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은 오르도비스기 대분화 사건 이후 발생하여 해양 생물의 약 49%, 과(科)의 약 100개가 멸종된 사건이다. 이 멸종은 두 차례의 멸종 파동으로 나뉘며,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비율의 변동과 무산소 수괴의 확산이 확인되었다. 주요 원인으로는 빙하기와 해수면 감소, 해양 무산소증, 유독 금속 유입, 감마선 폭발, 화산 활동, 소행성 충돌 등이 제시되었으며, 빙하기가 끝나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멸종은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루리아기 - 란도베리세
    란도베리세는 실루리아기의 세 시기 중 하나로,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 이후 해양 생물의 다양성이 회복되고 육상 식물과 초기 어류가 출현했으며, Ireviken 사건으로 멸종이 발생하고 장벽 산호초 시스템이 발달했다.
  • 실루리아기 - 러들로세
  • 기후의 역사 - 여름 없는 해
    1816년 여름 없는 해는 1815년 탐보라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 때문에 전 세계적인 기온 저하, 농작물 흉작, 기근을 야기하며 사회, 경제,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기후 이상 현상이다.
  • 기후의 역사 - 데본기 말기 대량절멸
    데본기 말기 대량절멸은 데본기 말기에 발생한 대규모 생물 멸종 사건으로,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생물 종 감소와 생태계 변화를 야기했으며, 해양 생물종 감소와 사지형류 진화가 주요 특징이다.
  • 대량절멸 - 칙술루브 충돌체
    칙술루브 충돌체는 백악기-고생대 대멸종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며, 소행성 충돌체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대량절멸 - 눈덩이 지구
    눈덩이 지구는 약 6억에서 8억 년 전 선캄브리아 시대 말기에 지구가 전 지구적으로 빙하로 뒤덮였던 현상을 가리키는 가설이며, 전 지구적 빙하기의 증거와 생물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시작과 탈출 과정, 생명체에 미친 영향, 그리고 이에 대한 반론과 대안 가설이 존재한다.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
사건 개요
사건명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
시기약 4억 4,380만 년 전
절멸률해양 생물 속의 약 85%
주요 영향삼엽충, 완족동물, 코노돈트 등 해양 무척추동물에 큰 피해
고생대 해양 생태계 구조 변화
원인 (가설)
기후 변화곤드와나 대륙의 남극 이동으로 인한 빙하기
해수면 하강 및 상승
기온 하락 및 해양 순환 변화
해양 환경 변화무산소 사태 발생
해수면 산소 농도 감소
영양분 증가로 인한 해양 생태계 교란
화산 활동화산 폭발로 인한 대기 조성 변화
기타 요인감마선 폭발
해양 산성화
해수 화학 조성 변화
판게아 형성
상세 원인 분석
빙하기와 해수면 변화곤드와나 대륙의 남극 이동으로 빙하 형성 및 성장
해수면 하강으로 인한 얕은 바다 서식지 감소
빙하기 이후 해빙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아녹시아 심화
해양 아녹시아아녹시아는 고해양학에서 바닷물에 산소가 완전히 고갈된 상태
초기 실루리아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된 해양 아녹시아 현상
영양분 증가와 해양 생태계 변화영양분 증가는 심해 생물에게는 이로웠지만, 표층 생물에게는 유해했을 가능성이 있음
생물 다양성 감소
주요 멸종 그룹필석
삼엽충
완족동물
코노돈트
해면동물
극피동물
태형동물
생태적 영향고생대 해양 생태계 구조 변화
해양 생물 군집의 단순화
얕은 바다 서식지 감소로 인한 생물 다양성 감소
회복 과정
회복 시기실루리아기
생물 다양성 회복새로운 해양 생물 그룹의 등장
기존 생물 그룹의 적응 및 진화
해양 생태계의 복잡성 증가
장기적 영향지구 생명체의 진화 경로에 큰 영향
논쟁점
멸종 원인정확한 멸종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 존재 및 논쟁 지속
멸종 과정점진적인 멸종인지, 급격한 멸종인지에 대한 논쟁
기후 변화 역할기후 변화가 멸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논쟁

2.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영향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LOME)은 오르도비스기 대분화 사건(GOBE) 이후 지구 생물 다양성에 큰 타격을 입혔다. 당시 대부분의 복잡한 다세포 생물은 바다에 살았으며, 육상 생물은 초기 식물의 포자 정도만 존재했다.

LOME으로 인해 해양 동물상 의 약 49%, 의 약 100개가 멸종했다. 특히 완족동물, 이끼벌레(태형동물), 삼엽충, 코노돈트(이빨화석), 필석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큰 영향을 받았다.[10][159]

LOME은 두 번의 주요 멸종 파동으로 나뉜다. 첫 번째 파동은 카티안 단계 말기와 히르난티안 단계 초기를 나타내는 ''Metabolograptus extraordinarius'' 필석류 생물구역의 기저에서 발생했고, 두 번째 파동은 히르난티안 단계 후반부에 ''Metabolograptus persculptus'' 구역과 일치하여 발생했다. 각 파동은 서로 다른 동물 그룹에 영향을 미쳤고, 이후 재분화 사건이 이어졌다.

통계 분석 결과, 종분화 감소보다는 멸종의 급격한 증가가 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이었다.[19][135] 멸종 이후 실루리아기 생물 군집은 초기에는 덜 복잡하고 더 넓은 틈새를 가졌다.[1] 후기 오르도비스기를 특징짓는 고유한 동물군은 현생누대에서 가장 세계적인 동물군 중 하나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실루리아기 대부분 동안 지속된 생물지리학적 패턴이었다.[125]

LOME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및 백악기-고생기 대멸종 사건과 관련된 장기적인 생태학적 영향은 거의 없었지만,[7][9] 단기간에 수많은 분류군이 지구에서 사라지면서 특정 그룹의 상대적 다양성과 풍부함이 제거되고 변경되었다.[125]

2. 1. 해양 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변화

오르도비스기 생물 다양화 사건 도중인 4억 4380만년 전에 대량절멸 사건이 일어났으며, 이 사건을 기준으로 오르도비스기와 실루리아기를 나눈다.[158] 이 절멸 사건 동안 생물학적으로 반응하는 탄소산소 동위원소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고, 무산소 영역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큰 영향을 미쳤다.[169]

당시 대부분의 다세포 생물은 바다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동물상 의 49%를 차지하던 100여개의 가 절멸하였다.[159] 완족동물, 태형동물, 삼엽충, 코노돈트, 필석 등 다양한 해양 생물군이 멸종했다.

해양생물 손실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 따르면, 급격한 다양성 감소는 종분화 감소보다 멸종의 급격한 증가에 기인했다.[160] 플랑크톤 생활을 했던 해양생물군은 저서생물보다 자외선에 더 많이 노출되어 피해가 컸으며,[162] 얕은 물에 서식하던 종은 심해 서식 종보다 더 많이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162]

이러한 다양성 손실 이후, 실루리아기 생물 군집은 초기에는 덜 복잡하고 더 넓은 틈새를 가졌다.[1] 후기 오르도비스기를 특징짓는 고유 동물군은 현생누대에서 가장 세계적인 동물군 중 하나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실루리아기 대부분 동안 지속된 생물지리학적 패턴이었다.[1]

2. 1. 1. 완족동물

캄브리아기형 불분절 완족류(설완목, 두개완목)는 멸종 이전의 다양성을 회복하지 못했다.[10] 반면, 분절 완족류(이빨조개형류)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정형목, 후판목과 같은 일부 초기 이빨조개형류는 크게 감소했다. 오각형조개목, 무리면목, 나선조개목, 주름조개목 등은 덜 영향을 받았고, 멸종 이후 다양화했다.[10][22] 풍부한 완족류는 생존 가능성이 더 높았다.[23]

2. 1. 2. 삼엽충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두 단계 모두에 큰 타격을 입은 삼엽충은 카티안기와 실루리아기 사이에 속의 약 70%, 과의 약 50%가 멸종했다.[34][35][10] 이 멸종은 심해 종과 완전한 플랑크톤 유생 또는 성체를 가진 그룹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Agnostida목은 완전히 사라졌고, 이전에 다양했던 Asaphida는 단 하나의 속, ''Raphiophorus''만 생존했다.[34][35][10]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삼엽충 군집인 ''Mucronaspis'' 동물군은 확산과 쇠퇴 시기가 Hirnantia 완족동물 동물군과 일치한다.[1][95] 멸종 이후 삼엽충 동물군은 Encrinuridae와 Odontopleuridae와 같이 오르도비스기에 나타나 LOME에서 살아남은 과들이 지배했다.[36]

2. 1. 3. 이끼벌레

이끼벌레(브리오조아) 속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했지만, 대부분의 과는 멸종 기간을 넘겨 실루리아기에 전체적으로 회복되었다.[37][10][1] 가장 큰 피해를 입은 하위 그룹은 크립토스토메와 트레포스토메로, 오르도비스기의 다양성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이끼벌레 멸종은 로렌시아(Laurentia)의 해안 지역에서 시작되어, 히르난티안(Hirnantian) 말에 발티카(Baltica)로 높은 멸종률이 이동했다.[37][10][1] 이끼벌레의 생물 다양성 손실은 히르난티안 멸종 파동보다 부분적으로 앞선, 장기적인 과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르도비스기 이끼벌레 속의 멸종률은 실제로 초기 및 후기 카티안(Katian)에 더 높았으며, 기원률은 후기 카티안과 히르난티안에 급격히 감소했다.[38]

2. 1. 4. 극피동물

약 70%의 바다나리 속이 멸종했다. 대부분의 멸종은 첫 번째 파동에서 발생했다. 낭성류, 요성류 등 초기 바다나리와 유사한 다른 많은 극피동물오르도비스기 이후 매우 희귀해졌다.[10][1]

2. 1. 5. 해면동물

스트로마토포로이드의 속 및 과 분류학적 다양성은 대량 절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40] 그러나 클라트로딕티드(clathrodictyids)가 라베키드(labechiids)에 비해 개체 수가 증가하는 등 개체 수 변화가 기록되었다.[41]

3.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추정 원인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은 해수면 및 기후 변화, 운석 충돌, 화산 활동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대기 중 독성 가스, 재, 에어로졸 방출, 온실 효과, 광량 감소, 광합성 및 신체대사량 감소, 먹이 사슬 파괴, 무산소증 등을 유발했다.[153]


  • 금속 중독: 해양 산소 감소로 인해 , 비소, 과 같은 해저 유해 금속이 수중에 용해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46] 이러한 유독 금속은 먹이 사슬 하위 단계 생물을 죽여 개체수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먹이 사슬 상위 생물의 굶주림을 초래했을 수 있다.[147][148] 리비아 사막의 당시 지층에서는 플랑크톤 기형이 통상 100배 이상 빈도로 확인되는데,[149] 이는 금속 중독의 영향일 수 있다. 일본 도호쿠 대학 등 연구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미국 O-S 경계 부근 지층에서 고농도 수은이 검출되었으며, 대규모 화산 활동으로 수은이 대기 중에 방출되었다고 추정한다.[150]

  • 감마선 폭발: 일부 과학자들은 지구로부터 6,000광년 정도 떨어진 우리 은하 근처의 극초신성에서 발생한 감마선 폭발이 대량 절멸을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10초간의 감마선 폭발로 지구 오존의 절반 이상이 순간적으로 사라져, 광합성을 하는 유기체를 비롯한 행성 표면에 서식하는 생명체가 고도의 극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62][163][164][165] 그러나 이 가설은 초신성 폭발이 지구 근처에서 일어났다는 명백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14]

  • 화산 활동: 화산 활동은 일반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깊지만, 대기 중으로 황을 방출하여 지구를 냉각시키고 빙하기를 촉진했을 가능성도 있다.[54] 화산에서 분출된 이산화 황이 대기 중에서 황산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이 에어로졸이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기후 한랭화와 빙상 발달에 기여했을 가능성도 있다.[150]

  • 소행성 충돌: 데닐리퀸 다중 고리 구조가 LOMEI-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첫 번째 멸종 파동)의 시작 시점과 일치하며, 격렬한 히르난티안 빙하기와 대량 멸종 사건의 첫 번째 파동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22][123]


오르도비스기 말 대량절멸의 결과로 진흙에서 튀어나온 카메로케라스의 복원도

3. 1. 빙하기와 냉각

후기 오르도비스기 빙하기는 대량 멸종 중 특이한 경우로,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을 이례적인 사건으로 만들었다.[46] 중간 및 초기 오르도비스기에 더 긴 냉각 추세가 있었지만, 가장 심각하고 갑작스러운 빙하기는 멸종의 두 펄스 사이에 있던 히르난티안 단계에서 발생했다.[47] 급격한 대륙 빙하기는 후기 오르도비스기에 남극에 위치했던 곤드와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히르난티안 빙하기는 고생대의 가장 심각한 빙하기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이전에는 온실 지구의 비교적 따뜻한 기후 조건을 유지했다.[17]

빙하기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다. 후기 오르도비스기 빙하기에 앞서 대기 중 이산화 탄소가 감소했다(7,000ppm에서 4,400ppm으로).[48][49] 대기 및 해양 CO2 수치는 곤드와나 빙하의 성장과 쇠퇴에 따라 변동했을 수 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는 육상 식물과 미세 식물 플랑크톤의 출현과 발달은 온실 효과를 감소시키고 기후 시스템이 빙하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촉진했을 수 있다.[50][14] 후기 오르도비스기 동안 애팔래치아 산맥과 칼레도니아 산맥의 심한 규산염 풍화가 발생하여 CO2를 격리했다.[68] 히르난티안 단계에서 화산 활동이 감소했고,[51] 지속적인 풍화 작용으로 인해 급격하고 짧은 빙하기와 일치하여 CO2가 현저하고 빠르게 감소했다.[68][49] 지구가 냉각되고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풍화되기 쉬운 탄산염 플랫폼이 수면 위로 노출되어 무기 탄소 격리의 양성 피드백 고리가 시작되었다.[52]

빙하기와 관련된 두 가지 환경 변화가 후기 오르도비스기 멸종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첫째, 전 세계적인 기후 냉각은 생물군이 강렬한 온실에 적응했기 때문에 특히 유해했을 것이다. 오르도비스기의 대부분의 얕은 바다 서식지가 열대 지방에 위치했기 때문에 기후 냉각은 더욱 치명적이었다.[59] 둘째, 얼음 덮개에 물이 격리되어 해수면이 하강하여 광대한 대륙해가 고갈되고 많은 고유 생물 공동체의 서식지가 제거되었다.[13][61][62]

빙상은 남쪽 초대륙 곤드와나남극 위로 이동하면서 형성되었다. 암석 지층은 당시 남극 지점이었던 북아프리카와 그 당시 인접했던 남아메리카 북동부의 후기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감지되었다. 빙하기는 세계의 바다에서 물을 가두어두고 간빙기는 이를 방출하여 해수면 변화를 반복적으로 하강 및 상승시킨다. 광대하고 얕은 오르도비스기 바다가 후퇴하여 많은 생태적 지위가 제거된 후, 유기체의 많은 개체군은 감소하였다. 그런 다음 다음 빙하기 펄스와 함께 다시 후퇴하여 각 변화에서 생물 다양성을 제거했다. 북아프리카 지층에서는 지진학 섹션에서 다섯 번의 빙하기 펄스가 기록되었다.[64]

3. 2. 무산소증과 유황화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해수 내 용존 산소 부족, 즉 무산소증이 논의된다.[11] 무산소증은 생명체에게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빼앗고, 유독성 금속 이온과 황화 수소 같은 화합물 생성을 촉진한다. 산소 고갈이 높은 수준의 황화물과 결합되면 유시니아라고 한다. 덜 독성이지만, 제1철(Fe2+) 또한 무산소성 물에서 흔히 형성된다.[67]

해양 산소 부족은 해저의 독성 금속이 물에 녹게 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70][171] 무산소증은 후기 오르도비스기 대량절멸의 두 번째 파동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며, 다른 대량절멸과도 관련이 있다.[15][68] 첫 번째 파동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지만,[67] 이에 대한 증거는 결정적이지 않고, 빙하기 동안 해수 산소 농도가 높았다는 증거와 모순된다.[69][68]

  • -
    황산염 환원 미생물은 무산소증에 기여하지 않고도 변화를 일으킨 원인일 수 있다.

황철석(위)의 δ34S 비율 변화는 히르난티안 빙하기 동안 광범위한 심해 무산소증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져 왔다.

3. 2. 1. 초기 히르난티안 무산소증

초기 히르난티안 시대에 전 세계 얕은 수심의 퇴적물에서 발견되는 황철석의 δ34S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이 비율은 빙하기 초기에 형성된 얕은 수심의 황철석이 일반적인 가벼운 황 동위원소인 32S의 비율이 감소했음을 나타낸다. 해수 속의 32S는 광범위한 심해 황철석 침전에 의해 소모되었을 수 있다. 또한, 오르도비스기 해양에는 황산염의 농도가 매우 낮았는데, 황산염은 육지에서 32S를 보충해 주는 영양분이다. 황철석은 무산소증 및 유황화 환경에서 가장 쉽게 형성되는 반면, 산소 공급이 원활한 환경에서는 대신 석고의 형성을 촉진한다.[67] 결과적으로, δ34S 비율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황철석을 생성하려면 심해에서 무산소증과 유황화가 흔해야 한다.[71][72]

탈륨 동위원소 비율도 무산소증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카티안-히르난티안 경계 직전인 후기 카티안 시대에 나타나는 주요한 ε205Tl 변화는 산소 최소 구역의 전반적인 확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후기 카티안 시대에 무산소 수역의 확산을 나타내는 탈륨 동위원소 교란은 무산소증 확장의 다른 지구화학적 지표의 출현보다 먼저 나타났다.[73]

빙하기는 간접적으로나마 무산소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해수면 하강으로 대륙붕이 노출되면 유기물 표면 유출수가 더 깊은 해양 분지로 흘러 들어간다. 유기물은 해저에 퇴적되기 전에 인산염 및 기타 영양분을 더 오랫동안 용출시킬 수 있다. 해수 중 인산염 농도 증가는 부영양화와 무산소증으로 이어진다. 심해 무산소증과 유황화는 심해 저서 생물에 영향을 미친다.[67]

그러나 빙하기 동안 심해 무산소증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는 산소가 풍부한 수역에 대한 더 광범위한 증거와 대조된다. 무산소 환경의 지표인 흑색 셰일은 초기 히르난티안 시대에 주변 기간에 비해 매우 드물어진다.[68]

3. 2. 2. 후기 히르난티안 무산소증

후기 히르난티안 시기에는 흑색 셰일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 증가했다. 이는 전 지구적인 무산소 사건을 나타내는데, 이를 히르난티안 해양 무산소 사건(HOAE)이라고 부른다.[97][15]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δ34SCAS,[83][84] δ98Mo,[75][74] δ238U,[97][85][15] 및 εNd(t) 편차[86] 등의 다양한 지표들이 광범위한 무산소 환경이 있었음을 뒷받침한다. 남중국 미세 대륙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양쯔해에서는 대륙붕 중앙에서부터 퍼져나간 격렬한 유황화와 함께 두 번째 멸종 파동이 발생했다.[87][72]

히르난티안-루다니안 무산소 사건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다. 다른 전 지구적 무산소 사건과 마찬가지로, 질산염인산염과 같은 영양분이 많아지면서 해수에서 산소 수치를 고갈시키는 미생물 대번식이 일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유력한 원인은 시아노박테리아인데, 이들은 질산염이 없는 상태에서도 질소 고정을 통해 사용 가능한 질소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무산소 사건 동안의 질소 동위 원소는 질산염을 고갈시키는 생물학적 과정인 높은 탈질화 속도를 기록한다. 시아노박테리아의 질소 고정 능력은 진핵생물 조류와 같은 경쟁자보다 유리하게 작용한다.[68][90][91][92]

두 번째 멸종 파동과 관련된 뚜렷한 멸종 패턴은 거의 없었다. 첫 번째 파동 이후 생존하거나 다양화된 많은 분류군이 두 번째 파동에서 멸종했다. 여기에는 이전에 추운 빙하기에 번성했던 ''Hirnantia'' 완족류 동물군과 ''Mucronaspis'' 삼엽충 동물군이 포함된다. 필석류 및 온수 암초 서식지와 같은 다른 분류군은 덜 영향을 받았다.[10][1][15]

3. 2. 3. 초기 루다니안 무산소증

흑색 필석 셰일 퇴적은 초기 렌도베리까지 흔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무산소증이 란도베리까지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나타낸다.[16] 릴리풋 효과로 추정되는 많은 생물의 평균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고, 오르도비스기에서 유래된 많은 유존 분류군이 사라진 것은 얕은 대륙붕 환경, 특히 발트해로의 무산소 상태 확산과 관련된 세 번째 대멸종 기간을 나타낸다.[16] 용존 산소 농도의 이러한 급격한 감소는 발트해 퇴적물에 보존된 음의 탄소 동위원소 편차로 기록된 지구 온난화 기간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16]

3. 3. 기타 잠재적 요인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은 해수면 및 기후 변화, 운석 충돌, 화산 활동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대기 중 독성 가스, 재, 에어로졸 방출, 온실 효과, 광량 감소, 광합성 및 신체대사량 감소, 먹이 사슬 파괴, 무산소증 등을 유발했다.[153]

오르도비스기 후기 대량 절멸은 오르도비스기 대분화 사건 직후에 발생하여 지구 생물 다양성이 크게 증가한 뒤에 나타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당시 대부분의 복잡한 다세포 생물은 바다에 서식했고, 육상 생물은 초기 식물의 포자 형태로 드물게 존재했다.

대량 절멸로 인해 해양 과의 약 100개가 멸종되었으며, 이는 전체 속의 약 49%에 해당한다.[18] 완족동물, 이끼벌레, 삼엽충, 이빨화석, 필석류 등이 큰 피해를 입었다.[10] 멸종은 크게 두 번의 파동으로 나뉘었는데, 첫 번째는 카티안 단계 말 ''Metabolograptus extraordinarius'' 필석류 생물구역에서, 두 번째는 히르난티안 단계 후반 ''Metabolograptus persculptus'' 구역에서 발생했다. 각 멸종 파동은 서로 다른 동물군에 영향을 미쳤고, 이후 재분화가 이어졌다. 통계 분석에 따르면, 이 시기 다양성 감소는 종분화 감소보다는 멸종의 급격한 증가가 주된 원인이었다.[19]

대량 절멸 이후 실루리아기 생물 군집은 초기에는 덜 복잡하고 넓은 틈새를 가졌지만,[1] 중국 남부에서는 복잡한 영양 관계망을 가진 온수 저서 생물 군집이 번성하기도 했다.[20] 후기 오르도비스기를 특징짓던 고유 동물군은 현생누대에서 가장 세계적인 동물군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실루리아기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다.[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이나 백악기-고생기 대멸종에 비해 장기적인 생태학적 영향은 적었고,[7][9] 생물 회복 속도도 빨랐다.[21] 그러나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분류군이 사라지면서 특정 그룹의 상대적 다양성과 풍부함이 변화했다.[1] 캄브리아기형 진화 동물군은 거의 멸종되어 다시 번성하지 못했다.[10]

3. 3. 1. 금속 중독

해양 산소 감소로 인해 , 비소, 과 같은 해저 유해 금속이 수중에 용해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46] 이러한 유독 금속은 먹이 사슬 하위 단계 생물을 죽여 개체수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먹이 사슬 상위 생물의 굶주림을 초래했을 수 있다.[147][148] 이 가설은 해양 내 영양염 증가와 지구 냉각에 따른 해양 순환 저하가 원인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97]

리비아 사막의 당시 지층에서는 플랑크톤 기형이 통상 100배 이상 빈도로 확인된다.[149] 이는 금속 중독의 영향일 수 있다.

일본 도호쿠 대학 등 연구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미국 O-S 경계 부근 지층에서 고농도 수은이 검출되었으며, 대규모 화산 활동으로 수은이 대기 중에 방출되었다고 추정한다.[150] 이는 화산 활동이 금속 중독의 원인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3. 3. 2. 감마선 폭발

일부 과학자들은 지구로부터 6,000광년 정도 떨어진 우리 은하 근처의 극초신성에서 발생한 감마선 폭발이 대량 절멸을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10초간의 감마선 폭발로 지구 오존의 절반 이상이 순간적으로 사라져, 광합성을 하는 유기체를 비롯한 행성 표면에 서식하는 생명체가 고도의 극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62][163][164][165]

이 가설은 절멸 초기에 나타난 현상, 즉 플랑크톤과 같이 해수면에 가까이 사는 생물들이 해저에 사는 생물들보다 더 큰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다. 얕은 물에 사는 이 깊은 물에 사는 종보다 멸종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사실 또한 이 가설과 부합한다. 늦은 오르도비스기 바다가 대부분 빈영양 상태였고 맑았기 때문에, 지구 전체 식물 플랑크톤 생물량의 20%에서 60%가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감마선 폭발은 빙하의 급격한 확장도 설명할 수 있다. 고에너지 광선이 온실 가스인 오존을 해리시키고, 해리된 산소 원자가 질소와 반응하여 어두운 색의 에어로졸인 이산화질소를 형성해 지구를 냉각시켰을 수 있기 때문이다.[106]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초신성 폭발이 지구 근처에서 일어났다는 명백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14]

3. 3. 3. 화산 활동

화산 활동은 일반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깊지만, 대기 중으로 황을 방출하여 지구를 냉각시키고 빙하기를 촉진했을 가능성도 있다.[54] 이는 화산 황 방출의 지구화학적 신호인 황철석 Δ33S 값의 긍정적인 증가와 LOMEI-1이 동시에 발생했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109]

2020년 5월의 한 연구에서는 대량 멸종의 첫 번째 파동이 냉각과 빙하기가 아닌 지구 온난화와 무산소 상태를 유도하는 화산 활동에 의해 발생했다고 제안했다.[110][111] 후기 오르도비스기의 종 다양성 패턴을 자세히 살펴보면, 멸종률은 Hirnantian 빙하기보다 수백만 년 앞선 초기 또는 중기 Katian 단계에 현저하게 증가했다. 이 초기 멸종 단계는 거대 화성암 지역(LIP) 활동, 아마도 이란 북부의 Alborz LIP와 관련이 있으며,[112] Boda 사건으로 알려진 온난화 단계와 관련이 있다.[113][114][115]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Boda 사건이 냉각 사건이었다고 주장한다.[116]

초기 후기 Katian 동안 및 Katian-Hirnantian 경계 주변에서 증가한 화산 활동은 총 유기 탄소에 비해 수은 농도가 높아진 것에서도 암시된다.[88] Yili 블록 아래 Junggar 해양의 섭입과 관련된 해양 벤토나이트층은 Katian-Hirnantian 경계에 가까운 후기 Katian으로 연대가 측정되었다.[117]

화산 활동은 대량 멸종의 첫 번째 파동 동안 무산소 상태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무산소 상태를 유발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인의 화산 투입은 해양 퇴적물에서 인의 양성 피드백 고리를 촉발하여 LOMEI-1 과정에서 광범위한 해양 산소 고갈을 유지했을 수 있다.[11] 또한, 중기 및 후기 Katian 동안 배치된 영양분이 풍부한 화산암의 풍화는 용존 산소의 감소를 강화했을 가능성이 높다.[88] 격렬한 화산 활동은 유산소가 LOMEI-2의 주요 원인이라는 주장과도 잘 들어맞는다.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경계에서의 갑작스러운 화산 활동은 풍부한 이산화황을 공급하여 유산소의 발달을 크게 촉진했을 것으로 제안된다.[118]

다른 논문에서는 화산 활동 가설을 비판하며, 오르도비스기의 화산 활동이 비교적 낮았고 초플룸과 LIP 화산 활동이 특히 오르도비스기 말의 대량 멸종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2] 2022년의 한 연구는 수은 이상 부족과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경계를 넘나드는 남중국 드릴 코어의 벤토나이트 퇴적과 산화 환원 변화 사이의 불일치를 인용하며 LOME의 화산 기원에 반대했다.[119] 일부 연구자들이 대규모 화산 활동에 기인한 오르도비스기 말의 총 유기 탄소에 대한 수은 이상(Hg/TOC)은 오르도비스기의 주요 수은 숙주가 황화물이었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재해석되었으며, 따라서 Hg/TS를 대신 사용해야 한다.[121] Hg/TS 값은 화산 기원 수은 부하의 증거를 보여주지 않으며,[120] 이는 화산 기원 수은 투입에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높은 ∆199Hg 측정으로 강화된 발견이다.[121]

화산 활동이 반드시 온난화에 기여한 것은 아니다. 화산에서 분출된 이산화 황이 대기 중에서 황산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이 에어로졸이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기후 한랭화와 빙상 발달에 기여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해당 연구에서는 유해 금속 역시 화산 활동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150]

3. 3. 4. 소행성 충돌

2023년 논문에서는 호주 남동부에 위치한 데닐리퀸 다중 고리 구조가 LOMEI-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의 첫 번째 멸종 파동)의 시작 시점과 일치하며, 격렬한 히르난티안 빙하기와 대량 멸종 사건의 첫 번째 파동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22][123]

4. 절멸 사건의 끝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다시 안정화되면서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절멸이 끝났다. 실루리아기가 시작될 때 대륙붕이 지속적으로 범람하면서 해양 생명체가 다시 분화하기 시작했고, 생물 다양성이 회복되었다.[126]

빙상이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하여 다시 멸종의 정점이 찾아왔지만, 해수면이 안정되자 멸종 사태도 수렴했다. 실루리아기 초기에 대륙붕이 장기간 침수되었기 때문에 살아남은 생물 군집 내에서 생물 다양성이 증가하며 회복되었다.[125]

생물 다양성이 크게 손실된 후, 실루리아기의 생물 군집은 초기에는 덜 복잡하고 더 광범위하게 분포했다. 후기 오르도비스기의 특징이었던 고유성이 높은 동물 군집은 현생누대에서 가장 세계적인 동물 군집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실루리아기 대부분의 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생물지리학적 패턴이었다.[125]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량 멸종은 페름기 말 대멸종이나 백악기 말 대멸종처럼 장기간에 걸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단기간에 수많은 분류군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다양성이 변화했다.[125]

참조

[1] 논문 End Ordovician extinctions: A coincidence of causes 2004-05
[2] 논문 The Hirnantian (Late Ordovician) and end-Guadalupian (Middle Permian) mass-extinction events compared https://onlinelibrar[...] 2022-10-23
[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ice on Earth https://www.newscien[...] 2018-04-12
[4] 논문 Contrasting the ecological and taxonomic consequences of extinction 2013
[5] 서적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Springer
[6]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ume Two: Extinctions and Bio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John Wiley & Sons 2002
[7] 논문 Evaluating the ecological architecture of major events in the Phanerozoic history of marine invertebrate life https://pubs.geoscie[...] 1997-02-01
[8] 논문 Decoupling of taxonomic and ecologic severity of Phanerozoic marine mass extinctions https://pubs.geoscie[...] 2000-08-01
[9] 논문 Do all mass extinctions represent an ecological crisis? Evidence from the Late Ordovician 2001
[10] 논문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2001-05
[11] 논문 A nutrient control on expanded anoxia and global cooling during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2022-04-05
[12] 웹사이트 Causes of the Ordovician Extinction http://hannover.park[...]
[13] 논문 Climate change and the selective signature of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2012-04-17
[14] 논문 Mass Extinction of the Marine Biota at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2014-11
[15] 논문 Persistent global marine euxinia in the early Silurian 2020-04-14
[16] 논문 The early Rhuddanian survival interval in the Lower Silurian of the Oslo Region: A third pulse of the end-Ordovician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2-11-15
[17] 논문 Ordovician and Silurian sea-water chemistry, sea level, and climate: A synopsis
[18] 논문 Cycles in Fossil Diversity
[19] 논문 Origination, extinction, and mass depletions of marine diversity http://www.bioone.or[...] 2004-12
[20] 논문 Nearshore warm-water biota development in the aftermath of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4-16
[21] 논문 Earliest Silurian faunal survival and recovery after the end Ordovician glaciation: evidence from the brachiopods https://www.cambridg[...] 2023-05-25
[22] 논문 Palaeozoic brachiopod extinctions, survival and recovery: patterns within the rhynchonelliformeans https://onlinelibrar[...] 2001
[23] 논문 Abundance and extinction in Ordovician–Silurian brachiopods, Cincinnati Arch, Ohio and Kentucky https://www.cambridg[...] 2024-10-18
[24] 논문 Biogeographic and bathymetric determinants of brachiopod extinction and survival during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2016-04-27
[25] 논문 Identifying the most surprising victims of mass extinction events: an example using Late Ordovician brachiopods 2017-09-30
[26] 논문 The latest Ordovician Hirnantia Fauna (Brachiopoda) in time and space https://onlinelibrar[...] 2022-12-26
[27] 논문 Brachiopod survival and recovery from the latest Ordovician mass extinctions in South China https://onlinelibrar[...] 2023-04-16
[28]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d-Permian and end-Ordovician brachiopod mass extinctions and survivals in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3-08-10
[29] 논문 Global palaeobiogeographical patterns in brachiopods from survival to recovery after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4-16
[30] 논문 The smooth, spire-bearing brachiopods after the terminal Ordovician extinction through lower Llandovery in the central Oslo region, Norway https://pubs.geoscie[...] 2023-05-25
[31] 논문 Post-extinction diversification patterns of brachiopods in the early–middle Llandovery, Silurian https://www.scienced[...] 2022-11-23
[32] 논문 Chief sources of brachiopod recovery from the end Ordovician mass extinction with special references to progenitors https://link.springe[...] 2023-04-16
[33] 논문 Can the Lilliput Effect be detected in the brachiopod faunas of South China following the terminal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1-15
[34] 논문 Larval ecology, life history strategies, and patterns of extinction and survivorship among Ordovician trilobites https://www.cambridg[...] 1989
[35] 서적 Advances in Ordovician Geology Geological Survey of Canada
[36] 논문 Post-Ordovician trilobite diversity and evolutionary faunas 2022-07
[37] 논문 Late Ordovician extinctions of bryozoans https://onlinelibrar[...] 1992
[38] 논문 Diversity dynamics of Ordovician Bryozoa 2018
[39] 논문 A revised macroevolutionary history for Ordovician — Early Silurian crinoids https://www.cambridg[...] 2023-05-25
[40] 서적 Late Ordovician and Early Silurian stromatoporoid sponges from Anticosti Island, eastern Canada: Crossing the O/S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Canadian Science Publishing 2010-01-01
[41] 논문 Stromatoporoids and extinctions: A review https://www.scienced[...] 2024-10-18
[42] 논문 Sponge-dominated offshore benthic ecosystems across South China in the aftermath of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3-14
[43] 논문 Coupling of the recovery of earliest Silurian sponges and ocean redox conditions: Evidence from South China 2023-04
[44] 논문 Unusual Deep Water sponge assemblage in South China—Witness of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3-03-14
[45] 논문 Flourishing Sponge-Based Ecosystems after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2017-02-09
[46] 논문 Was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truly exceptional? https://doi.org/10.1[...] 2023-12-11
[47] 논문 Did Cooling Oceans Trigger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idence from Conodont Thermometry https://www.research[...] 2022-12-26
[48] 논문 Did changes in atmospheric CO2 coincide with latest Ordovician glacial–interglacial cycles? Seth A. Young, Matthew R. Saltzman, William I. Ausich, André Desrochers, and Dimitri Kaljo 2010-10-15
[49] 뉴스 High-carbon ice age mystery solved https://www.newscien[...] Jeff Hecht 2010-03-08
[50] 논문 First plants cooled the Ordovician https://www.nature.c[...] 2022-10-18
[51] 논문 The influence of Late Ordovician volcanism on the marine environment based on high-resolution mercury data from South China https://pubs.geoscie[...] 2022-10-19
[52] 논문 A weathering hypothesis for glaciation at high atmospheric pCO2 during the Late Ordovician https://www.scienced[...] 2023-08-12
[53] 논문 Did a Katian large igneous province trigger the Late Ordovician glaciation?: A hypothesis tested with a carbon cycle model https://www.scienced[...] 2023-05-25
[54] 논문 A volcanic trigger for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Mercury data from south China and Laurentia 2017-07-01
[55] 논문 Late Ordovician climate change and extinctions driven by elevated volcanic nutrient supply https://www.nature.c[...] 2022-10-21
[56] 논문 Long-lived glaciation in the Late Ordovician? Isotopic and sequence-stratigraphic evidence from western Laurentia https://pubs.geoscie[...] 2005-02-01
[57] 논문 Ordovician–Silurian true polar wander as a mechanism for severe glaciation and mass extinction 2022-12-26
[58] 논문 Evidence suggesting that earth had a ring in the Ordovician https://linkinghub.e[...] 2024-11-15
[59] 논문 Extinction intensity during Ordovician and Cenozoic glaciations explained by cooling and palaeogeography https://www.nature.c[...] 2022-10-22
[60] 논문 Polar front shift and atmospheric CO2 during the glacial maximum of the Early Paleozoic Icehouse https://www.pnas.org[...] 2010-08-24
[61] 논문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A new perspective from stratigraphic sections in central Nevada https://pubs.geoscie[...] 2023-09-10
[62] 논문 The relation of Late Ordovician glaciation to the Ordovician-Silurian changeover in North American brachiopod faunas https://www.idunn.no[...] 2023-12-11
[63] 논문 Evolution caused by extreme events 2017-06-19
[6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newsletter.pa[...] 2009-07-22
[65] 논문 Sedimentary and biotic evidence of a warm-water enclave in the cooler oceans of the latest Ordovician glacial phase, Yangtze Platform, South China block https://onlinelibrar[...] 2005-12-21
[66] 논문 A Cenozoic-style scenario for the end-Ordovician glaciation 2014-09-01
[67] 논문 A sulfidic driver for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12-05-15
[68] 논문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te Ordovician–early Silurian: Review and new insights from black shales and nitrogen isotopes https://www.research[...] 2023-08-12
[69] 논문
[71] 논문 Disentangling the record of diagenesis, local redox conditions, and global seawater chemistry during the latest Ordovician glaciation https://www.research[...] 2017-02-01
[72] 논문 Ocean euxinia and climate change "double whammy" drove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pubs.geoscie[...] 2018
[73] 논문 Rapid marine oxygen variability: Driver of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2-11-18
[74] 논문 Changes in marine productivity and redox conditions during the Late Ordovician Hirnantian glaciation https://www.research[...] 2015-02-15
[75] 논문 Marine redox conditions during deposition of Late Ordovician and Early Silurian organic-rich mudrocks in the Siljan ring district, central Sweden http://www.sciencedi[...] 2017-05-10
[76] 논문 Redox conditions and marine microbial community changes during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event https://www.research[...] 2017-02-01
[77] 논문 Marine redox variability from Baltica during extinction events in the latest Ordovician–early Silurian https://www.sethalle[...] 2020-09-15
[78] 논문 The climatic significance of Late Ordovician-early Silurian black shales https://hal.archives[...] 2017
[79] 논문 The influence of denitrifying seawater on graptolite extinction and diversification during the Hirnantian (latest Ordovician) mass extinction event https://www.idunn.no[...] 2007-09-01
[80] 논문 A Cenozoic-style scenario for the end-Ordovician glaciation 2014-09-01
[81] 논문 Sea level, climate, and ocean poisoning by sulfide all implicated in the first animal mass extinction 2018
[82] 논문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caused by volcanism, warming, and anoxia, not cooling and glaciation: COMMENT 2020-06-11
[83] 논문 Geochemical Records Reveal Protracted and Differential Marine Redox Change Associated With Late Ordovician Climate and Mass Extinctions 2022-01-10
[84] 논문 Large perturbations of the carbon and sulfur cycle associated with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https://pubs.geoscie[...] 2009
[85] 논문 Oceanic anoxia and extinction in the latest Ordovician https://www.scienced[...] 2022-07-15
[86] 논문 Oceanic environment changes caused the Late Ordovician extinction: evidence from geochemical and Nd isotopic composition in the Yangtze area, South China https://www.research[...] 2020-04-01
[87] 논문 Changes in palaeoclimate and palaeoenvironment in the Upper Yangtze area (South China) during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2022-08-01
[88] 논문 Different controls on the Hg spikes linked the two pulses of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in South China 2022-03-25
[89] 논문 Vertical decoupling in Late Ordovician anoxia due to reorganization of ocean circulation https://www.nature.c[...] 2021-11-01
[90] 논문 Perturbation of the marine nitrogen cycle during the Late Ordovician glaciation and mass extinction https://www.academia[...] 2016-04-15
[91] 논문 Limitation of fixed nitrogen and deepening of the carbonate-compensation depth through the Hirnantian at Dob's Linn, Scotland http://www.sciencedi[...] 2019-11-15
[92] 논문 Elevated marine productivity triggered nitrogen limitation on the Yangtze Platform (South China) during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http://www.sciencedi[...] 2020-09-15
[93] 논문 Volcanism-driven marine eutrophication in the end-Ordovician: Evidence from radiolarians and trace elements of black shale in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23-09-01
[94] 논문 The end-Ordovician mass extinction: A single-pulse event? https://www.research[...] 2019-05-01
[95] 논문 The latest Ordovician Hirnantian brachiopod faunas: New global insights http://www.sciencedi[...] 2020-09-01
[96] 논문 Uranium isotopes in non-euxinic shale and carbonate reveal dynamic Katian marine redox conditions accompanying a decrease in biodiversity prior to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4-01-01
[97] 논문 Abrupt global-ocean anoxia during the Late Ordovician–early Silurian detected using uranium isotopes of marine carbonates
[98] 논문 Mercury Spikes Indicate a Volcanic Trigger for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Event: An Example from a Deep Shelf of the Peri-Baltic Region 2019-02-28
[99] 웹사이트 New Theory for What Caused Earth's Second-Largest Mass Extinction http://news.national[...] 2015-09-12
[100] 논문 Metal-induced malformations in early Palaeozoic plankton are harbingers of mass extinction 2015-08-25
[106] 논문 Terrestrial Ozone Depletion due to a Milky Way Gamma-Ray Burst https://iopscience.i[...] 2022-10-22
[107] 논문 Gamma-Ray Bursts and the Earth: Exploration of Atmospheric, Biological, Climatic, and Biogeochemical Effects https://iopscience.i[...] 2022-10-22
[108] 논문 Climatic and biogeochemical effects of a galactic gamma ray burst https://agupubs.onli[...] 2022-08-21
[109] 논문 Large mass-independent sulphur isotope anomalies link stratospheric volcanism to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3-08-14
[110] 뉴스 Familiar Culprit May Have Caused Mysterious Mass Extinction - A planet heated by giant volcanic eruptions drove the earliest known wipeout of life on Earth. https://www.nytimes.[...] 2020-06-15
[111] 논문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caused by volcanism, warming, and anoxia, not cooling and glaciation 2020-05-18
[112] 논문 Ordovician-Silurian volcanism in northern Iran: Implications for a new Large Igneous Province (LIP) and a robust candidate for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research[...] 2022-10-19
[113] 논문 Cascading trend of Early Paleozoic marine radiations paused by Late Ordovician extinctions 2019-04-09
[114] 논문 A high-resolution summary of Cambrian to Early Triassic marine invertebrate biodiversity 2020-01-17
[115] 논문 Timing and patterns of the 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 and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Perspectives from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1-09-01
[116] 논문 A pre-Hirnantian (Late Ordovician) interval of global cooling – The Boda event re-assessed https://www.scienced[...] 2023-09-10
[117] 논문 New constraints on volcanism during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Insights from marine bentonites in northern Yili Block (NW China) https://www.scienced[...] 2022-12-26
[118] 논문 Different integrated mechanisms drove the two pulses of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12-11
[119] 논문 Seawater sources of Hg enrichment in Ordovician-Silurian boundary strata, South China https://www.scienced[...] 2022-12-26
[120] 논문 Terrestrial rather than volcanic mercury inputs to the Yangtze Platform (South China) during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23-08-12
[121] 논문 Mercury in marine Ordovician/Silurian boundary sections of South China is sulfide-hosted and non-volcanic in origin 2019-04-01
[122] 논문 An asteroid impact origin of the Hirnantian (end-Ordovician) glaciation and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d[...] 2023-05-25
[123] 웹사이트 New evidence suggests the world's largest known asteroid impact structure is buried deep in southeast Australia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US, Inc. 2023-09-02
[1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http://www.geosociet[...] 日本地質学会 2020-03-15
[125] 논문 End Ordovician extinctions: A coincidence of causes 2014-05
[126] 논문 O-69 南中国、Honghuayuan(紅花園)におけるOrdovician-Silurian境界付近の層序と炭素同位体比変動(8.炭酸塩の起源と地球環境,口頭およびポスター発表,一般講演) https://doi.org/10.1[...] 日本地質学会 2006-09-08
[127] 논문 Contrasting the ecological and taxonomic consequences of extinction 2013
[128] 서적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129]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ume Two: Extinctions and Bio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John Wiley & Sons 2002
[130] 웹사이트 Causes of the Ordovician Extinction http://hannover.park[...] 2020-04-25
[131] 논문 Ordovician and Silurian sea-water chemistry, sea level, and climate: A synopsis
[132] 뉴스 地球最初の大量絶滅、期間は20万年 雲南省の地層で解明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0-04-24
[133] 논문 Cycles in Fossil Diversity
[134] 논문 古生代放散虫の分類 と消長史-7回の絶滅事件-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2002-02-25
[135] 논문 Origination, extinction, and mass depletions of marine diversity http://www.bioone.or[...] 2004-12
[136] 논문 Mass Extinction of the Marine Biota at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2014-11
[1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newsletter.pa[...] 2009-07-22
[138] 논문 Did a gamma-ray burst initiate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139] 웹사이트 Explosions in Space May Have Initiated Ancient Extinction on Earth http://www.nasa.gov/[...] アメリカ航空宇宙局 2005-04-06
[140] 뉴스 Ray burst is extinction suspect http://news.bbc.co.u[...] 英国放送協会|BBC 2005-04-06
[141] 논문 Late Ordovician geographic patterns of extinction compared with simulations of astrophysical ionizing radiation damage
[142] 논문 Did changes in atmospheric CO2 coincide with latest Ordovician glacial–interglacial cycles? https://doi.org/10.1[...] 2010-10-15
[143] 웹사이트 High-carbon ice age mystery solved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4-06-30
[144] 논문 A major drop in seawater 87Sr/86Sr during the Middle Ordovician (Darriwilian): Links to volcanism and climate? http://u.osu.edu/sal[...] 2017-10-23
[145] 웹사이트 Get it! Helper Window {{!}} University of Toronto Libraries http://simplelink.li[...] 2016-04-08
[146] 논문 Abrupt global-ocean anoxia during the Late Ordovician–early Silurian detected using uranium isotopes of marine carbonates https://doi.org/10.1[...] 2018-05-21
[147] 웹사이트 New Theory for What Caused Earth's Second-Largest Mass Extinction http://news.national[...] 2015-09-11
[148] 논문 Metal-induced malformations in early Palaeozoic plankton are harbingers of mass extinction http://www.nature.co[...] 2015-08-25
[149] 웹사이트 史上2番目の大量絶滅、原因は有毒金属とする新説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20-04-24
[150] 간행물 大火山噴火が最初の生物大絶滅の原因 未解明の原因が明らかに! https://www.tohoku.a[...] "[[東北大学大学院理学研究科・理学部|東北大学大学院理学研究科]]" 2020-04-23
[151] 서적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https://archive.org/[...]
[152] 웹인용 Ordovician-Silurian extinction http://www.britannic[...] 2016-04-06
[153] 저널 Mass Extinction of the Marine Biota at the Ordovician–Silurian Transi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2014-11
[154] 저널 End Ordovician extinctions: A coincidence of causes 2014-05
[155] 저널 Contrasting the ecological and taxonomic consequences of extinction http://search.proque[...] 2013
[156] 문서 "Extinctions and Bio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 Volume Two, The earth system: biological and ecological dimensions of global environment change" John Wilely & Sons
[157] 웹인용 Causes of the Ordovician Extinction http://hannover.park[...]
[158] 저널 Ordovician and Silurian sea-water chemistry, sea level, and climate: A synopsis
[159] 저널 Cycles in Fossil Diversity
[160] 저널 Origination, extinction, and mass depletions of marine diversity http://www.bioone.or[...] 2004-12
[16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newsletter.pa[...] 2009-07-22
[162] 저널 Did a gamma-ray burst initiate the late Ordovician mass extinction?
[163] 웹사이트 Explosions in Space May Have Initiated Ancient Extinction on Earth http://www.nasa.gov/[...] NASA 2005-04-06
[164] 뉴스 Ray burst is extinction suspect http://news.bbc.co.u[...] BBC 2005-04-06
[165] 저널 Late Ordovician geographic patterns of extinction compared with simulations of astrophysical ionizing radiation damage
[166] 문서 "Did changes in atmospheric CO2 coincide with latest Ordovician glacial–interglacial cycles?" 2010-10-15
[167] 뉴스 High-carbon ice age mystery solved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0-03-08
[168] 저널 A major drop in seawater 87Sr/86Sr during the Middle Ordovician (Darriwilian): Links to volcanism and climate? http://u.osu.edu/sal[...] 2017-10-23
[169] 웹인용 Get it! Helper Window {{!}} University of Toronto Libraries http://simplelink.li[...] 2016-04-08
[170] 웹인용 New Theory for What Caused Earth's Second-Largest Mass Extinction http://news.national[...] 2015-09-11
[171] 저널 Metal-induced malformations in early Palaeozoic plankton are harbingers of mass extinction http://www.nature.co[...] 2015-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