이드의 양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명을 위협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신 엔케팔린이 고통 완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50]
노르아드레날린은 염증 조직 내에서 엔도르핀 생성을 증가시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36] 전기 침술에 의한 교감 신경계 자극이 이러한 진통 효과의 원인으로 여겨진다.[37]
엔도르핀은 중추신경계 (CNS)와 말초신경계 (PNS) 모두에서 작용할 수 있다. 말초신경계에서 β-엔도르핀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주요 엔도르핀이다. 엔도르핀은 말초 신경의 μ-수용체에 결합하여 통증 신호 전달을 억제하며, 이는 신경전달물질 물질 P의 방출을 차단한다. 중추신경계에서의 작용 기전은 유사하지만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뷰티르산 (GABA)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GABA의 억제는 보상 학습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생산과 방출을 증가시킨다.[27][38]
5. 2.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조절
엔도르핀은 아편유사제의 일종으로,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55] 예를 들어, 돼지꼬리원숭이의 뇌하수체 혈액에는 말초 혈장의 100배에 달하는 농도의 β-엔도르핀이 존재한다. 정맥 주사를 통해 아편유사단백질을 투여하면 프로락틴, 성장호르몬,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분비가 촉진되고, 여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 분비는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는 날록손에 의해 억제된다. 아편유사단백질과 그 길항물질은 분리된 뇌하수체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데, 이는 엔도르핀의 효과가 시상하부를 통해 조절됨을 의미한다. 엔도르핀은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분비를 억제하여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50]5. 3.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혈액과 뇌의 엔도르핀 농도가 높아지고, 동시에 고통을 느끼는 임계점도 상승한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50] 스트레스 상황에서 시상하부에서 CRF가 분비되면, 뇌하수체 전엽에서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으로부터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와 β-엔도르핀이 1:1 비율로 방출된다.β-엔도르핀은 오피오이드 μ 수용체에 작용하여 모르핀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스트레스 등의 침해 자극에 의해 생성되어 진통, 진정 작용을 한다. β-엔도르핀이 중뇌 복측피개야의 μ 수용체에 작용하여 GABA뉴런을 억제함으로써, 중뇌 복측피개야에서 대뇌피질에 투사하는 도파민 신경계(A10 신경계)의 도파민 유리를 촉진시켜 다행감을 유발한다.
β-엔도르핀은 가려움을 증강시킨다.[47] 스트레스 시에 방출되는 CRF가 뇌하수체의 ACTH 생산 세포 등에 작용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엔도프로테아제가 POMC를 분해하여 가려움을 증강시킨다.
5. 4. 생식 행동 조절
Met-엔케팔린 합성 유사체는 성숙한 수컷 쥐의 생식 행동을 저해하며, 이 효과는 날록손에 의해 저해된다.[56] 날록손은 성적으로 미숙한 수컷 쥐의 생식 행동을 유도한다.[56] 이는 엔도르핀이 생식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6]5. 5. 기타
β-엔도르핀은 가려움을 증강시킬 수 있다.[47] 스트레스 시에 방출되는 CRF가 뇌하수체의 ACTH 생산 세포 등에 작용함으로써 활성화되는 엔도프로테아제가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을 분해하여 가려움을 증강시킨다.6. 관련 현상
엔도르핀은 여러 현상과 관련되어 있다.
- 침술 진통: 다이노르핀, 엔케팔린, β-엔도르핀 등의 엔도르핀 분비를 유발하여 진통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59]
- 러너스 하이: 장시간 운동은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여 "러너스 하이" 현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60][41][42] 내인성 칸나비노이드가 원인이라는 가설도 있다.[43] 엔도르핀은 운동이 불안 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기여할 수 있다.[44]
-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엔도르핀 분비와 관련이 있다.[61]
- 운동 중독: 규칙적인 고강도 운동은 뇌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휴식 기간 동안 엔도르핀 생성을 감소시켜 운동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45]
- 섭식 장애: 섭식 장애 연구에서 베타 엔도르핀의 보상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가중독이론이 언급되었다.[62]
- 사회적 유대감: 야크 판크세프의 연구에 따르면, 엔도르핀은 사회적 안정감에 관여한다. 모르핀은 이별의 고통을 완화하고, 날록손은 고통을 증가시킨다. 병아리 실험에서 모르핀은 안정감을 빠르게 느끼게 하고, 날록손은 안정감을 느끼는 시간을 늦췄다.
6. 1. 침술 진통
침술은 특정 부위에 침을 놓는 시술로, 다이노르핀, 엔케팔린, β-엔도르핀 등의 엔도르핀 분비를 유발하여 진통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59]6. 2. 러너스 하이
장거리 달리기와 같은 장시간의 운동은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여 기분 변화를 일으키는 "러너스 하이"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60][41][42] 그러나 여러 연구에서는 러너스 하이가 엔도르핀보다는 내인성 칸나비노이드의 방출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43] 엔도르핀은 운동이 불안 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기여할 수 있다.[44]6. 3.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엔도르핀 분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1]6. 4. 운동 중독
규칙적인 고강도 운동은 뇌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휴식 기간 동안 엔도르핀 생성을 감소시켜, 같은 느낌을 얻기 위해 더 강렬하게 운동하게 만들 수 있다.[45]6. 5. 섭식 장애
섭식 장애 연구에서 베타 엔도르핀의 보상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가중독이론(auto-addictive model)이 언급된 바 있다.[62]6. 6. 사회적 유대감
야크 판크세프(Jaak Panksepp)의 연구에 따르면, 엔도르핀은 사회적 안정감에 관여한다. 어린 강아지와 기니피그에게 모르핀을 투여하면, 어미로부터 격리되었을 때 울음소리가 줄어드는 경향이 보였다. 즉, 이별의 고통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다. 반대로 날록손을 투여하면 우는 빈도가 증가했다.병아리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모르핀을 투여하면 우는 빈도가 감소했다. 또한,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 사람의 손 안에 병아리를 넣으면 30~40초 이내에 눈을 감고, 마치 "모의 둥지" 안에 있는 것처럼 행동했다. 모르핀을 주사하면 이러한 반응이 빨라지고 (약 9~12초), 날록손을 투여하면 반응이 느려졌다 (약 76~124초).
7. 한국 사회와 엔도르핀
명상은 훈련된 사람이 할 경우 엔도르핀 방출을 유발할 수 있다.[39] 웃음 또한 엔도르핀 생성을 자극하고 통증 역치를 높일 수 있다.[40] 격렬한 유산소 운동은 엔도르핀 생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β-엔도르핀 방출은 "러너스 하이" 현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1][42] 엔도르핀은 운동이 불안 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도 기여한다.[44]
참조
[1]
논문
Endogenous morphine: up-to-date review 2011
http://fb.cuni.cz/fi[...]
1515
[2]
웹사이트
μ receptor
http://www.guidetoph[...]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7-12-28
[3]
논문
Endogenous formation of morphine in human cells
2004-09
[4]
논문
Roles of β-Endorphin in Stress, Behavior, Neuroinflammation, and Brain Energy Metabolism
2020-12
[5]
논문
Release of beta endorphin and met-enkephalin during exercise in normal women: response to training
1984-06
[6]
논문
Beta-endorphin response to exercise. An update
1997-07
[7]
웹사이트
Endorphins: What They Are and How to Boost Them
https://my.cleveland[...]
2023-03-25
[8]
웹사이트
Role of endorphins discovered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ystem
2008-10-15
[9]
논문
Identification of two related pentapeptides from the brain with potent opiate agonist activity
1975-12
[10]
서적
The Opiate Receptors
Humana Press
2011
[11]
논문
75 years of opioid research: the exciting but vain quest for the Holy Grail
2006-01
[12]
서적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Sunderland
2018
[13]
논문
Morphine-like peptides in mammalian brain: isolation, structure elucidation, and interactions with the opiate receptor
1976-07
[14]
논문
Effect of the opiate antagonist naloxone on body temperature in rats
1975-09
[15]
서적
Handbook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Elsevier
2013
[16]
논문
Isolation and structure of an untriakontapeptide with opiate activity from camel pituitary glands
1976-04
[17]
논문
60 YEARS OF POMC: Lipotropin and beta-endorphin: a perspective
2016-05
[18]
논문
beta-endorphin is a potent analgesic agent
1976-08
[19]
논문
C-fragment of lipotropin--an endogenous potent analgesic peptide
1977-07
[20]
논문
Endogenous formation of morphine in human cells
2004-09
[21]
논문
De novo biosynthesis of morphine in animal cells: an evidence-based model
2006-10
[22]
논문
Opioid Receptors
2016-01-14
[23]
논문
Opioid glycopeptide analgesics derived from endogenous enkephalins and endorphins
2012-02
[24]
논문
Action of proteolytic enzymes on lipotropins and endorphins: biosynthesis, biotransformation and fate
1984-01
[25]
서적
Endorphins and schizophrenia
1992
[26]
논문
Isolation, primary structure, and synthesis of alpha-endorphin and gamma-endorphin, two peptides of hypothalamic-hypophysial origin with morphinomimetic activity
1976-11
[27]
서적
StatPearl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19-02-20
[28]
논문
Action of proteolytic enzymes on lipotropins and endorphins: biosynthesis, biotransformation and fate
1984-01
[29]
논문
Subcellular pathways of beta-endorphin synthesis, processing, and release from immunocytes in inflammatory pain
2004-03
[30]
논문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of proopiomelanocortin in vertebrates and their biological significance
2013-10
[31]
논문
Subcellular pathways of beta-endorphin synthesis, processing, and release from immunocytes in inflammatory pain
2004-03
[32]
논문
Secretory granule biogenesis and neuropeptide sorting to the regulated secretory pathway in neuroendocrine cells
2004
[33]
논문
Endorphins: new gut peptides with a familiar face
1979-11
[34]
논문
Biosynthesis of beta-endorphin from beta-lipotropin and a larger molecular weight precursor in rat pars intermedia
1978-10
[35]
논문
Opioid peptides endorphins in pituitary and brain
1976-09
[36]
논문
Sympathetic activation triggers endogenous opioid release and analgesia within peripheral inflamed tissue
2004-07
[37]
웹사이트
Electroacupuncture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38]
논문
Understanding endorphins and their importance in pain management
2010-03
[39]
논문
Happiness & Health: The Biological Factors- Systematic Review Article
2014-11
[40]
논문
Social laughter is correlated with an elevated pain threshold
2012-03
[41]
논문
The runner's high: opioidergic mechanisms in the human brain
2008-11
[42]
뉴스
Yes, Running Can Make You High
https://www.nytimes.[...]
2008-03-27
[43]
뉴스
Getting to the Bottom of the Runner's High
https://www.nytimes.[...]
2021-03-10
[44]
논문
Effects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on anxiety
2013-04-23
[45]
논문
Clarifying exercise addiction: differential diagnosis, co-occurring disorders, and phases of addiction
2011-10
[46]
문서
モルヒネは[[ペプチド]]ではなく、動物内では分泌されず、いくつかの植物によってのみ生産される物質である。
[47]
웹사이트
【環境医学研究所】なぜ、かゆい?|かゆみと真剣勝負、かゆみの克服を目指して 順天堂大学大学院医学研究科
https://www.juntendo[...]
2023-08-10
[48]
문서
"Oswald Steward: ''Functional neuroscience'' (2000), page 116. Preview at: [http://books.google.com/books?id=nNH3p29wjK4C&pg=PA116&dq=endorphins+neurotransmitter&hl=en&ei=IwwlTKfzHMr-_Aa-w6zGBA&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10&ved=0CFMQ6AEwCTgK#v=onepage&q=endorphins%20neurotransmitter&f=false Google books.]"
[49]
서적
The control of pain in peripheral tissue by opioids
http://www.nejm.org/[...]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1-05-11
[50]
서적
Endocrinology 5th ed
Prentice-Hall, Inc.
[51]
저널
Identification of two related pentapeptides from the brain with potent opiate agonist activity
[52]
저널
Effect of the opiate antagonist naloxone on body temperature in rats
null
[53]
저널
Endogenous opioid peptides: multiple agonists and receptors
null
[54]
저널
Brain peptides as neurotransmitters
null
[55]
저널
Effects of opioids on the hypothalamo-pituitary-adrenal axis
null
[56]
저널
Induction of copulatory behavior in sexually inactiv rats by naloxone
null
[57]
저널
Histochemistry of transmitter interactions-neural coupling and coexistence of transmitters
null
[58]
저널
Cloning of a delta opioid receptor by functional expression
null
[59]
저널
Acupuncture Analgesia: I. The Scientific Basis
http://www.anesthesi[...]
[60]
저널
Expand+The Runner's High: Opioidergic Mechanisms in the Human Brain
http://cercor.oxford[...]
[61]
서적
Clinical Medicine
Elsevier
[62]
문서
An auto‐addiction opioid model of chronic anorexia nervosa
https://doi.org/10.1[...]
198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