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셀라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셀라두스는 1789년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토성의 위성이다. 발견 당시에는 어두운 겉보기 등급과 토성 및 고리에 인접한 위치로 인해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려웠다. 엔켈라두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거인 엔켈라두스에서 유래했다. 2005년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남극 지역에서 물이 분출되는 간헐천이 발견되었고, 표면 아래에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엔셀라두스는 활발한 지질 활동을 보이며, 특히 남극 지역의 호랑이 줄무늬로 불리는 균열에서 얼음과 수증기가 분출된다. 이러한 특징은 엔셀라두스가 우주 생명체의 잠재적 서식지로서 중요성을 갖게 하며, 2023년에는 생명체에 필수적인 인산염과 시안화수소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발견한 천체 - 미마스 (위성)
1789년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토성의 위성 미마스는 표면의 1/3을 차지하는 거대한 허셜 크레이터와 표면 아래 내부 해양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는 특징을 가지며 토성의 고리 구조와 궤도 공명 관계를 맺고 있다. - 1789년 발견한 천체 - NGC 4993
NGC 4993은 항성 껍질과 먼지 띠를 가진 은하로, 중성자별 병합으로 인한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관측하여 킬로노바의 발생 위치를 특정하는 데 성공했다. - 토성의 위성 - 에피메테우스 (위성)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비슷한 궤도를 공유하며 4년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토성의 위성으로, 불규칙한 모양에 낮은 밀도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토성의 A 고리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 토성의 위성 - 이아페투스 (위성)
1671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는 뚜렷한 명암 대비 표면, 적도 산맥, 특이한 궤도 경사각이 특징이며,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이름에서 유래했고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엔셀라두스 | |
---|---|
명칭 | |
한국어 | 엔셀라두스 |
로마자 표기 | Enselladeuseu |
영어 | Enceladus |
별칭 | 토성 II |
형용사 | 엔셀라데안 |
어원 | Ἐγκέλαδος Egkelados |
탐사 및 발견 | |
발견자 | 윌리엄 허셜 |
발견일 | 1789년 8월 28일 |
궤도 정보 | |
모행성 | 토성 |
궤도 장반경 | 237,948 km |
궤도 이심률 | 0.0047 |
공전 주기 | 1.370218일 |
궤도 경사 | 0.009° (토성의 적도 기준) |
동기 자전 여부 | 동기 자전 |
물리적 특징 | |
크기 | 513.2 × 502.8 × 496.6 km |
평균 반지름 | 252.1 ± 0.2 km (지구의 0.0395배, 달의 0.1451배) |
질량 | (1.080318 ± 0.00028)×1020 kg (지구의 1.8×10-5배) |
평균 밀도 | 1.6097 ± 0.0038 g/cm3 |
표면 중력 | 0.113 m/s2 (0.0116 g) |
관성 모멘트 계수 | 0.3305 ± 0.0025 |
탈출 속도 | 0.108 km/s (860.4 km/h) |
자전축 기울기 | 0 |
기하학적 알베도 (550 nm) | 1.375 ± 0.008 |
본드 알베도 | 0.81 ± 0.04 |
겉보기 등급 | 11.7 |
표면 온도 | |
최소 온도 (켈빈) | 32.9 K |
평균 온도 (켈빈) | 75 K |
최대 온도 (켈빈) | 145 K |
최소 온도 (섭씨) | -240 °C |
평균 온도 (섭씨) | -198 °C |
최대 온도 (섭씨) | -128 °C |
대기 | |
대기압 | 미량, 공간적 변화 큼 |
대기 성분 | 수증기 91% 질소 4% 이산화탄소 3.2% 메탄 1.7% |
시각 자료 | |
![]() | |
![]() |
2. 발견과 작명
엔셀라두스는 1789년 8월 28일 윌리엄 허셜이 발견했다.[287] 보이저 2호에 의해 촬영되기 전까지 자세한 성질은 알 수 없었고, 질량, 밀도, 알베도는 추정치에 불과했고, 궤도 특성만 알려져 있었다.
엔셀라두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거인 '엔켈라두스'에서 유래했다.[289] 이 이름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 존 허셜이 1847년에 제안했다. 엔셀라두스 지형 명칭은 국제천문연맹이 천일야화의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 번역판에 등장하는 인물과 지명을 따서 명명했다.[245]
2. 1. 발견

엔셀라두스는 1789년 8월 28일에 윌리엄 허셜이 발견했으며,[287] 겉보기 등급이 11.7로 어두운 편에 속하고 훨씬 밝은 토성의 고리의 빛에 가려져 지구에서는 웬만한 망원경으로는 관측이 힘들었다.[288] 대부분의 토성의 위성들은 우주 개발 시대가 오기 전에 발견됐는데, 그중에서 엔셀라두스는 토성의 춘분기에 발견된 첫 번째 위성이었다. 그 시기에는 토성의 고리가 보이지 않아 토성의 고리에 의해 위성들이 가려지지 않아 관측하기가 훨씬 쉬웠기 때문이다. 이후 보이저 임무가 실행되면서 보이저 탐사선이 엔셀라두스를 방문했고, 그 전에는 오직 궤도의 특성과 질량, 밀도, 알베도만 알고 있었기에 보이저 호의 방문의 의미가 더욱 부각되었다.

엔셀라두스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인 '엔켈라두스' 혹은 '엔켈라도스'에서 따왔다.[289] 엔셀라두스라는 이름은 최초 발견자인 윌리엄 허셜의 아들인 존 허셜이 1847년에 지었으며, 이유는 토성의 영문명인 (Saturn)이 로마 신화의 사투르누스에서 따온 이름이고 사투르누스는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와 동일시되었으며 크로노스는 티탄족의 지도자였기 때문이다. 엔셀라두스는 그 거인족들 중 한 명이었다.
2. 2. 작명
엔셀라두스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인 '엔켈라두스' 혹은 '엔켈라도스'에서 따왔다.[289] 이 이름은 최초 발견자인 윌리엄 허셜의 아들인 존 허셜이 1847년에 지었으며, 그 이유는 토성의 영문명인 (Saturn)이 로마 신화의 사투르누스에서 따온 이름이고 사투르누스는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와 동일시되었으며 크로노스는 티탄족의 지도자였기 때문이다. 엔셀라두스는 그 거인족들 중 한 명이었다.
존 허셜은 1847년 출판한 저서 ''희망봉에서 행한 천문 관측 결과(Resul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made at the Cape of Good Hope)''에서 엔셀라두스를 포함한 7개 토성 위성의 이름을 제안했다.[30][244]
엔셀라두스의 지질학적 특징들은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의 1885년 ''천일야화'' 번역본에 나오는 등장인물과 장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31][245] 충돌구는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고, 지구조곡(길고 좁은 함몰), 등성이(능선), 평원, 고랑(길고 평행한 홈), 절벽과 같은 다른 지형 유형은 장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IAU는 엔셀라두스의 지형 85개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지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사마리아 폭포(Samaria Rupes)로, 이전에는 사마리아 지구조곡(Samaria Fossa)이라고 불렸다.[32][33]
3. 탐사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는 1980년대에 엔셀라두스에 접근하여 표면 사진을 촬영했다.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번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표면을 탐사하여 남극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현상과 간헐천을 발견했다.
엔셀라두스는 목성의 이오, 해왕성의 트리톤에 이어 내부 물질 분출이 관측된 세 번째 위성이며, 지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확인되어 우주생물학 연구에 중요한 천체가 되었다.[295]
카시니호의 발견은 이후 여러 탐사 계획에 영향을 주었다. 주요 탐사 계획은 다음과 같다.
3. 1. 보이저 계획
두 대의 보이저 우주선이 엔셀라두스의 첫 근접 사진을 촬영했다. 보이저 1호는 1980년 11월 12일 202000km 거리에서 엔셀라두스를 처음으로 지나쳤다.[161] 이 거리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공간 해상도가 매우 낮았지만, 충돌구가 없는 매우 반사율이 높은 표면을 드러내어 젊은 표면임을 나타냈다.[162] 보이저 1호는 또한 엔셀라두스가 토성의 확산된 E 고리의 가장 밀도가 높은 부분에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했다. 표면의 젊은 외관과 결합하여, 보이저 과학자들은 E 고리가 엔셀라두스 표면에서 분출된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다.[162] 2017년, 탐사선의 출발 이미지를 재처리한 결과 엔셀라두스의 간헐천의 가능한 사전 발견 이미지가 드러났다.[163]
보이저 2호는 1981년 8월 26일에 엔셀라두스에 더 가까이 접근(87010km)하여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161] 이 이미지들은 젊은 표면을 보여주었다.[164] 또한 매우 다른 표면 나이를 가진 서로 다른 지역, 즉 중위도에서 고위도의 북반구 지역은 크레이터가 많고 적도에 가까운 지역은 크레이터가 적은 표면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지질학적 다양성은 엔셀라두스보다 약간 작은 토성의 또 다른 위성인 미마스의 오래되고 크레이터가 많은 표면과 대조적이다. 지질학적으로 젊은 지형은 과학계에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는데, 당시에는 그렇게 작은(그리고 목성의 매우 활동적인 위성인 이오에 비해 차가운) 천체가 그러한 활동의 흔적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이론이 없었기 때문이다.
3. 2. 카시니-하위헌스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번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표면을 탐사했다. 탐사선은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방에서 물이 주성분인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발견했고,[290] 남극 근처의 활화산에서는 수증기, 나트륨 화합물, 얼음 결정이 포함된 고체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내뿜는 간헐천도 발견했다. 이 간헐천에서는 초당 200kg의 물질이 분사되었고,[291] 이와 비슷한 간헐천이 1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92] 이 중 일부 수증기는 눈처럼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토성의 E 고리에 얼음 결정을 공급했다.[293] 나사는 엔셀라두스의 물기둥이 혜성과 화학적 조성이 비슷하다고 밝혔고, 2014년에는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 표면 아래에 수심 10km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포착했다.[294]간헐천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내부열이 새어 나오고 있으며 남극 지방에 충돌구가 적은 것으로 보아 현재까지도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이 증명되었다. 엔셀라두스는 디오네와의 궤도 공명으로 궤도가 틀어져 조석열이 발생했고, 이는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활동하는 증거이다.
엔셀라두스는 목성의 이오, 해왕성의 트리톤에 이어 내부 물질 분출이 관측된 세 번째 위성이다. 엔셀라두스 지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우주생물학 연구에 중요한 천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295]
2015년 3월 12일, 미국과 일본 등의 공동 연구진은 엔셀라두스에서 뜨거운 온천이 발견됐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위성에서 발견된 이산화규소 입자는 섭씨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서 만들어지는 입자이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이 위성에 열이 존재하고, 얼음층 아래에 해저 온천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96]

카시니호는 2008년 3월에 표면 48km 이내까지 접근하는 등, 비행 계획을 조정하여 엔셀라두스에 더 가까이 근접 비행했다.[165] 2008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엔셀라두스에 7번 근접 비행했으며, 2008년 후반에는 50km 거리에서 두 번 통과했다.[166] 2015년 10월 28일에는 49km까지 접근하여 플룸을 통과했다.[167] 분자 수소(Molecular hydrogen|분자 수소영어) 확인은 엔셀라두스 해저의 열수 활동 증거이며, 이는 엔셀라두스의 거주 가능성을 높인다.[107]
카시니호는 엔셀라두스에 에너지원, 영양분, 유기 분자가 있는 바다가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여 지구 외 생명체의 잠재적 거주 가능 환경 연구에 가장 좋은 장소 중 하나가 되었다.[178][168][169]
2023년 12월 14일, 천문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플룸에서 시안화수소와 다른 유기 분자들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일부 유기 분자는 추가 확인과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러한 [새롭게 발견된] 화합물은 현재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지원하거나 복잡한 유기 합성을 유발하여 생명의 기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154][155]
3. 3. 향후 탐사 계획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에서 거둔 발견은 후속 탐사 계획에 대한 연구를 촉진했다. 이러한 탐사 계획에는 플룸(간헐천) 성분을 현장에서 분석하기 위한 탐사선 근접 통과(Journey to Enceladus and Titan (JET), 엔셀라두스와 타이탄 여정) 계획,[170][171] 지하 바다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독일항공우주센터(DLR)의 착륙선(Enceladus Explorer),[172][173][174] 우주생물학 중심의 임무 개념(Enceladus Life Finder[175][176]와 Life Investigation For Enceladus (LIFE))[177][178][179][180] 등이 있다.유럽우주국(ESA)은 2008년에 타이탄 연구와 함께 엔셀라두스 탐사 임무를 위한 탐사선 발사 개념을 평가했다. 이는 타이탄-토성계 임무(TSSM)였다.[181] TSSM은 토성의 위성 탐사를 목표로, 특히 엔셀라두스에 초점을 맞춘 NASA/ESA의 공동 주력급 제안이었으며, 자금 확보를 위해 유로파-목성계 임무(EJSM) 제안과 경쟁했다. 2009년 2월, NASA/ESA는 TSSM보다 EJSM 임무에 우선순위를 부여했지만,[182] TSSM은 계속 연구 및 평가될 예정이었다.
2017년 11월, 러시아의 억만장자 유리 밀너는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발사될 수 있는 저비용의 민간 자금 지원 엔셀라두스 임무"에 자금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183][184] 2018년 9월, NASA와 밀너가 설립한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는 이 임무의 초기 개념 단계에 대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185] 이 우주선은 저비용, 저질량이며, 저렴한 로켓으로 고속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이 우주선은 엔셀라두스의 플룸을 한 번 통과하여 생체 신호(biosignature)를 포함한 성분을 채취하고 분석하도록 설계될 것이다.[186][187] NASA는 2019년 3월부터 12월까지 여러 차례 검토를 통해 과학적 및 기술적 전문 지식을 제공했다.[188]
2022년, 미국 국립과학원의 행성 과학 10년 조사는 NASA가 새로운 화성 표본 반환 임무와 천왕성 궤도선 및 탐사선 개념과 함께, 최신 탐사선 개념인 엔셀라두스 궤도 착륙선(Enceladus Orbilander)을 주력급 임무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권고했다. 엔셀라두스 궤도 착륙선은 비슷하게 저렴한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지만, 약 50억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며, 엔셀라두스의 플룸을 18개월 동안 궤도에서 조사한 후 착륙하여 지상 우주생물학 연구를 2년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189]
다음은 엔셀라두스 탐사 계획들을 정리한 표이다.
4. 궤도와 자전
엔셀라두스는 토성의 위성 중 하나로, 안쪽 궤도를 돌고 있으며 거리순으로 14번째 위성이다. 궤도는 토성의 E 고리에 위치한다. 미마스와 테티스 궤도 사이에 있으며, 토성 중심에서 238000km, 대기 상층부에서 180000km 떨어져 있다. 32.9h마다 토성을 공전하며, 디오네와 2:1 궤도 공명을 한다. 이 궤도 공명은 엔셀라두스의 궤도 이심률을 발생시키는 외부 요인 중 하나이며, 조석력을 발생시켜 내부 열을 발생시킨다. 이는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활동 중이라는 증거이다.[297]
대부분의 가스 행성 위성들처럼 엔셀라두스는 토성에 조석 고정되어,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아 항상 한쪽 면만 토성을 향한다. 달과 달리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칭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엔셀라두스에서 분출되는 물질은 토성의 고리 중 가장 넓고 바깥쪽인 E 고리의 주된 공급원이다. E 고리는 먼지와 미세한 얼음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마스와 테티스 궤도 사이에 있는데, 이는 엔셀라두스의 궤도와 일치한다.
수학적 계산에 따르면 토성의 E 고리는 불안정하여 1만 년에서 1백만 년 안에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 고리가 존재하려면 입자들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엔셀라두스는 E 고리 내부의 밀도가 높은 부분에 위치하며, 1980년대부터의 관측과 2005년 카시니 탐사선의 접근을 통해 E 고리의 물질 공급원으로 확인되었다.[298]
5. 물리적 특성
엔셀라두스는 상대적으로 작은 위성이며, 암석과 얼음이 주성분이다.[299] 카시니 탐사선에 의하면 엔셀라두스는 구형이 아닌 타원체로, 지름은 500 km 내외이다. 이는 지구의 위성인 달의 7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수치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6번째로 크기와 질량이 크다.[300]
2005년 3월경, NASA/ESA의 무인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엔셀라두스에서 매우 미량의 대기를 발견했다. 대기 성분은 수증기로 추정된다. 화산이나 간헐천 등의 안정적인 대기 공급원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엔셀라두스는 중력이 작아 대기는 곧 우주로 사라진다. 엔셀라두스에서 분출되는 물질은 혜성의 구성과 유사하며,[249] E 고리의 근원이 되고 있다.
초기 보이저 계획 임무를 통해 얻은 질량 추정치는 엔셀라두스가 거의 전적으로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164] 그러나 카시니호가 엔셀라두스의 중력 영향을 관측한 결과, 질량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크고 밀도는 1.61 g/cm3로 나타났다.[204] 이는 토성의 다른 중간 크기 얼음 위성보다 높아, 엔셀라두스가 더 높은 비율의 규산염과 철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엔셀라두스의 비교적 높은 암석-질량 비율을 고려할 때, 26Al과 60Fe의 증가는 얼음 맨틀과 암석핵을 가진 분화된 천체를 만들었을 것이다.[80][82] 그 후 방사성 가열과 조석 가열은 핵의 온도를 1,000K까지 높여 내부 맨틀을 녹이기에 충분했다. 엔셀라두스가 여전히 활동적이려면 핵의 일부도 녹아서 마그마 방을 형성했을 것이고, 이는 토성의 조석력에 의해 휘어졌을 것이다.
5. 1. 크기와 모양
엔셀라두스는 암석과 얼음이 주성분인 상대적으로 작은 위성이다.[299] 카시니 탐사선에 의하면 엔셀라두스는 구형이 아닌 타원체로, 지름은 500 km 내외이다. 이는 지구의 위성인 달의 7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수치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6번째로 크기와 질량이 크다. 크기와 질량은 타이탄 (5,150 km), 레아 (1,530 km), 이아페투스 (1,440 km), 테티스 (1,050 km) 순이다.[300]
엔셀라두스는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작은 위성이다.[34] 모양은 불규칙한 타원체이며, 카시니호의 영상과학시스템(ISS)이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계산된 지름은 토성을 향한 극과 반대편 극 사이가 513km, 앞쪽 반구와 뒤쪽 반구 사이가 503km, 북극과 남극 사이가 497km이다.[204]
엔셀라두스의 지름은 지구의 달의 7분의 1에 불과하다. 질량과 크기 모두 토성의 위성 중 여섯 번째로 크며, 티탄(5150km), 리아(1530km), 이아페투스(1440km), 디오네(1120km), 테티스(1050km) 다음이다.[35][36]
5. 2. 대기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에 처음 접근했을 때 분석한 대기는 대부분 활화산 활동으로 인한 화산재나 간헐천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질이었다.[17] 대기 조성은 수증기 91%, 질소 4%, 이산화탄소 3.2%, 메탄 1.7%이다.엔셀라두스의 간헐천은 혜성과 성분이 유사하며, 토성의 E 고리 물질의 근원으로 밝혀졌다.[17] E 고리는 희미한 포이베 고리를 제외하고 토성의 가장 넓고 바깥쪽에 있는 고리이다. 미마스와 타이탄 궤도 사이에 분포하며, 미세한 얼음이나 먼지 입자로 구성된 매우 넓지만 희박한 원반 형태이다.[40]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E 고리는 불안정하며 수명이 1만 년에서 100만 년 사이이므로, E 고리를 구성하는 입자는 끊임없이 보충되어야 한다.[41] 엔셀라두스는 고리 내부의 가장 좁고 밀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공전하고 있다. 1980년대 일부 천문학자들은 엔셀라두스가 고리의 주요 입자 공급원이라고 의심했으며,[42][43][44][45] 이 가설은 2005년 카시니호의 처음 두 차례 근접 비행을 통해 확인되었다.[46][47]
우주먼지 분석기(CDA)는 "엔셀라두스 근처에서 입자 수의 큰 증가를 감지하여" E 고리의 주요 근원임을 확인했다.[46] CDA와 INMS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카시니호가 7월 조우 당시 통과한 가스 구름과 자력계와 UVIS로 원거리에서 관측한 것은 사실 남극 근처의 분출구에서 기원한 물이 풍부한 빙하성 간헐천이었다.[48]
2005년 11월, 카시니호가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역에서 솟아오르는 간헐천과 같은 얼음 입자의 분출류를 촬영하면서 분출이 시각적으로 확인되었다.[204][18] 비록 플룸이 2005년 1월과 2월에 이미 촬영되었지만, 태양이 엔셀라두스의 거의 뒤편에 있는 고위상각에서 카메라의 반응에 대한 추가 연구와 다른 토성 위성에 대해 촬영된 동등한 고위상각 이미지와의 비교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확실하지 않았다.[49]
5. 3. 내부 구조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를 방문하기 전까지는 내부 구조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카시니 탐사선의 지속적인 접근 통과를 통해 질량과 형태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301] 보이저 탐사선은 엔셀라두스가 대부분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추측했지만,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의 밀도는 1.61g/cm3로, 비슷한 크기의 얼음 위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엔셀라두스 내부에 규산염과 철이 포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이아페투스와 다른 토성의 얼음 위성들은 토성 주변의 행성계 원반에서 비교적 빠르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방사성 핵종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었다.[261][262] 알루미늄-26이나 철-60과 같은 방사성 핵종들은 반감기가 짧아 빠르게 붕괴되어 위성 내부에서 비교적 빠르게 열을 발생시켰을 것이다. 엔셀라두스의 암석 비율은 비교적 높지만 크기가 작기 때문에 냉각은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수명이 짧은 핵종이 없다면, 장수명의 방사성 핵종이 열원으로 존재하더라도 내부가 빠르게 고화되는 것을 막을 수 없었을 것이다.[263]
엔셀라두스의 암석 비율이 비교적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명이 짧은 방사성 핵종에 의한 가열은 얼음 맨틀과 암석 핵으로 분화되도록 했을 것이다.[262][264] 이후 방사성 물질의 붕괴와 조석 가열에 의해 핵의 온도는 1,000K까지 상승하여 내부 맨틀을 용융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엔셀라두스가 현재도 지질학적으로 활발하려면 핵의 일부도 용융되어 마그마 풀을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디오네와의 공명이나 칭동에 의한 조석 가열은 핵의 고온 영역을 유지하여 현재의 지질학적 활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65]
엔셀라두스의 형태가 미분화된 내부와 일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지만,[233] 현재 형태는 엔셀라두스가 정수압 평형 상태에 있지 않고, 과거에 더 빠르게 회전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64] 카시니 탐사선의 중력장 관측 결과는 핵의 밀도가 낮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핵이 암석 성분 외에 물도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265]

5. 3. 1. 지하 바다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번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표면을 탐사했는데,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방에서 물이 주성분인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290] 남극 근처의 활화산에서는 수증기와 나트륨 화합물, 얼음 결정을 포함한 고체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내뿜는 간헐천도 발견되었다. 이 간헐천에서는 초당 200kg의 물질이 분사되고 있었으며,[291] 비슷한 부류의 간헐천이 1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92] 그중 몇몇 수증기들은 "눈" 상태로 우주 공간으로 사출되어 토성의 E 고리에 얼음 결정을 공급하고 있었다.[293] 또한 NASA는 엔셀라두스의 물기둥이 혜성의 화학적인 구조와 비슷하다고 밝혔으며, 2014년에는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의 표면 아래에 수심 10km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포착했다.[294]간헐천들을 지속해서 관찰한 결과, 엔셀라두스의 내부열이 새어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남극 지방에 충돌구가 얼마 없는 것으로 보아서 오늘날까지도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이 증명되었다. 엔셀라두스는 다른 가스 행성들의 위성처럼 궤도 공명을 하고 있다. 특히 디오네와의 궤도 공명의 영향으로 궤도가 틀어졌고, 조석력의 영향으로 내부가 휘저어져 조석열이 발생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증거이다.
엔셀라두스는 목성의 이오와 해왕성의 트리톤 다음으로 물질이 내부에서 뿜어져 나오는 현상이 관측된 세 번째 위성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엔셀라두스의 지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확인됨으로써 엔셀라두스는 우주생물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천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295]
2015년 3월 12일, 미국과 일본 등의 공동 연구진이 엔셀라두스에서 뜨거운 온천이 발견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위성에서 이산화 규소 입자가 발견됐는데, 이산화규소는 섭씨 90도 이상 뜨거운 물에서 만들어지는 입자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로써 "이 위성에 열이 존재하고, 얼음층 아래에 해저 온천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296]

2005년 과학자들이 엔셀라두스의 남극 표면에서 수증기를 포함한 간헐천이 분출되는 것을 관측하면서[204][84] 엔셀라두스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축적되기 시작했다. 초당 250kg의 수증기가[84] 최대 2189km/h의 속도로 우주로 분출되는 제트 분출 현상이 관측되었다.[85] 곧이어 2006년, 엔셀라두스의 간헐천이 토성의 E 고리의 근원임이 밝혀졌다.[204][46] 염분이 있는 입자의 근원은 호랑이 줄무늬를 따라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신선한" 입자의 근원은 고속 가스 제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염분이 있는" 입자는 더 무거워서 대부분 표면으로 다시 떨어지지만, 빠른 "신선한" 입자는 E 고리로 빠져나가 E 고리가 질량 대비 0.5~2%의 낮은 염분 비율을 갖는 것을 설명한다.[86]
카시니호의 2010년 12월 근접 비행에서 얻은 중력 데이터는 엔셀라두스의 얼어붙은 표면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이루어진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당시에는 지하 바다가 남극에 국한된 것으로 여겨졌다.[87][88][89][90] 바다의 표면은 아마도 두께 30km 에서 40km의 얼음층 아래에 있을 것이다. 남극에서는 바다의 깊이가 10km에 달할 수 있다.[87][91]
토성을 공전하는 엔셀라두스의 "흔들림"—진동이라고 한다—을 측정한 결과, 얼음으로 된 지각 전체가 암석으로 된 핵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표면 아래에 전 지구적 바다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92] 진동의 양(0.120° ± 0.014°)은 이 전 지구적 바다의 깊이가 약 26km 에서 31km임을 의미한다.[93][94][95][96] 비교하자면, 지구의 바다는 평균 깊이가 3.7킬로미터이다.[95]
엔셀라두스의 지하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징후는 2005년 이후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 처음 보고된 것은 남극에서 수증기를 포함한 분출물의 관측으로,[233] 초당 250kg의 수증기가 최대 시속 2189km/h로 우주 공간으로 분출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266][267] 이후 곧 엔셀라두스의 분출물이 E 고리의 기원임이 밝혀졌다.[233][256] 분출물에서 검출된 염화물은 호랑이 줄무늬(Tiger Stripes)를 따라 고르게 분포하는 반면, "신선한" 입자는 고속의 가스 제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염화물 입자는 무겁기 때문에 대부분 표면에 떨어져 다시 돌아오는 반면, 고속의 "신선한" 입자는 엔셀라두스의 중력을 벗어나 E 고리를 구성하는 물질이 된다. 따라서 E 고리의 물질에 염화물이 적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268] 분출물에 염화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기원은 엔셀라두스의 내부 해임을 시사한다. 더욱이 카시니는 벤젠과 같은 유기물뿐만 아니라[269] 유기 화합물의 흔적을 먼지 입자에서 검출했다.[268] 또한, 분자량이 200 정도인 복잡한 유기 화합물도 검출되었다.[270]
카시니가 2010년 12월에 실시한 엔셀라두스의 근접 통과에서는 중력장 측정이 이루어졌고, 얼어붙은 표면 아래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당시 관측에서는 내부 해는 남극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고 생각되었다.[271][272][273] 내부 해의 상부는 아마도 두꺼운 얼음층 아래 30km 에서 40km에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며, 남극에서의 내부 해의 깊이는 10km로 추정되었다.[271][274]
2015년 9월 16일에는 7년 이상에 걸친 카시니의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표면의 얼음 아래에 펼쳐진 바다가 행성 전체를 덮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NASA에 의해 발표되었다.[230] 연구자들에 따르면, 토성을 공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주 작은 진동(장동)이 관측되었고, 얼음 지각 전체가 내부의 암석 핵과 분리되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따라서 얼음 아래에 액체 상태의 바다가 행성 전체에 펼쳐져 있다는 것으로만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230] 장동의 크기는 0.120° ± 0.014°이며, 이 크기로부터 전 지구적인 내부 해의 깊이는 26km 에서 31km임을 시사한다.[275][276] 이것은 지구의 평균 해양 깊이인 3.7km보다 깊다.
5. 3. 2. 구성 성분
카시니 탐사선의 탐사 이전에는 엔셀라두스의 내부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카시니 탐사선의 근접 비행을 통해 엔셀라두스의 질량과 형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고해상도 표면 관측과 내부 구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게 되었다.[301][77][78]보이저 탐사선의 초기 관측에서는 엔셀라두스가 대부분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다.[164] 그러나 카시니 탐사선의 중력 측정 결과, 엔셀라두스의 밀도는 1.61g/cm3로, 토성의 다른 중간 크기 얼음 위성보다 높아, 더 많은 규산염과 철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냈다.[204]
엔셀라두스는 비교적 높은 암석-질량 비율과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내부가 빠르게 얼어붙지 않고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알루미늄-26(aluminium-26영어)과 철-60(iron-60영어)과 같은 수명이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들이 초기에 내부 가열을 일으켰기 때문으로 추정된다.[79][80][81]
이러한 방사성 가열과 조석 가열(tide)은 핵의 온도를 1,000K까지 높여 내부 맨틀을 녹였을 것으로 보인다. 엔셀라두스가 여전히 활동적인 이유는 핵의 일부가 녹아 마그마 방을 형성하고, 이것이 토성의 조석력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일 수 있다. 디오네와의 공명이나 세차 운동(libration)으로 인한 조석 가열은 핵의 고온 상태를 유지하고 현재의 지질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을 수 있다.[39][83][80][82]
일부 연구자들은 엔셀라두스의 형태가 미분화된 내부와 일치한다고 주장했지만,[204] 현재 형태는 엔셀라두스가 정수압 평형 상태에 있지 않고, 과거에 더 빠르게 회전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82] 카시니 탐사선의 중력 측정 결과는 핵의 밀도가 낮음을 보여주며, 이는 핵이 규산염 외에 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208]
카시니 탐사선은 엔셀라두스의 남극 간헐천을 통과하며 그 구성 성분을 채취하고 분석했다. 간헐천은 대부분 수증기와 함께 미량의 질소 분자, 이산화탄소,[9] 메탄, 프로판, 아세틸렌,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간단한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있었다.[98][99] 또한, 벤젠()[101]과 같은 복잡한 유기 화합물과 최대 200 원자 질량 단위[24][102] 크기의 복잡한 고분자 유기물(최소 15개의 탄소 원자 포함)[103]도 발견되었다. 간헐천의 염분이 있는 구성(-Na, -Cl, -CO3)은 그 원천이 염분을 포함한 지하 바다임을 나타낸다.[97]
질량 분석기는 수소(H2)와 암모니아()의 흔적을 감지했다.[104][127] 한 모델에 따르면, 엔셀라두스의 염분이 있는 바다는 11~12의 알칼리성 pH를 가지고 있으며,[105][106] 이는 콘드라이트 암석의 사문암화로 인해 H2가 생성되어, 비생물학적 및 생물학적 유기 분자 합성을 지원할 수 있는 지구화학적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105][107]
2019년 연구에서는 엔셀라두스의 간헐천에서 질소와 산소를 포함하는 아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는 내부 바다에서 아미노산이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엔셀라두스의 화합물이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유기 화합물"의 전구체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108][109]
5. 3. 3. 열원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차례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남극 지방에서 물이 주성분인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발견했고,[290] 남극 근처의 활화산에서 수증기, 나트륨 화합물, 얼음 결정 등이 포함된 고체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내뿜는 간헐천도 발견했다.[291] 이 간헐천에서는 초당 200kg의 물질이 분사되고 있었으며,[291] 100개가 넘는 비슷한 간헐천이 확인되었다.[292] 이 중 일부 수증기는 눈처럼 되어 토성의 E 고리에 얼음 결정을 공급하고 있었다.[293]간헐천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내부열이 새어나오고 있다는 사실과 남극 지방에 충돌구가 적은 것을 통해 현재까지도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이 증명되었다. 엔셀라두스는 디오네와의 궤도 공명으로 궤도가 틀어져 조석력의 영향으로 내부가 휘저어져 조석열이 발생했으며, 이는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활동하는 증거이다.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를 방문하기 전까지는 내부 구조에 대한 정보는 적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접근 통과를 통해 질량과 형태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301] 보이저 탐사선은 엔셀라두스가 대부분 얼음이라고 추측했지만, 카시니 탐사선은 엔셀라두스의 밀도가 1.61g/cm3로, 비슷한 크기의 얼음 위성들에 비해 높아 규산염과 철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2015년 3월 12일, 미국과 일본 등의 공동 연구진은 엔셀라두스에서 뜨거운 온천이 발견됐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위성에서 발견된 이산화규소 입자가 섭씨 90도 이상 뜨거운 물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들어 "이 위성에 열이 존재하고, 얼음층 아래에 해저 온천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96]
6. 지질
엔셀라두스는 토성의 안쪽 궤도를 돌고 있으며, 미마스와 테티스 사이에 위치한다. 토성 중심에서 238000km, 대기 상층부에서 180000km 떨어져 있으며, 32.9시간마다 토성을 공전한다. 디오네와 2:1 궤도 공명을 이루는데, 이로 인해 궤도 이심률이 발생하고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여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상태를 유지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297]
대부분의 가스 행성 위성처럼 엔셀라두스는 토성에 조석 고정되어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다. 달과 달리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칭동은 나타나지 않는다. 엔셀라두스에서 분출되는 물질은 토성의 고리 중 가장 넓고 바깥쪽에 있는 E 고리의 주 공급원이다. E 고리는 미마스와 테티스 궤도 사이에 위치하며, 먼지와 미세한 얼음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수학적 계산에 따르면 E 고리는 1만~100만 년 내에 사라지므로, 지속적인 입자 공급이 필요하다. 엔셀라두스는 E 고리 내부의 밀도가 높은 부분에 위치하며, 1980년대부터 엔셀라두스가 E 고리의 물질 공급원이라는 추측이 있었다.[298] 2005년 카시니 탐사선의 접근으로 이 가설은 더욱 신뢰를 얻었다.
2005년 NASA/ESA의 무인 토성 탐사선 카시니는 엔셀라두스에 매우 미량의 수증기 대기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화산이나 간헐천과 같은 대기의 안정적인 공급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엔셀라두스에서 분출되는 물질은 혜성과 구성이 유사하며,[249] E 고리의 근원이 되고 있다. 카시니 탐사선은 엔셀라두스 남극 부근 표면에서 활발한 지질 활동을 보여주는 균열을 발견했으며, 이를 "타이거 스트라이프스(Tiger Stripes)"라고 명명했다.
엔셀라두스는 지름이 평균 500km 정도이지만, 열원을 가지고 있으며 토성 위성 중 여섯 번째로 크다.[214] 반사율이 매우 높아 태양계에서 가장 밝은 천체로 여겨진다.[215]
6. 1. 표면 특징
1981년 8월, 보이저 2호가 엔셀라두스의 표면을 처음으로 자세히 관측했다. 이 관측으로 충돌구가 많은 지형, 매끄러운(젊은) 지형, 매끄러운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 지형 등 최소 다섯 가지 유형의 지형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64] 광범위한 선형 균열[50]과 절벽도 관측되었다. 매끄러운 평원은 충돌구가 적어 수억 년 이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51]따라서 엔셀라두스는 물 화산 작용이나 표면 갱신 과정을 통해 최근에 활동적이었을 것이다.[51] 표면을 덮은 깨끗한 얼음 때문에 엔셀라두스는 태양계에서 가장 반사율이 높은 천체이며, 시각적 기하학적 반사율은 1.38,[206] 복사 본드 반사율은 0.81 ± 0.04이다.[203] 태양빛을 많이 반사하여 표면 온도는 -198°C로, 다른 토성 위성보다 낮다.[6]
2005년 카시니 탐사선은 세 차례 근접 비행을 통해 보이저 2호보다 자세한 표면 특징을 관측했다. 매끄러운 평원은 수많은 작은 능선과 절벽으로 가득 찬, 비교적 충돌구가 없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오래된 충돌구 지형 내에서는 수많은 균열이 발견되어, 충돌구 형성 이후 표면이 광범위하게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52] 일부 지역은 충돌구가 전혀 없어 지질학적으로 최근에 표면 재구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균열, 평원, 주름진 지형 등 지각 변형도 발견되었다. 보이저 탐사선이 제대로 촬영하지 못한 남극 근처의 특이한 지형 등, 이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지역에서 여러 젊은 지형이 발견되었다.[204] 이는 엔셀라두스 내부가 액체 상태임을 시사한다.[51]
6. 1. 1. 충돌구

충돌구는 많은 태양계 천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엔셀라두스 표면의 상당 부분은 다양한 밀도와 침식 수준의 크레이터로 덮여 있다.[53] 크레이터 밀도(그리고 따라서 표면 연령)를 기준으로 지형을 세분화하면 엔셀라두스가 여러 단계에 걸쳐 표면이 재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51]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을 통해 크레이터 분포와 크기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엔셀라두스의 많은 크레이터는 점성 완화와 균열을 통해 심하게 훼손되었다.[54] 점성 완화는 지질학적 시간 규모에 걸쳐 중력이 물 얼음에 형성된 크레이터와 다른 지형적 특징을 변형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형의 양을 줄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속도는 얼음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따뜻한 얼음은 차갑고 단단한 얼음보다 변형이 더 쉽다. 점성적으로 완화된 크레이터는 돔형 바닥을 가지거나, 융기된 원형 가장자리로만 크레이터로 인식된다. 두냐자드 크레이터는 뚜렷한 돔형 바닥을 가진 엔셀라두스의 점성적으로 완화된 크레이터의 대표적인 예이다.[55]
6. 1. 2. 지질 구조
보이저 2호는 엔셀라두스에서 도랑, 절벽, 홈과 산맥의 띠를 포함한 여러 유형의 지질 구조를 발견했다.[164] 카시니호의 탐사 결과는 판구조론이 균열을 포함한 엔셀라두스의 주요 변형 방식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주목할 만한 지질 구조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협곡은 길이 200km, 너비 5~10km, 깊이 1km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형은 다른 지질 구조를 가로지르고, 뚜렷한 암석 노두가 있는 급경사면을 따라 뚜렷한 지형적 경사를 가지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젊다는 것을 알 수 있다.[56]엔셀라두스의 판구조론 증거는 곡선형 홈과 산맥의 줄무늬로 구성된 홈이 있는 지형에서도 유래한다. 보이저 2호가 처음 발견한 이러한 띠는 종종 매끄러운 평원과 크레이터 지역을 분리한다.[164] 사마르칸드 술치와 같은 홈이 있는 지형은 가니메데의 홈이 있는 지형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가니메데와 달리 엔셀라두스의 홈이 있는 지형은 일반적으로 더 복잡하다. 평행한 홈 세트 대신 이러한 줄무늬는 대략 정렬된 셰브론 모양의 특징으로 구성된 띠로 나타난다.[54]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띠가 위로 휘어져 있으며, 지형의 길이를 따라 균열과 산맥이 나타난다. 카시니호가 사마르칸드 술치를 관측한 결과, 좁은 균열과 평행하게 위치한 어두운 반점(폭 125m와 750m)이 발견되었다. 현재 이러한 반점은 이러한 산맥 평원대 내의 함몰 구덩이로 해석된다.[54]
깊은 균열과 홈이 있는 줄무늬 외에도 엔셀라두스에는 여러 가지 다른 유형의 지질 지형이 있다. 이러한 균열 중 상당수는 크레이터 지형을 가로지르는 띠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균열은 아마도 지각으로 수백 미터만 전파될 것이다. 많은 균열은 형성 과정에서 충돌 크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약화된 레골리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종종 전파되는 균열의 주향을 바꾼다.[54][57]
보이저 2호가 처음 발견하고 카시니호가 훨씬 높은 해상도로 관찰한 선형 홈은 엔셀라두스의 또 다른 지질 구조의 예시이다. 이러한 선형 홈은 홈과 산맥 띠와 같은 다른 지형을 가로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깊은 균열과 마찬가지로, 이들은 엔셀라두스에서 가장 젊은 지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일부 선형 홈은 근처의 크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부드러워졌는데, 이는 이들이 더 오래되었음을 시사한다. 엔셀라두스에서는 산맥도 관찰되었지만, 유로파에서 볼 수 있는 것만큼 많지는 않다. 이러한 산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제한적이며 높이가 최대 1km에 달한다. 높이 1km의 돔도 관찰되었다.[54]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재표면화 수준을 고려할 때, 판구조 운동이 대부분의 역사 동안 지질학의 중요한 원동력이었음은 분명하다.[56]
1981년 8월 보이저 2호는 엔셀라두스 표면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관측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적어도 5가지의 지형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어떤 지역은 크레이터가 많고, 다른 지역은 매끄럽고 젊은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매끄러운 지역을 따라 융기된 지형도 발견되었다.[258] 또한 직선 모양의 균열과 단층 구조도 발견되었다.[259] 매끄러운 지형에서는 크레이터의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이 지역의 표면은 수억 년 이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엔셀라두스는 빙화산이나 기타 표면을 갱신하는 활발한 과정에 의해 비교적 최근에 표면이 갱신되었을 것이다.[231]
이러한 과정으로 엔셀라두스 표면에는 신선한 얼음이 공급되기 때문에, 태양계 천체 중에서 가장 반사율이 높은 표면을 가진다. 가시광선에서의 기하 알베도는 1.38[237]이고, 본드 알베도는 0.81 ± 0.04[238]로 추정된다. 이처럼 태양광을 매우 잘 반사하기 때문에, 엔셀라두스의 정오 평균 온도는 -198℃까지밖에 상승하지 않아 다른 토성의 위성과 비교해도 다소 저온이다.[239]
2005년 카시니 탐사선은 보이저 2호의 관측보다 훨씬 상세한 표면 특징을 밝혀냈다. 보이저 2호가 관측한 매끄러운 평원은 무수히 많은 작은 능선과 급경사로 채워진, 비교적 크레이터가 적은 지역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크레이터가 많은 오래된 지역에서는 많은 단층 구조가 발견되었고, 크레이터가 형성된 후 광역적인 변형을 받았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260]
6. 1. 3. 매끄러운 평원
보이저 2호는 두 개의 매끄러운 평원 지역을 관측했다. 이 지역들은 일반적으로 지형의 기복이 낮고, 크레이터 지형보다 훨씬 적은 크레이터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젊은 표면임을 나타낸다.[53] 매끄러운 평원 지역 중 하나인 사란디브 평원(Sarandib Planitia)에서는 해상도 한계까지 충돌 크레이터가 보이지 않았다. 사란디브 남서쪽에 있는 또 다른 매끄러운 평원 지역은 여러 개의 도랑과 절벽으로 뒤덮여 있다. 카시니호는 그 이후로 사란디브 평원과 디야르 평원(Diyar Planitia)과 같은 매끄러운 평원 지역을 훨씬 더 높은 해상도로 관측했다. 카시니호 영상은 이 지역들이 아마도 전단 변형에 의해 발생한 저지형의 능선과 균열로 가득 차 있음을 보여준다.[54] 사란디브 평원의 고해상도 영상은 여러 개의 작은 충돌 크레이터를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추정 충돌체 개체군에 따라 표면 연령을 1억 7천만 년 또는 37억 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204][202]카시니호가 제공하는 확장된 표면 영역 덕분에, 특히 엔켈라두스의 선행 반구(토성을 공전할 때 운동 방향을 향하는 엔켈라두스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매끄러운 평원 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은 저지형의 능선으로 덮여 있는 것이 아니라, 남극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변형과 유사하게 수많은 그물처럼 얽힌 도랑과 능선으로 덮여 있다. 이 지역은 사란디브 평원과 디야르 평원의 반대편에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지역의 위치는 토성이 엔켈라두스에 미치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58]
2005년에 카시니 탐사선에 의한 탐사가 이루어져, 보이저 2호에 의한 관측보다 훨씬 상세한 표면 특징이 밝혀졌다. 보이저 2호에 의해 관측된 매끄러운 평원은 무수히 많은 작은 능선과 급경사로 채워진, 비교적 크레이터가 적은 지역인 것으로 판명되었다.[260]
6. 1. 4. 남극 간헐천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번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표면을 탐사했는데, 엔셀라두스 남극 지방에서 물이 주성분인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부분을 발견했고,[290] 남극 근처의 활화산에선 수증기와 나트륨 화합물, 얼음 결정을 포함한 고체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내뿜는 간헐천도 발견했다. 이 간헐천에서는 초당 200kg의 물질이 분사되고 있었으며,[291] 비슷한 부류의 간헐천이 1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92] 그중에서 몇몇 수증기들은 일종의 "눈" 상태로 우주 공간으로 사출되어 토성의 E 고리에 얼음 결정을 공급하고 있었다.[293] 또한 NASA는 엔셀라두스의 물기둥이 혜성의 화학적인 구조와 비슷하다고 밝혔으며, 2014년에는 카시니 탐사선이 엔셀라두스 표면 아래에 수심 10km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포착했다.[294]간헐천들을 지속해서 관찰한 결과, 엔셀라두스의 내부열이 새어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남극 지방에 충돌구가 얼마 없는 것으로 보아서 오늘날까지도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이 증명되었다. 또한 엔셀라두스는 다른 가스 행성들의 위성처럼 궤도 공명을 하고 있다. 특히 디오네와의 궤도 공명의 영향으로 궤도가 틀어졌고, 조석력의 영향으로 내부가 휘저어져 조석열이 발생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증거이다.

1980년대 초 보이저호가 엔셀라두스와의 근접 비행을 마친 후,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젊고 반사율이 높은 표면과 E 고리의 중심부 근처에 위치한 점을 근거로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인 천체일 것이라고 추측했다.[164] 엔셀라두스와 E 고리 사이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가 수증기 분출을 통해 E 고리의 물질 공급원일 것이라고 의심했다.[42][43] 2005년 1월과 2월에 카시니호의 영상과학시스템(ISS)이 촬영한 이미지에서 엔셀라두스 남극 상공의 얼음 입자 간헐천이 처음으로 관측되었지만,[204] 카메라 결함일 가능성 때문에 공식 발표가 지연되었다.
2005년 2월 17일 근접 비행 중 자력계 장비의 데이터는 행성 대기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했다. 자력계는 중성 기체의 국지적 이온화와 일치하는 자기장의 굴절 또는 "드레이핑"을 관측했다.[7] 두 차례의 후속 근접 비행에서 자력계 연구팀은 엔셀라두스 대기의 기체가 남극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극지방에서 멀어질수록 대기 밀도가 훨씬 낮다는 것을 확인했다.[7] 자력계와 달리 자외선 이미징 분광기는 2월 근접 비행 중 적도 지역 상공에서 대기를 감지하지 못했지만, 7월 근접 비행 중 남극 지역 상공의 엄폐 현상 동안 수증기를 감지했다.[8]
카시니호는 여러 차례 이 기체 구름을 통과하여 이온 및 중성 질량 분석기(INMS)와 우주 먼지 분석기(CDA)와 같은 장비가 간헐천을 직접 샘플링할 수 있었다. 2005년 11월 이미지는 간헐천의 미세 구조를 보여주었고, 표면에서 약 500km 떨어진 곳까지 확장되는 더 크고 희미한 성분 내에 수많은 제트(아마도 여러 개의 별개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48] 입자의 벌크 속도는 1.25km/s이고,[64] 최대 속도는 이다.[65] 카시니호의 UVIS는 나중에 2007년 10월 엔셀라두스와의 비표적 근접 비행 중 ISS가 관측한 먼지 제트와 일치하는 기체 제트를 관측했다.
영상, 질량 분석 및 자기권 데이터의 종합 분석 결과, 관측된 남극 간헐천은 지구의 간헐천이나 분기공과 유사한 고압의 지하 챔버에서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204] 주기적 또는 간헐적 방출이 간헐천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에 분기공이 더 가까운 유추일 것이다. 엔셀라두스의 간헐천은 몇 배의 요소 내에서 연속적인 것으로 관측되었다. 분출을 유발하고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조석 가열로 생각된다.[66]
남극 제트의 분출 강도는 궤도상 엔셀라두스의 위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엔셀라두스가 원지점(토성에서 가장 먼 궤도상의 지점)에 있을 때는 근지점에 있을 때보다 간헐천이 약 4배 더 밝다.[67][68][69] 이는 지구물리학적 계산과 일치하며, 남극 균열은 근지점 근처에서는 압축되어 닫히고, 원지점 근처에서는 장력을 받아 열린다는 것을 예측한다.[70] 주향이동단층구조 또한 호랑이 줄무늬를 따라 번갈아 가는(좌측 및 우측 측방) 횡장력대(예: 풀-어파트 분지)를 따라 국지적 신장을 유도하여 이러한 지역 내 제트 활동을 조절할 수 있다.[71]
간헐천 활동의 대부분은 넓은 커튼 모양의 분출로 구성된다. 시야 방향과 국지적 균열 기하학의 조합으로 인한 착시 현상으로 인해 이전에는 간헐천이 불연속적인 제트처럼 보였다.[72][73][74]
냉화산이 실제로 얼마나 일어나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엔셀라두스에서는 물로 채워진 균열이 주기적으로 진공에 노출되고 조석 응력에 의해 균열이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냉화산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70][75][76]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에 의해, 엔셀라두스 남극 부근의 표면에서 활발한 지질 활동을 하고 있는 증거로 보이는 균열이 발견되어, "타이거 스트라이프스(Tiger Stripes)"라고 명명되었다.
7. 생명체 존재 가능성
엔셀라두스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유기물, 열원, 액체 상태의 물 세 가지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 외계 생명체의 유력한 후보지로 여겨진다.[218]
2005년 NASA/ESA의 무인 토성 탐사선 카시니는 엔셀라두스에서 매우 미량의 대기를 발견했다. 대기의 성분은 수증기로 추정되며, 화산이나 간헐천 등의 대기 공급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엔셀라두스는 중력이 작아 대기는 곧 우주로 사라진다. 목성의 위성 이오나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에도 화산 분출물에 의한 미량의 대기가 관측되고 있다.
2008년 3월, 카시니호는 남극 지역의 핫스팟에서 온도가 영하 93도이며 유기물이 존재함을 확인했다.[219] 2009년 6월 관측에서는 엔셀라두스의 수증기에서 염화나트륨과 탄산염을 검출했다.[220]
2014년 4월, 엔셀라두스에 대규모 지하 바다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보고되었다.[221] 이는 엔셀라두스가 "태양계에서 미생물이 서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장소"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222][223]
2015년 9월 16일, 7년 이상에 걸친 카시니의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표면 얼음 아래에 행성 전체를 덮는 바다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NASA에 의해 발표되었다.[230] 연구자들에 따르면, 토성을 공전하며 발생하는 아주 작은 진동(장동)이 관측되었고, 이는 얼음 지각 전체가 내부 암석 핵과 분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얼음 아래에 액체 상태의 바다가 행성 전체에 펼쳐져 있다는 것으로만 설명할 수 있다.[230]
도쿄대학과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 등의 국제 연구팀은 카시니 탐사선이 검출한 미립자에 암석과 열수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광물 미립자인 "나노실리카"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모의 실험 결과, 나노실리카가 생성되려면 섭씨 90도 이상의 열수 환경이 필요하며, 현재도 활동이 계속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구의 심해저 열수 활동은 생명 탄생의 장소 중 하나로 여겨지며, 연구팀은 이를 "외계 생명체 발견을 향한 진전"으로 보고 있다.[225]
베를린 자유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카시니 탐사선이 관측한 미립자 성분에서 지구 해수의 수천 배에서 수만 배에 달하는 고농도의 인산(DNA 구성 요소)이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226][227] 지구 밖에서 액체 상태의 물에 고농도의 인산이 확인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도쿄 공업대학의 세키네 야스토 등은 엔셀라두스 해저를 모방한 환경에서 실험을 실시하여, 인산 농축은 알칼리성이고 탄산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과거 지구에도 같은 환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27][228]
2023년 6월, 천문학자들은 엔셀라두스에서 인산염이 검출되었다는 사실을 보고했는데, 이는 이 위성에서 생명체를 위한 모든 기본적인 화학 성분 발견을 완성한 것이다.[151] [153]
2023년 12월 14일, 천문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플룸에서 시안화수소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다른 유기 분자들도 발견되었는데, 그중 일부는 아직 더 밝혀져야 한다. 연구원들에 따르면 "이러한 [새롭게 발견된] 화합물들은 현재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지탱하거나 복잡한 유기 합성을 유도하여 생명의 기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154] [155]
전 지구적 해양 순환 패턴에 의해 지탱되는 수중 환경을 가진 내부 전 지구적 염수 바다[142], 에너지원, 그리고 엔셀라두스의 암석 핵과 접촉하는 복잡한 유기 화합물[24]의 존재는 우주생물학 연구와 미생물 외계 생명체를 위한 잠재적으로 거주 가능한 환경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다.[88] [89] [145] [87] [90] [91] [146] [147] [148] 아직 발견되지 않은 인에 대한 지구화학적 모델링 결과는 이 위성이 잠재적인 생성 기원 요건을 충족함을 나타낸다.[149] [150] 하지만 카시니호가 탐지한 냉화산 기둥에서 인산염이 검출되었으며, 2023년 6월 14일자 네이처지에 "엔셀라두스 바다에서 기원한 인산염 검출"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논의되었다.[151]
다양한 유기 화합물과 암모니아의 존재는 그 기원이 지구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명체를 지탱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암석 반응과 유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152] 따라서 엔셀라두스를 더 탐사하고 거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로봇 임무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임무 중 일부는 엔셀라두스와 타이탄으로의 여정(JET), 엔셀라두스 탐사선(En-Ex), 엔셀라두스 생명체 탐색기(ELF), 엔셀라두스 생명체 조사(LIFE), 그리고 엔셀라두스 생명체 신호와 거주 가능성(ELSAH)이다.
7. 1. 열수 활동
카시니 탐사선은 2005년부터 여러 번 엔셀라두스를 접근 통과하면서 표면을 탐사했는데, 남극 지방에서 물이 주성분인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290] 남극 근처의 활화산에서는 수증기와 나트륨 화합물, 얼음 결정을 포함한 고체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내뿜는 간헐천도 발견되었으며, 초당 200kg의 물질이 분사되고 있었다.[291] 100개가 넘는 간헐천이 확인되었고,[292] 이 중 일부 수증기는 눈처럼 우주 공간으로 사출되어 토성의 E 고리에 얼음 결정을 공급하고 있었다.[293] NASA는 엔셀라두스의 물기둥이 혜성과 화학적 구조가 비슷하다고 밝혔으며, 2014년에는 카시니 탐사선이 표면 아래 수심 10km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포착했다.[294]간헐천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내부열이 새어나오고 남극 지방에 충돌구가 적어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는 천체임이 증명되었다. 엔셀라두스는 디오네와의 궤도 공명으로 궤도가 틀어져 조석력에 의한 조석열이 발생하며, 이는 엔셀라두스가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임을 보여준다.
엔셀라두스는 목성의 이오, 해왕성의 트리톤에 이어 내부 물질 분출이 관측된 세 번째 위성이며, 지하 바다 존재 가능성으로 우주생물학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295]
2015년 3월 12일, 미국과 일본 등의 공동 연구진은 엔셀라두스에서 섭씨 90도 이상 뜨거운 물에서 만들어지는 이산화 규소 입자가 발견되어, 위성에 열이 존재하고 얼음층 아래에 해저 온천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296]

엔셀라두스는 규산염 모래 알갱이, 암모니아 형태의 질소, 메테인(CH₄), 프로페인(C₃H₈), 아세틸렌(C₂H₂), 폼알데하이드(CH₂O) 등 유기 분자가 섞인 소금기 있는 물 기둥을 분출한다.[138] [177] [98] [99] [139] 이는 지하 바다에서 열수 활동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138] [140] 핵이 다공성이어서 물이 흐르고 열과 화학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는 모델이 제시되었고,[141] 이는 관측과 연구로 확인되었다.[142] [143] [144] 염분이 많은 바다가 사문암화된 콘드라이트 암석으로 인해 알칼리성 pH를 가지면, 생명체의 대사에 사용될 수 있는 분자 수소(H₂)가 존재할 수 있다.[105] [106] [107] 메테인 생성균 미생물은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17년 4월 13일, NASA는 엔셀라두스 내부 바다 해저에서 열수 활동으로 추정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카시니호가 엔셀라두스 남극 부근을 근접 통과했을 때, 표면에서 48.3km 고도에서 분출되는 물질 중 수소 분자를 검출했다. 이는 내부 바다 해저의 열수 활동으로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277] 생명체 존재 가능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278]
엔셀라두스 내부 바다에 수소가 풍부하다면, 미생물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수소와 이산화 탄소를 결합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 화학 반응은 메테인을 생성하는 메테인 생성 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에서는 생명 탄생 초기부터 이 과정으로 에너지를 얻는 메테인 생성균이 존재했다.[279]
7. 2. 메탄 생성
카시니 탐사선의 관측 결과, 엔셀라두스 해양에 풍부한 수소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미생물이 존재한다면 물에 녹아 있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화학 반응은 메탄생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산물로 메탄을 생성한다. 메탄생성은 지구 생명체 계통수의 근본이자 알려진 모든 생명체의 기원이 된다.[159][160][279]7. 3. 시안화수소
2023년, 엔셀라두스의 바다에 고농도의 인이 포함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224]8. 기원
미마스는 토성의 둥근 위성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엔셀라두스 바로 안쪽 궤도를 돌고 있지만, 엔셀라두스보다 더 강한 조석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지질학적으로 활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모순은 미마스-엔셀라두스 역설이라고 불린다.[297]
이 역설은 물 얼음(미마스와 엔셀라두스 내부의 주요 구성 성분)의 온도 의존적 특성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온(녹는점에 가까운)에서는 전단 계수(''μ'')와 감쇠 계수(''Q'')가 낮아 조석 가열이 높아진다. 모델링에 따르면 엔셀라두스의 경우, 내부 온도 기울기가 거의 없는 '기본적인' 저에너지 열 상태와 상당한 온도 기울기와 그에 따른 대류(내생적 지질 활동)를 가진 '흥분된' 고에너지 열 상태가 일단 형성되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131] 미마스는 토성에 더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에너지 상태만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모델은 미마스의 경우 낮은 내부 온도 상태를 예측하지만, 엔셀라두스의 경우 더 높은 온도 상태가 가능하다고 예측한다.[131] 엔셀라두스가 처음 고에너지 상태에 진입한 과정(예: 더 많은 방사성 가열 또는 과거 더 큰 이심률 궤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132]
미마스보다 상당히 높은 엔셀라두스의 밀도(1.61 g/cm3 대 1.15 g/cm3)는 암석 함량이 더 많고 초기 역사에서 방사성 가열이 더 많았음을 시사하며, 이는 미마스 역설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된다.[133]
미마스 또는 엔셀라두스 크기의 얼음 위성이 조석 가열과 대류의 '흥분된 상태'에 진입하려면, 원시 내부 열을 너무 많이 잃기 전에 궤도 공명에 진입해야 한다. 미마스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엔셀라두스보다 더 빨리 식기 때문에, 궤도 공명에 의해 유도된 대류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는 상당히 짧았을 것이다.[134]
엔셀라두스는 초당 200kg의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다. 이러한 질량 손실이 45억 년 동안 계속된다면, 위성은 초기 질량의 약 30%를 잃었을 것이다. 엔셀라두스와 미마스의 초기 밀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유사한 값을 얻는다.[134] 이는 남극 지역의 지각 활동이 주로 질량 손실 과정에 의한 침강 및 관련된 섭입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135][284]
2016년, 토성의 위성 궤도가 조석 효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타이탄보다 안쪽에 있는 토성의 모든 위성(토성 위성에 대한 조석 효과의 강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 엔셀라두스의 지질 활동 포함)은 불과 1억 년 전에 형성되었을 수 있다.[136] 2019년의 후속 연구는 엔셀라두스의 바다가 약 10억 년 전에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137]
8. 1. 미마스-엔셀라두스 역설
미마스는 토성의 둥근 위성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엔셀라두스 바로 안쪽 궤도를 돌고 있는데, 엔셀라두스보다 더 강한 조석력을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질학적으로는 활동하지 않는 천체이다. 이러한 모순은 미마스-엔셀라두스 역설이라고 불린다.[297]이 역설은 부분적으로 물 얼음(미마스와 엔셀라두스 내부의 주요 구성 성분)의 온도 의존적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단위 질량당 조석 가열량은 다음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ρ''는 위성의 (질량) 밀도, ''n''은 평균 궤도 운동, ''r''은 위성의 반지름, ''e''는 궤도 이심률, ''μ''는 전단 계수, ''Q''는 무차원 감쇠 계수이다. 같은 온도를 가정할 경우, 미마스의 ''qtid''의 예상값은 엔셀라두스의 약 40배이다. 그러나 물리적 매개변수 ''μ''와 ''Q''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고온(녹는점에 가까운)에서는 ''μ''와 ''Q''가 낮아 조석 가열이 높아진다. 모델링에 따르면 엔셀라두스의 경우, 내부 온도 기울기가 거의 없는 '기본적인' 저에너지 열 상태와 상당한 온도 기울기와 그에 따른 대류(내생적 지질 활동)를 가진 '흥분된' 고에너지 열 상태가 일단 형성되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131]
미마스는 토성에 더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에너지 상태만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모델은 미마스의 경우 낮은 내부 온도 상태(''μ''와 ''Q''의 값이 높음)를 예측하지만, 엔셀라두스의 경우 더 높은 온도 상태(''μ''와 ''Q''의 값이 낮음)가 가능하다고 예측한다.[131] 엔셀라두스가 처음 고에너지 상태에 진입한 과정(예: 더 많은 방사성 가열 또는 과거 더 큰 이심률 궤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132]
미마스보다 상당히 높은 엔셀라두스의 밀도(1.61 g/cm3 대 1.15 g/cm3)는 암석 함량이 더 많고 초기 역사에서 방사성 가열이 더 많았음을 시사하며, 이는 미마스 역설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어 왔다.[133]
미마스 또는 엔셀라두스 크기의 얼음 위성이 조석 가열과 대류의 '흥분된 상태'에 진입하려면, 원시 내부 열을 너무 많이 잃기 전에 궤도 공명에 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미마스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엔셀라두스보다 더 빨리 식기 때문에, 궤도 공명에 의해 유도된 대류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은 상당히 짧았을 것이다.[134]
8. 2. 초기 질량 손실
엔셀라두스는 초당 200kg의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다. 이러한 질량 손실이 45억 년 동안 계속된다면, 위성은 초기 질량의 약 30%를 잃었을 것이다. 엔셀라두스와 미마스의 초기 밀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유사한 값을 얻는다.[134] 이는 남극 지역의 지각 활동이 주로 질량 손실 과정에 의한 침강 및 관련된 섭입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135][284]8. 3. 형성 시기
2016년, 토성의 위성 궤도가 조석 효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타이탄보다 안쪽에 있는 토성의 모든 위성(토성 위성에 대한 조석 효과의 강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 엔셀라두스의 지질 활동 포함)은 불과 1억 년 전에 형성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136] 2019년의 후속 연구는 엔셀라두스의 바다가 약 10억 년 전에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137]미마스는 토성의 위성 중에서 구형을 한 위성들 가운데 가장 안쪽 궤도를 돌고 있으며, 엔셀라두스 바로 안쪽에 위치한다. 그러나 미마스는 엔셀라두스보다 더 강한 조석력을 받아 조석 가열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인 엔셀라두스와는 대조적으로 지질학적으로는 죽은 천체이다. 이러한 모순은 미마스 패러독스(혹은 미마스-엔켈라두스 패러독스)라고 불린다.[280]
이 패러독스는 두 천체의 주요 구성 성분인 얼음의 온도 의존적인 특성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가능성이 있다. 단위 질량당 조석 가열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식으로부터 물성치가 같다면 미마스의 조석가열 값은 엔셀라두스보다 40배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로, 강성률과 무차원 조석 산일 계수는 온도 의존적인 물리량이다. 온도가 높아져 융점에 가까워지면 강성률과 조석 산일 계수는 작아지므로, 조석 가열은 커진다. 엔셀라두스의 내부 구조 모델에서는, 내부의 온도 기울기가 작은 저에너지 열 상태와 큰 온도 기울기를 가진 "여기된" 고에너지 상태에서 대류가 발생하는 경우 모두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미마스의 내부 구조 모델에서는, 토성에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에너지 상태만이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미마스는 낮은 내부 온도를 가진 상태인 반면, 엔셀라두스는 높은 내부 온도를 가진 것이 허용된다.[281] 이 경우, 토성에 가까운 미마스의 조석 가열이 작고, 먼 엔셀라두스의 조석 가열이 큰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실현되려면, 엔셀라두스가 어떻게 초기 고에너지 상태에 이르렀는지를 설명하는 추가적인 과거 정보가 필요하다.[282] 예를 들어, 방사성 물질의 붕괴에 의한 가열이 더 많았거나, 과거 궤도 이심률이 더 컸다는 등이다.
엔셀라두스의 밀도는 미마스보다 크다(1.61과 1.15 g/cm3). 따라서 엔셀라두스는 미마스보다 암석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방사성 물질의 붕괴에 의한 가열이 미마스보다 더 컸을 가능성이 있고, 이 요소도 미마스 패러독스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283]
미마스나 엔셀라두스 정도 크기의 얼음 위성이 조석 가열과 대류의 "여기 상태"에 이르려면, 초기 내부 열을 너무 많이 잃기 전에 궤도 공명을 일으켜야 한다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 미마스는 작기 때문에 엔셀라두스보다 더 빨리 식는다. 따라서 궤도 공명에 의해 구동되는 대류를 일으키기 위한 기회는 엔셀라두스와 비교하여 짧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이 두 위성의 내부 구조의 차이를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있다.[284]
참조
[1]
사전
Enceladu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논문
Terraforming Mars and Venus Using Machine Self-Replicating Systems (SRS)
http://www.rfreitas.[...]
[3]
서적
Enceladus and the Icy Moons of Saturn
[4]
논문
The Orbits of the Main Saturnian Satellites, the Saturnian System Gravity Field, and the Orientation of Saturn's Pole
null
2022-11-01
[5]
논문
Effect of Enceladus's rapid synchronous spin on interpretation of Cassini gravity
[6]
논문
Cassini Encounters Enceladus: Background and the Discovery of a South Polar Hot Spot
2006
[7]
논문
Identification of a Dynamic Atmosphere at Enceladus with the Cassini Magnetometer
2006
[8]
논문
Enceladus' Water Vapor Plume
2006
[9]
논문
Cassini Ion and Neutral Mass Spectrometer: Enceladus Plume Composition and Structure
2006
[10]
웹사이트
Enceladus: Facts & Figures
https://web.archive.[...]
NASA
2013-08-12
[11]
웹사이트
Planetary Body Names and Discoverers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12]
논문
Account of the Discovery of a Sixth and Seventh Satellite of the Planet Saturn; With Remarks on the Construction of Its Ring, Its Atmosphere, Its Rotation on an Axis, and Its Spheroidal Figure
http://rstl.royalsoc[...]
1790-01-01
[13]
뉴스
Suddenly, It Seems, Water Is Everywhere in Solar System
https://www.nytimes.[...]
2015-03-12
[14]
웹사이트
Secret life of Saturn's moon: Enceladus
http://www.cosmosmag[...]
2012-09-04
[15]
논문
Enceladus: An Active Ice World in the Saturn System
2013-05
[16]
웹사이트
Cassini Spacecraft Reveals 101 Geysers and More on Icy Saturn Moon
http://www.jpl.nasa.[...]
2014-07-28
[17]
뉴스
Icy Tendrils Reaching into Saturn Ring Traced to Their Source
http://www.nasa.gov/[...]
2015-04-14
[18]
웹사이트
Ghostly Fingers of Enceladus
https://www.jpl.nasa[...]
2006-09-19
[19]
뉴스
Saturn's moon Enceladus surprisingly comet-like
https://www.newscien[...]
2008-03-26
[20]
논문
The subsurface habitability of small, icy exomoons
https://www.aanda.or[...]
2020-04-01
[21]
논문
Tidal viscosity of Enceladus
2018-01-15
[22]
논문
Cassini finds molecular hydrogen in the Enceladus plume: Evidence for hydrothermal processes
[23]
논문
Ongoing hydrothermal activities within Enceladus
2015-03-11
[24]
논문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from the depths of Enceladus
2018-06-27
[25]
논문
Biological methane production under putative Enceladus-like conditions
2018-02-27
[26]
논문
Bayesian analysis of Enceladus's plume data to assess methanogenesis
https://hal.sorbonne[...]
2021-06-07
[27]
논문
Description of a Forty-feet Reflecting Telescope
1795
[28]
웹사이트
William Herschel (1738–1822)
http://messier.seds.[...]
[29]
웹사이트
Enceladus: Saturn's Tiny, Shiny Moon
http://www.space.com[...]
2013-04-05
[30]
논문
Names
http://adsabs.harvar[...]
1848-01-14
[31]
웹사이트
Categories for Naming Features on Planets and Satellites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32]
웹사이트
Nomenclature Search Results: Enceladus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33]
GPN
Samaria Rupes
[34]
웹사이트
A Hot Start Might Explain Geysers on Enceladus
http://www.jpl.nasa.[...]
2007-03-12
[35]
웹사이트
Saturnian Satellite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15-10-13
[36]
논문
Shapes of the saturnian icy satellites and their significance
2007-01-01
[37]
논문
The composition of Saturn's E ring
2007-06-01
[38]
논문
Dissipation in a tidally perturbed body librating in longitude
2018-05-15
[39]
논문
Implications of Spin-orbit Librations on Enceladus
2008-01-01
[40]
논문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Saturn's E ring
2012-01-01
[41]
웹사이트
Cassini visits Enceladus: New light on a bright world
https://www.research[...]
2006-07-01
[42]
논문
Saturn's E ring: I. CCD observations of March 1980
1981-07-01
[43]
논문
Ring and plasma: Enigmae of Enceladus
1983-01-01
[44]
논문
The E ring of Saturn and satellite Enceladus
1984-01-01
[45]
서적
Solar System Update
https://www.springer[...]
Springer Science
2006-08-23
[46]
논문
Cassini Dust Measurements at Enceladus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E ring
2006-01-01
[47]
뉴스
Enceladus is Supplying Ice to Saturn's A-Ring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2-05
[48]
웹사이트
NASA's Cassini Images Reveal Spectacular Evidence of an Active Moon
http://www.jpl.nasa.[...]
2005-12-05
[49]
웹사이트
Spray Above Enceladus
http://ciclops.org/v[...]
[50]
뉴스
Cracks on Enceladus Open and Close under Saturn's Pull
http://www.nasa.gov/[...]
2007-05-16
[51]
웹사이트
Satun Moons – Enceladus
http://saturn.jpl.na[...]
JPL/NASA
[52]
논문
Enceladus' global geology as seen by Cassini ISS
2005-01-01
[53]
논문
A New Look at the Saturn System: The Voyager 2 Images
1982-01-01
[54]
웹사이트
Enceladus, Curiouser and Curiouser: Observations by Cassini's Imaging Science Subsystem
http://saturn.jpl.na[...]
JPL/NASA
2005-04-28
[55]
웹사이트
Shahrazad (Se-4)
http://photojournal.[...]
NASA/Cassini Imaging Team
[56]
학회자료
Patterns of fracture and tectonic convergence near the south pole of Enceladus
http://www.lpi.usra.[...]
[57]
논문
Interactions Between Impact Craters and Tectonic Fractures on Enceladus
2006-01-01
[58]
논문
Diapir-induced reorientation of Saturn's moon Enceladus
2006-01-01
[59]
웹사이트
Enceladus in False Color
http://ciclops.org/v[...]
2005-07-26
[60]
뉴스
How an Icy Moon of Saturn Got Its Stripes – Scientists have developed an explanation for one of the most striking features of Enceladus, an ocean world that has the right ingredients for life.
https://www.nytimes.[...]
2019-12-09
[61]
웹사이트
Cassini Finds Enceladus Tiger Stripes Are Really Cubs
http://www.nasa.gov/[...]
2005-08-30
[62]
논문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Enceladus' Surface
2006-01-01
[63]
웹사이트
Boulder-Strewn Surface
http://ciclops.org/v[...]
2005-07-26
[64]
학회자료
Direct Measurement of the Velocity of the Enceladus Vapor Plumes
http://www.hou.usra.[...]
2016-03-21
[65]
논문
Enceladus Plume Structure and Time Variability: Comparison of Cassini Observations
2017-09-05
[66]
논문
Sustained eruptions on Enceladus explained by turbulent dissipation in tiger stripes
2016-01-29
[67]
웹사이트
What's going on inside Saturn moon? Geysers offer intriguing new clue
http://www.csmonitor[...]
2013-07-31
[68]
웹사이트
Enceladus huffs and puffs: plumes vary with orbital longitude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3-03-11
[69]
논문
Solar system: Saturn's tides control Enceladus' plume
2013-07-31
[70]
논문
An observed correlation between plume activity and tidal stresses on Enceladus
2013-07-31
[71]
논문
Jet activity on Enceladus linked to tidally driven strike-slip motion along tiger stripes
2024-04-29
[72]
논문
Curtain eruptions from Enceladus' south-polar terrain
2015-05-07
[73]
웹사이트
'Jets' on Saturn Moon Enceladus May Actually Be Giant Walls of Vapor and Ice
http://www.space.com[...]
2015-05-06
[74]
뉴스
Long 'curtains' of material may be shooting off Saturn's moon Enceladus
http://www.latimes.c[...]
[75]
논문
Ocean worlds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s://websites.pmc[...]
2016-08-08
[76]
논문
Cycloidal cracks on Europa: Improved modeling and non-synchronous rotation implications
2007-01
[77]
웹사이트
Icy moon Enceladus has underground sea
http://www.esa.int/O[...]
2014-04-03
[78]
학회발표
Mimas and Enceladus: Formation and interior structure from astrometric reduction of Cassini images
2012-10
[79]
논문
26Al in the Saturnian System – New Interior Models for the Saturnian satellites
2005
[80]
논문
Thermal evolu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cy satellites, and minor icy planets in the early solar system
[81]
학회발표
A New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Evolution of Saturnian Icy Satellites from Cassini Observations
http://www.lpi.usra.[...]
2006
[82]
논문
Enceladus: Present internal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by early and long-term radiogenic heating
2007
[83]
웹사이트
Enceladus' Interior and Geysers – Possibility for Hydrothermal Geometry and N2 Production
http://www.lpi.usra.[...]
2006
[84]
웹사이트
Enceladus rains water onto Saturn
http://www.esa.int/O[...]
2011
[85]
뉴스
Astronomers find hints of water on Saturn moon
http://www.news9.com[...]
2008-11-27
[86]
논문
A salt-water reservoir as the source of a compositionally stratified plume on Enceladus
[87]
웹사이트
NASA Space Assets Detect Ocean inside Saturn Moon
http://www.jpl.nasa.[...]
2014-04-03
[88]
논문
Icy Enceladus hides a watery ocean
http://www.nature.co[...]
2014-04-03
[89]
논문
The Gravity Field and Interior Structure of Enceladus
https://authors.libr[...]
2014-04-04
[90]
웹사이트
Saturn's Enceladus moon hides 'great lake' of water
https://www.bbc.com/[...]
2014-04-03
[91]
웹사이트
Ocean discovered on Enceladus may be best place to look for alien life
https://www.theguard[...]
2014-04-03
[92]
웹사이트
Cassini finds global ocean in Saturn's moon Enceladus
http://www.astronomy[...]
2015-09-15
[93]
논문
Enceladus's measured physical libration requires a global subsurface ocean
[94]
웹사이트
Cassini Finds Global Ocean in Saturn's Moon Enceladus
http://www.nasa.gov/[...]
2015-09-15
[95]
웹사이트
Cassini Confirms a Global Ocean on Saturn's Moon Enceladus
http://blogs.scienti[...]
2015-09-16
[96]
웹사이트
Under Saturnian moon's icy crust lies a 'global' ocean
http://www.news.corn[...]
Cornell University
2015-09-17
[97]
웹사이트
Ocean Hidden Inside Saturn's Moon
http://www.space.com[...]
2009-06-24
[98]
웹사이트
Seeds of Life Found Near Saturn
http://www.space.com[...]
2014-03-26
[99]
웹사이트
Cassini Tastes Organic Material at Saturn's Geyser Moon
http://www.nasa.gov/[...]
2008-03-26
[100]
웹사이트
''Cassini'' samples the icy spray of Enceladus' water plumes
http://www.esa.int/e[...]
2011
[101]
논문
Neutral Gas Composition of Enceladus' Plume – Model Parameter Insights from Cassini-INMS
https://www.hou.usra[...]
2017-03-24
[102]
웹사이트
Complex Organics Bubble up from Enceladus
https://www.jpl.nasa[...]
2018-06-27
[103]
웹사이트
Saturn Moon Enceladus Is First Alien 'Water World' with Complex Organics
https://www.space.co[...]
2018-06-27
[104]
웹사이트
NASA Finds Ingredients For Life Spewing Out Of Saturn's Icy Moon Enceladus
http://www.ndtv.com/[...]
[105]
논문
The pH of Enceladus' ocean
2015-04-16
[106]
학회발표
The chemistry of Enceladus' ocean from a convergence of Cassini data and theoretical geochemistry
http://www.hou.usra.[...]
2015-03-26
[107]
뉴스
Ocean on Saturn Moon Enceladus May Have Potential Energy Source to Support Life
http://www.space.com[...]
2015-05-07
[108]
학술지
Low-mass nitrogen-, oxygen-bearing, and aromatic compounds in Enceladean ice grains
2019-11-11
[109]
웹사이트
Organic Compounds Found in Plumes of Saturn's Icy Moon Enceladus
https://www.space.co[...]
2019-10-03
[110]
학술지
The effect of an asymmetric core on convection in Enceladus' ice shell: Implications for south polar tectonics and heat flux
2013-11
[111]
학회발표
INTERIOR THERMAL STATE OF ENCELADUS INFERRED FROM THE VISCOELASTIC STATE OF ITS ICY SHELL
http://www.hou.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6-03-21
[112]
학술지
Enceladus Near-Fissure Surface Temperatures
2013
[113]
학회발표
New Models of Endogenic Heat from Enceladus' South Polar Fractures
http://www.hou.usra.[...]
LPSC
2014-03-17
[114]
웹사이트
A Hot Start on Enceladus
http://www.astrobio.[...]
2007-03-14
[115]
웹사이트
Cassini Finds Enceladus is a Powerhouse
http://www.nasa.gov/[...]
2011-03-07
[116]
학술지
Non-steady state tidal heating of Enceladus
2014-03-14
[117]
학술지
Enceladus: An Active Ice World in the Saturn System
2013-05
[118]
학술지
Impact of tidal heating on the onset of convection in Enceladus's ice shell
2013-09
[119]
학회발표
Enceladus Heat Flow from High Spatial Resolution Thermal Emission Observations
http://meetingorgani[...]
EPSC Abstracts
2013
[120]
학술지
Association of the jets of Enceladus with the warmest regions on its south-polar fractures
2007
[121]
학술지
Tidal heating in Enceladus
2007
[122]
웹사이트
Saturn Moon Enceladus' Churning Insides May Keep Its Ocean Warm
https://www.space.co[...]
2017-11-06
[123]
웹사이트
Heating ocean moon Enceladus for billions of years
https://phys.org/new[...]
2017-11-06
[124]
학술지
Powering prolonged hydrothermal activity inside Enceladus
[125]
학술지
Tidal heating and the long-term stability of a subsurface ocean on Enceladus
2008
[126]
학술지
Enceladus' extreme heat flux as revealed by its relaxed craters
2012
[127]
웹사이트
Saturnian Moon Shows Evidence of Ammonia
http://www.jpl.nasa.[...]
2009-07-22
[128]
학술지
Liquid water on Enceladus from observations of ammonia and 40 Ar in the plume
2009-07-23
[129]
학술지
Metasomatic clathrate xenoliths as a possible source for the south polar plumes of Enceladus
http://discovery.ucl[...]
2007
[130]
학술지
Ammonia clathrate hydrates as new solid phases for Titan, Enceladus, and other planetary systems
2012-09-11
[131]
학술지
Parameterized model of convection driven by tidal and radiogenic heating
2006
[132]
학술지
Strong tidal dissipation in Saturn and constraints on Enceladus' thermal state from astrometry
2012-05-22
[133]
뉴스
The Whole Enceladus: A new place to search for life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phschool.[...]
2006-04-15
[134]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early evolution of Enceladus
2014-12
[135]
학회발표
Mass loss as a driving mechanism of tectonics of Enceladus
2030.pdf
2015
[136]
웹사이트
Moons of Saturn may be younger than the dinosaurs
http://www.astronomy[...]
2016-03-25
[137]
웹사이트
Enceladus' ocean right age to support life
https://earthsky.org[...]
2019-07-17
[138]
학술지
Planetary science: Enceladus' hot springs
2015-03-12
[139]
웹사이트
Ocean on Saturn Moon Enceladus May Have Potential Energy Source to Support Life
http://www.space.com[...]
2015-05-07
[140]
웹사이트
Enceladus Has Potentially Life-Giving Hydrothermal Activity
http://news.discover[...]
2015-03-12
[141]
논문
Some remarks on the early evolution of Enceladus
[142]
뉴스
Proposed NASA mission to Saturn moon: If there's life, we'll find it
http://www.csmonitor[...]
2015-09-16
[143]
학회발표
Including Cassini's Gravity Measurements from the Flybys E9, E12, E19 into Interior Structure Models of Enceladus
http://meetingorgani[...]
EPSC Abstracts
2014-09-07
[144]
웹사이트
Czechowski (2014). Enceladus: a cradle of life of the Solar System? Geophysical Research Abstracts Vol. 16, EGU2014-9492-1
http://meetingorgani[...]
[145]
웹사이트
A Perspective on Life on Enceladus: A World of Possibilities
http://www.nasa.gov/[...]
2008-03-26
[146]
웹사이트
Enceladus: home of alien lifeforms?
https://www.theguard[...]
2012-07-29
[147]
웹사이트
Warm Oceans on Saturn's Moon Enceladus Could Harbor Life
http://blogs.discove[...]
2015-03-12
[148]
논문
Habitability of Enceladus: Planetary Conditions for Life
http://web.gps.calte[...]
[149]
뉴스
Ocean on Saturn's moon Enceladus could be rich in a key ingredient for life
https://physicsworld[...]
2022-10-11
[150]
논문
Abundant phosphorus expected for possible life in Enceladus's ocean
2022-09-27
[151]
논문
Detection of phosphates originating from Enceladus's ocean
2023-06-14
[152]
웹사이트
NASA Astrobiology Strategy
https://nai.nasa.gov[...]
[153]
뉴스
A 'Soda Ocean' on a Moon of Saturn Has All the Ingredients for Life
https://www.nytimes.[...]
2023-06-14
[154]
뉴스
Poison Gas Hints at Potential for Life on an Ocean Moon of Saturn
https://www.nytimes.[...]
2023-12-14
[155]
논문
Detection of HCN and diverse redox chemistry in the plume of Enceladus
2023-12-14
[156]
뉴스
Conditions for Life Detected on Saturn Moon Enceladus
https://www.nytimes.[...]
2017-04-13
[157]
뉴스
NASA: Ocean on Saturn moon may possess life-sustaining hydrothermal vents
https://www.pbs.org/[...]
[158]
웹사이트
NASA finds more evidence that the ocean on Enceladus could support alien life
https://www.theverge[...]
2017-04-13
[159]
뉴스
NASA Missions Provide New Insights into 'Ocean Worlds'
https://www.nasa.gov[...]
2017-04-13
[160]
뉴스
NASA finds ingredients for life spewing out of Saturn's icy moon Enceladus
https://www.washingt[...]
2017-04-13
[161]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Description
http://pds-rings.set[...]
SETI
1997-02-19
[162]
웹사이트
Enceladus: Evolution and Possible Relationship to Saturn's E-ring
http://articles.adsa[...]
1981
[163]
뉴스
Did Voyager 1 capture an image of Enceladus' plumes erupting?
https://www.planetar[...]
2017-02-21
[164]
서적
Satellites of the Outer Planets: Worlds in their own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65]
웹사이트
Cassini's Tour of the Saturn System
http://www.planetary[...]
[166]
웹사이트
Tour de Saturn Set For Extended Play
http://www.spacedail[...]
2007-02-05
[167]
웹사이트
Deepest-Ever Dive Through Enceladus Plume Completed
http://saturn.jpl.na[...]
2015-10-28
[168]
웹사이트
Cassini Images of Enceladus Suggest Geysers Erupt Liquid Water at the Moon's South Pole
http://ciclops.org/v[...]
[169]
웹사이트
The search for life – from Venus to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theguardi[...]
2020-09-20
[170]
학회발표
JET: Journey to Enceladus and Titan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1
[171]
웹사이트
Cost Capped Titan-Enceladus Proposal
http://futureplanets[...]
2011-03-21
[172]
논문
A lander mission to probe subglacial water on Saturn's moon Enceladus for life
https://www.research[...]
2015-02
[173]
뉴스
Exciting New 'Enceladus Explorer' Mission Proposed to Search for Life
http://www.universet[...]
2012-02-29
[174]
웹사이트
Searching for life in the depths of Enceladus
http://www.dlr.de/dl[...]
German Aerospace Center (DLR)
2012-02-22
[175]
학회발표
Enceladus Life Finder: The search for life in a habitable moon
http://www.hou.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176]
뉴스
Diverse destinations considered for new interplanetary probe
http://spaceflightno[...]
2015-04-06
[177]
저널
Follow the Plume: The Habitability of Enceladus
https://zenodo.org/r[...]
2014-04-15
[178]
컨퍼런스
Low Cost Enceladus Sample Return Mission Concept
http://lcpm10.caltec[...]
2013-06-18
[179]
뉴스
Saturn Moon Enceladus Eyed for Sample-Return Mission
http://www.space.com[...]
2012-12-06
[180]
저널
LIFE: Life Investigation For Enceladus – A Sample Return Mission Concept in Search for Evidence of Life
http://discoveringen[...]
2012-08
[181]
웹사이트
TandEM (Titan and Enceladus Mission) Workshop
http://sci.esa.int/s[...]
2008-02-07
[182]
뉴스
Jupiter in space agencies' sights
http://news.bbc.co.u[...]
2009-02-18
[183]
뉴스
Private mission may get us back to Enceladus sooner than NASA
https://www.newscien[...]
[184]
뉴스
'Looking for a smoking gun': Russian billionaire to fund alien-hunting mission to Saturn moon
https://firenewsfeed[...]
[185]
뉴스
NASA to support initial studies of privately funded Enceladus mission
https://spacenews.co[...]
2018-11-09
[186]
웹사이트
NASA to support initial studies of privately funded Enceladus mission
https://spacenews.co[...]
2018-11-09
[187]
웹사이트
Billionaire aims to jump-start search for alien life and rewrite rules of space exploration
https://www.nbcnews.[...]
2018-12-19
[188]
웹사이트
A different trajectory for funding space science missions
http://thespacerevie[...]
2018-11-12
[189]
뉴스
Planetary science decadal endorses Mars sample return, outer planets missions
https://spacenews.co[...]
2022-04-19
[190]
웹사이트
EAGLE: Mission Overview
https://www.lpi.usra[...]
2006-11
[191]
보고서
Titan and Enceladus $1B Mission Feasibility Study
https://www.lpi.usra[...]
NASA
2007-01-30
[192]
웹사이트
Enceladus Mission Options
http://futureplanets[...]
2011-06-20
[193]
서적
2011 Aerospace Conference
IEEE
2011-03-05
[194]
웹사이트
Planetary Science Decadal Survey Enceladus Orbiter
http://sites.nationa[...]
NASA
2010-05
[195]
뉴스
Discovery Missions for an Icy Moon with Active Plumes
http://www.planetary[...]
2014-04-03
[196]
뉴스
IceMole Drill Built to Explore Saturn's Icy Moon Enceladus Passes Glacier Test
http://www.space.com[...]
2015-04-07
[197]
저널
LIFE – Enceladus Plume Sample Return via Discovery
http://www.hou.usra.[...]
[198]
저널
Explorer of Enceladus and Titan (E2T): Investigating the habitability and evolution of ocean worlds in the Saturn system
[199]
뉴스
Proposed New Frontiers Missions
http://futureplanets[...]
2017-08-04
[200]
뉴스
Cassini: The legend and legacy of one of NASA's most prolific missions
http://www.spaceflig[...]
2017-09-17
[201]
문서
Photograph of Enceladus, taken by the narrow-angle camera of the Imaging Science Subsystem (ISS) aboard Cassini, during the spacecraft’s October 28, 2015, flyby.
[202]
문서
Without samples to provide absolute age determinations, crater counting is currently the only method for determining surface age on most planetary surfaces.
[203]
저널
Thermal inertia and bolometric Bond albedo values for Mimas, Enceladus, Tethys, Dione, Rhea and Iapetus as derived from Cassini/CIRS measurements
2010
[204]
저널
Cassini Observes the Active South Pole of Enceladus
https://authors.libr[...]
2006-03-10
[205]
서적
Saturn from Cassini-Huygens
[206]
저널
Enceladus: Cosmic Graffiti Artist Caught in the Act
2007-02-09
[207]
웹사이트
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
http://www.oarval.or[...]
2007-04-15
[208]
저널
Including Cassini gravity measurements from the flyby E9, E12, E19 into interior structure models of Enceladus. Presented at EPSC 2014-676
2014-04
[209]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210]
웹사이트
태양계내 위성표
https://www.kahaku.g[...]
국립과학박물관
[211]
웹사이트
天文学辞典 エンセラダス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3-09
[212]
웹사이트
JAXA 宇宙情報センター:土星の衛星
https://web.archive.[...]
[213]
논문
Account of the Discovery of a Sixth and Seventh Satellite of the Planet Saturn; With Remarks on the Construction of Its Ring, Its Atmosphere, Its Rotation on an Axis, and Its Spheroidical Figure
1790
[214]
웹사이트
Planetary Body Names and Discoverers
http://planetaryname[...]
2006-03-22
[215]
웹사이트
宇宙情報センター / SPACE INFORMATION CENTER
https://web.archive.[...]
[216]
웹사이트
Cassini at Enceladus
http://www.sciencema[...]
사이언스
2006-03-10
[217]
웹사이트
Enceladus Geysers Mask the Length of Saturn's Day
http://www.jpl.nasa.[...]
[218]
서적
地球外生命 われわれは孤独か
岩波新書
[219]
웹사이트
Cassini Tastes Organic Material at Saturn's Geyser Moon
http://www.jpl.nasa.[...]
NASA
2008-03-26
[220]
웹사이트
塩から探る、エンケラドスの海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09-06-29
[221]
웹사이트
Plumbs the Depths of the Enceladus Sea
http://www.sciencema[...]
사이언스
2014-04-04
[222]
웹사이트
NASA Space Assets Detect Ocean inside Saturn Moon
http://www.jpl.nasa.[...]
NASA
2014-04-03
[223]
논문
The Gravity Field and Interior Structure of Enceladus
http://www.sciencema[...]
2014-04-04
[224]
뉴스
土星の衛星の海に生命に必須の元素 高濃度のリン発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06-15
[225]
웹사이트
土星衛星エンセラダスの地下海に海底熱水活動!-生命生息可能環境を宇宙に発見-
http://www.k.u-tokyo[...]
東京大学大学院新領域創成科学研究科
[226]
논문
Detection of phosphates originating from Enceladus’s ocean
2023-06-14
[227]
간행물
土星の衛星で生命の材料を発見
뉴턴프레스
2023-09-07
[228]
웹사이트
土星衛星エンセラダスの海に生命必須元素リンが異常濃集 生命誕生の鍵を宇宙で突き止める
https://www.titech.a[...]
東京工業大学
2023-06-15
[229]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https://ssd.jpl.nasa[...]
제트추진연구소
[230]
웹사이트
Cassini Finds Global Ocean in Saturn's Moon Enceladus
https://www.nasa.gov[...]
미국항공우주국
2015-09-16
[231]
웹사이트
In Depth | Enceladus – Solar System Exploration: NASA Science
https://solarsystem.[...]
미국항공우주국
2018-04-09
[232]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Mean Orbital Parameters
https://ssd.jpl.nasa[...]
제트추진연구소
2013-08-23
[233]
논문
Cassini Observes the Active South Pole of Enceladus
2006-03-10
[234]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 Enceladus: Facts & Figures
http://solarsystem.n[...]
NASA
2013-08-12
[235]
논문
Saturn from Cassini-Huygens
[236]
논문
The Gravity Field of the Saturnian System from Satellite Observations and Spacecraft Tracking Data
https://iopscience.i[...]
2006-12
[237]
논문
Enceladus: Cosmic Graffiti Artist Caught in the Act
http://www.sciencema[...]
2007-02-09
[238]
논문
Thermal inertia and bolometric Bond albedo values for Mimas, Enceladus, Tethys, Dione, Rhea and Iapetus as derived from Cassini/CIRS measurements
2010
[239]
논문
Cassini Encounters Enceladus: Background and the Discovery of a South Polar Hot Spot
2006
[240]
논문
Identification of a Dynamic Atmosphere at Enceladus with the Cassini Magnetometer
2006
[241]
논문
Enceladus' Water Vapor Plume
2006
[242]
논문
Cassini Ion and Neutral Mass Spectrometer: Enceladus Plume Composition and Structure
2006
[243]
논문
Description of a Forty-Feet Reflecting Telescope. By William Herschel, LL. D. F. R. S.
[244]
논문
Satellites of Saturn
[245]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ategories for Naming Features on Planets and Satellites
https://planetarynam[...]
국제천문연맹
[246]
논문
The composition of Saturn's E ring
2007-06
[247]
논문
Tidal viscosity of Enceladus
http://www.sciencedi[...]
2018-01-01
[248]
논문
Dissipation in a tidally perturbed body librating in longitude
https://www.scienced[...]
2018-05-15
[249]
웹사이트
Saturn's moon Enceladus surprisingly comet-like
https://www.newscien[...]
뉴・사이언티스트
2008-03-26
[250]
논문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Saturn's E ring
2012
[251]
웹사이트
Cassini visits Enceladus: New light on a bright world
https://www.research[...]
CSA
2006-07
[252]
논문
Saturn's E ring: I. CCD observations of March 1980
1981-07
[253]
논문
Ring and plasma: Enigmae of Enceladus
1983
[254]
논문
The E ring of Saturn and satellite Enceladus
http://onlinelibrary[...]
1984
[255]
서적
Solar System Update
https://www.springer[...]
Springer Science
2006-08-23
[256]
논문
Cassini Dust Measurements at Enceladus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the E ring
2006
[257]
뉴스
Enceladus is Supplying Ice to Saturn's A-Ring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2-05
[258]
서적
Satellites of the Outer Planets: Worlds in their own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59]
뉴스
Cracks on Enceladus Open and Close under Saturn's Pull
http://www.nasa.gov/[...]
NASA
2007-05-17
[260]
논문
Enceladus' global geology as seen by Cassini ISS
2005
[261]
논문
26Al in the Saturnian System – New Interior Models for the Saturnian satellites
2005
[262]
논문
Thermal evolu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icy satellites, and minor icy planets in the early solar system
http://onlinelibrary[...]
[263]
학회발표
A New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Evolution of Saturnian Icy Satellites from Cassini Observations
http://www.lpi.usra.[...]
2006
[264]
논문
Enceladus: Present internal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by early and long-term radiogenic heating
2007
[265]
논문
Including Cassini gravity measurements from the flyby E9, E12, E19 into interior structure models of Enceladus. Presented at EPSC 2014-676
2014-04
[266]
웹사이트
Enceladus rains water onto Saturn
https://www.esa.int/[...]
유럽우주기구
2011
[267]
뉴스
Astronomers find hints of water on Saturn moon
http://www.news9.com[...]
2008-11-27
[268]
논문
A salt-water reservoir as the source of a compositionally stratified plume on Enceladus
[269]
논문
Neutral Gas Composition of Enceladus’ Plume – Model Parameter Insights from Cassini-INMS
https://www.hou.usra[...]
2017-03-24
[270]
논문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from the depths of Enceladus
https://www.nature.c[...]
2018-06-27
[271]
웹사이트
NASA Space Assets Detect Ocean inside Saturn Moon
http://www.jpl.nasa.[...]
2014-04-03
[272]
논문
Icy Enceladus hides a watery ocean
http://www.nature.co[...]
2014-04-03
[273]
논문
The Gravity Field and Interior Structure of Enceladus
http://www.sciencema[...]
2014-04-04
[274]
웹사이트
Ocean discovered on Enceladus may be best place to look for alien lif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4-03
[275]
논문
Enceladus's measured physical libration requires a global subsurface ocean
http://www.sciencedi[...]
[276]
웹사이트
Cassini Finds Global Ocean in Saturn's Moon Enceladus
http://www.nasa.gov/[...]
[277]
논문
Cassini finds molecular hydrogen in the Enceladus plume: Evidence for hydrothermal processes
[278]
뉴스
Conditions for Life Detected on Saturn Moon Enceladus
https://www.nytimes.[...]
2017-04-13
[279]
뉴스
NASA Missions Provide New Insights into 'Ocean Worlds'
https://www.nasa.gov[...]
2017-04-13
[280]
논문
Comparison of Early Evolutions of Mimas and Enceladus
[281]
논문
Parameterized model of convection driven by tidal and radiogenic heating
2006
[282]
논문
Strong tidal dissipation in Saturn and constraints on Enceladus' thermal state from astrometry
https://iopscience.i[...]
2012-05-22
[283]
뉴스
The Whole Enceladus: A new place to search for life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phschool.[...]
2006-04-15
[284]
논문
Some remarks on the early evolution of Enceladus
2014-12
[285]
웹사이트
Planetary Body Names and Discoverers
http://planetaryname[...]
[286]
간행물
Account of the Discovery of a Sixth and Seventh Satellite of the Planet Saturn; With Remarks on the Construction of Its Ring, Its Atmosphere, Its Rotation on an Axis, and Its Spheroidical Figure
1790
[287]
웹사이트
http://adsabs.harvar[...]
[288]
웹사이트
http://www.space.com[...]
[289]
웹사이트
http://planetaryname[...]
[290]
웹사이트
http://www.nytimes.c[...]
[291]
웹사이트
http://www.sciencema[...]
[29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pl.nasa.[...]
2015-06-28
[29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5-06-28
[294]
뉴스
토성의 달에 큰 바다 … 생명체 있을까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4-04-04
[295]
웹인용
Cassini Images of Enceladus Suggest Geysers Erupt Liquid Water at the Moon’s South Pole
https://web.archive.[...]
2009-06-27
[296]
웹사이트
http://www.space.com[...]
[297]
웹사이트
http://www.sciencema[...]
[298]
웹사이트
http://onlinelibrary[...]
[299]
웹사이트
http://www.jpl.nasa.[...]
[300]
웹사이트
http://www.geoinf.fu[...]
[301]
웹사이트
http://www.esa.int/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북서 태평양 ‘9천미터 심해’ 생태계… “지금껏 본 적 없는 형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