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덴발트산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덴발트산맥은 독일 남부에 위치한 산맥으로, 서쪽으로는 상부 라인 평원, 동쪽으로는 마인강과 바우란트, 북쪽으로는 라인-마인 저지대, 남쪽으로는 크라이히가우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주요 산으로는 카첸부켈, 노인키르허 회헤 등이 있다. 오덴발트는 바리스칸 조산운동으로 형성된 지질학적 특징과 함께, 석탄기, 트라이아스기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오덴발트는 역사적으로 켈트족, 로마 제국, 프랑크족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화가 이루어졌다. 오늘날 오덴발트는 다양한 교통망과 관광 명소로, 하이킹, 등반, 석회 동굴 탐험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지리 - 슈티펠회헤산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지리 - 슈바벤
슈바벤은 남서부 독일의 역사적, 문화적 지역으로, 수에비족의 영역이었으며 중세 시대 슈바벤 공국으로 존재했고, 현재는 슈바벤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며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독일의 산맥 - 슈바르츠발트
슈바르츠발트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산악 지형으로, 펠트베르크산이 최고봉이며 숲, 호수,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관광, 임업, 정밀 산업, 수력 발전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독일의 산맥 - 아이펠
아이펠은 독일, 벨기에, 룩셈부르크에 걸쳐 있는 고원 지대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산, 언덕, 호수, 강 등이 있으며, 뉘르부르크링과 같은 관광 자원과 다양한 민속 문화로 유명하다.
오덴발트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독일 |
위치 | 헤센주, 바이에른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지리 | |
최고봉 | 카첸부켈 |
해발고도 | 626 m (NHN) |
면적 | 2500 km² |
지질학적 정보 | |
지질 시대 | 해당사항 없음 (정보 없음) |
조산 운동 | 해당사항 없음 (정보 없음) |
2. 지리
오덴발트는 서쪽으로 베르크슈트라세가 있는 상부 라인 평원과 헤시셰스 리트(라인강 지구대의 북동부 지역), 동쪽으로 마인강과 바우란트(주로 숲이 없고 비옥한 지역), 북쪽으로 하나우-젤리겐슈타트 분지(라인-마인 저지대의 일부), 남쪽으로 크라이히가우와 접해 있다. 네카어강 계곡 남쪽 지역은 때때로 'Kleiner Odenwald|클라이너 오덴발트ger'("작은 오덴발트")라고 불린다.
행정 구역상 오덴발트산맥의 북부와 서부는 헤센주 남부에 속하며, 남쪽 지역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바덴 지역까지 뻗어 있다. 북동부의 일부는 바이에른주의 하부 프랑켄 지방에 속한다.
2. 1. 주요 산
오덴발트산맥의 주요 산들은 다음과 같다.산 이름 | 높이 | 위치 | 특징 |
---|---|---|---|
카첸부켈 Katzenbuckelde | 626m | 네카어-오덴발트군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전망대, 크리스탈 학습 경로 |
노인키르허 회헤 Neunkircher Höhede | 605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카이저 타워 (황제의 탑) |
하르트베르크 Hardbergde | 593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송신탑 |
슈티펠회헤 Stiefelhöhede | 589m | 헤센주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계 | |
트롬 Trommde | 577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전망대 |
크레베르크 Krehbergde | 576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크레베르크 송신탑 |
쾨니히슈툴 Königstuhlde | 567.8m | 하이델베르크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천문대, 푸니쿨라 (등산 철도) |
크래베르크 Krähbergde | 555m | 오덴발트군 (헤센주) | |
킨체르트 Kinzertde | 553m | 네카어-오덴발트군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
바이서 슈타인 Weißer Steinde | 550m | 라인-네카어군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전망대 |
호에 바르테 Hohe Wartede | 548m | 라인-네카어군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
슈페사르트스코프 Spessartskopfde | 547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
팔켄베르크 Falkenbergde | 546m | 오덴발트군 (헤센주) | |
발트스코프 Waldskopf / Walzknopfde | 538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고르크스하임탈-트뢰젤) | |
다스 부흐 Das Buchde | 535.3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린덴펠스 근처 |
바겐베르크 Wagenbergde | 535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
아이헬베르크 Eichelbergde | 526m | 라인-네카어군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전망대 |
괴첸슈타인 Götzensteinde | 522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
멜리보쿠스 Melibokusde, "Malschen" | 517.4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
모르스베르크 Morsbergde | 517m | 오덴발트군 (헤센주) | |
펠스베르크 Felsbergde | 514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펠젠메어 (암석 바다) |
크노데너 코프 Knodener Kopfde | 511.2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
바넨베르크 Wannenhöhe / Bannenbergde | 482m | 밀텐베르크군 (바이에른주) | |
다움베르크 Daumbergde | 461.7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고르크스하임탈-트뢰젤) | |
하이리겐베르크 Heiligenbergde | 445m | 하이델베르크 (바덴-뷔르템베르크) | |
크노르츠 Knorzde | 404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라우테른 근처 |
오츠베르크 Otzbergde | 367m | 다름슈타트-디부르크군 (헤센주) | 오츠베르크 성 |
아우어베르크 Auerbergde | 339.7m |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주) | 아우어바흐 성 |
브로이베르크 Breubergde | 306m | 오덴발트군 (헤센주) | 브로이베르크 성 |
2. 2. 수계
오덴발트산맥에는 수많은 시냇물이 발원하며, 그중 주요 강과 시냇물은 다음과 같다.강 이름 | 길이 | 비고 |
---|---|---|
베스니츠강 | 60km | 라인강의 지류 |
묄링강 | 50km | 마인강의 지류 |
게르스프렌츠강 | 47km | 마인강의 지류 |
라우터강 | 43km | 라인강의 지류 |
모다우강 | 42km | 라인강의 지류 |
에르프강 | 40km | 마인강의 지류 |
엘츠강 | 34km | 네카어강의 지류 |
무트강 | 24km | 마인강의 지류 |
슈타이나흐강 | 22km | 네카어강의 지류 |
핀켄바흐강 | 20.5km | 히르슈호른에서 울펜바흐강과 합류, 락스바흐강으로 흘러 네카어강 지류가 됨 |
울펜바흐강 | 19.1km | 히르슈호른에서 핀켄바흐강과 합류, 락스바흐강으로 흘러 네카어강 지류가 됨 |
군델바흐강 | 10km | 트뢰젤에서 바인하임으로 흐름 |
또한 오덴발트에는 다음과 같은 정체 수역이 있다.
- 마르바흐 저수지
- 오이터제
3. 지질
오덴발트 산맥은 중앙 독일 고지대의 다른 지역들처럼 약 3억 년 이상 전 석탄기에 발생한 바리스칸 조산운동의 결과물이다.[1][2] 이 광범위한 조산운동은 당시 아프리카 대륙의 전신과 유럽 대륙의 전신이 충돌하면서 일어났다.
약 2억 년 전 트라이아스기에는 이 지역이 다시 가라앉아 게르만 분지를 형성했다. 이 분지에는 수 1m 두께의 붉은 사암층이 쌓였다. 이후 넓은 내해 환경에서 조개암층이 그 위를 덮었고, 마지막으로 후기 트라이아스기(케이퍼)의 퇴적물이 쌓이면서 오늘날 남부 독일의 큐에스타 지형이 만들어졌다.
약 1억 8천만 년 전, 오덴발트 지역의 땅이 다시 지각 융기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서부 오덴발트에서는 기존 퇴적층이 100m 이상 침식되어 아래 놓인 기반암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 기반암은 편마암, 화강암, 섬록암, 가브로 등 다양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랑켄슈타인 심성암체도 여기에 포함된다. 반면, 동부 오덴발트에는 주로 붉은 사암층만 남아 있다. 더 동쪽의 바우란트 지역에는 초기 트라이아스기의 조개암 퇴적물이 사암층 위에 그대로 놓여 있다. 또한, 하이델베르크 인근 남쪽 지역에서는 초기 트라이아스기 퇴적물 아래에 체히슈타인층이 남아 있기도 하다.
약 5천만 년에서 6천만 년 전에는 거대한 지질 단층을 따라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 이 시기 화산 활동의 증거로는 오덴발트 내의 사화산인 오츠베르크, 다움베르크, 카첸부켈 등이 남아 있다. 또한 도센하임 근처에서는 산성 암석을 분출한 화산 활동으로 인해 유문암 지대가 형성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중앙 유럽의 지각판이 갈라지기 시작하면서 상 라인 평원이 형성되었다. 상 라인 지구대는 지금도 매년 1mm 미만의 속도로 계속 가라앉고 있지만, 오덴발트 산맥은 상대적으로 융기하여 현재와 같은 높이를 갖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단층선을 따라 게르스프렌츠 강과 베스니츠 강 같은 작은 강들이 흐르며 지형을 만들었다.
상 라인 지구대는 지중해에서 노르웨이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지구대의 일부이다. 오덴발트 가장자리에서 이 지구대의 깊이는 약 2500m에 달하지만, 약 2천만 년 전까지 북해가 베터라우 저지대를 거쳐 라인 계곡 깊숙이 들어와 있었기 때문에 강과 바다에서 운반된 퇴적물로 채워져 현재의 높이가 되었다.
오덴발트 산맥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은 "베르크슈트라세-오덴발트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그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역사
기원전 2500년경, 선형토기 문화가 오덴발트산맥 북쪽(게르스프렌츠)과 남쪽(네카 계곡) 가장자리에 정착한 흔적이 발견된다. 기원전 400년경, 켈트족(골족)이 남부 독일 전역에 거주했으나, 당시 원시림으로 뒤덮인 오덴발트산맥 중심부는 거의 사람이 살지 않았다. 이후 게르만족이 켈트족을 라인강 서쪽, 현재의 프랑스 지역으로 밀어냈다.
서기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 로마 제국 황제 트라야누스(98-117 재위)와 하드리아누스(117-138 재위) 통치 기간 동안 네카-오덴발트 리메스라고 불리는 국경 방어선이 건설되었다. 이 리메스는 빔프펜에서 시작하여 네카어강을 따라 북쪽으로 마인강의 뫼르트 요새까지 이어졌으며, 오덴발트산맥 일부는 로마의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에 포함되었다. 155년경 또는 159년경, 리메스는 약 30km 동쪽으로 이동했다.
260년경 로마 제국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알레만니족이 오덴발트 지역으로 진출하여 마인강과 네카어강 사이 지역에 정착했고, 그 뒤를 이어 프랑크족이 이 지역을 장악했다. 5세기에는 클로비스 1세가 이끄는 프랑크 왕국이 이 땅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통치했다.
7세기와 8세기에는 아일랜드-스코틀랜드 및 앵글로-색슨 출신 수도사들(피르민, 보니파시오)에 의해 기독교화가 진행되었다. 농업에 유리한 조개 껍질 석회암군 토양을 가진 바우란트 지역에는 정착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반면, 척박한 반점 사암군 토양의 오덴발트산맥 중심부는 여전히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 시기 카롤링거 왕조의 지원 아래 베네딕토회 수도원들(로르쉬 수도원, 풀다 수도원, 모스바흐 수도원, 아모르바흐 수도원)이 숲 개척 임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아모르바흐 수도원은 동부 오덴발트 지역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9세기에는 바우란트 지역의 정착지가 오덴발트산맥 남동부로 확장되면서, 조개 껍질 석회암군 지대와 반점 사암군 지대의 경계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5. 오덴발트의 이름 유래
'오덴발트'라는 지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며,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주요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 '''오딘의 숲''' 설: 이 이름이 '오딘의 숲'(Odins Wald|오딘스 발트de)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북유럽 신화의 '오딘'은 남부 독일 지역에서는 주로 '보탄'(Wotan|보탄de, 고지 독일어로는 'Uuodan')으로 불렸다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된다. 다만, 약 80km 서쪽에 위치한 오덴바흐 마을의 중세 이름이 '오딘바흐'였다는 기록은 참고할 만하다.
# '''로마 행정 구역''' 설: 고대 로마 시대의 행정 구역인 '키비타스 아우데리엔시움'(Civitas Auderiensium|키비타스 아우데리엔시움la)이라는 명칭과 연관 짓는 설이다. 이 행정 구역은 오덴발트 북부 지역을 포함했으며, '아우데리엔세스'(Auderienses)라는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역사학자들이 이 설을 지지한다.
# ''''öde' 관련''' 설: 독일어 단어 'öde'(öde|외데de)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다. 현대적인 의미의 '황량한'보다는 '사람이 드물게 정착한'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odan' 관련''' 설: 샤를마뉴의 전기 작가였던 에인하르트가 'Odanwald'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에 주목하여, 고지 독일어 'odan'(=봉토를 수여하다)과 연결하는 설이다. 역사학자 카를 크리스트는 이를 근거로 오덴발트가 628년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1세가 보름스 주교령에 봉토로 하사한 사냥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3]
# ''''오도의 숲''' 설: 16세기 지리학자 세바스티안 뮌스터는 부족장 '오도'(Odo)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설('Odtonwald', 821년 기록)을 제기했다. 그러나 '오도'라는 이름의 백작이나 공작이 실제로 존재했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3]
음운 변화 등을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은 주로 1번부터 3번까지의 설보다는 4번 또는 5번 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일부 역사학자들은 2번 설에 무게를 두기도 한다. 이처럼 오덴발트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6. 전설과 신화
오덴발트의 수많은 민간 전설은 대부분 성, 마을, 바위, 길 등 역사적인 장소와 관련이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령 이야기: 성에서 나타나는 유령의 신비한 행동이나 출현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예를 들어 '베르크슈트라세'의 '아우어바흐 성'과 '빈데크 성' 유적, 벤스하임 근처의 '회만', 모사우의 '백색 여인', 에르바흐 근처의 '슐루르처', 헤펜하임 근처의 '머리 없는 남자', '슈타인바흐' 수도원의 '유령 수녀' 이야기가 전해진다.
- 기사와 귀부인 이야기: 콘라트와 안-엘스 폰 탄넨베르크, 에델무트 폰 에렌베르크와 '미네부르크'의 미나 폰 호르넥, 게오르크 폰 프랑켄슈타인과 안네마리에헨, 한스 폰 로덴슈타인과 마리아 폰 호흐베르크 등 기사들과 그 부인들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 악마와 마녀 이야기: 악마의 출현에 관한 전설로는 '펠스베르크'로 가는 '테이펠스파드'(악마의 길), 고르크스하이메르탈의 '테이펠슈타인'(악마의 바위), '유회' 정상의 '오퍼슈타인'(제단 돌) 등이 있다. 또한 벤스하임에서 돼지 모습으로 나타난 마녀 이야기도 있다.
- 괴물과 자연의 존재 이야기: 일부 이야기에는 괴물이 등장한다. 기사 게오르크가 '프랑켄슈타인 성' 근처에서 사람을 잡아먹는 린드웜과 싸웠다는 전설이 있으며, 마법력을 가진 자연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예를 들어 니데른하우젠 근처에서 여우로 변한 '물의 정령'이나 발두른의 '메르비제'에 사는 '인어' 이야기가 있다.

- 역사적 인물 이야기: 지역 전설 중에는 역사적 인물이나 실제 있었던 사건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도 있다. 에르바흐 백작과 루터, '라우바허 요겔', 헤센-다름슈타트의 방백 루드비히 8세, 강도 '회르체립스' 등에 대한 일화가 전해진다.
- 어원 및 유래 설명: 지역 이야기는 특정 이름이나 지형의 유래를 설명하기도 한다.
- 이름의 유래: 오덴발트 곳곳의 '빌트바이브헨슈타인'(야생 여인 바위), '테이펠슈타인'(악마의 돌), '테이펠스파드'(악마의 길), '오퍼슈타인'(제단 돌), '유회' 꼭대기의 '훈츠쾨프'(개머리), '회르체립스' 돌, 쇤마텐바그 마을의 '슈미멜데보그'(→민간 어원), "hinnerum wie die Fraa vun Bensemdeu"이라는 구절 등의 이름이 붙게 된 이유를 설명한다.
- 지형 형성의 유래: 라이헨바흐 근처 '펠젠메어'와 '호헨슈타인'은 거인들이 서로에게 돌을 던져 만들어졌다는 신화가 있으며, 다름슈타트 근처의 '헤르고츠펠젠'(신 바위)은 악마가 속임수에 대한 복수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건축물의 유래: '미네부르크' 성이 특정 장소('넥카' 강변의 '미네베르크')에 지어졌고 그런 이름이 붙게 된 이유나, 성벽에 신비한 돌 조각(넥카게라흐 근처 '미네부르크' 문에 있는 개 그림, 부헨 성문의 '블레커', 브로이베르크 성 문 위의 '브라이레커')이 삽입된 이유를 설명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전설 외에도 오덴발트에는 특히 유명한 두 가지 사가가 있다.
첫째는 니벨룽겐의 노래(니벨룽 참조)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용을 죽인 영웅 지그프리트는 부르군트인의 도시 보름스에서 오덴발트로 사냥 여행(혹은 실패한 원정 대신)을 왔다가 하겐 폰 트로예에게 살해당한다. 이야기 속에서 살해가 일어난 정확한 장소는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헤센 오덴발트의 여러 지역 사회는 서로 자신들의 지역이 "지크프리트가 살해된 곳"이라고 주장하며 경쟁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라스-엘렌바흐 근처의 샘('지크프리트의 샘'), 모사우탈-휘텐탈('린델브루넨'), 헤펜하임('지크프리트의 샘') 등이 후보지로 거론된다.

둘째는 프랭키쉬-크룸바흐 근처의 '로덴슈타인' 성과 '슈넬레르츠' 유적을 배경으로 하는 유령 이야기이다. 밤중에 기사 '로덴슈타인'(또는 '로덴슈타이너')이 광전사처럼 군대를 이끌고 하늘을 날아다니며 전쟁의 시작을 예언한다는 내용으로, 이는 야생 사냥 모티프와 관련이 있다.
7. 행정 구역
오덴발트산맥 지역은 여러 행정 구역에 걸쳐 있으며, 주요 군(Landkreis)과 독립시(Kreisfreie Stadt)를 포함한다.
7. 1. 군 (District)
wikitext군 | 행정 중심지 |
---|---|
베르크슈트라세 군 | 헤펜하임 |
다름슈타트-디부르크 군 | 디부르크 (행정: 다름슈타트-크라니히슈타인) |
마인-타우버 군 | 타우버비쇼프스하임 |
밀텐베르크 군 | 밀텐베르크 |
네카어-오덴발트 군 | 모스바흐 |
오덴발트 군 | 에르바흐 |
라인-네카어 군 | 하이델베르크 |
7. 2. 독립시 (District-free city)

오덴발트산맥 지역에 포함되거나 인접한 주요 독립시는 다음과 같다.
8. 교통 및 관광
오덴발트산맥은 만하임과 프랑크푸르트 같은 대도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인기 있는 레저 목적지로 알려져 있다. 맑고 깨끗한 공기 덕분에 과거에는 건강 요양소로도 명성을 얻었다. 시골 지역에는 잘 정비된 하이킹 길이 많으며, 숲에서는 야생 블루베리, 딸기, 버섯 등을 찾아볼 수 있다.
8. 1. 도로
계획되었던 오덴발트 고속도로, 즉 A 45 (도르트문트–아샤펜부르크)의 연장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연방 도로(Bundesstraße)가 오덴발트를 통과한다.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도로 번호 | 주요 경유지 |
---|---|
B 27 | 모스바흐 - 부헨 - 타우버비쇼프스하임 |
B 38 | 라인하임 - 그로스-비버라우 - 브렌스바흐 - 라이헬스하임 - 퓌르트 - 뫼를렌바흐 - 비르케나우 - 바인하임 |
B 45 | 그로스-움슈타트 - 회흐스트 - 바트 쾨니히 - 미헬슈타트 - 에르바흐 - 베어펠덴 - 에버바흐 |
B 47 | 벤스하임 - 린덴펠스 - 라이헬스하임 - 미헬슈타트 - 아모어바흐 |
B 426 | 다름슈타트 - 뮐탈 - 오버-람슈타트 - 라인하임 - 오츠베르크 - 그로스-움슈타트 - 회흐스트 - 브로이베르크 - 오버른부르크 |
B 460 | 헤펜하임 - 퓌르트 - 모사우탈 - 휘텐탈 |
또한, 관광 도로인 ''니벨룽겐 거리''와 ''지크프리트 거리''도 이들 연방 도로를 따라 오덴발트를 통과한다.
8. 2. 철도


오덴발트산맥 지역을 통과하거나 주변을 운행하는 주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네카렐츠-오스터부르켄 철도: 바덴 오덴발트 철도의 일부로 1866년에 개통되었다.
- 네카르 계곡 철도: 하이델베르크에서 에버바흐 및 모스바흐를 거쳐 바트프리드리히스할-야크스트펠트까지 운행하며, 1879년에 개통되었다.
- 오덴발트 철도: 다름슈타트 또는 하나우에서 그로스-움슈타트 비벨스바흐를 거쳐 에버바흐까지 운행한다. 1882년에 개통되었으며, 2005년 12월부터 최신 이티노 열차로 운행된다.
- 게르스프렌츠 계곡 철도: 라인하임에서 라이헬스하임까지 운행했다. 1887년에 개통되었으나 1963년에 폐선되었다.
- 베스니츠 계곡 철도: 바인하임에서 퓌르트까지 운행하며, 1895년에 개통되었다.
- 위버발트 철도: 뫼를렌바흐에서 발트-미헬바흐를 거쳐 발렌까지 운행했다. 1901년에 개통되었으나 1996년에 폐선되었다.
- 헤츠바흐-베어펠덴 철도: 헤츠바흐에서 베어펠덴까지 운행했다. 1904년에 개통되었으나 1954년에 폐선되었다.
- 모스바흐-무다우 철도: 모스바흐에서 무다우까지 운행했던 과거 1000mm 협궤 철도 노선이다. 현지에서는 ''Entenmörder''(오리 살인자)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05년에 개통되었으나 1973년에 폐선되었으며, 1980년부터는 해당 부지가 자전거 도로로 전환되었다.
- 마도넨란트 철도: 제크하흐에서 밀텐베르크까지 운행한다.
8. 3. 특별 여행 (Special day trips)



오덴발트산맥 지역에서는 다양한 특별 여행 활동을 즐길 수 있다.
- 등반 및 자연 탐방:
- 헤센 주 브로이베르크(Breuberg)의 하인슈타트 지역 륌링 계곡에는 오래된 채석장이 있다. '오덴발트 클라이밍 친구들'(Odenwälder Kletterfreunde)이 이곳을 클라이밍 시설로 바꾸었으며, 와이어 케이블로 고정된 등반로도 마련되어 있다. 이 단체가 등반로를 관리하며, 채석장은 독일 산악 연맹(DAV) 다름슈타트 지부 관할 구역에 속한다.
-- - 라우터탈-라이헨바흐 북쪽, 해발 514m의 펠스베르크 아래에는 '펠젠메어'(Felsenmeer, 바위의 바다)가 있다. 침식 작용으로 절벽에서 떨어져 나온 수많은 바위들이 넓게 펼쳐진 곳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채석장으로 이용되었다.
--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부헨(Buchen)의 에버슈타트(Eberstadt)에서는 1971년 남부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석회 동굴 중 하나가 발견되었다. 현재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 카첸부켈(Katzenbuckel) 주변에는 '크리스탈 교육 경로'(Kristall-Lehrpfad)가 조성되어 있어, 오덴발트의 화산 활동 역사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횓스트 임 오덴발트(Höchst im Odenwald)에서 림혼(Rimhorn) 방향으로 이어지는 오브룬슐루흐트(Obrunn Schlucht, 협곡)에는 계곡을 따라 궁전, 성, 제분소 등 다양한 모형 건물이 설치된 낭만적인 동화 속 길이 있다.
- 네카게라흐(Neckargerach)의 ''마르게텐슐루흐트''(Margarethenschlucht)나 츠빙겐베르크 성(Zwingenberg Castle) 근처의 ''볼프슐루흐트''(Wolfsschlucht, 늑대의 협곡)를 걷거나 오르는 활동도 인기 있다.
-- - 라이헨바흐 근처에는 ''호헨슈타인''(Hohenstein)과 ''보르슈타인''(Borstein) 같은 중정석-석영 절벽이 있다.
--
-- - 그 외에도 뵐슈타인(Böllstein)의 거북이 모양 편마암, 트롬(Tromm)의 화강암 바위, 피쉬바흐탈(Fischbachtal)의 화강암 바위 ''빌트프라우하우스''(Wildfrauhaus) 등 독특한 바위 지형들을 볼 수 있다.
--
--
--
- 하이킹 및 드라이브:
- 오덴발트에는 총 연장 10000km가 넘는 하이킹 트레일 네트워크가 잘 갖추어져 있다.
- 구불구불한 도로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에게 인기 있는 드라이브 코스이다.
- 문화 행사 및 전설:
- 매년 프랑켄슈타인 성(Frankenstein Castle)에서는 독일 최대 규모의 할로윈 행사 중 하나가 열린다. 이 행사는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과의 연관성을 떠올리게 하며, 으스스한 분위기와 유령, 마녀 등으로 분장한 코미디언들이 많은 관람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 츠빙겐베르크 성에서는 매년 성 축제가 열린다. 특히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낭만 오페라 ''마탄의 사수''(Der Freischütz)가 협곡 입구인 ''볼프슐루흐트''에서 공연된다. 이 오페라의 줄거리는 작곡가가 1810년 하이델베르크 근처 노이부르크 수도원에 머물면서 읽은 독일 민담집 ''Gespensterbuch''(유령의 책)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네카어 지류 계곡인 볼프슐루흐트의 분위기에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오페라 2막의 초자연적이고 섬뜩한 '볼프슐루흐트' 장면이 유명하다.
-- - 매년 7월 초, 일주일 동안 헤펜하임(Heppenheim)에서는 거리 극장 ''가센센세이션''(Gassensensationen)이 열린다. 구시가지 광장과 여러 장소에서 음악, 춤, 마임, 서커스, 코미디뿐만 아니라 섬세한 연극과 조용한 노래 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야외 공연이 펼쳐져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 헤펜하임 근처 ''유회''(Juhöhe)의 화강암 바위들은 여러 전설을 낳았다. 바위의 구멍은 악마가 술잔으로 썼다는 이야기가 있으며('오퍼슈타인', Opferstein), 근처의 갈라진 돌들은 악마가 발톱을 갈아서 생긴 흔적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로덴슈타이너(Rodensteiner) 전설에 따르면, 야생 사냥꾼이 ''유회''를 지나다 사냥개들을 잃었는데, 땅에 박혀 돌이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언덕 꼭대기 바위를 '훈스크푀페'(Hundsköpfe, 개의 머리들)라고 부른다. 근처의 또 다른 화강암 지형인 '뷔겔아이젠'(Bügeleisen, 다리미)은 옛날 거인 여인들이 옷을 다리는 데 사용했다는 전설이 있다.
--
--
--
8. 4. 성 (Castles)
오덴발트산맥에는 수많은 역사적인 성과 궁궐식 저택이 자리 잡고 있다. 과거 오덴발트산맥 정상에 세워진 요새들은 베르크슈트라세 루트와 베스니츠 계곡, 게르스프렌츠 계곡, 묄링 계곡, 네카 계곡을 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9. 음악
오덴발트에 관해 쓰여진 노래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Institut für Geographie: AKN - Mitarbeiter Jens-Philipp Keil
http://www.uni-giess[...]
2012-05-15
[2]
웹사이트
Geo-Naturpark Bergstraße Odenwald
http://www.geo-natur[...]
2012-05-15
[3]
서적
Offizieller Führer des Odenwald-Klubs durch den Odenwald und die Bergstrasse
Ravenstein Frankfurt a.M.
1926
[4]
웹사이트
Falkirk Twinning Association
http://www.falkirktw[...]
2011-05-07
[5]
웹사이트
text and melody
http://www.markomann[...]
[6]
웹사이트
BERGSTRAßE-ODENWALD UNESCO GLOBAL GEOPARK (Germany)
https://en.unesco.or[...]
202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