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임금 다윗성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세실 프랜시스 알렉산더가 1848년에 작사한 찬송가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묘사한다. 이 찬송가는 헨리 존 건틀릿이 작곡한 "Irby" 곡조에 맞춰 불리며, 아서 헨리 만의 편곡을 통해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에서 사용된다. 킹스 칼리지 성가대가 녹음한 음반으로도 유명하며, 한국 개신교 찬송가 469장에 수록되어 성탄절 예배에서 널리 불린다. 가사는 누가복음 2장의 예수 탄생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노래 - 오! 수재나
스티븐 포스터가 1848년에 발표한 미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오! 수재나는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당시 금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비공식 주제가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가사에 인종차별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현대 사회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뤄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형되어 교육 자료 및 대중문화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 1848년 노래 - 핀란드의 국가
핀란드의 사실상 국가인 "마암메"는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가 스웨덴어로 작사하고 프레드리크 파시우스가 곡을 붙인 낭만주의 민족주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관례에 따라 국가의 지위를 확립해왔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 찬가 - 시온성과 같은 교회
시온성과 같은 교회는 존 뉴턴이 1779년에 발표한 찬송가이며, 시편과 이사야서를 바탕으로 하며 뉴턴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기독교 찬가 - Jesus Christ Is Risen Today
"예수 그리스도 부활했네"는 14세기 보헤미아 라틴어 찬송가를 1708년 존 밥티스트 월시가 영어로 번역하고 찰스 웨슬리가 절을 추가하고 존 아놀드가 가사를 수정하여 알렐루야 후렴구가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부활절에 부활의 기쁨을 기념하는 찬송가이다. - 크리스마스 캐럴 - 징글 벨
1857년 제임스 로드 피어폰트가 작사·작곡한 《징글 벨》은 원래 'One Horse Open Sleigh'라는 제목으로 겨울 썰매의 즐거움을 묘사한 노래이며, 크리스마스 캐롤로 널리 알려져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가 현재의 제목으로 바뀌었고, 우주에서 최초로 연주되기도 하며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크리스마스 음악이 되었다. - 크리스마스 캐럴 - 오 탄넨바움
오 탄넨바움은 16세기 민요 멜로디에 1824년 에른스트 안쉬츠가 가사를 붙여 탄생한 독일 크리스마스 캐럴로, 전나무의 충실함을 노래하다 크리스마스 노래로 변화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고 적기가 등 여러 노래의 멜로디로도 사용된다.
옛날 임금 다윗성에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찬송가 |
주제 | 크리스마스 |
가사 | 세실 프랜시스 알렉산더 |
언어 | 한국어 |
작사 연도 | 1848년 |
기반 | 성경 누가복음 2장 4-7절 |
곡조 | "Irby" - 헨리 가운틀렛 |
2. 가사
이 캐럴의 가사는 세실 프랜시스 알렉산더가 쓴 시를 바탕으로 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부터 그의 생애와 승천까지의 이야기를 서정적인 시어로 그리고 있다. 가사는 다윗 왕의 도시, 즉 베들레헴의 마구간에서 태어나 구유에 뉘인 아기 예수의 모습으로 시작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하며 자라난 그의 어린 시절, 그리고 인류를 위한 속죄와 구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원문은 영어로 되어 있으며, 여러 한국어 번역본이 존재한다. 특히 개신교 찬송가에 수록된 버전이 널리 불린다. 자세한 원문과 번역 가사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원문
wikitext1 Once in royal David's city
Stood a lowly cattle shed,
Where a mother laid her baby
In a manger for his bed:
Mary was that Mother mild,
Jesus Christ her little Child.
2 He came down to earth from heaven
Who is God and Lord of all,
And his shelter was a stable,
And his cradle was a stall:
With the poor and mean and lowly,
Lived on earth our Saviour holy.
3 And through all His wondrous childhood
He would honor and obey,
Love and watch the lowly maiden,
In whose gentle arms He lay:
Christian children all must be
Mild, obedient, good as He.
4 For he is our childhood's pattern;
Day by day like us he grew,
He was little, weak, and helpless,
Tears and smiles like us he knew:
And he feeleth for our sadness,
And he shareth in our gladness.
5 And our eyes at last shall see him
Through his own redeeming love,
For that Child so dear and gentle,
Is our Lord in heaven above:
And he leads his children on
To the place where he is gone.
6 Not in that poor lowly stable,
With the oxen standing by,
We shall see him: but in heaven,
Set at God's right hand on high,
Where like stars his children crowned,
All in white shall wait around.
1.
다윗 왕의 마을의
겸손한 마구간,
어머니는 아기를 눕혔네
곁의 구유에
어머니는 마리아
예수 그리스도는 작은 아이였다.
2.
주는 하늘에서 땅으로 오셨네
하나님, 모든 주
주가 계시는 곳은 마구간
요람은 마굿간
가난하고 멸시받는 하층민과 함께
우리의 거룩한 구세주는 머무셨네.
3.
주는 아이들처럼
날마다 성장하셨네
주는 작고, 약하고, 무력한 모습이었네
눈물도 웃음도 아셨고
슬픔도 기쁨도 아시네.
4.
우리는 마침내 주를 뵙네
주의 속죄의 사랑으로
무력해 보이는 작은 아이는
지극히 높은 하늘에 계시는 우리의 주
주는 아이들을
집으로 인도하시네
5.
그 때는 가난하고 낮은 마구간이 아닌,
가축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아닌
우리는 주를 보네. 하늘에서
하늘에서 아버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는 주
하나님의 아이들에 둘러싸여 있네
2. 2. 한국어 번역
한국어로 번역된 가사는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그중 개신교 찬송가에 수록된 4절 가사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개신교 찬송가 가사'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다른 번역본 가사는 다음과 같다:
: 1. 다윗 왕의 마을의
: 겸손한 마구간,
: 어머니는 아기를 눕혔네
: 곁의 구유에
: 어머니는 마리아
: 예수 그리스도는 작은 아이였다.
: 2. 주는 하늘에서 땅으로 오셨네
: 하나님, 모든 주
: 주가 계시는 곳은 마구간
: 요람은 마굿간
: 가난하고 멸시받는 하층민과 함께
: 우리의 거룩한 구세주는 머무셨네.
: 3. 주는 아이들처럼
: 날마다 성장하셨네
: 주는 작고, 약하고, 무력한 모습이었네
: 눈물도 웃음도 아셨고
: 슬픔도 기쁨도 아시네.
: 4. 우리는 마침내 주를 뵙네
: 주의 속죄의 사랑으로
: 무력해 보이는 작은 아이는
: 지극히 높은 하늘에 계시는 우리의 주
: 주는 아이들을
: 집으로 인도하시네
: 5. 그 때는 가난하고 낮은 마구간이 아닌,
: 가축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아닌
: 우리는 주를 보네. 하늘에서
: 하늘에서 아버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는 주
: 하나님의 아이들에 둘러싸여 있네
2. 2. 1. 개신교 찬송가 가사
: 1 옛날 임금 다윗성에 낮은 마구 있더니: 어머니가 갓난 아기 구유 안에 뉘었네
: 어머니는 마리아 그 아기는 예수라
: 2 천지 만물 지으신 주 하늘에서 오시사
: 마구간에 나시어서 구유 안에 뉘셨네
: 낮고 천한 사람들 사랑하며 사셨네
: 3 착하셔라 어릴 때에 모친 순종하시고
: 사랑으로 섬기신 것 참된 본이 되셨네
: 주님처럼 우리도 순종하며 살리라
: 4 하늘에서 오신 예수 우리 위해 죽으사
: 사망 권세 이기시고 주님 승천 하셨네
: 그가 계신 곳으로 우리 인도 하시리
3. 역사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세실 프랜시스 알렉산더가 1848년에 출판한 찬송가집 ''어린이를 위한 찬송가 (Hymns for Little Children)''에 처음으로 수록된 곡이다.[1] 이 찬송가집은 사도신경의 내용을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그중 예수의 탄생과 관련된 부분을 다루고 있다.[1]
3. 1. 기원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어린이를 위한 찬송가'라는 시집에 포함된 찬송가이다. 이 시집은 사도신경의 내용을 어린이들이 주일학교나 가정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 이 곡은 사도신경의 구절 중 "처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부분을 다루며, 예수의 탄생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1]같은 시집에는 사도신경의 다른 내용을 다루는 유명한 찬송가들도 실려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것은 밝고 아름다워라"는 "하늘과 땅을 만드신 분"과 관련된 내용을 노래하며, "저 멀리 푸른 언덕에"는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묻히셨도다"와 관련된 이야기를 다룬다.[1]
3. 2. 성공회와의 연관성
알렉산더는 성공회 성직자인 윌리엄 알렉산더와 결혼했다. 그는 나중에 데리 및 라포 주교가 되었고, 그녀가 사망한 후에는 아마 대주교가 되었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시들은 데리에 있는 세인트 콜럼바 성당의 기념 창문에 기념되어 있다.[2]4. 곡조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일반적으로 헨리 존 건틀릿이 작곡한 "Irby"라는 곡조에 맞춰 불린다.[3]
4. 1. 헨리 존 건틀릿
헨리 존 건틀릿은 1827년부터 1846년까지 런던의 여러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다. 그가 봉직했던 교회 중에는 투리 스트리트의 세인트 올라브 교회가 있으며, 1852년부터 1861년까지는 크라이스트 처치 그레이프라이어스와 유니온 채플, 이즐링턴에서도 활동했다. 그는 다수의 찬송가집을 편집했으며, 1,000곡이 넘는 찬송가 곡조를 작곡했다. 그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Irby"라는 곡조로, 찬송가 "옛날 임금 다윗성에"가 이 곡조에 맞춰 불린다.[3]1919년부터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채플에서 열리는 아홉 개의 독서와 캐롤 축제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를 시작할 때, 아서 헨리 만 박사가 편곡한 "옛날 임금 다윗성에"를 입장 찬송가로 사용한다.[2] 아서 헨리 만은 1876년부터 1929년까지 킹스 칼리지의 오르간 연주자였다.[4]
만의 편곡 버전에서는 첫 번째 절을 칼리지 성가대의 소년 성가대원이 독창으로 부른다. 두 번째 절은 성가대가 부르고, 세 번째 절부터는 회중도 함께 참여한다. 첫 번째 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오르간 반주와 함께 연주된다.
에릭 라울리는 그의 저서 ''영국 캐롤''에서 만의 편곡이 건틀릿의 원곡을 무반주로 시작하게 함으로써 예배당의 음향적 특성을 살리고 작품의 분위기를 바꾸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 섬세한 처리 덕분에, 가정적인 분위기의 어린이 찬송가가 엄청난 공간감을 지닌 행진곡으로 변모했다"고 언급했다.[5]
킹스 칼리지 성가대의 전통에 따라, 이 찬송가의 독창자는 보통 방송 시작 직전에 지휘자가 그날 가장 좋은 목소리 상태를 가진 단원을 선정하여 결정한다.[6]
이 캐롤은 보리스 오드가 지휘하는 킹스 칼리지 성가대가 1948년에 EMI 레이블로 발매한 첫 번째 음반에 수록되었다.[7]
4. 2. 아서 헨리 만의 편곡
1919년부터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채플에서 열리는 아홉 개의 독서와 캐롤 축제는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를 시작할 때, 아서 헨리 만 박사가 편곡한 "옛날 임금 다윗성에"를 입장 찬송가로 사용한다.[2] 만은 1876년부터 1929년까지 킹스 칼리지의 오르간 연주자였다.[4]만의 편곡에서는 첫 번째 절은 칼리지 성가대의 소년 성가대에 의해 독창으로 불린다. 두 번째 절은 성가대에 의해 불리고, 회중은 세 번째 절에 함께 참여한다. 첫 번째 절을 제외하고, 찬송가는 오르간 반주와 함께 연주된다.
에릭 라울리는 그의 저서 ''영국 캐롤''에서 만이 건틀릿의 원래 찬송가를 무반주로 편곡한 것이 예배당의 음향 공간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작품의 성격을 변화시켰다고 언급한다. "그 섬세한 솜씨로 그 편곡은 가정적인 어린이 찬송가를 엄청난 공간감을 가진 행진곡으로 바꾼다."[5]
킹스 칼리지 성가대의 전통에 따르면, 이 찬송가의 독창자는 보통 방송 시작 직전, 지휘자가 그날 목소리가 가장 좋은 사람을 결정한 후 선택된다.[6]
이 캐롤은 보리스 오드 지휘 아래의 킹스 칼리지 성가대가 1948년 EMI를 위해 녹음한 첫 번째 음반이었다.[7]
5. 현대적 사용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크리스마스를 대표하는 캐럴 중 하나로, 전 세계의 기독교 예배와 행사에서 널리 불린다.[2] 특히 영국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채플에서는 1919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열리는 아홉 개의 독서와 캐롤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입장 찬송가로 사용되는 오랜 전통이 있다.[2] 한국 개신교에서도 찬송가에 수록되어 성탄절에 자주 불리며,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겸손한 삶을 기리는 중요한 노래로 자리 잡았다.
5. 1. 킹스 칼리지 채플
1919년부터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채플에서 열리는 아홉 개의 독서와 캐롤 축제는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 시작 시, 아서 헨리 만 박사가 편곡한 "옛날 임금 다윗성에"를 입장 찬송가로 사용하는 전통이 있다.[2] 만은 1876년부터 1929년까지 킹스 칼리지의 오르간 연주자였다.[4]만의 편곡에서 첫 번째 절은 칼리지 성가대의 소년 성가대원이 독창으로 부른다. 두 번째 절은 성가대가 부르고, 회중은 세 번째 절부터 함께 부른다. 첫 번째 절을 제외하면 오르간 반주가 함께한다.
에릭 라울리는 저서 ''영국 캐롤''에서, 만이 건틀릿의 원곡을 무반주로 편곡하여 예배당의 음향 공간을 살리면서 작품의 성격을 변화시켰다고 언급했다. "그 섬세한 솜씨로 그 편곡은 가정적인 어린이 찬송가를 엄청난 공간감을 가진 행진곡으로 바꾼다."[5]
킹스 칼리지 성가대의 전통에 따라, 이 캐럴의 첫 절 독창자는 보통 방송 시작 직전에 지휘자가 그날 목소리가 가장 좋은 소년 성가대원을 선정한다.[6]
이 캐럴은 보리스 오드가 지휘하는 킹스 칼리지 성가대가 1948년 EMI에서 처음으로 녹음한 음반이기도 하다.[7]
5. 2. 음반
이 캐럴은 보리스 오드 지휘 아래 킹스 칼리지 성가대가 1948년 EMI를 위해 녹음한 첫 번째 음반이었다.[7]5. 3. 한국 개신교
한국 개신교에서는 찬송가에 수록되어 성탄절 예배나 관련 행사에서 자주 불리는 캐럴이다. 이 캐럴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그의 겸손한 삶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어, 한국 교인들에게 신앙적 의미와 감동을 전달한다.가사는 예수가 다윗의 고향인 베들레헴의 낮은 마구간 구유에서 태어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옛날 임금 다윗성에 낮은 마구 있더니 / 어머니가 갓난 아기 구유 안에 뉘었네"라는 첫 구절은 예수 탄생의 배경을 보여준다. 또한, "천지 만물 지으신 주 하늘에서 오시사 / 마구간에 나시어서 구유 안에 뉘셨네 / 낮고 천한 사람들 사랑하며 사셨네"라는 가사를 통해 성육신의 신비와 예수가 보여준 겸손, 그리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이들에 대한 사랑을 강조한다.
이 캐럴은 예수의 어린 시절 순종("착하셔라 어릴 때에 모친 순종하시고")과 그의 삶이 신자들에게 주는 교훈("주님처럼 우리도 순종하며 살리라"), 그리고 예수의 죽음과 부활, 승천을 통한 구원의 약속("하늘에서 오신 예수 우리 위해 죽으사 / 사망 권세 이기시고 주님 승천 하셨네 / 그가 계신 곳으로 우리 인도 하시리")까지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 교회에서는 성탄절을 맞아 이 캐럴을 부르며 예수 탄생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의 삶을 본받고자 다짐하는 시간을 갖는다.
6. 관련 성경 구절
이 찬송가는 누가복음 2장에 기록된 예수의 탄생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다. 해당 장에는 다윗의 동네 베들레헴에서 마리아가 예수를 낳아 구유에 뉘인 사건과 천사가 목자들에게 나타나 그리스도의 탄생 소식을 전하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6. 1. 누가복음 2장 (개역개정)
가이사 아구스도가 천하에 호적 명령을 내렸을 때, 요셉은 다윗의 후손이었으므로 약혼자 마리아와 함께 갈릴리 나사렛을 떠나 다윗의 고향인 유대 베들레헴으로 향했다. 이때 마리아는 이미 임신한 상태였다. 베들레헴에 머무는 동안 마리아는 해산할 날이 되어 첫아들을 낳았다. 하지만 여관에는 빈 방이 없어 아기를 강보에 싸서 구유에 뉘었다.원본 소스에 인용된 누가복음 2장의 다른 번역본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그 때에 마리아가 해산할 날이 차서 첫 아들을 낳아, 포대기에 싸서 말구유에 뉘었으니, 이는 여관에 있을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지역에 목자들이 밤에 들에서 자기 양 떼를 지키고 있었다. 그런데 주의 천사가 그들에게 나타나고, 주님의 영광이 그들을 두루 비추니, 그들은 몹시 두려워하였다. 천사가 그들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라. 보아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한다. 오늘 다윗의 동네에서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그는 주 그리스도이시다. 너희는 포대기에 싸여 말구유에 누워 있는 아기를 보게 될 것이다. 이것이 너희에게 주는 표징이다.'"
찬송가 "옛날 임금 다윗성에"는 바로 이 누가복음 2장의 예수의 탄생 이야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 곡은 세실 프랜시스 알렉산더(Cecil Frances Alexander)가 사도신경의 "처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작사한 시집 '어린이를 위한 찬송가'에 포함된 것이다.[1] 찬송가 1절은 이 장면을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 다윗 왕의 마을의
: 겸손한 마구간,
: 어머니는 아기를 눕혔네
: 곁의 구유에
: 어머니는 마리아
: 예수 그리스도는 작은 아이였다.
작사가 알렉산더는 성공회 성직자이자 후에 아마 대주교가 된 윌리엄 알렉산더와 결혼했다.[2]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Hymnology
John Murray
1892
[2]
웹사이트
Hymns and Carols of Christmas
http://www.hymnsandc[...]
[3]
간행물
Gauntlett, Henry John (1805–1876), organist, organ designer, and composer
2004
[4]
서적
Dictionary of Organs and Organists
G. A. Mate
1921
[5]
서적
The English Carol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6]
웹사이트
What is the Festival of Nine Lessons and Carols – and what is the order of service?
https://www.classicf[...]
2018-12-27
[7]
웹사이트
King's College Chapel, Festival of Nine Lessons and Carols
http://www.kings.cam[...]
[8]
웹사이트
Hymns and Carols of Christmas
http://www.hymnsandc[...]
[9]
웹사이트
Hymns and Carols of Christmas
http://www.hymnsand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