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슈 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슈 가도는 에도 시대에 도쿄에서 무쓰국(현재의 도호쿠 지방)을 거쳐 홋카이도 하코다테까지 연결되던 주요 간선 도로였다. 참근교대의 교통로로 시작하여 에조치 개발과 러시아 방어를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중요성이 커졌다. 1873년 리쿠우 가도로 개칭되었으며, 현재는 국도 4호선, 도호쿠 자동차도 등이 이 노선을 따른다. 오슈 가도는 도쿄의 니혼바시에서 시작하여 사이타마, 이바라키, 도치기, 후쿠시마, 미야기, 이와테, 아오모리 현을 거쳐 홋카이도까지 연결되었으며, 각 지역의 역참과 분기 도로가 존재했다. 이 중 이와테현의 일부 구간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와테현의 국가지정사적 - 모리오카성
모리오카성은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기타카미강과 나카쓰강 합류 지점의 전략적 요충지에 건설된 연곽식 평산성으로, 난부 씨의 거점으로서 무로마치 시대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이어지는 긴 역사를 지니며 현재는 이와테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 이와테현의 국가지정사적 - 주손지
주손지는 12세기 초 후지와라노 키요히라가 건립을 시작한 사찰로, 전구년의 역과 후삼년의 역에서 사망한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곤지키도 등 주요 문화재가 보존되어 현재 일본의 국보와 중요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에도 시대의 교통 - 고슈 가도
고슈 가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고후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주요 가도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 정비되어 국도 20호선을 따라 그 흔적이 남아있다. - 에도 시대의 교통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 일본의 교통 - 고슈 가도
고슈 가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고후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주요 가도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에 정비되어 국도 20호선을 따라 그 흔적이 남아있다. - 일본의 교통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오슈 가도 | |
---|---|
지도 정보 | |
주요 정보 | |
이름 | 오슈 가도 |
로마자 표기 | Ōshū Kaidō |
한자 표기 | 奥州街道 |
종류 | 가도(街道) |
시대 | 에도 시대 |
기점 | 니혼바시 |
종점 | 산노헤 |
노선 정보 | |
주요 경유지 | 우쓰노미야 시라카와 후쿠시마 센다이 |
별칭 | 구시카도 (九十街道) 나카센도 (中仙道) 오슈미치 (奥州道) |
분기점 | 닛코 가도 오야마 가도 아이즈니시 가도 |
역사적 배경 | |
설치 목적 | 에도와 오슈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주요 교통로 |
초기 명칭 | 오슈미치 (奥州道) |
주요 기능 | 영주들의 참근교대 교역과 물자 수송 여행 및 순례 |
문화 및 유적 | |
관련된 문화 | 에도 시대의 여행 문화 가도 주변의 숙박 시설 및 상업 시설 발달 |
유적 및 유물 | 가도 주변의 옛 숙박 시설 및 상점 가도 주변의 옛 절 및 신사 |
현대적 의미 | 주요 국도 및 지방도의 기초 역사적 관광 자원 |
2. 역사
오슈 가도는 에도 막부 도중부교(道中奉行) 직할 하에 있던 시라사와 숙(白沢宿)부터 시라카와 숙(白河宿)까지의 10개 숙소를 가리키며, 공식적으로는 오슈도중(奥州道中)이라 불렸다.[5] 시라카와 이북의 17개 숙소는 막부 간정부교(勘定奉行) 관할이었으며, 임금 등의 통제 외에는 해도 연선의 영주나 깃본(旗本)의 관리에 맡겨졌다.[5] 시라카와 이남·이북을 합쳐 오슈 가도에는 27개의 숙장(宿場)이 설치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에도와 무쓰 국은 물론 에조지(蝦夷地) 사이의 물류 증가로 시라카와는 중계 지점으로 번성하였고, 오슈 가도 연선에서는 시모쓰케 국 우쓰노미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질 정도로 번영하였다.
현재 도쿄와 도호쿠 지방을 잇는 국도 4호선 구도(舊道)의 도치기현 우쓰노미야 이북 구간이 "오슈 가도"로 불리고 있다. 시라카와 이북의 일부 구간에서는 리쿠우 가도(陸羽街道)·센다이도(仙台道)·마쓰마에도(松前道)·소토가하마도(外が浜道) 등의 명칭이 병용되었다.[4]
오슈 가도의 전신은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중로(中路) 및 오쿠오오도(奥大道)(가마쿠라 가도)이다.
2.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 초기, 오슈 가도를 따라 이동하는 사람들은 주로 산킨코타이(산킨코타이)에 참여하기 위해 에도로 향하는 관리들이었다. 하코다테가 발전한 이후 에도 시대 후기에는 러시아와의 무역 증가로 인해 이동이 더욱 증가했다.[2]에도 막부(江戸幕府) 도중부교(道中奉行)의 직할 하에 있던 시라사와 숙(白沢宿)부터 시라카와 숙(白河宿)까지의 10개 숙소의 길을 가리켜 공식적으로는 오슈도중(奥州道中)이라 불렀다.[5] 시라카와 이북의 17개 숙소는 막부 간정부교(勘定奉行)의 관할이었으며, 임금 등의 통제 외에는 해도(海道) 연선의 영주나 깃본(旗本)의 관리에 맡겨졌다.[5] 시라카와 이남·이북을 합쳐 오슈 가도에는 27개의 숙장(宿場)이 설치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에도와 무쓰 국(陸奥国)은 물론 에조지(蝦夷地) 사이의 물류가 증가하여 시라카와는 중계 지점으로 번성하였고, 오슈 가도 연선에서는 시모쓰케 국(下野国) 우쓰노미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질 정도로 번영하였다.
에조치 개발과 러시아로부터의 에조치 방위를 위해 왕래량이 증가했다.
2. 2. 메이지 시대 이후
1872년(메이지 5년) 이후 오시마국가메다군하코다테에서 이시카리국삿포로군삿포로까지의 삿포로 본도에 연결되어 홋카이도로의 접근 노선을 담당하였다. 1873년(메이지 6년) 리쿠우 가도로 개칭되었고, 현재는 대부분 국도 4호가 되었으며, 도호쿠 자동차도·하치노헤 자동차도가 병행하여 지나가고 있다.[4]3. 주요 경유지 및 분기 도로
오슈 가도는 에도에서 무쓰 국으로 가는 주요 도로였으며, 여러 지선 도로들이 있었다. 그 중 하나는 무쓰 국과 센다이를 연결하는 센다이도(仙台道)이다. 센다이도의 종착지는 현재 센다이 아오바구에 있으며, 마쓰마에도(松前道)는 센다이와 홋카이도 하코다테를 연결했다. 오슈 가도는 27개의 역참(숙소)을 가지고 있었지만,[1] 지선을 포함하면 100개가 넘는 지정된 역참이 있었다.
오슈 가도는 공식적으로 오슈도중(奥州道中)이라 불렸으며, 에도 막부(江戸幕府) 도중부교(道中奉行)의 직할 하에 있던 시라사와 숙(白沢宿)부터 시라카와 숙(白河宿)까지의 10개 숙소를 가리킨다.[5] 시라카와 이북의 17개 숙소는 막부 간정부교(勘定奉行)의 관할이었다.[5]
오슈 가도의 전신은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중로(中路) 및 오쿠오오도(奥大道)(
닛코 가도(日光街道)와 겹치는 구간을 포함하여, 오슈 가도의 27개 역참은 다음과 같다.
역참(宿場) | 령제국(令制国) | 군(郡) | 도도부현(都道府県) | 시구정촌(市区町村) | 특기사항 | |
---|---|---|---|---|---|---|
0. 오테몬(大手門) 0. 니혼바시(日本橋) | 무사시국(武蔵国) | 호시마군(豊島郡) | 도쿄도(東京都) | 치요다구(千代田区) 주오구(中央区) | 에도성(江戸城) 정문 5개의 가도의 기점(起点) | |
1. 센쥬숙(千住宿) | 아다치군(足立郡) | 아다치구(足立区) | 미토가도(水戸街道)가 분기 | |||
2. 소카숙(草加宿) | 사이타마군(埼玉郡) | 사이타마현(埼玉県) | 소카시(草加市) | |||
3. 코시가야숙(越ヶ谷宿) | 코시가야시(越谷市) | |||||
4. 카스카베숙(粕壁宿) | 카스카베시(春日部市) | |||||
5. 스기토숙(杉戸宿) | 키타카츠시카군(北葛飾郡) 스기토정(杉戸町) | |||||
6. 사쿠테숙(幸手宿) | 사쿠테시(幸手市) | 닛코오나리카도(日光御成街道)・츠쿠바도(筑波道)가 분기 | ||||
7. 쿠리하시숙(栗橋宿) | 쿠키시(久喜市) | |||||
8. 나카다숙(中田宿) | 시모우사국(下総国) | 이바라키현(茨城県) | 후루카와시(古河市) | |||
9. 후루카와숙(古河宿) | 후루카와성(古河城) 성하(城下) | |||||
10. 노기숙(野木宿) | 시모쓰케국(下野国) | 도가군(都賀郡) | 도치기현(栃木県) | 시모도가군(下都賀郡) 노기정(野木町) | ||
11. 마마다숙(間々田宿) | 오야마시(小山市) | |||||
12. 오야마숙(小山宿) | 닛코니시가도(日光西街道)・유키치도(結城道)・사노도(佐野道)・토치기도(栃木道)가 분기 | |||||
13. 신다숙(新田宿) | ||||||
14. 코가네이숙(小金井宿) | 시모쓰케시(下野市) | |||||
15. 이시바시숙(石橋宿) | ||||||
16. 스즈미야숙(雀宮宿) | 카와치군(河内郡) | 우쓰노미야시(宇都宮市) | ||||
17. 우쓰노미야숙(宇都宮宿) | 우쓰노미야성(宇都宮城) 성하(城下) 닛코가도(日光街道)・닌묘도(壬生道)・카누마도(鹿沼道)・타하라도(田原道)・신사토도(新里道)・오타니도(大谷道)가 분기 | |||||
18. 시라사와숙(白沢宿) | ||||||
19. 우지에숙(氏家宿) | 시오야군(塩谷郡) | 사쿠라시(さくら市) | ||||
20. 키렌가와숙(喜連川宿) | 키렌가와성(喜連川城) 성하(城下) | |||||
21. 사쿠야마숙(佐久山宿) | 나스군(那須郡) | 오타하라시(大田原市) | ||||
22. 오타하라숙(大田原宿) | 오타하라성(大田原城) 성하(城下) | |||||
23. 나베가케숙(鍋掛宿) | 나스시오바라시(那須塩原市) | |||||
24. 코시보리숙(越堀宿) | ||||||
25. 아시노숙(芦野宿) | 나스군(那須郡) 나스정(那須町) | |||||
26. 시라사카숙(白坂宿) | 이와키국(磐城国) | 시라카와군(白河郡) | 후쿠시마현(福島県) | 시라카와시(白河市) | ||
27. 시라카와숙(白河宿) | 시라카와코미네성(白河小峰城) 성하(城下) |
3. 1. 도쿄
0. 니혼바시(日本橋)주오구(中央区)
5개의 가도의 기점(起点)