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음(Spiritual but not Religious, SBNR)"은 종교적 제도에 소속되지 않으면서 영적인 면을 추구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6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2000년 스벤 얼란드슨에 의해 미국 사회 운동으로 묘사되었다. SBNR은 낭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적 체험 정의와 연결된다. 퓨 연구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종교가 없는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 중 상당수가 SBNR을 자처한다. SBNR 현상은 탈제도화, 개인주의, 세계화와 같은 사회문화적 추세와 관련 있으며, 세대 교체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린다 메르칸테는 SBNR을 이탈자, 캐주얼, 탐험가, 탐구자, 이민자로 분류하고, SBNR은 페미니즘적 영성, 신이교주의 등과 관련된다. SBNR은 종교계로부터 소비주의적이고 자기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SBNR 담론이 식민주의적 타자화를 수행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영어에서 "religious(종교적)"와 "spiritual(영적)"이라는 단어는 종교 개념의 모든 측면을 설명할 때 동의어로 사용되었다.[47] 그러나 러셀 맥커천 같은 학자들은 "종교"라는 용어가 "인간 활동과 생산의 다양하고 구별되는 영역"을 명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주장하는 등, "종교"라는 용어의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종교학은 종교에 대한 단일 정의에조차 합의하지 못하고 있으며, 영성은 종교와 많은 부분이 겹치는 개념이기에 마찬가지로 정의에 대한 합의를 얻기 어렵다.[48]
SBNR은 제도화된 종교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면서도 개인적인 영성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로버트 우스노우(Robert Wuthnow)는 영성이 서구 사회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많은 사람에게 종교와 영성에 대한 생각은 회중에서 보고 행하는 것에 의해 인도되며, 더 깊은 수준에서 개인의 자아 정체성 및 하나님께 사랑받는다는 느낌과 관련된다.[17]
2. 기원과 통계적 연구
"종교적이지 않지만 영적인(SBNR)"이라는 표현은 1960년대 인류학 논문[49]과 친바우어 등의 "종교성과 영성: 애매한 것을 풀어내기"라는 학술 논문[50] 등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스벤 얼란드슨이 ''Spiritual but not Religious''라는 책에서 SBNR을 미국 사회 운동으로 묘사했다.[51][52][53] SBNR 현상은 1960년대 낭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윌리엄 제임스가 정의한 종교적 체험과 연결된다. 낭만주의 운동은 전통 종교에서 벗어나 신비롭고 비정통적이며 이국적인 방식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어 영적 운동과 유사하다.[54]
퓨 연구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종교가 없는 미국인의 수는 2007년 15%에서 2012년 20%로 증가했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7년 퓨 연구센터는 미국 인구의 27%가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다고 추정했다.[55] 케네스 파르가멘트와 같은 학자들은 "영성"에 대한 관심 증가가 탈제도화, 개인화, 세계화를 향한 사회문화적 추세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56] 세대 교체 또한 종교적 무소속인의 성장에 중요한 요소이며, 밀레니얼 세대 (1990 – 1994년 출생)와 X세대 (1965 – 1980년 출생)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다.[57] 인구통계학적 연구에 따르면 종교적으로 무소속인 인구는 주로 젊고 남성이다.[57]
SBNR의 출현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 오언 토마스는 영성 운동이 영국과 북미 문화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으며 "영"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다른 언어보다 영어에서 더 좁다고 보았다.[58] 그러나 시오반 챈들러는 '내면의 신'을 감상하는 것은 1960년대 반문화나 1980년대 뉴에이지가 아니라 역사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2. 1. 용어의 정의와 논쟁
역사적으로 영어에서 "종교적(religious)"과 "영적(spiritual)"이라는 단어는 종교 개념의 모든 측면을 설명할 때 동의어로 사용되었다.[5] 그러나 러셀 맥커천 같은 학자들은 "종교"라는 용어가 "인간 활동과 생산의 다양하고 구별되는 영역"을 명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주장하는 등, "종교"라는 용어의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종교학은 종교에 대한 단일 정의에조차 합의하지 못하고 있으며, 영성은 종교와 많은 부분이 겹치는 개념이기에 마찬가지로 정의에 대한 합의를 얻기 어렵다.[6] 린다 머칸테는 종교가 사회적 구성물이며, 다른 시대에는 종교, 문화, 국가 정체성이 종종 분리될 수 없었다고 본다. 또한, 현대 이전에는 오늘날 "영성(spirituality)"이라고 불리는 것을 "신심(piety)"이라고 불렀다고 설명한다.
"종교적이지 않지만 영적인(SBNR)"이라는 표현은 1960년대의 인류학 논문[7], 브라이언 진바우어(Brian Zinnbauer) 등이 쓴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Unfuzzying the Fuzzy(종교성과 영성: 흐릿한 것을 명확하게 하기)'[8] 같은 여러 학술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2. 2. SBNR 현상의 등장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SBNR)"이라는 표현은 1960년대 인류학 논문[49]과 친바우어 등의 "종교성과 영성: 애매한 것을 풀어내기"라는 학술 논문[50] 등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스벤 얼란드슨이 ''Spiritual but not Religious''라는 책에서 SBNR을 미국 사회 운동으로 묘사했다.[51][52][53]
SBNR 현상은 1960년대 낭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윌리엄 제임스가 정의한 종교적 체험, 즉 "고독한 개인이 신성하다고 여기는 것과 관계를 맺고 있다고 생각하는 감정, 행동, 경험"과 연결된다. 낭만주의 운동은 전통 종교에서 벗어나 신비롭고 비정통적이며 이국적인 방식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어 영적 운동과 유사하다.[54]
2. 3. 통계적 연구 및 현황
퓨 연구센터의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종교가 없는 미국인의 수는 2007년 15%에서 2012년 20%로 증가했으며, 이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57] 2017년 퓨 연구센터는 미국 인구의 27%가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다고 추정했지만, 응답자들에게 이 지정에 대해 직접 묻지는 않았다.[55]
2012년 조사에서 미국 대중의 18%와 30세 미만 성인의 3분의 1은 어떤 종교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지만, 동시에 어떤 면에서는 영적인 것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으로 관련이 없는 이들 중 37%는 자신을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는 않다''고 분류했고, 68%는 '신을 믿는다'고 말했고, 58%는 '대지와 깊게 통하는 게 있다'고 답했다.[57]
케네스 파르가멘트와 같은 학자들의 "영성"에 대한 대중적, 학문적 관심 증가는 탈제도화, 개인화, 세계화를 향한 사회문화적 추세와 관련이 있다.[56]
세대 교체 또한 종교적 무소속인의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이해되어 왔다. 젊은 밀레니얼 세대 (1990 – 1994년 출생)와 X세대 (1965 – 1980년 출생)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각각 34%와 21%가 종교적으로 무소속이라고 보고했다.[57]
인구통계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종교적으로 무소속인 인구는 주로 젊고, 남성이며, 35%가 18세에서 29세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종교적으로 무소속인 개인 중 8%만이 65세 이상이었다. 조직화된 종교와 관련이 없는 사람 중 56%가 남성이고 44%가 여성이다.[57]
SBNR의 출현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설명은 언어에서 찾을 수 있다. 오언 토마스는 영성 운동이 영국과 북미 문화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영"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다른 언어보다 영어에서 더 좁으며, 인간 고유의 모든 능력과 문화적 기능을 지칭하고 말했다.[58]
그러나 시오반 챈들러에 따르면, '내면의 신'을 감상하는 것은 1960년대 반문화나 1980년대 뉴에이지에 뿌리를 둔 20세기 개념이 아니라, 영성은 역사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개념이다.
3. SBNR의 특징
3. 1. 반(反)제도성과 개인주의
애비 데이(Abby Day)에 따르면, 종교에 비판적인 일부 사람들은 종교를 융통성이 없고 강압적이라고 여기며, 스스로를 무신론자나 불가지론자라고 묘사한다.[17] 많은 사람들에게 SBNR은 종교를 완전히 거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종교에 의해 제약받는 것을 원치 않는 것을 의미한다.[17]
린다 메르카단테(Linda Mercadante)에 따르면, SBNR은 일반적으로 종교적 신념에 대해 명확하게 반(反)교리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들은 신념이 본질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해롭거나 적어도 영성에 방해가 된다고 주장한다.
필립 D. 케네슨(Philip D. Kenneson)에 따르면, SBNR로 정체성을 밝히는 연구 대상자들 중 다수는 개인적인 영성과 기존 종교 단체 소속 간에 긴장감을 느낀다. 그들 대부분은 호기심, 지적 자유, 종교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중시한다. 많은 사람들은 조직화된 종교를 진정한 영성의 주요 적으로 간주하며, 영성은 공적 의례가 아닌 사적인 성찰과 사적인 경험이라고 주장한다. "종교적"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아브라함계 종교 전통과 관련된 제도적 함의를 전달한다. 예배에 참석하고, 미사를 드리고, 하누카 촛불을 켜는 것이다. 반대로 "영적인"이라는 것은 삶의 가장 깊은 동기와 관련된 개인적인 실천과 개인적인 권한 부여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제도적 구조에 대해 깊은 불신을 갖고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높이 평가하는 문화에서 영성은 주로 긍정적인 함의를 갖게 되었고, 종교는 더 부정적으로 여겨져 왔다.[17]
로버트 풀러(Robert Fuller)에 따르면, SBNR 현상은 지적 진보주의와 신비주의적 갈망이 혼합된 것으로, 기성 교회의 경건함에 대해 참을성이 없다.
로버트 우스노우(Robert Wuthnow)에 따르면, 영성은 교회에 다니고 교리 동의 여부 이상을 의미한다. 영성은 서구 사회에서 사람의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칭이다.
3. 2. SBNR의 분류 (린다 메르카단테)
린다 A. 메르카단테(Linda A. Mercadante)는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은(SBNR) 사람들을 다섯 가지 뚜렷한 범주로 분류한다.[18]
그러나 메르칸테의 연구는 신학자로서의 그녀의 훈련에 의해 제한된다. 그녀의 관점에서 SBNR은 신학에 무관심하지 않다. 그녀는 어떤 실행 가능한 전통이라도 신학적 핵심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므로, 그러한 믿음이 집단 기반의 신학적 핵심이 없기 때문에 SBNR은 본질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그녀의 범주는 캐주얼 신자가 아니고 조직화된 종교로 또는 조직화된 종교에서 과도기 상태가 아닌 SBNR을 무시한다.[18]
3. 3. SBNR의 실천
SBNR은 페미니즘적 영적, 종교적 사상 및 생태적 영성과 관련이 있으며,[1] 신이교주의, 위카, 샤머니즘, 드루이드교, 가이아 및 의례 마법 수행과도 관련이 있다.[1] 일부 뉴에이지 영적 수행에는 점성술, 분신사바, 타로 카드, ''주역'', 공상 과학 등이 있다.[1] SBNR의 일반적인 수행법은 명상이며, 마음챙김과 초월 명상 등이 있다.[1]
4. 비판
SBNR에 대한 비판은 주로 조직화된 종교의 관점에서 제기된다.
종교계에서는 SBNR이 세속적인 미국 소비자 문화의 산물이며, 공동체와 거리가 멀고, 자기중심적인 안주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또한 SBNR 생활 방식이 게으름의 일종이며, 공동체의 지혜와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한다.[59][60][61]
일부 비평가들은 SBNR 세계관 내에서 자기 인식과 자기 성장이 신에 대한 지식과 동일시되어 개인의 초점이 내면으로 향하게 되고, 그 결과 세상을 형성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힘이 무시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SBNR 실천이 영적으로 피상적이며, 진정한 신비주의와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한다. SBNR 학문의 지적 정당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전문적인 신학에 비해 덜 다듬어졌고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본다.
웡과 빈스키는 SBNR 담론이 종교와 영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영성'의 역사적 구성을 은폐한다고 주장한다. 서구의 '영성' 담론은 토착 영적 전통과 동양의 전통을 차용하면서도, 유색인종 집단은 '영적'이기보다는 '종교적'이라고 불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이는 식민주의적 타자화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비판한다.[22]
4. 1. 종교계의 비판
일부 조직화된 종교 대표자들은 종교성 없이 영성을 실천하는 것을 비판한다. 자유주의 개신교 목사인 릴리안 다니엘은 SBNR의 세계관을 세속적인 미국 소비자 문화의 산물로 규정하며, 이는 공동체와 거리가 멀고 "고대 종교는 지루하다고 여기지만 자신은 '독특하게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싱거운 대다수의 사람에게 딱 맞는 것"이라고 말했다.[59] 제임스 마틴 예수회 신부는 SBNR 생활방식을 "표준적인 게으름"이라고 비판하며,[60] "종교 없는 영성은 공동체의 지혜와 동떨어진 자기중심적 안주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61]4. 2. 기타 비판
일부 조직화된 종교 대표자들은 종교성 없는 영성을 비판한다. 자유주의 개신교 목사인 릴리안 다니엘은 SBNR의 세계관을 세속적인 미국 소비자 문화의 산물로 규정하고, 공동체와는 거리가 멀다고 평가했다.[19] 제임스 마틴 예수회 신부는 SBNR 생활 방식을 "명백한 게으름"이라고 비판하며, "종교 없는 영성은 공동체의 지혜와 단절된 자기 중심적인 자기 만족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20][21]다른 비평가들은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음" 세계관 내에서 자기 인식과 자기 성장이 신에 대한 지식과 동일시되어, 개인의 초점이 내면으로 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세상을 형성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힘이 무시된다고 본다. 또한, 일부 학자들은 특정 SBNR 실천의 상대적인 영적 피상성을 지적한다. 세계 주요 종교 내의 고전적인 신비주의는 지속적인 헌신을 요구하며, 종종 오랜 금욕주의, 오랜 기도 헌신, 겸손함 함양의 형태를 띤다. 반면, 서구 세계의 SBNR들은 종종 격식 없이, 엄격함이나 우선순위의 재정비가 부족한 방식으로 영적 실천에 참여하도록 장려된다. 사회학자 로버트 워스노우(Robert Wuthnow)는 이러한 형태의 신비주의가 "얕고 진정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다른 비평가들은 SBNR 학문의 지적 정당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전문적 또는 학문적 신학과 비교할 때, 영적 철학은 다듬어지지 않고, 일관성이 없거나, 출처가 불분명해 보일 수 있다고 본다.
육린 레니타 웡(Yuk-Lin Renita Wong)과 야나 빈스키(Jana Vinsky)는 종교를 "제도적이고 구조화된" 것으로, 영성을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SBNR 담론에 이의를 제기한다.[22] 그들은 이러한 이해가 "영성"의 역사적 구성을 보이지 않게 만든다고 주장하며, 현재 "영성"은 유럽 기독교를 거부함으로써 자기 정의를 내리고 있다고 본다. 그들에 따르면, 서구의 "영성" 담론은 토착 영적 전통과 동양의 "민족적" 전통을 차용하지만, 인종화된 민족 집단은 백인 SBNR 실천가에 의해 "영적"이라기보다는 "종교적"이라고 불릴 가능성이 더 높다. 웡과 빈스키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식민주의적 타자화가 SBNR 담론을 통해 수행된다고 주장한다.
5. 한국 사회와 SBNR
대한민국에서도 SBNR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6. 참고 문헌
- 시오반 챈들러(Siobhan Chandler) (2013). 〈The Way of the Spiritual Seeker〉. M. 대럴 브라이언트(M. Darrol Bryant). 《Ways of the Spirit: Celebrating Dialogue, Diversity and Spirituality》. Pandora Press.
- 로버트 C. 풀러(Robert C. Fuller) (2001). 《Spiritual, but Not Religious: Understanding Unchurched America》.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46808.
- 필립 D. 케네슨(Philip D. Kenneson) (2015). “What's in a Nam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Spiritual But Not Religious"”. 《Liturgy》 30 (3): 3–13. doi:
- 린다 A. 메르카단테(Linda A. Mercadante) (2014). 《Belief without borders: inside the minds of the spiritual but not religious》.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931002.
- 로버트 우스나우(Robert Wuthnow) (2007). 《After the baby boomers how twenty- and thirty-somethings are shaping the future of American religion》. 프린스턴: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31227.
참조
[1]
서적
Selling Spirituality: The Silent Takeover of Religion
Routledge
2004
[2]
서적
Spiritualities of Life: New Age Romanticism and Consumptive Capit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1-21
[3]
서적
The Secular Paradox : On the Religiosity of the Not Religiou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2
[4]
서적
Religion i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
[5]
간행물
Will Your Cognitive Anchor Hold in the Storms of Culture?
2010-12-01
[6]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and the Importance of Religious Studies
http://bulletin.equi[...]
2012-12-19
[7]
서적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1960
https://books.google[...]
[8]
간행물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Unfuzzying the Fuzzy
1997-12
[9]
서적
Spiritual but Not Religious: A Call to Religious Revolution in America
iUniverse
2000
[10]
웹사이트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s://www.tst.edu/[...]
2018-03-06
[11]
간행물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Movement
http://reflectorgsu.[...]
Georgia Southern University
2017-11-13
[12]
간행물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2006-01
[13]
웹사이트
"Nones" on the Rise: One-in-Five Adults Have No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pewforum.[...]
[14]
뉴스
More Americans now say they're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www.pewresear[...]
2017-09-06
[15]
간행물
'"Being Religious" or "Being Spiritual" in America: A Zero Sum Proposition?'
2002-06
[16]
간행물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2006-01
[17]
서적
Social identities between the sacred and the secular
Ashgate
2013
[18]
간행물
Review of Belief without Borders: Inside the Minds of the Spiritual but Not Religious
2015-09-29
[19]
웹사이트
Spiritual But Not Religious? Please Stop Boring Me.
https://www.huffpost[...]
2011-09-13
[20]
웹사이트
Are there dangers in being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www.cnn.com/2[...]
2010-06-09
[21]
웹사이트
Spiritual but not religious - Not so fast!: Making the case for moving beyond your own personal God
http://www.bustedhal[...]
2010-03-11
[22]
간행물
Speaking from the Margin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Spiritual-but-not-Religious' Discourse in Social Work
[23]
서적
「宗教的ではないがスピリチュアル(SBNR)」という思想について
https://hdl.handle.n[...]
[24]
서적
Spiritualities of Life: New Age Romanticism and Consumptive Capit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1-21
[25]
서적
Selling Spirituality: The Silent Takeover of Religion
Routledge
2004
[26]
간행물
Will Your Cognitive Anchor Hold in the Storms of Culture?
2010-12-01
[27]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and the Importance of Religious Studies
http://bulletin.equi[...]
2012-12-19
[28]
서적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1960
https://books.google[...]
[29]
간행물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Unfuzzying the Fuzzy
1997-12
[30]
서적
Spiritual but Not Religious: A Call to Religious Revolution in America
iUniverse
2000
[31]
웹사이트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s://www.tst.edu/[...]
2018-03-06
[32]
간행물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Movement
http://reflectorgsu.[...]
Georgia Southern University
2017-11-13
[33]
간행물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2006-01
[34]
웹사이트
'"Nones" on the Rise: One-in-Five Adults Have No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pewforum.[...]
[35]
간행물
'"Being Religious" or "Being Spiritual" in America: A Zero Sum Proposition?'
2002-06
[36]
저널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2006-01
[37]
서적
Social identities between the sacred and the secular
Ashgate
2013
[38]
웹사이트
Why Christians need the church: An interview with Lillian Daniel
http://jonathanmerri[...]
2013-08-13
[39]
웹사이트
Are there dangers in being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s://edition.cnn.[...]
2010-06-09
[40]
웹사이트
Spiritual but not religious - Not so fast!: Making the case for moving beyond your own personal God
http://www.bustedhal[...]
2010-03-11
[41]
저널
Speaking from the Margin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Spiritual-but-not-Religious' Discourse in Social Work
[42]
웹인용
미국 탈종교 현상 가속…'SBNR' 부류 급부상
https://news.koreada[...]
2024-03-02
[43]
서적
Selling Spirituality: The Silent Takeover of Religion
Routledge
[44]
서적
Spiritualities of Life: New Age Romanticism and Consumptive Capit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5]
서적
The Secular Paradox : On the Religiosity of the Not Religious
New York University Press
[46]
서적
Religion in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7]
저널
Will Your Cognitive Anchor Hold in the Storms of Culture?
[48]
웹인용
Critical Theory and the Importance of Religious Studies
http://bulletin.equi[...]
2015-12-06
[49]
서적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1960
https://books.google[...]
[50]
저널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Unfuzzying the Fuzzy
[51]
서적
Spiritual but Not Religious: A Call to Religious Revolution in America
iUniverse
[52]
웹인용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s://www.tst.edu/[...]
[53]
간행물
Georgia Southern University
[54]
저널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55]
뉴스
More Americans now say they're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www.pewresear[...]
2017-12-16
[56]
저널
"Being Religious" or "Being Spiritual" in America: A Zero Sum Proposition?
[57]
웹인용
"Nones" on the Rise: One-in-Five Adults Have No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pewforum.[...]
2015-11-17
[58]
저널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Romantic Movement
[59]
웹인용
Spiritual But Not Religious? Please Stop Boring Me.
https://www.huffpost[...]
2023-01-27
[60]
웹인용
Are there dangers in being 'spiritual but not religious'?
http://www.cnn.com/2[...]
[61]
웹인용
Spiritual but not religious - Not so fast!: Making the case for moving beyond your own personal God
http://www.bustedhal[...]
2010-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