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테로박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테로박터는 락토오스를 발효하여 가스를 생성하는 세균 속이다. 산화효소와 인돌 시험에서 음성 반응을 보이며, 유레이스 시험 결과는 다르다. 엔테로박터는 부착, 생물막 형성, 단백질 수출 및 운동성을 가지며, 내독소를 생성한다. 이 세균은 호흡기 감염, 심내막염, 균혈증, 요로 감염, 골수염 등 병원 내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객담, 혈액, 상처 및 대변에서 발견된다. 치료는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다르며, 세페핌, 이미페넴, 아미카신, 퀴놀론 항생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화시엔테로박터와 추안덴시스 엔테로박터는 항생제 내성 특성을 보인다. 또한, 2012년 연구에 따르면 클로아케 엔테로박터 B29가 고도 비만 환자의 비만에 기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내세균과 - 크로노박터
크로노박터는 2007년에 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서 재분류된 그람 음성 세균 속으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며 신생아나 유아에게 균혈증,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고, 크로노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러 종으로 분류된다. - 장내세균과 - 폐렴막대균
폐렴막대균은 면역력 저하 환자에게 폐렴을 유발하는 그람 음성균으로, 항생제 내성 균주 증가와 고병원성 변종 출현으로 임상적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 세균의 속 - 크로노박터
크로노박터는 2007년에 엔테로박터 사카자키에서 재분류된 그람 음성 세균 속으로,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며 신생아나 유아에게 균혈증, 수막염, 괴사성 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고, 크로노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러 종으로 분류된다. - 세균의 속 - 시트로박터
시트로박터는 시트르산을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유당을 발효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고 인간의 창자 내에 서식하며, 드물게 기회 감염 병원체로 작용하여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가질 수 있는 세균 속이다. - 그람 음성균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그람 음성균 - 리케차
리케차는 사람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의 한 종류이며, 혈관 내피 세포에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치료하며, 로키산 홍반열 등을 연구하다 사망한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엔테로박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Enterobacter |
| 명명자 | Hormaeche & Edwards 1960 |
| 이명 | Cloaca Castellani & Chalmers, 1919 Aerobacter Hormaeche & Edwards, 1958 |
| 분류 | |
| 도메인 | 세균 |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문 |
| 강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
| 목 | 엔테로박터목 |
| 과 | 장내세균과 |
| 종 | |
| 종 목록 | E. aerogenes E. amnigenus E. arachidis E. asburiae E. bugandensis E. cancerogenus E. cloacae E. cowanii E. dissolvens E. gergoviae E. helveticus E. hormaechei E. intermedius E. kobei E. ludwigii E. mori E. nimipressuralis E. oryzae E. pulveris E. pyrinus E. radicincitans E. taylorae E. turicensis E. soli |
2. 생화학적 특징
엔테로박터속은 35~37°C의 담즙염과 세정제가 있는 환경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생성한다. 산화효소 음성, 인돌 음성이며 유레이스 시험 결과는 다양하다.[13][14]
엔테로박터속은 35~37°C의 담즙염과 세정제가 있는 환경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만들 수 있다. 산화효소 음성, 인돌 음성이며 유레이스 시험 결과는 편차가 있다.[13][14]
엔테로박터는 호흡기 감염, 심내막염, 균혈증, 요로 감염, 골수염을 포함한 흔한 병원 내 감염과 관련이 있다.[8] 병원성 균주는 환자의 객담, 혈액, 상처 및 대변에서 발견되었다.
치료는 그 지역의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다르다. 4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인 세페핌,[15] 카바페넴의 일종인 이미페넴 등을 종종 치료에 쓸 수 있다. 아미카신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도 아주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퀴놀론 항생제는 치료 시 대안이 될 수 있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고도 비만 환자의 장내에 ''클로아케 엔테로박터(Enterobacter cloacae)'' B29가 존재하면 환자의 비만에 기여할 수 있다. 환자의 장내 세균 부하를 35% ''E. cloacae'' B29에서 검출 불가 수준으로 줄이자 환자의 내독소 부하가 병행하여 감소했고 이와 함께 체중이 현저하게 감소했다.[10] 또한, 환자로부터 분리한 동일한 세균 균주가 고지방 식단을 섭취하는 무균 C57BL/6J 마우스에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했다. 이 연구는 ''E. cloacae'' B29가 내독소 유도, 염증 매개 메커니즘을 통해 인간 숙주에서 비만에 기여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10]
[1]
논문
Genome based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Enterobacteriales': proposal for Enterobacterales ord. nov. divided into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fam. nov., Pectobacteriaceae fam. nov., Yersiniaceae fam. nov., Hafniaceae fam. nov., Morganellaceae fam. nov., and Budviciaceae fam. nov.
2016
3. 병원성 특징
엔테로박터속 세균의 편모는 부착, 생물막 형성, 단백질 수출 및 운동성에 사용된다. 균주 사이에서 미생물 속은 종에 고유한 내독소를 생성한다.[7]
그람 음성 세균으로서, 리포다당류 캡슐은 식균 작용을 피하는 데 도움을 주며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4. 임상 증상
엔테로박터 균혈증은 발열로 나타나지만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및 쇼크로 진행될 수 있다.[8] 엔테로박터 폐렴의 경우, 기침과 숨가쁨이 증상으로 나타난다.[8]
5. 치료
''화시엔테로박터''와 ''추안덴시스 엔테로박터''는 특히 항생제 내성 특성을 보이는 두 개의 최근에 발견된 종이다.[9]
6. 비만과의 연관성
참조
[2]
논문
Freshwater-Borne Bacteria Isolated from a Malaysian Rainforest Waterfall Exhibiting Quorum Sensing Properties
2014-06-13
[3]
논문
Water Microbiology. Bacterial Pathogens and Water.
[4]
웹사이트
ISS microbes should be monitored to avoid threat to astronaut health
https://www.eurekale[...]
2018-11-22
[5]
논문
Multi-drug resistant Enterobacter bugandensis species isolated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nd comparative genomic analyses with human pathogenic strains
2018-11-23
[6]
문서
"Chapter 143. Diseases Caused by Gram-Negative Enteric Bacilli"
[7]
논문
Enterobacter spp.: Update on Taxonomy, Clinical Aspects, and Emerging Antimicrobial Resistance
2019-07-17
[8]
서적
Enterobacter Infections. In: StatPearls Publishing, Treasure Island (FL)
https://europepmc.or[...]
2022
[9]
논문
Enterobacter huaxiensis sp. nov. and Enterobacter chuandaensis sp. nov., recovered from human blood
2018-10-19
[10]
논문
An opportunistic pathogen isolated from the gut of an obese human causes obesity in germfree mice
2012-12-13
[11]
논문
Genome based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Enterobacteriales': proposal for Enterobacterales ord. nov. divided into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fam. nov., Pectobacteriaceae fam. nov., Yersiniaceae fam. nov., Hafniaceae fam. nov., Morganellaceae fam. nov., and Budviciaceae fam. nov.
2016
[12]
논문
Freshwater-Borne Bacteria Isolated from a Malaysian Rainforest Waterfall Exhibiting Quorum Sensing Properties
2014-06-13
[13]
논문
Water Microbiology. Bacterial Pathogens and Water.
[14]
문서
"Chapter 143. Diseases Caused by Gram-Negative Enteric Bacilli"
[15]
논문
Cefepime Therapy for Monomicrobial Enterobacter cloacae Bacteremia: Unfavorable Outcomes in Patients Infected by Cefepime-Susceptible Dose-Dependent Isolates
https://journals.asm[...]
201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